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는 1950년 창단된 일본 프로 야구팀으로, 후쿠오카를 연고지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연고지를 변경했다. 니시테쓰 라이온스 시절 3년 연속 일본 시리즈 우승을 포함하여 총 13번의 일본 시리즈 우승을 기록했으며, 23번의 퍼시픽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1982년부터 2006년까지 25년 연속 A클래스 진입이라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팀의 특징으로는 팀 출신 감독을 중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세이부'라는 명칭은 세이부 그룹을 의미한다. 현재는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를 연고지로 하고 있으며, 마스코트 레오를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코로자와시의 스포츠 - 세이부 돔
    세이부 돔은 일본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에 위치한 야구장으로, 1999년 돔 지붕 설치를 통해 재개장했으며, 세이부 라이온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된다.
  • 사이타마현의 스포츠팀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군)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군은 세이부 그룹의 일본 프로 야구팀인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의 1군 선수 육성을 목표로 1950년 창단되었으며, 2019년 3군 제도를 도입하여 유망주 육성 시스템을 강화하고 CAR3219 필드(세이부 제2구장)를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 사이타마현의 스포츠팀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군)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군은 1950년 창단되어 팀명과 연고지를 변경해오다 2006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일본 이스턴 리그에 참가하여 2군 선수 육성을 하고 있고 2026년경 이바라키현 모리야시로 훈련 시설을 이전할 계획이다.
  • 1950년 설립된 야구팀 - 지바 롯데 마린스
    지바 롯데 마린스는 1950년 창단한 마이니치 오리온스를 모태로 하여 지바 롯데 마린스로 개명한 일본 프로야구 퍼시픽리그 소속 구단으로, 일본 시리즈와 아시아 시리즈 우승 등의 화려한 역사와 독특한 팀 문화로 유명하다.
  • 1950년 설립된 야구팀 - 히로시마 도요 카프
    히로시마 도요 카프는 1949년에 창단되어 히로시마현을 연고지로 하는 일본 프로 야구팀으로, 9번의 리그 우승과 3번의 일본 시리즈 우승을 기록했으며,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기본 정보
팀 이름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영어 팀 이름Saitama SEIBU Lions
일본어 팀 이름埼玉西武ライオンズ
로마자 표기Saitama Seibu Raionzu
별칭시시 (獅子, 사자)
연고지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
홈구장벨루나 돔
창단일1949년 11월 26일
리그일본 프로 야구 퍼시픽 리그
모기업세이부 철도
구단주고토 다카시
구단 사장오쿠무라 고
단장와타나베 히사노부
감독니시구치 후미야
선수 회장소토자키 슈타
주장겐다 소스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엠블럼
팀 엠블럼
세이부 라이온스 모자 로고
모자 로고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유니폼
유니폼
마스코트레오와 리나
색상레전드 블루
라이온스 블루
검정
빨강
흰색
유튜브 채널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공식 유튜브 채널
유튜브 구독자 수약 18.5만 명
유튜브 조회수109,062,199회
유튜브 실버 버튼 획득2021년
구단 역사
이전 팀 이름니시테쓰 클리퍼스 (1950년)
니시테쓰 라이온스 (1951년 ~ 1972년)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 (1973년 ~ 1976년)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 (1977년 ~ 1978년)
세이부 라이온스 (1979년 ~ 2007년)
이전 홈구장헤이와다이 구장 (1950년–1978년)
프랜차이즈 변천후쿠오카현 (1952년 - 1978년)
사이타마현 (1979년 - 현재)
성적
리그 우승 횟수23회
리그 우승 연도1954년
1956년
1957년
1958년
1963년
1982년
1983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7년
1998년
2002년
2004년
2008년
2018년
2019년
일본 시리즈 우승 횟수13회
일본 시리즈 우승 연도1956년
1957년
1958년
1982년
1983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90년
1991년
1992년
2004년
2008년
일본 시리즈 출전 횟수21회 (13승 8패)
일본 시리즈 출전 연도1954년
1956년
1957년
1958년
1963년
1982년
1983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7년
1998년
2002년
2004년
2008년
아시아 시리즈 우승 횟수1회
아시아 시리즈 우승 연도2008년
아시아 시리즈 출전 횟수1회
아시아 시리즈 출전 연도2008년
플레이오프 (전, 후기제) 진출 횟수1회 (1승 0패)
플레이오프 (전, 후기제) 진출 연도1982년
플레이오프 (2004-2006) 진출 횟수3회 (1승 2패)
플레이오프 (2004-2006) 진출 연도2004년
2005년
2006년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 횟수9회 (1승 8패)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 연도2008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2년
기타
영구 결번24번
운영 회사주식회사 세이부 라이온스
회사 설립일1950년 1월 28일 (니시테쓰 야구 주식회사)
자본금1억 엔
매출액100억 엔 (2010년 3월 기준)
순이익7억 9,418만 8,000엔 (2024년 3월 기준)
총 자산96억 7,359만 1,000엔 (2024년 3월 기준)
직원 수74명 (2010년 3월 31일 기준)
주요 주주세이부 철도 (100%)
공식 웹사이트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949년 말 프로 야구 재편 문제로 인해 일본야구연맹이 양대 리그로 분열되자, 서일본 철도(니시테쓰)는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 니시테쓰 클리퍼스를 결성하여 퍼시픽 리그에 가맹했다. 1950년 1월 28일, 운영회사인 "니시테쓰 야구 주식회사"를 설립 등기했다.[15] 팀 명칭인 '클리퍼스'는 당시 서일본 철도가 팬암의 일본 운영을 담당하고 있었고, 팬암의 제트기가 보잉 314 클리퍼였기 때문에 선택되었다.[3]

1951년 1월 30일, 같은 후쿠오카를 본거지로 하고 있던 센트럴 리그 니시니혼 파이레츠를 흡수 합병해 니시테쓰 라이온스가 되었다. 1956년 ~ 1958년에 퍼시픽 리그 3년 연속 우승과 일본 시리즈에서 3년 연속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이기고 일본 시리즈 3연패를 달성했다.

