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마키 유이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마키 유이치는 일본의 전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포수와 외야수로 선수 생활을 했다. 가고시마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인 야구팀 미쓰비시 자동차 미즈시마를 거쳐 1990년 닛폰햄 파이터스에 입단하여 2000년까지 선수로 활동했다. 이후 세이부 라이온스로 이적하여 2003년 은퇴했으며, 2004년부터 세이부의 불펜 포수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2012년에는 두산 베어스의 불펜 코치를,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지바 롯데 마린스에서 불펜 코치 및 팀 스코어러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닛폰햄 파이터스 선수 - 장훈
장훈은 일본 히로시마 출신의 재일 한국인 야구 선수이자 해설가로, 일본 프로야구에서 최다 안타 기록과 3,000안타-500홈런-300도루라는 이례적인 기록을 보유했으며, 은퇴 후에는 해설가로 활동하며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대한민국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상했다. - 닛폰햄 파이터스 선수 - 기무라 다쿠야 (야구인)
기무라 다쿠야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포지션을 가리지 않는 유틸리티 플레이어였으며,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으나, 2009년 은퇴 후 코치로 활동하다 지주막하 출혈로 사망했다. - 세이부 라이온스 선수 - 송재박
송재박은 일본과 한국 프로 야구에서 선수와 코치로 활동하며, 일본에서는 세이부 라이온스와 요코하마 다이요 훼일스에서, 한국에서는 OB 베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은퇴 후 두산 베어스 코치로 활동하며 우수 코치상을 수상했다. - 세이부 라이온스 선수 - 마쓰자카 다이스케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헤이세이의 괴물'이라 불리며 고시엔에서 활약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NPB와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하며 WBC MVP를 두 차례 수상했고 올림픽에도 참가했다. - 가고시마현 출신 - 구로다 가쓰히로
교토대 경제학부 졸업 후 교도통신과 산케이 신문에서 서울 지국장을 역임한 일본 언론인 구로다 가쓰히로는 한일 관계 관련 저술과 방송 출연으로 한국에서 인지도를 얻었으나, 반일 보도 비판, 망언 논란, 극우 언론인 비판, 불법 취업 벌금형 등으로 논란이 많았다. - 가고시마현 출신 - 도고 시게노리
도고 시게노리는 조선인 도공 후손으로 도쿄 제국대학 졸업 후 외무성에 들어가 만주, 스위스, 독일, 소련 등지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소일 중립 조약 체결에 기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외무대신으로서 미일 관계 개선을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여 전범으로 징역 20년을 선고받았으며, 종전 과정에서 포츠담 선언 수용을 주장하여 일본 항복에 기여한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고마키 유이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선수명 | 고마키 유이치 |
로마자 표기 | Yuichi Komaki |
한자 표기 | 小牧 雄一 |
가나 표기 | こまき ゆういち |
선수 정보 | |
출신지 | 가고시마현 히오키시 |
신장 | 175 |
체중 | 80 |
수비 위치 | 포수, 외야수 |
투구 | 우 |
타석 | 우 |
프로 경력 | |
프로 입단 연도 | 1990년 |
드래프트 순위 | 5순위 |
첫 출장 | 1991년 5월 10일 |
마지막 경기 | 2000년 5월 4일 |
선수 경력 | |
경력 | 미쓰비시 자동차 미즈시마 닛폰햄 파이터스(1991 ~ 2000) 세이부 라이온스(2001 ~ 2003) |
코치 경력 | |
경력 | 고치 파이팅독스(2006 ~ 2007) 도야마 선더버즈(2008 ~ 2010) 두산 베어스(2012) |
2. 선수 경력
1990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닛폰햄 파이터스에 5순위로 입단했으나, 주전 경쟁에서 밀려 많은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다. 1군에서는 외야수로 출전하기도 했다. 2000년 시즌 후 세이부 라이온스에 테스트 입단했지만, 이토 쓰토무 등에 밀려 2003년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세이부의 불펜 포수를 맡았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시코쿠 규슈 아일랜드 리그의 고치 파이팅 독스 코치,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도야마 선더버즈 코치를 역임했다.[6][4] 2012년에는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불펜 코치로 활동했다.
