맨위로가기

경상북도지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상북도지사는 경상북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현재까지 역대 도지사가 존재한다. 1945년 8월 김대우가 조선총독부 마지막 도지사로 유임되었고, 이후 미군정 시기에는 미군 중령들이 도지사로 임명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95년 지방자치제 실시 전까지는 관선 도지사가 임명되었으며, 1995년 이후에는 주민 직선으로 선출된다. 역대 선거 결과에서 보수 정당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청 -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국학진흥원은 한국학 관련 자료의 수집, 연구, 보존, 교육, 전시 등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유교문화 종합정보 DB 구축, 유교문화박물관 개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등의 활동을 했으며, 경상북도 안동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 경상북도청 - 경상북도체육회
    경상북도체육회는 경상북도의 체육 진흥을 총괄하는 단체로, 1935년 영남체육회로 설립되어 194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대구광역시체육회 분리 및 경상북도생활체육회 흡수 통합을 거쳐 현재 회장 아래 사무처를 두고 경상북도 체육 관련 사무를 관장하며 시/군 체육회 지부를 통해 지역 체육 진흥을 지원한다.
  • 경상북도지사 - 양택식
    양택식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 기업인으로, 경상남도 부지사, 내무부 기획관리실장, 철도청장, 부산시 부시장, 경상북도지사를 거쳐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며 여의도 개발 완료, 영동지구 개발 추진,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을 주도했고, 이후 대한주택공사 사장, 동서석유화학 회장을 지냈다.
  • 경상북도지사 - 이상배 (1939년)
    이상배는 행정고시 합격 후 울진군수, 안동시장, 경상북도지사, 환경청장, 서울특별시장 등 주요 행정 관료를 역임하고 제15·16·17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충청남도지사
    충청남도지사는 충청남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존재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도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민선 도지사 체제로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대전광역시장
    대전광역시장은 대전광역시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9년 충청남도 대전시장으로 시작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95년부터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민선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
경상북도지사
기본 정보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직위경상북도지사
원어명경상북도지사
로마자 표기Gyeongsangbuk-do Jisa
현직이철우
취임일2018년 7월 1일
임기4년
초대김대우
성립일1945년 8월 15일
웹사이트경상북도지사 공식 웹사이트
경상북도 도장
경상북도 도장
상세 정보
관할 지역경상북도
임명 방식선거를 통해 선출
역할경상북도의 행정 사무 총괄 및 대표
주요 업무도정 운영
예산 관리
지역 개발 정책 수립 및 추진
민원 처리
역대 지사
초대 지사김대우
현임 지사이철우
기타
관저미확인
부관미확인
부관 직책미확인
법정 계승자미확인
법정 계승자 작위미확인
봉급미확인