1968년과 1969년 2년 연속 B클래스(4위 이하)를 기록하자 나카니시 후토시 감독이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 또한 검은 안개 사건이 발각된 다음 날부터 1970년까지 주력 선수들이 탈퇴하거나 출장 정지를 당해 전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1970년부터 1972년까지 3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했고 관객수도 감소하여 경영이 악화되었다.

1972년 11월, 니시닛폰 철도는 검은 안개 스캔들로 인한 이미지 실추를 우려하여 팀을 후쿠오카 야구 주식회사에 매각했다. 매각 후 팀 이름은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로 변경되었다. 1973년 골프장 및 리조트 개발업체인 태평양 클럽(Taiheiyo Club)에 팀 스폰서십 권리를 매각했다.

1978년 시즌 후, 10월 12일 코사이토 크라운이 구단 매각과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로의 연고 이전을 발표했다. 국토계획의 쓰쓰미 요시아키 당시 사장이 구단을 매입해 '''세이부 라이온스'''로 구단 이름을 변경했다.[10]

1979년 최하위를 기록했지만, 1980년1981년에는 4위를 차지했다. 이후 히로오카 다쓰로 감독과 히가시오 오사무, 다부치 고이치 등 스타 선수들을 영입하며 팀의 지속적인 성공을 이끌었다. 1986년 시즌 이후, 구단은 히로오카 감독을 모리 마사아키로 교체했고, 모리 감독은 1986년부터 1988년, 그리고 1990년부터 1994년까지 8번의 리그 우승과 6번의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하며 팀을 "무적 세이부"로 이끌었다.

2008년, 팀과 연고 지역 간의 연관성을 강화하기 위해 팀 이름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로 변경했다. 그 해 퍼시픽 리그 챔피언이 되었고, 2008년 일본 시리즈에서 우승했다. 2009년 시즌에는 니시테츠 라이온스 시대에 사용되었던 것과 유사한 진한 파란색 디자인으로 팀 로고와 유니폼을 변경했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라이온스는 5번(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7년)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에 진출했지만, 지바 롯데 마린스(2010년, 2013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2017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2011년, 2012년)에게 패했다. 2018년과 2019년 연속으로 파이널 스테이지에 진출했지만, 두 번 모두 호크스에게 패했다. 2020년에는 3위를 차지했지만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2021년에는 1979년 이후 처음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연도팀명순위포스트시즌
1979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6위진출 실패
1980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1981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1982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2, 드래곤스)
1983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3, 자이언츠)
1984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85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패배 (2-4, 타이거스)
1986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3, 카프)
1987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2, 자이언츠)
1988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1, 드래곤스)
1989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90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0, 자이언츠)
1991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3, 카프)
1992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3, 스왈로스)
1993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패배 (3-4, 스왈로스)
1994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패배 (2-4, 자이언츠)
1995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96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97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패배 (1-4, 스왈로스)
1998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패배 (2-4, 베이스타스)
1999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진출 실패
2000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진출 실패
2001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2002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패배 (0-4, 자이언츠)
2003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진출 실패
2004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3, 드래곤스)
2005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0-2, 마린스)
2006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1-2, 호크스)
2007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5위진출 실패
2008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3, 자이언츠)
2009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2010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0-2, 마린스)
2011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전 패배 (0-4, 호크스)
2012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1-2, 호크스)
2013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1-2, 마린스)
2014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5위진출 실패
2015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2016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2017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1-2, 골든 이글스)
2018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전 패배 (2-4, 호크스)
2019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전 패배 (1-4, 호크스)
2020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2021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6위진출 실패
2022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0-2, 호크스)
2023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5위진출 실패
2024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6위진출 실패


2. 1. 후쿠오카 시대 (1950-1978)

1950년, 이 팀은 퍼시픽리그의 창단 멤버였다. 당시 구단주는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 본사를 둔 서일본 지역의 사철 회사인 니시테츠(Nishitetsu)였다. 니시테츠가 팬 아메리칸 항공의 일본 운영을 담당했기 때문에(당시 팬암 제트기는 보잉 314 클리퍼(Boeing 314 Clipper)였음) 클리퍼스라는 이름이 선택되었다.[3] 그 해 6위를 기록했고, 시즌 종료 후 니시테츠는 후쿠오카의 또 다른 프로 야구단인 니시닛폰 파이리츠와 합병되었다. 니시닛폰 파이리츠는 센트럴리그 소속이었고, 지역 신문사인 니시닛폰 신문이 운영했다. 새 구단은 '''니시테쓰 라이온스'''를 결성하기로 했다.

니시테쓰 라이온스는 미하라 오사무(Osamu Mihara) 감독의 지휘 아래 요미우리 자이언츠(Yomiuri Giants)를 상대로 3연패를 포함해 총 4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후쿠오카에서 마지막으로 우승한 해는 1958년이었고, 이후 미하라 감독은 다이요 웨일스로 이적하여 1960년 다이마이 오리온스를 꺾고 일본 시리즈 우승을 거머쥐었다.

이후 10년 동안 팀은 고전을 면치 못했고, 1969년과 1970년에는 검은 안개 스캔들(The Black Mist Scandal (Japanese baseball))에 휘말려 라이온스 투수 4명이 NPB에서 영구 제명되었고 다른 선수들도 징계를 받았다. 1970년 시즌에는 최하위를 기록했다.

