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부세종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부세종청사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특별법에 따라 2012년 9월부터 중앙 행정 기관 이전을 시작하여 2022년 8월 중앙동 완공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국무조정실, 공정거래위원회, 국토교통부 등 다수의 중앙 행정 기관과 부처가 입주해 있으며, 내진 설계, 친환경 건축 기술, 옥상 정원 등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 또한, 유비쿼터스 지능화 행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차세대 통신망을 구축하고, 옥상 정원은 기네스북에 등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정부청사 - 정부과천청사
    정부과천청사는 수도권 인구 분산 정책의 일환으로 1982년부터 1994년까지 건설된 대한민국 정부청사로, 일부 부처 이전 후 현재는 법무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위사업청 등 다수 정부기관 및 소속기관이 입주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추가 기관 입주가 예정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정부청사 -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는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대한민국 정부의 지방 합동 청사로서, 여러 정부 기관이 입주하여 중앙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 간의 협력 증진 및 지역 주민들에게 행정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2012년 11월 1일에 개청하였다.
  • 2014년 완공된 건축물 - 전경련회관
    서울특별시 여의도에 위치한 51층 오피스 건물인 전경련회관은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여러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건물 일체형 태양광발전 설비를 갖춘 초고층 타워이다.
  • 2014년 완공된 건축물 - 하버드 미술관
    하버드 미술관은 하버드 대학교에 위치하며, 포그 미술관, 부쉬-라이징거 미술관, 아서 M. 새클러 미술관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으며, 렌조 피아노가 설계한 단일 시설로 통합되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기획재정부는 대한민국의 경제 및 재정 정책을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중장기 국가발전전략 수립, 경제·재정정책 수립, 예산·기금 편성, 조세·관세 정책, 국고·국유재산 관리, 국제금융·경제협력, 공공기관 관리 등의 사무를 관장하며 장관은 경제부총리를 겸임한다.
정부세종청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정부세종청사
로마자 표기Jeongbusejongcheongsa
다른 이름중앙 정부 청사
상태일부 대한민국 정부 부처의 정부 건물로 사용
건물 유형정부 사무실 복합 건물
위치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 다솜2로
국가대한민국
착공일2008년 12월
완공일2014년 11월 5일
개청일2012년 12월 27일
건축 비용1조 7310억 원
구조 시스템철근 콘크리트 및 철골
건축 면적629,145m²
층수지하 1층, 지상 8층
대지 면적374,449m²
총 면적604,248m²
건설 기간4년 10개월
사진
정부세종청사 주요 건물
정부세종청사 주요 건물
정부세종청사 정문 (안내소) 모습
정부세종청사 정문 (안내소) 모습
정부 기관 정보
관할대한민국 정부
소재지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
웹사이트정부청사관리본부
건축 정보
용도공공 업무
설계사1단계 1구역: 해안건축
1단계 2구역: 범건축+아르텍
2단계 1구역: DMP+창조건축
2단계 2구역: 해안건축+범건축
3단계 1구역: 토문건축
3단계 2구역: 공간건축
건설사1단계 1구역: 계룡건설 컨소시엄
1단계 2구역: 포스코건설
2단계 1구역: GS건설 컨소시엄
2단계 2구역: 대림산업 컨소시엄
3단계 1구역: 남양건설 컨소시엄
3단계 2구역: 대우조선해양건설
건축 비용1조 8,172억 원
기타
중앙행정기관 청사정부서울청사
정부과천청사
정부대전청사
정부세종청사
특별지방행정기관 청사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정부춘천지방합동청사
정부경남지방합동청사
정부고양지방합동청사
정부인천지방합동청사
정부울산지방합동청사
정부부산지방합동청사
정부경북지방합동청사

2. 연혁


  • 2005년 3월 18일 - 행정 수도 후속 대책을 위한 충남 연기·공주 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 제정
  • 2008년 12월 22일 - 1단계 1구간 기공식
  • 2012년 8월 1일 - 정부세종청사로 명칭 확정 및 관보 게재[4]
  • 2012년 9월 14일 - 국무조정실 이전 개시[5]
  • 2012년 12월 27일 - 중앙 행정 기관 1단계 이전 완료, 정부세종청사 개청식
  • 2013년 12월 29일 - 중앙 행정 기관 2단계 이전 완료
  • 2014년 12월 26일 - 중앙 행정 기관 3단계 이전 완료
  • 2022년 8월 -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완공

3. 입주 기관

정부세종청사에는 여러 중앙행정기관이 입주해 있다. 각 동별 입주 기관과 이전 단계는 다음과 같다.

