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는 1980년 조치원분교로 시작하여, 2008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과학기술대학, 공공정책대학, 글로벌비즈니스대학, 문화스포츠대학, 약학대학 등 5개의 단과대학과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청주시,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학술정보원, 호연학사, 학생회관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특별자치시의 대학교 - 홍익대학교
    홍익대학교는 1946년 '홍익인간' 이념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으로, 서울, 세종, 대학로, 화성에 캠퍼스를 두고 있으며 특히 미술, 디자인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는 '홍대앞' 문화예술 중심지에 위치한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대학교 - 대전가톨릭대학교
    대전가톨릭대학교는 1992년에 설립되어 1993년에 개교한 신학과 단일 학과를 운영하는 학교이다.
  • 대학교 분교 - 건국대학교 GLOCAL캠퍼스
    건국대학교 GLOCAL캠퍼스는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건국대학교의 캠퍼스로, 특성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디자인대학, 의료생명대학, 과학기술대학, 인문사회융합대학, 힐링바이오공유대학, 의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학생회와 동아리연합회 등을 통해 학생 자치 활동을 지원한다.
  • 대학교 분교 -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는 1978년 한양대학교 반월분교로 설립되어 교명 변경을 거쳐 2009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하고 9개 단과대학 47개 학과로 구성된 학부 과정과 융합산업대학원을 운영하며, 수도권 전철 4호선과 수인·분당선으로 접근성이 용이하다.
  • 고려대학교 - 중앙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는 1908년 기호학교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민족 교육을 실천하고 3.1 운동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로 문화재 건축물과 운동부를 운영하고 있다.
  • 고려대학교 - 중앙중학교 (서울)
    중앙중학교는 1908년 기호흥학회에 의해 설립되어 융희학교와 합병되었고, 조선교육령 개정에 따라 개칭되었으며, 6년제와 3년제 중학교를 거쳐 1964년 학교법인으로 변경된 서울특별시의 중학교이다.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기본 정보
이름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영문 이름Korea University Sejong Campus
표어자유·정의·진리
라틴어 표어Libertas, Justitia, Veritas
설립일1980년 1월
개교일1980년 3월 2일
종류사립
모기관고려대학교
총장김동원
부총장김영
국가대한민국
위치세종특별자치시 세종로 2511
규모5대학, 5대학원
학부생 수7,309명 (2022년)
대학원생 수862명 (2010년)
교원 수교수: 751명 (2022)
상징 동물호랑이
상징 나무잣나무
교색크림슨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웹사이트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홈페이지
연혁
약학대학 연혁약학대학 연혁

2. 연혁

1980년 1월, 당국의 수도권 인구 분산 정책에 따라 8개 학과, 정원 400명 규모의 조치원분교 설립이 인가되었다.[2] 1987년 11월 서창캠퍼스로, 2008년 세종캠퍼스로 교명이 변경되었다.[2] 2008년 3월 13일 명칭선포식을 열었다.[3]

2. 1. 개요

1980년 1월, 당국의 수도권 인구 분산 정책에 따라 8개 학과, 정원 400명 규모의 조치원분교 설립이 인가되었는데, 이것이 세종캠퍼스 탄생의 밑거름이 되었다. 1987년 11월 '서창캠퍼스'를 거쳐 2008년 '세종캠퍼스'로 변경되었다.[2]

2008년 3월, 서창캠퍼스가 '''세종캠퍼스'''로 개칭되어 3월 13일 명칭선포식을 열었다.[3] 이 과정에서 세종대학교고려중앙학원을 상대로 2008년 3월과 6월 유사표장 사용금지 가처분 신청[4]과 소송을 각각 제기하였지만[5] 모두 기각 또는 패소로 일단락되었다. 당시 대학사회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의 모교라는 점을 이용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있었다.[6][7] 2010년에는 개교 30주년을 맞았으며,[8][9] 2011년에는 약학대학이 문을 열었다.[1]