3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한 후, 니시닛폰(Nishi-Nippon)은 1972년 11월 프랜차이즈를 후쿠오카 야구 주식회사(Fukuoka Baseball Corporation)에 매각했고, 팀 이름은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로 변경되었다. 1973년 나카무라 나가요시가 설립한 니시닛폰 철도(Nishi-Nippon Railroad)는 태평양 클럽(Taiheiyo Club)에 팀의 스폰서십 권리를 매각했다. 라이온스는 1970년대 내내 3위 이상의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1976년 시즌 종료 후, 후쿠오카 야구 주식회사는 팀의 새로운 스폰서가 크라운 가스 라이터(Crown Gas Lighter)라고 발표했고, 다음 시즌 팀의 이름은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로 변경되었다. 1978년 10월 25일, 팀은 고쿠도 계획(Kokudo Keikaku, 후에 고쿠도(Kokudo))에 매각된 후, 프린스 호텔(Prince Hotels)과 합병되었다.

2. 1. 1. 니시테쓰 클리퍼스 (1950)

1949년 말 프로 야구 재편 문제로 인해 일본야구연맹이 양대 리그로 분열되자, 서일본 철도(니시테쓰)는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 니시테쓰 클리퍼스를 결성하여 퍼시픽 리그에 가맹했다. 1950년 1월 28일, 운영회사인 "니시테쓰 야구 주식회사"를 설립 등기했다.[15]

니시테쓰 초대 사장 무라카미 타쿠미는 전후 후쿠오카에 밝은 화제를 제공하고자 구단 재건을 추진했으나, 일본 야구 연맹에 인정받지 못했다. 그러나 프로 야구 재편 문제를 계기로 구단 창단이 가능해졌다.

팀 명칭인 '클리퍼스'는 당시 서일본 철도가 팬암의 일본 운영을 담당하고 있었고, 팬암의 제트기가 보잉 314 클리퍼였기 때문에 선택되었다.[3]

선수단은 아마추어 출신 선수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이적한 가와사키 도쿠지 등이 합류했다. 그러나 가와사키는 첫 등판에서 팔꿈치 부상을 당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고, 팀은 7개 구단 중 5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2. 1. 2. 니시테쓰 라이온스 (1951-1972)

서일본 철도(니시테쓰)는 전쟁 기간에 니시테쓰 군을 경영했지만 1943년에 팀이 해체되었다. 니시테쓰 초대 사장 무라카미 타쿠미는 전후 후쿠오카에 밝은 화제를 제공하고 싶다는 생각에서 구단 재건을 도모했지만 일본 야구 연맹에 인정되지 않았다.[8][9][10]

1949년 말 1949년 프로야구 재편 문제가 발생, 단일 리그 체제였던 연맹이 센트럴 리그퍼시픽 리그의 양대 리그로 분열되자 이를 계기로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 니시테쓰 클리퍼스를 결성, 11월 26일에 발족한 퍼시픽 리그에 가맹하여 1950년 1월 28일에 운영회사 "니시테쓰 야구 주식회사"를 설립 등기했다.

1951년 1월 30일, 같은 후쿠오카를 본거지로 하고 있던 센트럴 리그 니시니혼 파이레츠를 흡수 합병해 니시테쓰 라이온스가 되었다.

1956년 ~ 1958년에 퍼시픽 리그 3년 연속 우승과 일본 시리즈에서 3년 연속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이기고 일본 시리즈 3연패를 달성했다. 미하라 오사무 감독은 1960년 다이요 웨일스를 일본 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다.

1968년과 1969년 2년 연속 B클래스(4위 이하)를 기록하자 나카니시 후토시 감독이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 또한 검은 안개 사건이 발각된 다음 날부터 1970년까지 주력 선수들이 탈퇴하거나 출장 정지를 당해 전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1970년부터 1972년까지 3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했고 관객수도 감소하여 경영이 악화되었다. 본업인 교통 사업의 침체까지 겹쳐 1972년, 서일본 철도는 마침내 경영을 포기했다. 니시테쓰 라이온스는 팀이 존재하는 동안 헤이와다이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2. 1. 3.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 (1973-1976)

1972년 11월, 니시닛폰 철도는 검은 안개 스캔들로 인한 이미지 실추를 우려하여 팀을 후쿠오카 야구 주식회사에 매각했다. 이 회사는 니시닛폰 철도 내 페이퍼 컴퍼니였으며, 매각 후 팀 이름은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로 변경되었다.

롯데 오리온스의 소유주였던 나카무라 나가요시가 설립한 니시닛폰 철도는 1973년 골프장 및 리조트 개발업체인 태평양 클럽(Taiheiyo Club)에 팀 스폰서십 권리를 매각했다. 검은 안개 사건의 여파로 라이온스는 1970년대 내내 3위 이상의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8][9]

2. 1. 4.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 (1977-1978)

1978년 시즌 후, 10월 12일 코사이토 크라운이 구단 매각과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로의 연고 이전을 발표했다. 국토계획의 쓰쓰미 요시아키 당시 사장이 구단을 매입해 '''세이부 라이온스'''로 구단 이름을 변경했으며, 쓰쓰미의 중개로 그랜드 프린스 호텔 아카사카에 사무국을 차리고, 세이와정책연구회의 창시자이자 전 총리였던 후쿠다 다케오가 명예 회장 자리에 취임했다.[10]