주소입주 기관이전 단계
1동세종특별자치시 다솜로 261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1단계
2동세종특별자치시 다솜3로 95공정거래위원회, 조세심판원1단계
3동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세종청사관리소1단계
4동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복권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1단계
5동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중앙해양안전심판원,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1단계
6동세종특별자치시 도움6로 11국토교통부, 환경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1단계
7동세종특별자치시 도움5로 20법제처, 국민권익위원회3단계
8동세종특별자치시 도움5로 19우정사업본부3단계
9동세종특별자치시 도움4로 9국가보훈부, 보훈심사위원회2단계
10동세종특별자치시 도움4로 13보건복지부2단계
11동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422고용노동부, 중앙노동위원회, 최저임금위원회, 산업재해보상보험재심사위원회2단계
12, 13동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402산업통상자원부2단계
14동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08교육부, 교원소청심사위원회2단계
15동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388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2단계
16동세종특별자치시 국세청로 8-14국세청해당사항 없음
17동세종특별자치시 정부2청사로 13소방청, 인사혁신처, 한국정책방송원해당사항 없음
중앙동세종특별자치시 도움6로 42행정안전부, 기획재정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해당사항 없음


3. 1. 1동 (세종특별자치시 다솜로 261)

1단계 이전 대상이었다. 이곳의 옛 지명은 '서날판'이다. 언덕길에 있는 산줄기가 길쭉하고 윗부분이 평평해 공책 대신 글씨 연습을 하던 '서판(書板)'처럼 생겼다고 해 붙여진 이름이다.[6]

3. 2. 2동 (세종특별자치시 다솜3로 95)

1단계 이전 대상이었다. 옛 지명은 '옥동구레'이다. 1번 국도까지 이어지는 논이 농사가 잘 되어 '옥동', 물이 많아 '구레'라고 붙여진 이름이다.[6]

3. 3. 3동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

1단계 이전 대상이었다. 옛 지명은 '샛골'이다. 예전에 고을 원님을 3명 배출해 '셋골'로 부르던 것이 변해서 '샛골'이 되었다고 한다.

3. 4. 4동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1단계 이전 대상이었다. 옛 지명은 '샛골'이다. 예전에 고을 원님을 3명 배출해 '셋골'로 부르던 것이 변해서 '샛골'이 되었다고 한다.

3. 5. 5동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

1단계 이전 대상이었다. 이곳의 옛 지명은 '백호나리'이다. 예전에 풍수지리학자가 이곳이 몇 백 호의 집이 들어설 큰 동네(百戶)가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고 한다.[7]

3. 6. 6동 (세종특별자치시 도움6로 11)

1단계 이전 대상이었다. 옛 지명은 '민나루'이다. 마을 뒤편의 언덕(마루)이 높지 않고 밋밋하기 때문에 불렸다는 설이 있고, '백성 민(民)' 자와 마루가 합쳐져 서민이 사는 동네라는 의미도 있다.

3. 7. 7동 (세종특별자치시 도움5로 20)

3단계 이전 대상이었다.[6]

  • 법제처
  • 국민권익위원회

3. 8. 8동 (세종특별자치시 도움5로 19)

3단계 이전 대상이었다.

3. 9. 9동 (세종특별자치시 도움4로 9)

2단계 이전 대상이었다.[6]

3. 10. 10동 (세종특별자치시 도움4로 13)

2단계 이전 대상이었다.

3. 11. 11동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422)

고용노동부

중앙노동위원회

최저임금위원회

산업재해보상보험재심사위원회

3. 12. 12, 13동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402)

2단계 이전 대상이었다.

3. 13. 14동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08)

3. 14. 15동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388)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6]

3. 15. 16동 (세종특별자치시 국세청로 8-14)

국세청

3. 16. 17동 (세종특별자치시 정부2청사로 13)

3. 17. 중앙동 (세종특별자치시 도움6로 42)

행정안전부, 기획재정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이 있다.