2013년부터 지바 롯데 마린스의 불펜 포수 겸 팀 스코어러로 활동했으며, 같은 해 9월 5일부터 사이토 아키오 투수 코치의 건강 문제로 불펜 보조 코치를 겸임했다.[5]
2. 1. 프로 입단 전
가고시마현 히오키시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4학년 때 보이즈리그에서 야구를 시작하여 중학교 2학년 봄에 전국 대회에 출전했다.[1] 가고시마 상업고에서는 1년 선배인 가와하타 신이치로와 배터리를 이루어 2학년 여름에 현 대회 4강, 2학년 가을에는 현 대회 준우승을 차지했다. 3학년 여름에는 현 대회 결승전에서 홈런을 쳤지만 패배하여 사회인 야구의 미쓰비시 자동차 미즈시마에 입단했다. 사회인 야구 시절부터 포수로 등록되었지만 여러 포지션을 소화했고, 1990년 도시 대항 야구에는 외야수로 출전했다.[2]2. 2. 닛폰햄 파이터스 시절 (1991년 ~ 2000년)
가고시마현 히오키시에서 태어나 가고시마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인 야구팀을 거쳐 1990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5순위로 닛폰햄 파이터스에 입단했다.[1] 그러나 다무라 후지오 등 주전 포수들의 경쟁에 밀려 출전 기회를 받지 못했고, 대부분 2군이나 불펜에서 생활하는 등 순탄찮은 현역 시절을 보냈다. 1군에서는 한때 외야수로도 출전했다.프로 1년 차인 1991년부터 1군에 첫 출전했지만, 다무라 후지오 등의 존재로 출전 기회가 많지 않아 2군 생활이 계속되었다. 1994년부터 1995년까지는 외야수로 선수 등록되어 있었다.
1998년, 프로 2년차인 이와무라 아키노리와 9월까지 팜 홈런왕 경쟁을 펼쳤다.[3]
2000년 시즌 종료 후 닛폰햄에서 자유 계약으로 퇴단하면서 세이부 라이온스에 테스트 입단했다.[1]
2. 3. 세이부 라이온스 시절 (2001년 ~ 2003년)
2000년 시즌 종료 후 닛폰햄에서 자유 계약으로 세이부 라이온스에 테스트 입단했다.[1] 그러나 세이부에서도 이토 쓰토무의 존재로 출전 기회를 얻지 못하고, 2003년에 현역에서 은퇴했다. 2004년부터는 세이부의 불펜 포수로 전향했다.3. 지도자 경력
2003년 현역에서 은퇴한 뒤, 2004년에 세이부의 불펜 포수를 맡았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의 고치 파이팅 독스 코치를, 2008년부터 BC리그의 도야마 선더버즈 코치를 역임했다. 2010년 시즌 후 계약 만료로 도야마 선더버즈에서 퇴단했다.[4] 2012년에는 KBO 리그의 두산 베어스 불펜 코치로 1시즌 간 활동했다.[6]
3. 1. 일본 독립 리그 및 불펜 포수 (2004년 ~ 2010년)
2004년부터 세이부의 불펜 포수를 맡았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는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의 고치 파이팅 독스 코치를 역임했고, 2008년부터 BC리그의 도야마 선더버즈 코치를 맡아 2010년 시즌 종료 후 계약 만료로 퇴단했다.[4]3. 2. 두산 베어스 시절 (2012년)
2012년 KBO 리그 팀인 두산 베어스의 불펜 코치로 발탁되어 1시즌 간 활동했다.[6] 같은 해 5월 22일 1군 배터리 코치로 보직이 변경되었지만, 시즌 종료 후 두산을 퇴단했다.3. 3. 지바 롯데 마린스 (2013년 ~ 2017년)
2013년부터 세이부, 두산 베어스에서 동료였던 이토 쓰토무가 감독을 맡은 지바 롯데 마린스의 불펜 캐처 겸 팀 스코어러로 취임했다.[5] 같은 해 9월 5일, 투수 코치인 사이토 아키오가 건강 악화로 휴양에 들어감에 따라 불펜 보조 코치로 등록되었다.[5]4. 상세 정보
小牧 雄一|고마키 유이치일본어는 가고시마현 히오키시 출신으로, 가고시마 시립 가고시마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인 야구팀을 거쳐 1990년 드래프트 5순위로 닛폰햄 파이터스에 입단했다. 그러나 다무라 후지오 등 주전 포수들의 경쟁에 밀려 출전 기회를 얻지 못하고, 주로 2군이나 불펜에서 활동하며 선수 생활을 했다. 1군에서는 외야수로 출전하기도 했다.