10월 17일 도쿄도 도시마구 히가시이케부쿠로의 선샤인 60에 구단 사무실을 세우고, 10월 25일 운영회사 명을 지금의 '''주식회사 세이부 라이온스'''로 변경했다. 12월 5일에 펫 마크의 상징 색을 발표했고, 12월 18일 새로 건설 중이었던 구장 명을 세이부 라이온스 구장으로 결정했다. 지바 롯데의 노무라 가쓰야, 야마자키 히로유키, 한신의 다부치 고이치를 새로 영입했으나, 크라운 시대의 1977년 드래프트권을 계승하여 에가와 스구루를 입단시키기 위해 노력했지만 실패해 요미우리 그룹과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에가와 사건)[10]

2. 2. 도코로자와 시대 (1979-현재)

1978년 10월 12일, 광제당 크라운[44]은 라이온즈 구단을 매각하고 사이타마현도코로자와시로 이전한다고 발표했다.[45] 세이부 그룹 산하 고쿠도의 데쓰미 요시아키 사장이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 구단을 매입하여 '''세이부 라이온스'''가 탄생했다. 데쓰미의 중인 후쿠다 다케오가 명예회장에 취임했다. 데쓰미는 구단 인수 발표 기자회견에서 구단 인수 이야기는 수일 전에 프로야구 커미셔너 등의 방문을 받고 단기간에 결정되었다고 밝혔다.[46]

10월 17일, 구단 사무소가 도쿄도도시마구히가시이케부쿠로의 선샤인 60에 개설되었다. 10월 25일, 운영회사 상호가 후쿠오카 야구 주식회사에서 "'''주식회사 세이부 라이온즈'''"로 변경되었다. 12월 5일, 펫 마크와 심볼 컬러가 발표되었다. 12월 18일에는 세이부엔 유원지 구장을 활용하기 위해 건설 중이던 신 본거지 구장의 이름이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으로 결정되었다.

데쓰미는 롯데 감독 요청을 거절하고 자유 계약 선수가 된 노무라 가쓰야와 주력 유격수였던 야마자키 히로유키를 영입했다. 또한 한신 타이거스에서 다케우치 마사아키, 마유미 아키노부, 와카나 요스하루 등과의 대규모 트레이드로 다부치 고이치를 영입했다. 가와카미 데쓰지에게 사장 취임을 요청하고, 크라운 시대였던 1977년 드래프트에서 1위로 지명하여 협상권을 얻었던 에가와 스구루 영입에도 집념을 불태웠지만 실패했다.[47] 이로 인해 요미우리 그룹과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에가와 사건 참조)

당시 국토계획(후의 고쿠도)은 다이요 웨일스의 주식을 45% 보유하고 있었지만, 라이온즈 인수에 따라 복수 구단 보유를 금지하는 야구 협약에 저촉되어 보유하고 있던 다이요 구단의 주식을 닛폰 방송TBS에 매각했다.

구단 시설, 환경 및 선수 대우도 개선되면서 초반에는 고전했지만, 신전력이 등장하며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하면서 상승세를 타게 되었다. 크라운라이터 시대 마지막 해부터 초대 감독을 맡았던 네모토 리쿠오는 퇴임 후 프런트에서 선수 영입에 힘쓰며 다른 구단을 압도하는 전략으로 유력 선수들을 모았다. 동시에 탄생한 프린스 호텔 야구부를 포함하여 세이부 그룹의 조직력을 활용한 팀 운영으로 1990년대까지 '''세이부 황금 시대'''를 구축하게 된다.

1979년 최하위를 기록했지만, 1980년과 1981년에는 4위를 차지했다. 이후 히로오카 다쓰로 감독과 히가시오 오사무, 다부치 고이치 등 스타 선수들을 영입하며 팀의 지속적인 성공을 이끌었다. 히로오카 다쓰로는 선수들에게 고기와 기타 동물성 식품이 운동선수의 부상 위험을 증가시키고 경기력을 저하시킨다고 말하며, 모든 선수들에게 엄격한 채식주의를 요구했다.[4]

1986년 시즌 이후, 구단은 히로오카 감독을 모리 마사아키로 교체했고, 모리 감독은 팀의 장기적인 성공을 이끌었다. 모리 감독은 1986년부터 1988년, 그리고 1990년부터 1994년까지 8번의 리그 우승과 6번의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팀은 리그를 지배하며 "무적 세이부"라는 별명을 얻었다. 라이온스는 아키야마 고지, 기요하라 가즈히로,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등 강타자들과 이시게 히로미치, 쓰지 하쓰히코, 포수 이토 쓰토무 등 뛰어난 수비진을 보유했다. 또한, "동방 특급" 궈타이위안, 구도 기미야스, 와타나베 히사노부, 구원 투수 가토리 요시타카, 시오자키 데쓰야 등 뛰어난 투수들도 활약했다.