2. 2. 세부 내용

1979년 9월 22일, 당국의 수도권 인구분산 정책에 따라 조치원분교 설치계획이 승인되었다.[2] 1980년 1월, 경영학과, 무역학과, 경제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중어중문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등 8개 학과, 총 정원 400명 규모의 조치원분교 설치가 인가되었다.[2] 같은 해 1월 22일 교학과가 신설되었고, 2월 29일에는 김시중 교수가 초대학장으로 취임하였다.[2]

1980년 7월 16일 제1, 2교육관 기공을 시작으로, 1981년 5월 29일 연면적 3986m2 규모의 제1, 2교육관이 준공되었다.[2] 1980년 10월 2일에는 국어국문학과, 사회학과, 수학과, 응용통계학과가 설치 인가되었다. 1981년 2월 2일 서무과가 신설되었고, 2월 23일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5월 1일에는 교학부장직이 신설되었다.

1982년 10월, 행정학과가 신설되었고, 10월 20일 조치원분교는 문리대학과 경상대학으로 편제가 개편되었다. 10월 23일에는 제3교육관(연건평 414m2)이 준공되었다. 1983년 3월 1일 김권호 교수가 문리대학장 겸 경상대학장에 취임하였고, 7월 18일 중앙도서관 분관으로서 조치원도서관이 설치되고 조치원 도서과가 신설되었다.

1984년 3월 1일 김희집 교수가, 1985년 3월 1일에는 강우형 교수가 문리대학장 겸 경상대학장에 취임하였다. 1985년 6월 15일에는 제5교육관(연건평 1783m2)이 준공되었다. 1986년 8월 26일 김정배 교수가 문리대학장 겸 경상대학장에 취임하였고, 10월 2일 문리·경상대학 교학과가 교무과와 학생과로 분리 개편되었다. 11월 6일 문리대학에 전산학과와 생물공학과가 신설되었고, 11월 7일 부설연구기관으로 한국학연구소와 산업개발연구소가 설치되었다. 11월 28일에는 체육과학관(연건평 700m2)이 준공되었다.

1987년 3월 1일 서무과가 총무과로 개칭되었고, 6월 1일 학생생활연구소 상담 2부가 설치되었다. 8월 10일 서창기숙사가 기공되었으며, 10월 23일 문리대학이 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으로 개편되어 총 3개 대학 체제가 되었다. 같은 날 자연과학대학에 정보공학과와 식량공학과가 신설되었다. 11월 1일 조치원캠퍼스는 서창캠퍼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8년 2월 11일 교학처와 사무처가 설치되고 경리과가 신설되었으며, 2월 13일 서창캠퍼스 부총장제가 실시되어 김시중 교수가 초대 부총장에 취임하였다. 6월 1일 서창캠퍼스 부속전자계산소가 설치되었고, 10월 29일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자연과학대학 제어계측공학과, 환경과학과, 보건과학과, 사회체육과학과, 경상대학 경영정보학과가 신설되었다. 11월 15일 서창도서관이 기공되었고, 11월 28일 지역사회개발대학원이 설치인가되었으며, 12월 6일 지역사회개발대학원 교학과가 신설되었다. 12월 8일에는 서창기숙사 기구가 신설되고 서무과가 설치되었다.

1989년 2월 22일 서창기숙사가 준공되었고, 2월 28일 제5교육관 1개 층(연면적 466m2) 증축 및 행정사무실용 퀀셋건물(연면적 231m2)이 완공되었다. 8월 9일 강우형 교수가 서창부총장에 취임하였고, 11월 27일 자연과학동 부지 조성공사가 기공되었다. 12월 6일 서창 건설현장사무소가 폐지되고 시설과가 신설되었다.

