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제결정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제결정론은 인간의 의식, 사상, 이념, 정치, 법률 등 사회의 상부구조가 경제적 기초에 의해 결정된다는 주장으로, 마르크스주의의 핵심 논리 중 하나이다. 칼 마르크스는 경제 구조가 사회의 기초이며, 물질생활 방식이 사회적, 정치적, 정신적 생활 과정을 결정한다고 보았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생산 양식은 물질적 조건을 생산하고, 이데올로기는 사회 서비스를 정립하며, 혁명은 생산 양식을 변화시킨다. 그러나 경제결정론의 결정력 정도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비판이 존재하며, 알튀세르는 상부구조의 상대적 자율성을 인정하기도 한다. 한편,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죄르지 루카치, 안토니오 그람시 등은 마르크스와 엥겔스를 경제 결정론자로 해석하는 것을 거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결정론 - 운명
    운명은 개인이나 집단에 영향을 주는 사건의 속성을 결정하는 힘으로 이해되며, 숙명과는 달리 노력으로 바뀔 수 있고, 다양한 문화와 철학에서 논의되어 온 핵심 개념이다.
  • 결정론 - 환경 결정론
    환경 결정론은 인간의 행동, 사회 발전, 문화적 특징이 물리적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으로, 문명 태동기부터 논의되었으나 식민주의 등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는 비판과 함께 현대에는 신환경 결정론으로 재해석되기도 한다.
  • 역사 이론 - 근대화
    근대화는 18세기 후반 영국의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과학기술 발전에 기반한 생산력 향상과 환경 통제 능력 증대를 특징으로 하며, 네덜란드의 독립과 번영, 영국 의회 정치와 산업혁명,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 등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나타났다.
  • 역사 이론 -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막스 베버의 저서인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은 칼뱅주의를 포함한 프로테스탄티즘 윤리가 근면, 절약, 합리성 등의 가치를 통해 자본주의 정신에 영향을 주어 경제 활동의 윤리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지만, 방법론적 한계와 근거 부족으로 비판받으며 자본주의 발전의 복합적인 요인들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경제결정론
경제 결정론
유형결정론
분야사회과학
관련 개념마르크스주의
역사적 유물론
주요 인물
주요 인물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찰스 비어드
제임스 하비 로빈슨
상세 내용
설명모든 사회적 관계는 경제적 관계에 기초한다는 이론

2. 마르크스주의와 경제결정론

경제결정론은 인간의 의식, 사회의 사상, 이념, 정치, 법률 등의 상부구조가 그 사회의 하부구조인 경제적 기초에 의해 그 특징이 결정된다는 주장으로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핵심 논리이다. 그러나 경제결정론은 그 결정력의 정도에 따라 의견이 나누어진다.[11]

마르크스와 엥겔스혁명 세력이 생산 양식을 변화시키면 유산 계급이 즉시 이 새로운 경제 질서를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사회를 만들 것이라고 믿었다.[3] 그들은 ''공산당 선언''에서 부르주아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여러분의 생각 자체가 부르주아적 생산과 부르주아적 재산의 조건의 산물이며, 여러분의 법학이 여러분의 계급의 의지, 즉 모든 사람을 위한 법으로 만들어진 의지, 그 본질적인 특성과 방향이 여러분의 계급의 존재의 경제적 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것과 같다."[4] 마르크스는 또한 동일한 생각이 어떤 경제 시스템에서도 나올 수 없다고 믿었다. "돈키호테는 오래 전에 기사도 정신이 모든 경제적 형태의 사회와 양립할 수 있다고 잘못 상상한 대가를 치렀다."[5]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6] 제럴드 훕만,[7] 죄르지 루카치, 안토니오 그람시, 루이 알튀세르, 모리스 고들리에, 프란츠 야쿠보프스키, 에드워드 P. 톰슨 및 마이클 뢰비를 포함한 다른 마르크스주의자 및 마르크스 학자들은 마르크스와 엥겔스를 "경제 결정론자"로 해석하는 것을 완전히 거부한다. 그들은 이 아이디어가 제2 인터내셔널 초기에 시작되었으며, 폴 라파르그[8]니콜라이 부하린 등에 의해 대중화되었다고 주장한다.