2. 역대 도지사

(Edwin A. Hen)1945년 10월 20일 ~ 1945년 12월 1일미 육군 중령3대레이몬드 자노우스키
(Raymond A. Janowski)1945년 12월 2일 ~ 1945년 12월 22일4대김선균(金宣均)1945년 12월 22일 ~ 1946년 12월 10일5대최희송(崔熙松)1946년 12월 10일 ~ 1948년 5월 27일열성(熱誠), 사필귀정(事必歸正)미군정장관 비서관에서 전임6대장인환(張仁煥)1948년 5월 27일 ~ 1948년 8월 14일7대1948년 8월 15일 ~ 1948년 10월 17일8대정현모(鄭顯模)1948년 10월 18일 ~ 1950년 1월 23일9대조재천(曺在千)1950년 1월 24일 ~ 1951년 6월 28일10대신현돈(申鉉燉)1951년 6월 29일 ~ 1955년 2월 24일애민 애물, 함선 접응, 온정 열의, 응정 개결, 도의 개배, 근검 역작, 명조 천안, 근검 실천11대이근직(李根直)1955년 2월 25일 ~ 1957년 9월 26일민력 함양, 교육 진흥, 치안 확보, 생산 증대, 책임 완수12대송관수(宋官洙)1957년 9월 27일 ~ 1959년 5월 12일이도 쇄신, 행정력 확보, 복지 증진, 치안 확보13대오림근(吳琳根)1959년 5월 13일 ~ 1960년 4월 30일봉사정신의 실천궁행을 위한 체제의 확립, 산업경제개발의 촉진, 명량한 농촌건설을 위한 행정력의 집중
민주경찰의 사명달성, 애국애족의 교육정신확립과 향토건설을 위한 교학의 쇄신14대조준영(趙俊泳)1960년 5월 2일 ~ 1960년 10월 6일국민의 주권보관, 민심수습, 행정력 입장에서 민중의 흥론반영15대이호근(李鎬根)1960년 10월 7일 ~ 1961년 5월 23일민주당혁명과업을 조속히 완수, 산업의 증강과 사회복지의 증진, 치안의 확보16대박경원(朴璟遠)1961년 5월 24일 ~ 1963년 12월 18일혁명과업의 촉진, 생활신조의 확립, 산업개발의 진흥, 봉사경찰의 구현, 구국교육의 진흥17대김인(金仁)1963년 12월 19일 ~ 1967년 10월 9일약진 경북관기확립, 행정의 능률화, 약진경북계획의 추진, 명량한 사회기풍조성, 예방경찰의 구현18대양택식(梁澤植)1967년 10월 10일 ~ 1970년 4월 15일도와주자, 앞서가자, 책임지자 - 부강경북신임받는 행정, 높이는 도민행정, 앞서가는 향토개발, 명량한 사회건설19대김덕엽(金德燁)1970년 4월 16일 ~ 1971년 6월 11일번영하는 푸른경북실리있는 농공병진, 격차없는 광역개발, 자조·협동·창조, 책임능률 봉사행정, 질서와 향토방위20대구자춘(具滋春)1971년 6월 12일 ~ 1974년 9월 1일힘찬전진 알찬경북밝고 맑은 기풍진작, 농어촌소득 배가추진, 종합개발의 적극추진, 튼튼한 향토방위21대김수학(金秀學)1974년 9월 2일 ~ 1978년 12월 25일유신으로 총화전진, 새마을로 소득증대
500만 도민의 총화, 새마을로 증산총화 유신, 새마을 소득증대, 식량의 대증산, 활기찬 지역개발, 산지이용의 고도화22대김무연(金武然)1978년 12월 26일 ~ 1981년 4월 7일총화전진 영광경북자력개발역량의 함양, 소득의 획기적 증대, 창의봉사행정의 구현, 향토문화의 창달, 명량한 사회기풍의 진작23대김성배(金盛培)1981년 4월 8일 ~ 1982년 5월 2일새경북 영광의 전진총화행정의 구현, 지역성장의 촉진, 재활복지의 증진24대정채진(鄭埰鎭)1982년 5월 3일 ~ 1985년 2월 20일새경북 영광의 전진화합발전, 지역성장, 창의책임25대이상희(李相熙)1985년 2월 21일 ~ 1986년 1월 8일새경북의 영광의 전진지역개발 촉진, 과학영농 추진, 생활환경 개선, 발전행정 구현26대이상배(李相培)1986년 1월 9일 ~ 1988년 5월 19일선진조국 앞장서자도민화합의 구화, 지역안정의 정착, 생활수준의 향상, 균형개발의 촉진, 도민기상의 진작27대김상조(金相祚)1988년 5월 20일 ~ 1990년 6월 20일자랑스러운 경북을 만들자신뢰받는 공직자가 되자, 자랑스러운 경북을 만들자28대김우현(金又鉉)1990년 6월 21일 ~ 1992년 1월 8일새경북 힘찬전진신뢰받는 봉사행정, 동참하는 화합안정, 수준높은 문화복지, 균형있는 지역발전29대이판석(李判石)1992년 1월 9일 ~ 1993년 3월 3일빛내자 우리경북뜻을 모아 화합발전, 함께하는 문화복지, 정성으로 책임봉사30대이의근(李義根)1993년 3월 4일 ~ 1993년 12월 27일빛내자 우리경북깨끗한 봉사행정, 균형된 지역 개발, 활기찬 지역경제, 건강한 문화복지31대우명규(禹命奎)1993년 12월 28일 ~ 1994년 10월 21일빛내자 우리경북정직한 행정, 깨끗한 환경, 활기찬 농어촌32대심우영(沈宇永)1994년 10월 22일 ~ 1995년 6월 30일빛내자 우리경북믿음주는 도정, 잘사는 농어촌, 균형있는 발전, 자치기반 조성민선33대이의근1995년 7월 1일~1998년 6월 30일민주자유당(1995)
신한국당(1995~1997)
한나라당(1997~2006)위대한 경북 함께뛰는 300만깨끗한 봉사도정, 활기찬 균형개발, 튼튼한 지역경제, 건강한 문화복지34대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35대2002년 7월 1일~2006년 6월 30일36대김관용2006년 7월 1일~2010년 6월 30일한나라당(2006~2012)
새누리당(2012~2017)
자유한국당(2017~2018)새벽을 여는 경북
일자리가 있는 경북경제가 튼튼한 부자경북, 생활이 풍요로운 행복경북, 세계로 향하는 일류경북, 미래를 준비하는 희망경북37대2010년 7월 1일~2014년 6월 30일38대2014년 7월 1일~2018년 6월 30일사람중심 ! 경북세상 !경상북도청 이전 (안동시, 예천군)39대이철우2018년 7월 1일~2022년 6월 30일자유한국당(2018~2020)
미래통합당(2020)
국민의힘(2020~)새바람 행복 경북!경북의 힘으로, 새로운 대한민국40대2022년 7월 1일~[2]