1990년 5월 3일 부설연구기관으로 자연과학연구소가 설치되었고, 7월 4일 김정배 교수가 서창부총장에 취임하였다. 8월 16일 서창도서관(연면적 3579m2)이 준공되었고, 10월 1일 부속기관으로 서창후생복지부가 신설되었다. 10월 16일 사회체육과학과가 사회체육학과로, 환경과학과가 환경공학과로, 보건과학과가 의용전자공학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입학정원이 1,040명에서 1,100명으로 조정되었다. 10월 27일 자연과학관(연면적 4368.61m2)이 기공되었고, 11월 8일 지역사회개발대학원이 경영정보대학원으로 명칭이 변경되고 노사관계, 정보관리, 회계재무 전공이 신설되었으며, 정원이 60명에서 90명으로 조정되었다.

1991년 10월 7일 서창시청각교육연구실이 서창시청각교육연구원으로 개편되어 서창캠퍼스 부속기관이 되었고 서무과가 설치되었다. 10월 23일 입학정원이 1,100명에서 1,160명으로 조정되었다. 1992년 4월 11일 호상제막 및 서창여학생기숙사가 기공되었고, 7월 1일 양한철 교수가 서창부총장에 취임하였다.

1993년 3월 13일 자연과학관(연면적 4368m2)이 준공되었고, 10월 23일 입학정원이 1,220명에서 1,270명으로 조정되었다. 1994년 2월 4일 여학생기숙사가 준공되었고, 4월 1일 전병훈 교수가 서창부총장 직무대리로 취임하였다. 9월 1일 김해천 교수가 서창부총장에 취임하였고, 10월 23일 입학정원이 1,270명에서 1,400명으로 조정되었다.

1995년 10월 자연과학대학의 정보공학과와 응용전자공학과가 전자 및 정보공학부로 통폐합되었다. 12월 시청각교육연구원이 국제어학원으로 조정되고, 서창경리과가 서창재무과로, 서창기숙사가 호연학사로 개칭되었으며, 예비군대대본부가 병무행정분실로 조정되고, 매장문화연구소가 신설되었다.

1996년 8월 1일 이기서 교수가 서창캠퍼스 부총장에 취임하였고, 10월 24일 인문대학 북한학과(정원 30명)가 신설되고, 자연과학대학의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가 자연과학부로 통폐합되었다. 11월 30일 교직원 테니스장이 준공되었다.

1997년 2월 4일 학생회관(연면적1507m2)이 기공되었고, 9월 24일 자연과학대학 부설 산업기술연구소가 설치되었다. 10월 25일 인문대학 문예창작학과(정원 30명), 인문정보대학원(정원 60명), 행정대학원(정원 30명)이 신설되었다.

1998년 7월 24일 학생회관이 준공되었고, 8월 1일 전병훈 교수가 서창캠퍼스 부총장에 취임하였다. 9월 19일 학부 통폐합이 이루어져 인문대학의 국어국문학, 중어중문학, 영어영문학, 독어독문학과가 어문학부로, 사회학, 고고미술사학과, 북한학과가 인문사회학부로, 자연과학대학의 수학, 물리학, 화학, 전산학, 정보통계학과가 자연과학부로, 전자및정보공학부와 생물공학, 식품생명공학, 제어계측공학, 환경공학과가 공학부로, 경상대학의 경제학, 행정학과가 경제·행정학부로, 경영학, 무역학, 경영정보학과가 국제정보경영학부로 통폐합되었다. 11월 5일 행정대학원 대전교육원이 개관되었다.

1999년 2월 5일 서창국제어학원이 이전(舊학생관)하였고, 5월 학생과와 후생복지부가 학생복지팀으로, 교무과가 교무지원팀으로, 총무과와 재무과가 총무팀으로 통합되었으며, 시설과가 시설팀으로 조정되었다. 11월 2일 의과학대학원 정원 35명이 인가되어 신설되었고, 11월 29일 ONE-STOP 서비스센터가 개원되었다.

2000년 9월 기구·직제 추가개편에 의해 인문대학과 인문정보대학원 교학과가 인문대학·인문정보대학원 학사지원부로, 자연과학대학과 의과학대학원 교학과가 자연과학대학·의과학대학원 학사지원부로, 경상대학과 경영정보대학원 교학과가 경상대학·경영정보대학원 학사지원부로 통합되고 행정대학원 교학과가 행정대학원 학사지원부로, 국제어학원 교학과가 국제어학원 학사지원부로, 도서과가 학술정보관리부로, 호연학사 운영과가 호연학사 관리운영부로, 전자계산소를 전자계산소 전산지원부로 명칭 변경되었다. 11월 임우영 교수가 서창캠퍼스 부총장에 취임하였다.