4. 특징

정부세종청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내진 특등급(진도 7~8) 설계가 적용되었다.
  • 초고속 정보통신건물 인증 1등급 및 지능형건축물(Intelligent-Building) 인증 2등급을 받았다.
  • 화생방 1등급 소산시설을 갖추고 있다.
  • Green Roof 단열효과로 건물 소비에너지를 절감한다.(냉방 16%, 난방 10%)
  • 1단계 794대(1구역 143대, 2구역 651대)의 자전거 보관대가 설치되어 있다.
  • 무공해 쓰레기 처리시설(자동 크린넷) 도입으로 깨끗한 도시환경을 구축한다.
  • 중수도, 빗물 재이용 시설을 통해 조경, 위생용수로 사용하여 수돗물을 절감한다.
  • 변풍량(VAV) 공조시스템, 개별 및 구역별 제어, 배기열 회수 장치 등을 갖추고 있다.
  • 지열설비 및 태양광 발전설비 구축으로 연간 6.3억 규모의 에너지를 절감한다.
  • 빗물 재이용 시설 구축으로 연간 3000만의 상하수도 요금을 절감한다.
  • LED 조명기구, 고효율 모터, 고조도 반사갓 등 설치로 에너지를 절감한다.
  • 유비쿼터스 지능화 행정서비스 제공을 위한 차세대 통신망을 구축하였다.
  • 통신방송 융합환경에서의 영상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방송시스템을 설계하였다.[8]
  • 옥상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이 있으며 홈페이지에서 신청 후 관람 가능하다.
  • 부서나 개인 간의 구분이 없으며, 직책에 관계없이 책상이 함께 배치되어 있다. 직원 라운지, 다목적 커뮤니케이션 공간, 회의실을 갖추고 있다.[1]
  • 15개 건물이 연결된 세계 최대 규모(3.6km)의 옥상정원은 한국 전통 놀이인 '줄타기'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2016년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1]

5. 청사 이전의 역사적 배경과 논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값을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춰 수정해드리겠습니다.)

6. 의의 및 평가

정부세종청사는 부서 간 칸막이 없는 개방형 구조와 세계 최대 규모의 옥상 정원을 갖추고 있어 긍정적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개방형 구조는 업무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옥상 정원은 유지 관리가 어렵다는 부정적 평가도 있다.[1]

6. 1. 긍정적 평가

부서나 개인 간의 구분이 없으며, 직책에 관계없이 책상이 함께 배치되어 있다. 직원 라운지, 다목적 커뮤니케이션 공간, 회의실을 갖추고 있다.[1]

한국 전통 놀이인 '줄타기'에서 영감을 받은 옥상 정원이 있으며, 15개 건물이 연결된 세계 최대 규모(3.6km)의 정원으로 2016년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1]

6. 2. 부정적 평가 및 과제

정부세종청사는 부서나 개인 간 구분 없이, 직책에 관계없이 책상이 함께 배치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직원 라운지, 다목적 커뮤니케이션 공간, 회의실도 마련되어 있다.[1]

한국 전통 놀이인 '줄타기'에서 영감을 받은 옥상 정원은 15개 건물이 연결된 세계 최대 규모(3.6km)로, 2016년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Government Complex Sejong https://gbmo.go.kr/e[...]
[2] 뉴스 정부세종청사 가보니…'스마트' 시스템 갖춘 총리실, 주인맞이 OK http://pann.news.nat[...] 한국경제신문 2012-09-04
[3] 뉴스 '열린 청사'에서 '닫힌 청사'로 돌아가는 정부세종청사 http://www.inews365.[...] 충북일보 2012-04-08
[4] 뉴스 정부청사 명칭! 부르기 쉽고, 알기 쉽게 바꾼다. http://www.ikoreanew[...] 코리아뉴스 2012-08-01
[5] 뉴스 정부, 세종시 이전 스타트..2014년 완료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2-09-14
[6] 간행물 행복도시 이야기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2013-02-27
[7] 기타
[8] 웹사이트 행정자치부 정부청사관리소 정부세종청사|연혁 http://www.chungs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