2. 1. 관선 도지사 (1945년 ~ 1995년)

(Edwin A. Hen)1945년 10월 20일 ~ 1945년 12월 1일미 육군 중령3대레이몬드 자노우스키
(Raymond A. Janowski)1945년 12월 2일 ~ 1945년 12월 22일미 육군 중령4대김선균(金宣均)1945년 12월 22일 ~ 1946년 12월 10일5대최희송(崔熙松)1946년 12월 10일 ~ 1948년 5월 27일미군정장관 비서관에서 전임6대장인환(張仁煥)1948년 5월 27일 ~ 1948년 8월 14일7대1948년 8월 15일 ~ 1948년 10월 17일8대정현모(鄭顯模)1948년 10월 18일 ~ 1950년 1월 23일9대조재천(曺在千)1950년 1월 24일 ~ 1951년 6월 28일10대신현돈(申鉉燉)1951년 6월 29일 ~ 1955년 2월 24일11대이근직(李根直)1955년 2월 25일 ~ 1957년 9월 26일12대송관수(宋官洙)1957년 9월 27일 ~ 1959년 5월 12일13대오림근(吳琳根)1959년 5월 13일 ~ 1960년 4월 30일14대조준영(趙俊泳)1960년 5월 2일 ~ 1960년 10월 6일15대이호근(李鎬根)1960년 10월 7일 ~ 1961년 5월 23일16대박경원(朴璟遠)1961년 5월 24일 ~ 1963년 12월 18일17대김인(金仁)1963년 12월 19일 ~ 1967년 10월 9일18대양택식(梁澤植)1967년 10월 10일 ~ 1970년 4월 15일19대김덕엽(金德燁)1970년 4월 16일 ~ 1971년 6월 11일20대구자춘(具滋春)1971년 6월 12일 ~ 1974년 9월 1일21대김수학(金秀學)1974년 9월 2일 ~ 1978년 12월 25일22대김무연(金武然)1978년 12월 26일 ~ 1981년 4월 7일23대김성배(金盛培)1981년 4월 8일 ~ 1982년 5월 2일24대정채진(鄭埰鎭)1982년 5월 3일 ~ 1985년 2월 20일25대이상희(李相熙)1985년 2월 21일 ~ 1986년 1월 8일26대이상배(李相培)1986년 1월 9일 ~ 1988년 5월 19일27대김상조(金相祚)1988년 5월 20일 ~ 1990년 6월 20일28대김우현(金又鉉)1990년 6월 21일 ~ 1992년 1월 8일29대이판석(李判石)1992년 1월 9일 ~ 1993년 3월 3일30대이의근(李義根)1993년 3월 4일 ~ 1993년 12월 27일31대우명규(禹命奎)1993년 12월 28일 ~ 1994년 10월 21일32대심우영(沈宇永)1994년 10월 22일 ~ 1995년 6월 30일


2. 1. 1. 미군정 시기 경상북도지사 (1945년 ~ 1948년)