2001년 3월 정보보호대학원(전문대학원)이 신설되어 임종인 교수가 초대원장으로 취임하였고, 5월 서창도서관과 서창전자계산소를 통합한 학술정보원이 신설되었다. 2002년 11월 1일 이기서 교수가 서창캠퍼스 부총장 서리로 임명되었다.

2003년 3월 1일 표시열 교수가 서창캠퍼스 부총장으로 취임하였고, 5월 인문대가 어문계열과 인문사회계열로, 자연과학대가 자연과학부와 공학부로 분리되었다. 10월 15일 기획홍보처가 신설되고, 산하기구로 기획예산팀 및 입시팀이 신설되었으며, 사무처 산하에 재무팀이 신설되었다.

2004년 2월 9일 서창학생생활상담소가 설치되고 산학협력단이 설치되었다. 편제 조정으로 학생복지팀이 취업ㆍ학생복지팀으로, 서창병무행정분팀이 서창병무행정팀으로, 대학, 대학원 및 부속교육기관 학사지원부가 학사지원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서창기술관리팀이 설치되었다. 같은 해 2월 호연학사 진리관이 준공되었고, 4월 21일 정원식 중앙광장이 조성되었으며, 5월 10일 서창산학협력실이 설치되었다. 11월 4일 휘트니스 센터 준공식이, 11월 25일 행정대학원 대전교육관 개관식이 개최되었다. 12월에는 종합인력개발센터가 설치되었다.

2005년 3월 14일 이광현 교수가 서창캠퍼스 부총장에 취임하였고, 3월 24일 과학기술대학 휴게실 크림슨플라자가 개관하였다. 5월 5일 고려대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 행사가 개최되었고, 5월 25일 농심국제관 준공식이 개최되었다. 7월 5일 매장문화재연구소가 고고환경연구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6년 5월 26일 거버넌스연구소가 신설되었고, 9월 12일 종합운동장 완공식이 개최되었다. 11월 21일 호연학사 제4관 기공식이 개최되었으며, 12월 오송생명과학단지 내 의생명공학원 부지가 매입되었다.

2007년 2월 1일 이광현 교수가 서창캠퍼스 부총장에 연임되었고, 2008년 2월 26일 고려대학교 서창캠퍼스에서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8년 3월 11일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명칭변경 선포식이 개최되었고, 4월 30일 석원경상관 기공식이 개최되었다. 11월 7일 이윤석 교수가 세종캠퍼스 부총장에 취임하였다.

2009년 2월 26일 기숙사 제4관 준공식이 개최되었고, 12월 3일 건강바이오식품사업단이 신설되었으며, 12월 16일 세종교양교육원이 설치되었다.

2010년 1월 1일 종합인력개발센터 및 산하 취업정보팀이 세종경력개발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월 25일 세종국제어학원이 국제교류교육원으로 명칭이 변경되고 산하 학사지원팀이 운영지원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월 22일 석원경상관 준공식이 개최되었고, 2월 26일 약학대학이 선정되었다.

3. 개설 학과·전공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는 학부 과정과 석사/박사 과정(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학부 과정은 여러 단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과대학에는 다양한 학과와 전공이 개설되어 있다.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행정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인문정보대학원, 경영정보대학원, 의용과학대학원)으로 나뉜다.[1]