엥겔스는 ''사회주의: 유토피아에서 과학으로''에서 동일한 물질적 조건과 계급 상황이 영국에서 프랑스 혁명의 결과 및 기타 외부 사건에 적응하려고 함에 따라 다른 정치적 상황으로 이어졌다는 점을 언급한다.[9] 리처드 울프 역시 마르크스가 주류 학계에서 과소평가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을 연구했지만, 그들의 이론이 무관하다고 선언하거나 생각하지 않았다고 언급한다.[10]

2. 1. 마르크스주의적 관점

경제결정론은 인간의 의식, 사회의 사상, 이념, 정치, 법률 등의 상부구조가 그 사회의 하부구조인 경제적 기초에 의해 그 특징이 결정된다는 주장으로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핵심논리이다. 마르크스는 “사회의 생산관계의 총화인 경제구조는 그 사회의 진정한 기초로서 그 위에 법률적, 정치적 상부구조가 발생하고 또한 일정한 형식의 사회의식이 그 기초에 부합하는 것이다. 물질생활에 있어서의 생활양식이 사회적·정치적·정신적 생활과정의 일반적 성격을 결정한다. 인간의 존재를 결정하는 것은 그들의 의식이 아니라, 그와 반대로 인간의 사회적 존재가 그들의 의식을 결정한다”고 하였다.[11]

마르크스에 따르면, 각 사회적 생산 양식은 그것의 재생산을 위한 물질적 조건을 생산한다. 다시 말해, 정치, 입법, 심지어 문화를 어느 정도까지 포함하는 2차적인 사회 서비스를 정립하는 것은 이데올로기이다. 마르크스는 동일한 경제적 규칙이 역사의 모든 시대를 지배한다고 믿지 않았으며, 각 새로운 시대가 새로운 경제적 요인을 가져온다고 믿었다.[2] 또한,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혁명 세력이 생산 양식을 변화시키면 지배 계급이 즉시 이 새로운 경제 질서를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사회를 만들 것이라고 믿었다.[3]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6] 죄르지 루카치, 안토니오 그람시, 루이 알튀세르를 포함한 다른 마르크스주의자 및 마르크스 학자들은 마르크스와 엥겔스를 "경제 결정론자"로 해석하는 것을 완전히 거부한다. 그들은 엥겔스의 부인(역사 유물론 참조)을 언급하며,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경제적 측면에 많은 초점을 맞췄지만, 이것이 실제로 사회 전체 또는 사회 생활의 총체를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는 점을 지적한다.

2. 2. 다양한 해석과 비판

경제결정론은 인간의 의식, 사회의 사상, 이념, 정치, 법률 등의 상부구조가 그 사회의 하부구조인 경제적 기초에 의해 그 특징이 결정된다는 주장으로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핵심 논리이다. 그러나 경제결정론은 그 결정력의 정도에 따라 의견이 나누어진다.[11]

경제적 조건이 비록 근본적이라 해도 유일한 역사적 동인은 아니며, 모든 정치 사건이나 사상 등이 직접적·배타적으로 경제에 귀속되는 것은 아니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알튀세르는 경제적 토대가 상부구조를 전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의존한다고 보고 상부구조의 상대적 자율성을 인정했다. 그러나 그는 이데올로기적·정치적 수준의 상대적 자율성에도 불구하고 경제가 최종 국면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또한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들은 경제가 상부구조를 어느 정도 결정짓는가에 대해서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사회 상부구조의 특징이 경제적 토대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에서는 일치한다.[11]

마르크스에 따르면, 각 사회적 생산 양식은 그것의 재생산을 위한 물질적 조건을 생산한다. 다시 말해, 정치, 입법, 심지어 문화를 어느 정도까지 포함하는 2차적인 사회 서비스를 정립하는 것은 이데올로기이다. 마르크스는 동일한 경제적 규칙이 역사의 모든 시대를 지배한다고 믿지 않았으며, 각 새로운 시대가 새로운 경제적 요인을 가져온다고 믿었다.[2]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6] 죄르지 루카치, 안토니오 그람시, 루이 알튀세르를 포함한 다른 마르크스주의자 및 마르크스 학자들은 마르크스와 엥겔스를 "경제 결정론자"로 해석하는 것을 완전히 거부한다. 그들은 이 아이디어가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작품을 잘못되고 선택적으로 읽은 것에 근거한다고 주장한다.

3. 경제결정론자들

미국의 지정학 전략가 토머스 P. M. 바넷은 자신의 저서 ''펜타곤의 새로운 지도''에서 자신을 경제 결정론자라고 묘사했다.[11] 모리스 리아 데이비는 자신의 저서에서 윌리엄 그래엄 섬너를 경제 결정론자로 묘사했지만, 마르크스주의적 종류는 아니라고 언급했다.[11]

참조

[1] 논문 Beard, McDonald, and Economic Determinism in American Historiography 1960
[2] 서적 Capital Encyclopaedia Britannica 1952
[3] 서적 The German Ideology
[4] 서적 Communist Manifesto
[5] 서적 Capital
[6] 서적 Evolutionary Socialism https://www.marxists[...] 2020-06-20
[7] 웹사이트 Afgestoft en gerehabiliteerd https://www.groene.n[...] 2020-06-20
[8] 서적 The Historical Method of Karl Marx https://www.marxists[...] 2021-05-09
[9] 웹사이트 Socialism: Utopian and Scientific https://www.marxists[...] 2020-06-20
[10] 웹사이트 "Intro to Marxian Economics" 1 (3of6) - Richard D Wolff https://www.youtube.[...]
[11] 웹사이트 경제결정론,교육학용어사전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