(Edwin A. Hen)1945년 10월 20일 ~ 1945년 12월 1일미 육군 중령3대레이몬드 자노우스키
(Raymond A. Janowski)1945년 12월 2일 ~ 1945년 12월 22일미 육군 중령4대김선균(金宣均)1945년 12월 22일 ~ 1946년 12월 10일5대최희송(崔熙松)1946년 12월 10일 ~ 1948년 5월 27일미군정장관 비서관에서 전임6대장인환(張仁煥)1948년 5월 27일 ~ 1948년 8월 14일7대1948년 8월 15일 ~ 1948년 10월 17일



초대 지사인 김대우는 조선총독부 최후의 경상북도지사로, 미군정에 의해 유임되었다. 이후 미 육군 중령인 에드윈 헨과 레이몬드 자노우스키가 차례로 지사를 맡았다. 4대 지사로는 김선균이, 5대 지사로는 미군정장관 비서관 출신인 최희송이 임명되었다. 6대 및 7대 지사는 장인환이 역임하였다.

2. 1.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경상북도지사 (1948년 ~ 1995년)

민주경찰의 사명달성, 애국애족의 교육정신확립과 향토건설을 위한 교학의 쇄신7대조준영(趙俊泳)1960년 5월 2일~1960년 10월 6일국민의 주권보관, 민심수습, 행정력 입장에서 민중의 흥론반영8대이호근(李鎬根)1960년 10월 7일~1961년 5월 23일민주당혁명과업을 조속히 완수, 산업의 증강과 사회복지의 증진, 치안의 확보9대박경원(朴璟遠)1961년 5월 24일~1963년 12월 18일혁명과업의 촉진, 생활신조의 확립, 산업개발의 진흥, 봉사경찰의 구현, 구국교육의 진흥10대김인(金仁)1963년 12월 19일~1967년 10월 9일약진 경북관기확립, 행정의 능률화, 약진경북계획의 추진, 명량한 사회기풍조성, 예방경찰의 구현11대양택식(梁澤植)1967년 10월 10일~1970년 4월 15일도와주자, 앞서가자, 책임지자 - 부강경북신임받는 행정, 높이는 도민행정, 앞서가는 향토개발, 명량한 사회건설12대김덕엽(金德燁)1970년 4월 16일~1971년 6월 11일번영하는 푸른경북실리있는 농공병진, 격차없는 광역개발, 자조·협동·창조, 책임능률 봉사행정, 질서와 향토방위13대구자춘(具滋春)1971년 6월 12일~1974년 9월 1일힘찬전진 알찬경북밝고 맑은 기풍진작, 농어촌소득 배가추진, 종합개발의 적극추진, 튼튼한 향토방위14대김수학(金秀學)1974년 9월 2일~1978년 12월 25일유신으로 총화전진, 새마을로 소득증대
500만 도민의 총화, 새마을로 증산총화 유신, 새마을 소득증대, 식량의 대증산, 활기찬 지역개발, 산지이용의 고도화15대김무연(金武然)1978년 12월 26일~1981년 4월 7일총화전진 영광경북자력개발역량의 함양, 소득의 획기적 증대, 창의봉사행정의 구현, 향토문화의 창달, 명량한 사회기풍의 진작16대김성배(金盛培)1981년 4월 8일~1982년 5월 2일새경북 영광의 전진총화행정의 구현, 지역성장의 촉진, 재활복지의 증진17대정채진(鄭埰鎭)1982년 5월 3일~1985년 2월 20일새경북 영광의 전진화합발전, 지역성장, 창의책임18대이상희(李相熙)1985년 2월 21일~1986년 1월 8일새경북의 영광의 전진지역개발 촉진, 과학영농 추진, 생활환경 개선, 발전행정 구현19대이상배(李相培)1986년 1월 9일~1988년 5월 19일선진조국 앞장서자도민화합의 구화, 지역안정의 정착, 생활수준의 향상, 균형개발의 촉진, 도민기상의 진작20대김상조(金相祚)1988년 5월 20일~1990년 6월 20일자랑스러운 경북을 만들자신뢰받는 공직자가 되자, 자랑스러운 경북을 만들자21대김우현(金又鉉)1990년 6월 21일~1992년 1월 8일새경북 힘찬전진신뢰받는 봉사행정, 동참하는 화합안정, 수준높은 문화복지, 균형있는 지역발전22대이판석(李判石)1992년 1월 9일~1993년 3월 3일빛내자 우리경북뜻을 모아 화합발전, 함께하는 문화복지, 정성으로 책임봉사23대이의근(李義根)1993년 3월 4일~1993년 12월 27일빛내자 우리경북깨끗한 봉사행정, 균형된 지역 개발, 활기찬 지역경제, 건강한 문화복지24대우명규(禹命奎)1993년 12월 28일~1994년 10월 21일빛내자 우리경북정직한 행정, 깨끗한 환경, 활기찬 농어촌25대심우영(沈宇永)1994년 10월 22일~1995년 6월 30일빛내자 우리경북믿음주는 도정, 잘사는 농어촌, 균형있는 발전, 자치기반 조성