2008년, 팀과 연고 지역 간의 연관성을 강화하기 위해 팀 이름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로 변경했다. 그 해 퍼시픽 리그 챔피언이 되었고, 2008년 일본 시리즈에서 우승했다. 2009년 시즌에는 니시테츠 라이온스 시대에 사용되었던 것과 유사한 진한 파란색 디자인으로 팀 로고와 유니폼을 변경했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라이온스는 5번(2010, 2011, 2012, 2013, 2017)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에 진출했지만, 지바 롯데 마린스(2010년, 2013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2017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2011년, 2012년)에게 패했다. 2018년과 2019년 연속으로 파이널 스테이지에 진출했지만, 두 번 모두 호크스에게 패했다. 2020년에는 3위를 차지했지만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2021년에는 1979년 이후 처음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연도팀명순위포스트시즌
1979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6위진출 실패
1980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1981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1982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2, 드래곤스)
1983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3, 자이언츠)
1984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85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패배 (2-4, 타이거스)
1986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3, 카프)
1987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2, 자이언츠)
1988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1, 드래곤스)
1989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90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0, 자이언츠)
1991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3, 카프)
1992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3, 스왈로스)
1993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패배 (3-4, 스왈로스)
1994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패배 (2-4, 자이언츠)
1995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96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97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패배 (1-4, 스왈로스)
1998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패배 (2-4, 베이스타스)
1999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진출 실패
2000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진출 실패
2001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2002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패배 (0-4, 자이언츠)
2003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진출 실패
2004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3, 드래곤스)
2005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0-2, 마린스)
2006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1-2, 호크스)
2007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퍼시픽 리그 5위진출 실패
2008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3, 자이언츠)
2009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2010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0-2, 마린스)
2011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전 패배 (0-4, 호크스)
2012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1-2, 호크스)
2013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1-2, 마린스)
2014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5위진출 실패
2015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2016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2017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1-2, 골든 이글스)
2018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전 패배 (2-4, 호크스)
2019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전 패배 (1-4, 호크스)
2020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2021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6위진출 실패
2022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0-2, 호크스)
2023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5위진출 실패
2024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6위진출 실패


2. 2. 1. 세이부 라이온스 (1979-2007)

1982년 시즌을 앞두고 히로오카 다쓰로 감독의 지휘 아래 팀을 개혁하여 전기 리그에서 우승했다. 1982년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에서 에나쓰 유타카가 있던 닛폰햄 파이터스를 3승 1패로 꺾고 19년 만에 퍼시픽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주니치 드래건스를 4승 2패로 이기고 24년 만이자 세이부 시대 개막 후 처음으로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44]

1983년에는 86승 4무 40패의 압도적인 성적으로 2년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일본 시리즈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4승 3패로 꺾고 2년 연속 우승했다.

1984년에는 선수 노쇠화로 인해 3위에 그쳤고, 다부치 고이치, 야마자키 히로유키 등이 은퇴했다.

1985년에는 다오 야스시를 트레이드로 영입하고, 아키야마 고지, 와타나베 히사노부, 구도 기미야스 등 젊은 선수들이 성장하여 2년 만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일본 시리즈에서 한신 타이거즈에 2승 4패로 패했다. 시즌 후 히로오카 감독이 사임하고 모리 마사아키가 감독으로 취임했다. 이 해 드래프트에서 PL 학원의 기요하라 가즈히로에 대한 교섭권을 획득하였다.

1986년부터 모리 마사아키 감독 체제에서 투타 전력이 완성 단계에 이르렀다. 와타나베 히사노부, 궈타이위안, 구도 기미야스, 이시이 다케히로, 와타나베 도미오, 가토리 요시타카 등의 투수진과 아키야마 요시히로, 기요하라 가즈히로의 AK포[44]가 활약했다. 모리 감독 재임 기간(1986년~1994년) 동안 1989년을 제외하고 8번 리그 우승, 6번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하며 최강 팀으로 군림했다.

1986년에는 기요하라 가즈히로의 활약으로 긴테쓰를 누르고 2년 연속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일본 시리즈에서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 8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승리하며 3년 만에 일본 정상에 올랐다. 8월 5일 구단 사무실을 구장 부지 내부로 이전하여 구단의 제반 시설이 모두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에 위치하게 되었다.

1987년에는 기요하라의 부진과 와타나베 히사노부의 부상에도 불구하고 8월 한큐를 꺾고 3년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일본 시리즈에서 요미우리를 4승 2패로 꺾고 2년 연속 일본 정상에 올랐다.

1988년에는 리그 막판까지 선두를 지켰으나 긴테쓰의 추격을 받았다. 10월 19일 긴테쓰와 롯데의 더블 헤더 경기에서 긴테쓰가 모두 승리하면 리그 4연패가 무산될 위기였으나, 긴테쓰가 무승부에 그치면서 리그 4연패를 확정지었다. 일본 시리즈에서 주니치를 4승 1패로 꺾고 3년 연속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1989년에는 리그 초반 부진했으나 후반기 반등하며 9월 선두에 올랐다. 그러나 10월 12일 긴테쓰와의 더블 헤더에서 랠프 브라이언트에게 4연타석 홈런을 허용하는 등 2연패를 당하며 긴테쓰에게 우승을 내주고 리그 3위에 그쳤다.

1990년에는 가토리 요시타카시오자키 데쓰야를 영입하여 불펜을 강화, 리그 우승을 탈환했다. 일본 시리즈에서 요미우리를 4전 전승으로 꺾고 2년 만에 일본 시리즈 정상을 차지했다.

1991년에는 개막 8연승 후 독주하다가 긴테쓰와 선두 경쟁을 벌였다. 9월 12연승으로 긴테쓰를 따돌리고 리그 2연패를 달성했다. 일본 시리즈에서 히로시마를 상대로 2승 3패에서 6, 7차전을 승리하며 2년 연속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1992년에는 6월 긴테쓰를 제치고 선두에 오른 후 독주하여 3년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야쿠르트 스왈로스를 4승 3패로 꺾고 3년 연속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1993년에는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의 이적에도 불구하고 닛폰햄을 누르고 4년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하지만 일본 시리즈에서 야쿠르트에 3승 4패로 패하며 일본 시리즈 4연패에 실패했다. 시즌 후 다이에아키야마 고지를 포함한 3대3 트레이드를 단행했다.

1994년에는 오릭스, 긴테쓰, 다이에와 치열한 경쟁 끝에 9월에 리그 우승을 확정, 퍼시픽 리그 신기록인 5년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그러나 일본 시리즈에서 요미우리에 2승 4패로 패하며 2년 연속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 시즌을 마지막으로 모리 감독이 물러났다.