3. 1. 학부 과정

wikitext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학부 과정[1]
단과대학명학과명
과학기술대학응용수리과학부 (데이터계산과학전공, 사이버보안전공), 디스플레이·반도체물리학부 (디스플레이융합전공, 반도체물리전공), 신소재화학과, 컴퓨터융합소프트웨어학과, 전자및정보공학과, 생명정보공학과, 식품생명공학과, 전자·기계융합공학과, 환경시스템공학과, 자유공학부, 미래모빌리티학과, 지능형반도체공학과
공공정책대학정부행정학부, 공공사회·통일외교학부 (공공사회학전공, 통일외교안보전공), 경제통계학부 (경제정책학전공, 국가통계전공, 빅데이터전공), 빅데이터사이언스학부
글로벌비즈니스대학글로벌학부 (한국학전공, 영미학전공, 중국학전공), 융합경영학부 (글로벌경영전공, 디지털경영전공), 표준·지식학과
문화스포츠대학국제스포츠학부 (스포츠과학전공, 스포츠비즈니스전공), 문화유산융합학부 (고고미술사학전공, 문화ICT융합전공), 문화창의학부 (미디어문예창작학전공, 문화콘텐츠전공)
약학대학약학과


3. 2. 대학원 과정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의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행정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인문정보대학원, 경영정보대학원, 의용과학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1]

구분유형설치 과정
석사/박사 과정대학원일반대학원, 행정전문대학원, 인문정보대학원, 경영정보대학원, 의용과학대학원


4. 캠퍼스 안내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는 웅장한 건물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캠퍼스 지도는 고려대학교 홈페이지(캠퍼스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행정 건물


  • '''행정관'''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의 행정 부서들이 모여 있는 건물이다. 부총장실을 비롯하여 기획처, 교학처, 사무처, 입학홍보처 등이 있다.
  • '''https://web.archive.org/web/20110614223725/http://libs.korea.ac.kr/ 학술정보원'''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의 도서관이다. 1층에는 제1열람실, 제2열람실, 제3열람실, 경력개발센터, 보존서고, 인터넷 카페, 스터디룸이 있으며, 2층에는 신간도서실, 원스탑 서비스센터, 인문사회자료실, 3층에는 전자정보실과 연속간행물실, 4층에는 사회과학자료실, 5층에는 자연과학자료실이 있다. 분관대출을 통해 서울캠퍼스에 있는 자료를 상호 대차 이용할 수 있다. 건물 옥탑에 4면 시계탑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http://libs.korea.ac.kr/html/ko/readingroom.html 페이지에서 열람실 좌석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4. 2. 강의 및 연구 시설


  • '''공공정책관''' : 공공정책대학 소속 학과가 주로 사용하는 건물이다. 건물 두 동을 덧대어 놓은 듯한 형태이며, 한국학연구소를 비롯한 여러 인문사회과학 관련 연구소가 위치해 있다. 2010년 3월 25일 리모델링을 시작하여 7월에 완료하였다.[12]
  • '''제1과학기술관''' : 과학기술대학 소속 학과가 주로 사용하는 건물이다. 총 6층의 'ㄷ'자 형 건물이며 실험실, 연구실 및 강의실이 있다.
  • '''제2과학기술관'''(구 경상관) : 2010년에 석원경상관이 완공되면서 경상대학이 이전하고, 같은 해 여름에 리모델링을 실시하여 제2과학기술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3] 과학기술대학과 약학대학이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다. 기존에는 경상대학과 공공행정학부가 사용하던 건물이었다.
  • '''체육과학관''' : [https://web.archive.org/web/20120507122939/http://sfa.korea.ac.kr/ 국제스포츠학부]가 사용하는 건물이다. 체육 교양 수업은 이 건물에서 이루어진다.
  • '''석원경상관''' : 행정관 옆에 위치한 [https://web.archive.org/web/20111010070429/http://cec.korea.ac.kr/ 경상대학]의 건물로, 2010년에 완공되었다. 건물 신축 당시 삼천리 측에서 400억을 기부하였다.[14] 농심국제관에 이어 세종캠퍼스 내에서 석조로 된 두 번째 건물이 되었다.
  • '''농심국제관''' : 세종캠퍼스 개교 25주년을 기념하여 2005년 5월에 완공된 석조 건물로, 농심에서 총공사비 1200억 중 500억을 기부하여 '농심국제관'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15] 주로 외국어 강의와 교양 수업이 이루어지며, 대학원 수업도 진행된다.
  • '''약학연구실험동''' : 제1과학기술관 뒷편과 종합운동장 사이에 위치하는 [http://pharm.korea.ac.kr/ 약학대학]의 건물로, 2011년 6월 15일에 준공되었다.[16] 약학대학 관련 강의실, 연구실 및 실험실이 위치해 있다.
  • '''고고환경연구소''' : [https://web.archive.org/web/20110424194925/http://komisa.korea.ac.kr/ 고고미술사학과]가 주관하는 [https://web.archive.org/web/20160109222021/http://kiae.or.kr/ 고고환경연구소]가 단독으로 사용하는 건물로, 학생회관 뒤편에 위치하고 있다.
  • '''행정대학원''' : 대전광역시 둔산동에 위치하는 4층 건물로, 대전정부청사 인근에 있다. [http://gpa.korea.ac.kr/ 행정대학원]이 사용하고 있다.
  • '''문화스포츠관''' : 문화스포츠대학 건물로 공사 중이며, 2019년 10월 완공 예정이다.