2. 2. 민선 도지사 (1995년 ~ 현재)

1995년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경상북도지사는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보수 정당 후보들이 지속적으로 당선되고 있다.[2]

style="text-align:right"|구분:
선출 방식대수이름임기정당도정구호도정방침
민선style="background:#CC3333"|26대이의근1995년 7월 1일~1998년 6월 30일민주자유당(1995)
신한국당(1995~1997)
한나라당(1997~2006)
위대한 경북 함께뛰는 300만깨끗한 봉사도정, 활기찬 균형개발, 튼튼한 지역경제, 건강한 문화복지
style="background:#CC3333"|27대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
style="background:#CC3333"|28대2002년 7월 1일~2006년 6월 30일
style="background:#CC3333"|29대김관용2006년 7월 1일~2010년 6월 30일한나라당(2006~2012)
새누리당(2012~2017)
자유한국당(2017~2018)
새벽을 여는 경북
일자리가 있는 경북
경제가 튼튼한 부자경북, 생활이 풍요로운 행복경북, 세계로 향하는 일류경북, 미래를 준비하는 희망경북
style="background:#CC3333"|30대2010년 7월 1일~2014년 6월 30일
style="background:#CC3333"|31대2014년 7월 1일~2018년 6월 30일사람중심 ! 경북세상 !경상북도청 이전 (안동시, 예천군)
style="background:#CC3333"|32대이철우2018년 7월 1일~2022년 6월 30일자유한국당(2018~2020)
미래통합당(2020)
국민의힘(2020~)
새바람 행복 경북!경북의 힘으로, 새로운 대한민국
style="background:#CC3333"|33대2022년 7월 1일~[2]


3. 역대 선거 결과

경상북도지사 선거는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현재까지 총 8번 치러졌다.[1]

3. 1.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5년 경상북도지사 선거
정당순위후보자득표수득표율
민주자유당1이의근541,53537.94%
무소속3이판석489,99934.33%
자유민주연합2박준홍395,49627.71%
합계1,427,030100.00%
투표율76.75%


3. 2.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지사 선거
정당순위후보자득표수득표율
한나라당1이의근911,72871.96%
자유민주연합3이판석355,14928.03%
합계colspan="2" |1,266,877100.00%
투표율64.88%


3. 3.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2년 경상북도지사 선거
정당순위후보득표수득표율
한나라당1이의근1,028,08085.49%
무소속3조영근174,47214.50%
합계1,202,552100.00%
투표율60.37%


3. 4.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6년 경상북도지사 선거
정당번호후보자득표수득표율
한나라당2김관용961,36376.80%
열린우리당1박명재290,35823.19%
합계1,251,721100.00%
투표율61.52%


3. 5.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0년 경상북도지사 선거
정당순위후보자득표수득표율
한나라당1김관용913,81275.36%
민주당2홍의락143,34711.82%
참여당7유성찬87,3467.20%
민주노동당5윤병태68,0155.60%
합계1,212,520100.00%
투표율59.38%


3. 6.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4년 경상북도지사 선거
정당번호후보자득표수득표율
새누리당1김관용986,98977.73%
새정치민주연합2오중기189,60314.93%
정의당4박창호59,6094.69%
통합진보당3윤병태33,4582.63%
합계1,269,659100.00%
투표율59.45%


3. 7.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지사 선거
정당번호후보자득표수득표율
자유한국당2이철우732,78552.11%
더불어민주당1오중기482,56434.32%
바른미래당3권오을143,40910.19%
정의당5박창호47,2503.36%
합계1,406,008100.00%
투표율64.74%


참조

[1]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2019-10-05
[2] 뉴스 국힘 12·민주 5 승리…초접전 경기, 野 막판 역전승(종합3보)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2-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