2. 2. 2.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08-현재)

2008년 1월 1일, 팀과 연고 지역 간의 연관성을 강화하기 위해 구단명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埼玉西武ライオンズ)로 변경했다. (운영회사는 "주식회사 세이부 라이온스"로 동일).[44] 이를 통해 보호 지역인 사이타마현의 구단임을 명확히 하고, 지역 밀착을 도모했다.[45] 1월 8일, 공식적으로 명명권 계약 해지가 발표되었고, 9일부터 홈구장 명칭은 "세이부 돔", 2군 팀 명칭은 1군과 마찬가지로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가 된다는 것이 발표되었다.[46]

그 해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는 퍼시픽리그 챔피언이 되었고, 2008년 일본 시리즈에서 우승했다.

2009년 시즌을 위해 팀 로고와 유니폼은 니시테츠 라이온스 시대(1950년대와 1960년대)에 사용되었던 것과 유사한 진한 파란색 디자인으로 변경되어 기존의 연한 파란색 색 구성표를 대체했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라이온스는 5번(2010, 2011, 2012, 2013, 2017) 퍼시픽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에 진출했지만, 2010년과 2013년에는 지바 롯데 마린스, 2017년에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1년과 2012년에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게 패했다. 2018년과 2019년 연속으로 파이널 스테이지에 진출했지만, 두 번 모두 호크스에게 패했다.

2020년에는 3위를 차지했지만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퍼시픽리그는 플레이오프 1차전을 없애고 퍼시픽리그 상위 2팀만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센트럴리그는 플레이오프 1차전을 완전히 없애고 정규 시즌 우승팀인 요미우리 자이언츠2020년 일본 시리즈에 직행시켰다.

2021년에는 55승 70패 18무의 기록으로 1979년 이후 처음으로 6위이자 최하위를 기록했다.

연도팀명순위포스트시즌
2008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재팬 시리즈 우승 (4-3, 자이언츠)
2009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2010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0-2, 마린스)
2011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전 패배 (0-4, 호크스)
2012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1-2, 호크스)
2013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1-2, 마린스)
2014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5위진출 실패
2015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2016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2017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1-2, 골든 이글스)
2018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전 패배 (2-4, 호크스)
2019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1위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전 패배 (1-4, 호크스)
2020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2021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6위진출 실패
2022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3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0-2, 호크스)
2023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5위진출 실패
2024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Saitama Seibu Lions)퍼시픽 리그 6위진출 실패


3. 팀의 특징


  • 서일본 철도 시대에는 미하라 오사무, 가와사키 도쿠지를 제외하고는 팀 출신 선수가 감독을 역임했다. 태평양 클럽에서 세이부 시대까지는 오랫동안 외부 감독이 이어졌지만, 1995년 취임한 히가시오 오사무 이후로는 팀 출신 감독이 계속되고 있다. 쓰쓰미 요시아키 오너 퇴임 이후로는 감독의 팀 출신 중시가 매우 강하며, 완전 외부인이라도 프린스호텔 출신이 아니면 감독 후보로 거론되지 않을 정도이다(예: 미야모토 신야). 또한 역대 감독은 모리 마사아키(우투좌타), 마쓰이 가즈오(우투양타)를 제외하고는 우투우타이며, 좌투는 없다(긴테츠를 포함한 13구단 중 유일).[178]
  • 사이타마 이전 이후 "'''세이부'''"를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원래는 '''세이부''' 그룹의 의미이며, 직접적인 구단 모회사는 1978년 구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를 인수한 고토 계획(国土計画)(후의 코쿠도(コクド)), 2006년 세이부 그룹의 재편시에는 코쿠도를 흡수한 프린스호텔이었다. 그러나, 2008년부터 본격화되고 있는 지역밀착 강화를 목적으로, 2008년 11월 21일 프로야구 오너 회의에서 구단 모회사를 도코로자와시에 이전한 '''세이부''' 철도로 변경하는 것이 승인되었다.[179]
  • 세이부가 된 이후의 구단 심볼 마크는 세이부선 연선과 인연이 깊은 만화가 데즈카 오사무의 인기 만화 『밀림의 왕자 레오』의 주인공 레오를 채택하고 있다.
  • * 작가 데즈카의 담화에 따르면, 세이부의 쓰쓰미 오너로부터 직접 "은퇴 중인 밀림의 왕자 레오를 구단 마크로 복귀시켜 볼 의향이 없습니까?"라는 연락이 왔고, 또한 "어린 레오가 아니라, 어른이 된 레오에게 의복(유니폼 등)을 착용시켜 사용하고 싶다"는 의향도 보였다.[180] 그리고 구단 마스코트로 레오가 (인형으로) 등장했다. 발표 후, 데즈카의 주변에서는 "저건 레오가 아니라 아버지 판자잖아. 판자 구단으로 할 거야?" 등으로 놀림을 받았다고 하며, 마스코트에는 여성 캐릭터 라이나가 있지만, 이쪽은 구단으로서의 오리지널 캐릭터이기 때문에, 코의 색이나 눈의 크기 등을 여러 번 만들어낸 끝에 완성하여, 추억에 남는 캐릭터가 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그 후, 데즈카의 자택에서는 다양한 라이나의 실패작을 장식하고 있었다고 한다.[181] 둘 다 처음에는 등번호 없음(나중에 유니폼 스폰서 나이키마제스틱 애슬레틱의 로고가 들어감). 그런데, 이 마스코트는 "이종 경기 교류"의 일환으로 2003-2004년 시즌에 세이부 철도 아이스하키부를 통합한 코쿠도 아이스하키팀에도 사용되었다(2006년 세이부 프린스 래비츠가 된 이후에는 사용하지 않음).
  • * 이 레오 마크는 세이부 야마구치선의 8500계 전면에도 부착되었을 뿐만 아니라(차량 애칭도 레오라이너), 세이부 철도의 프리페이드 카드 시스템인 "레오 카드"(공통 SF 카드 시스템 "패스넷" 가맹 후에는 "SF 레오 카드")에도 사용되었다.
  • 20세기 말에 현존한 구단 중 마지막으로 일본 시리즈 연패를 달성한 구단이기도 하다. 1990년, 1991년, 1992년 일본 시리즈 3연패가 20세기 마지막 일본 시리즈 연패가 되었다.
  • 2015년까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에 11구단 중 유일하게 시즌 패배가 없었던 구단이었지만, 2016년에 처음으로 라쿠텐에 패배했다. 이로 인해, 연간 대결 성적에서 하나의 구단에만 패배가 없는 사례는 없어졌다.[114]
  • 팀 출신 선수로 200승 투수는 이나오 가즈히사(276승), 히가시오 오사무(251승)가 있었지만, 오랫동안 황금기를 구축한 구단에서는 드물게 2000안타 달성자가 2020년까지 없었다. 그러나 2021년에 구리야마 다쿠미[182]가 팀 출신 선수로서 처음으로 달성했다.[183]
  • 일본 시리즈 출전은 전 12구단 중 두 번째로 많은 구단이지만, 2023년 시즌 종료 시점에서 세이부의 마지막 일본 시리즈 출전은 2008년이며, 12구단 중 일본 시리즈에서 가장 오랫동안 멀어져 있고 2010년대 이후 한 번도 출전하지 않은 유일한 구단이 되고 있다.[184]
  • 본거지에서의 일본 시리즈 우승은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 시대의 1991년이 마지막이며, 세이부 돔에서의 일본 시리즈 우승 헹가래는 미달성이다. 이것은 구단 창설부터 본거지를 한 번도 이전하지 않은 한신 타이거스와 라쿠텐, 현재의 본거지로 이전 후 일본 시리즈에 출전하지 않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마지막 본거지에서의 일본 시리즈 우승은 2006년·삿포로 돔),를 제외한 현존 9구단 중에서, 오릭스 버팔로스(2022년·메이지 진구 야구장), 히로시마 도요 카프(2016년과 2018년), 지바 롯데 마린스(2010년·나고야 돔)가 해당된다.
  • FA 이적 선수 수가 2023년 오프 시점에서 12구단 최고인 21명이 되고 있으며, 팀도 매년 선수의 FA 이적으로 고심하고 있다.[185]
  • 퍼시픽리그 팀 중 유일하게 교류전 우승을 경험하지 못했다.