4. 3. 기숙사 (호연학사) 및 편의시설

'''호연학사'''는 고려대 세종캠퍼스의 기숙사이며, 1989년에 개관한 자유관, 1994년에 개관한 정의관, 2004년에 개관한 진리관, 2009년에 개관한 미래관의 총 4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용인원은 자유관 573명, 정의관 236명, 진리관 905명, 미래관 900여 명을 합하여 모두 2,614여 명으로 학부생 정원 대비 36.9%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17]

건물이름개관년도수용인원방 형태특징
자유관1989년573명3인 1실, 2인 1실남학생관
정의관1994년236명4인 1실여학생관, 2006년 리모델링
진리관2004년905명3인 1실남녀공용, H형태 건물, 1층에 식당 위치
미래관2009년900여 명2인 1실남녀공용, 스카이브릿지로 연결, 영어전용 잉글리시 라운지, 학생식당, 교직원 식당 위치



이 밖에도 교내에는 다음과 같은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 '''학생회관과 크림슨플라자''' : 학생회관은 학생자치기구와 동아리들이 모여있는 건물이다. 지하를 포함하여 총 4층 규모이며 지하에 식당, 문구점, 미용실, 안경원, 전자점, 서점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있다. 크림슨플라자는 제1학기술관 제1동 3층과 연결되어 있는 건물이다. 라운지 내에 정보검색용 PC와 테이블이 있으며 매점 또한 위치하고 있다.
  • '''구 신봉초등학교''' : 세종캠퍼스의 동·서·북쪽 3면에 맞닿아 있는 공간이다. 2002년 5월에 고려대학교와 연기군청, 연기교육청이 '신봉초교 매매에 관한 기본 합의서'를 체결하고, 2010년 2월 16일에 고려대학교에서 1070억에 신봉초교 건물과 부지 모두를 매입하였다.[18] 2010년 상반기에는 인문관 리모델링으로 인해 인문대학을 위한 임시공간으로 활용되었다.
  • '''호익플라자''' : 복층으로 되어 있는 정사각형 형태의 건물로서 식당과 여행사, 편의점, 토스트점이 입주해 있는 편의시설이다. 인문관과 제2과학기술관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 '''학군단''' : 120억의 예산으로 2006년 9월에 완공된 건물이다.[19] 학군단이 사용하고 있다.
  • '''휘트니스센터''' : 호연학사 옆에 위치하는 230평 규모의 건물로, 현대산업개발에서 기증한 80억으로 신축되어[20] 2004년 11월에 완공되었다.[21] 현대산업개발에서 건축비의 일부를 지원했기 때문에 아이파크관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운동장과 테니스코트''' : 종합운동장을 비롯하여 정문운동장, 제2운동장, 테니스코트가 갖추어져 있다. 종합운동장은 인조잔디 축구장, 육상트랙, 농구장, 인라인스케이트장, 노천극장이 모여있는 종합시설이다. 정문 앞에 위치한 정문운동장에는 농구장과 배드민턴장이 위치해 있다. 제2운동장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가 소유하고 있는 신봉초등학교 건너편 운동장으로, 구 신봉초등학교 운동장과는 다른 공간이다.
  • '''중앙광장과 호상''' : 중앙광장은 농심국제관과 과학기술관, 학술정보원 사이에 있으며, 잔디와 벤치 등의 휴식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세종 호상은 학술정보원 앞에 위치해 있으며 옆에 호상비문도 함께 위치해 있다.