2000년 시즌 후 닛폰햄에서 퇴단한 뒤 세이부 라이온스에 테스트를 거쳐 입단했지만, 이토 쓰토무 등 주전 포수들에 밀려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다. 2003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했고, 2004년에는 세이부에서 불펜 포수를 맡았다.[6]
4. 1. 출신 학교
가고시마 시립 가고시마 상업고등학교4. 2. 선수 경력
小牧 雄一|고마키 유이치일본어는 미쓰비시 자동차 미즈시마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프로 야구팀 경력은 다음과 같다.4. 3. 지도자 경력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시코쿠 규슈 아일랜드 리그의 고치 파이팅 독스 코치를 맡았고, 2008년부터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인 도야마 선더버즈의 코치로 발탁돼 2010년 시즌 종료 후 계약 만료에 의해 퇴단했다.[6] 2012년에는 KBO 리그 팀인 두산 베어스의 불펜 코치로 발탁되어 1시즌 간 활동했다.연도 | 소속팀 | 역할 |
---|---|---|
2006년 ~ 2007년 | 고치 파이팅 독스 | 코치 |
2008년 ~ 2010년 | 도야마 선더버즈 | 코치 |
2012년 | 두산 베어스 | 불펜·배터리 코치 |
4. 4. 개인 기록
- 첫 출장 : 1991년 5월 10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6차전(도쿄 돔)[7]
- 첫 안타·첫 타점 : 1991년 5월 10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6차전(도쿄 돔)[7]
- 첫 홈런 : 1991년 5월 22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7차전(도쿄 돔)[8]
4. 5.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 | 소속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자 | 희생 번트 | 희생 플라이 | 볼넷 | 고의 사구 | 몸에 맞는 볼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91년 | 닛폰햄 | 17 | 37 | 31 | 2 | 11 | 2 | 0 | 1 | 16 | 6 | 1 | 1 | 1 | 0 | 4 | 0 | 1 | 7 | 0 | .355 | .444 | .516 | .960 |
1993년 | 2 | 4 | 4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 | 0 | 0 | 2 | 0 | .000 | .000 | .000 | .000 | ||
1996년 | 5 | 3 | 3 | 0 | 1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333 | .333 | .333 | .666 | ||
1997년 | 3 | 2 | 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000 | ||
1998년 | 4 | 2 | 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00 | .000 | .000 | .000 | ||
2000년 | 3 | 3 | 3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000 | ||
통산 : 6년 | 34 | 51 | 45 | 2 | 12 | 2 | 0 | 1 | 17 | 6 | 1 | 2 | 1 | 0 | 4 | 0 | 1 | 10 | 0 | .267 | .340 | .378 | .718 |
- 1992년, 1994년, 1995년, 1999년, 2001년 ~ 2003년은 1군 출장 없음.
4. 6. 연도별 수비 성적
시도허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