4. 역대 감독

순서이름취임[171]퇴임[172]비고
1미야자키 가나메[173]1950년1950년등록상 1951년~1952년도 감독
1950년부터 세이테쓰 클리퍼스
2미하라 오사무1951년1959년1951년~1952년 등록은 총감독
1951년부터 세이테쓰 라이온스
3가와사키 도쿠지1960년1961년
4나카니시 후토시[174]1962년1969년선수 겸임
5이나오 가즈히사1970년1974년1973년부터 태평양 클럽 라이온스
6에토 신이치1975년1975년선수 겸임
-리오 더로셔--취임이 발표되었으나, 병으로 인해 일본에 오지 못하고 계약 해지[263]
7기토 마사이치1976년1977년1977년부터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
8네모토 리쿠오1978년1981년1979년부터 세이부 라이온스
9히로오카 다쓰로1982년1985년
10모리 마사아키1986년1994년
11히가시오 오사무[175]1995년2001년
12이하라 하루키(제1기)2002년2003년
13이토 쓰토무2004년2007년
14와타나베 히사노부2008년2013년2008년부터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15이하라 하루키(제2기)[176]2014년2014년
16다나베 노리오2015년2016년
17쓰지 하쓰히코2017년2022년
18마쓰이 가즈오[177]2023년2024년
19니시구치 후미야2025년