5. 학내 단체


  • '''총학생회''' : 1988년에 설립되었으며 2012년에는 25대 총학생회가 활동했다.[22]
  • '''https://web.archive.org/web/20180324042838/http://kdbs.net/ KDBS(고려대학교 교내방송)''' : 1984년 개국[23]한 고려대학교 부속 언론기관이다. 보도와 교양 프로그램을 자체 제작하여 학내 오디오스피커망, PDP를 통해 송출하고 있으며[24] 보도부, 제작부, 아나운서부, 영상부를 두고 있다.[25]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오디오방송과 영상방송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6. 위치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의 메인 캠퍼스는 '세종특별자치시 세종로 2511'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종캠퍼스를 구성하는 다른 부분들은 다음과 같은 위치에 자리 잡고 있다.

참조

[1] 웹인용 연혁 http://korea2.ngelne[...] 2011-06-04
[2] 웹인용 고려대학교 약사 http://www.korea.ac.[...] 2011-06-04
[3] 뉴스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명칭 선포식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6-09
[4] 뉴스 세종대, 고려대의 '세종캠퍼스' 표장사용금지 가처분신청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6-09
[5] 뉴스 세종대, "세종캠퍼스 사용말라" 고대 상대 소송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6-09
[6] 뉴스 법원 "고려대 세종캠퍼스..표장 사용할 수 있다"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1-06-09
[7] 뉴스 고대 '세종캠퍼스' 명칭은 도용 아냐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1-06-09
[8] 뉴스 고려대 세종캠퍼스 개교 30주년 기념식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6-24
[9] 뉴스 30년 쌓아올린 세(世)상의 종(宗)심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6
[10] 뉴스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교육부, 재정 지원 제한 "장학금까지 영향?"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5-09-01
[11] 뉴스 이홍하 설립 4개大 모두 최하위…재정지원 전면 제한 http://news.unn.net/[...] 한국대학신문 2017-09-04
[12] 뉴스 인문관 보수공사 시작된다 https://web.archive.[...] 고대신문 2011-07-19
[13] 뉴스 경상관 보수공사 들어간다 https://web.archive.[...] 고대신문 2011-07-19
[14] 뉴스 석원경상관 준공식 열려 https://web.archive.[...] 고대신문 2011-07-19
[15] 뉴스 서창 25주년 기념 농심국제관 준공 https://web.archive.[...] 고대신문 2011-07-19
[16] 뉴스 2일, 약학대 개교선포식 열려 https://web.archive.[...] 고대신문 2011-07-19
[17] 웹인용 호연학사 시설소개 https://web.archive.[...] 2011-06-28
[18] 뉴스 30년 만에 신봉초 부지 매입 https://web.archive.[...] 고대신문 2011-07-19
[19] 뉴스 서창 학군단 건물 준공돼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7-19
[20] 뉴스 서창 휘트니스 센터 신축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7-19
[21] 뉴스 휘트니스센터 하루만에 신청 마감 https://web.archive.[...] 고대신문 2011-07-19
[22] 웹인용 총학생회 소개 https://web.archive.[...] 2011-07-28
[23] 웹인용 연혁 http://bbbo.homejoa.[...] 2011-06-07
[24] 웹인용 KDBS 소개 http://bbbo.homejoa.[...] 2011-06-29
[25] 웹인용 조직도 http://bbbo.homejoa.[...] 2011-06-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