5. 연도별 성적

연도감독순위경기승리패전무승부승률승차타율홈런평균자책점비고
1950년미야자키 가나메5위12051672.43231.5.254793.87
1951년미하라 오사무2위105534210.55818.5.242632.75
1952년미하라 오사무3위12067521.5638.5.261943.08
1953년미하라 오사무4위12057612.48313.5.2531143.05
1954년미하라 오사무1위14090473.657-.2561342.17
1955년미하라 오사무2위14490504.6439.2591402.68
1956년미하라 오사무1위15496517.646-.254951.87
1957년미하라 오사무1위13283445.648-.255942.15
1958년미하라 오사무1위13078475.619-.243832.37
1959년미하라 오사무4위144666414.50822.236692.66
1960년가와사키 도쿠지3위13670606.53812.251973.05
1961년가와사키 도쿠지3위14081563.5895.5.2491102.83
1962년나카니시 후토시3위13662686.47716.245923.00
1963년나카니시 후토시1위15086604.589-.2441462.69
1964년나카니시 후토시5위15063816.43819.5.2421163.57
1965년나카니시 후토시3위14072644.52915.5.2461123.00
1966년나카니시 후토시2위13875558.5774.2311252.13
1967년나카니시 후토시2위140666410.5089.222982.50
1968년나카니시 후토시5위13356743.43124.2371103.17
1969년나카니시 후토시5위13051754.40525.2251193.40
1970년이나오 가즈히사6위13043789.35534.2251374.12
1971년이나오 가즈히사6위13038848.31143.5.2311144.31
1972년이나오 가즈히사6위13047803.37032.5.2421104.12
1973년이나오 가즈히사4위13059647.480(4)(5).2391163.58전기 4위, 후기 5위
1974년이나오 가즈히사4위13059647.480(3)(4).235903.46전기 3위, 후기 4위
1975년에토 신이치3위130586210.483(2)(4).2611353.73전기 2위, 후기 4위
1976년기토 마사이치6위130447610.367(6)(6).2591154.08전기 6위, 후기 6위
1977년기토 마사이치6위13049738.402(6)(5).2491284.27전기 6위, 후기 5위
1978년네모토 리쿠오5위130516712.432(4)(5).2681093.75전기 4위, 후기 5위
1979년네모토 리쿠오6위130457312.381(6)(5).2591404.60전기 6위, 후기 5위
1980년네모토 리쿠오4위13062644.492(6)(4).2672194.43전기 6위, 후기 4위
1981년네모토 리쿠오4위13061618.500(2)(5).2671433.62전기 2위, 후기 5위
1982년히로오카 다쓰로1위13068584.540(1)(3).2531313.31전기 1위, 후기 3위
1983년히로오카 다쓰로1위13086404.683-.2781823.20
1984년히로오카 다쓰로3위13062617.50414.5.2561534.10
1985년히로오카 다쓰로1위13079456.637-.2721553.82
1986년모리 마사아키1위130684913.581-.2811853.69
1987년모리 마사아키1위130714514.612-.2491532.96
1988년모리 마사아키1위13073516.589-.2701763.61
1989년모리 마사아키3위13069538.5660.5.2711503.86
1990년모리 마사아키1위13081454.643-.2631623.48
1991년모리 마사아키1위13081436.653-.2651553.22
1992년모리 마사아키1위13080473.630-.2781593.52
1993년모리 마사아키1위13074533.583-.2601142.96
1994년모리 마사아키1위13076522.594-.2791223.81
1995년히가시오 오사무3위13067576.54012.5.2461172.98
1996년히가시오 오사무3위13062644.49213.2581413.58
1997년히가시오 오사무1위13576563.576-.2811103.63
1998년히가시오 오사무1위13570614.534-.2701153.66
1999년히가시오 오사무2위13575591.5604.258893.58
2000년히가시오 오사무2위13569615.5312.5.255973.68
2001년히가시오 오사무3위14073670.5216.2561843.88
2002년이하라 하루키1위14090491.647-.2781833.20
2003년이하라 하루키2위14077612.5585.5.2711914.43
2004년이토 쓰토무1위13374581.561-.2761834.29
2005년이토 쓰토무3위13667690.493-.2691624.27
2006년이토 쓰토무2위13680542.597-.2751313.64
2007년이토 쓰토무5위14466762.46514.5.2641263.82
2008년와타나베 히사노부1위14476644.543-.2701983.86
2009년와타나베 히사노부4위14470704.50011.2611634.01
2010년와타나베 히사노부2위14478651.5450.2711504.19
2011년와타나베 히사노부3위14468679.50420.5.2531033.15
2012년와타나베 히사노부2위14472639.5333.251783.24
2013년와타나베 히사노부2위14474664.5297.5.257863.54
2014년이하라 하루키5위14463774.45016.2481253.77
2015년다나베 노리오4위14369695.50020.5.2631363.69
2016년다나베 노리오4위14364763.45723.0.2641283.85
2017년쓰지 하쓰히코2위14379613.56413.5.2641533.53
2018년쓰지 하쓰히코1위14388532.624-.2731964.24
2019년쓰지 하쓰히코1위14380621.563-.2651744.35
2020년쓰지 하쓰히코3위12058584.50015.5.2381074.28
2021년쓰지 하쓰히코6위143557018.44015.2391123.94
2022년쓰지 하쓰히코3위14372683.5143.5.2291182.75
2023년마쓰이 가즈오5위14365771.45822.5.233902.93


  •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순위에서 '''굵은 글씨'''는 일본 시리즈 우승.
  • 통산 성적 : 5074승 391무 4528패(승률 .528)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 연도

! 팀명

! 순위

! 포스트시즌

|-

| 1950

| 니시테츠 클리퍼스(Nishitetsu Clippers)

| 퍼시픽 리그 5위

| 진출 실패

|-

| 1951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2위

| 진출 실패

|-

| 1952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3위

| 진출 실패

|-

| 1953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4위

| 진출 실패

|-! style="background:#fdd;"

| 1954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1위

| 재팬 시리즈 패배 (3-4, 드래곤스)

|-

| 1955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2위

| 진출 실패

|-! style="background:#FDE910;"

| 1956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1위

| 재팬 시리즈 우승 (4-2, 자이언츠)

|-! style="background:#FDE910;"

| 1957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1위

| 재팬 시리즈 우승 (4-0, 자이언츠)

|-! style="background:#FDE910;"

| 1958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1위

| 재팬 시리즈 우승 (4-3, 자이언츠)

|-

| 1959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4위

| 진출 실패

|-

| 1960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3위

| 진출 실패

|-

| 1961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3위

| 진출 실패

|-

| 1962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3위

| 진출 실패

|-! style="background:#fdd;"

| 1963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1위

| 재팬 시리즈 패배 (3-4, 자이언츠)

|-

| 1964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5위

| 진출 실패

|-

| 1965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3위

| 진출 실패

|-

| 1966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2위

| 진출 실패

|-

| 1967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2위

| 진출 실패

|-

| 1968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5위

| 진출 실패

|-

| 1969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5위

| 진출 실패

|-

| 1970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6위

| 진출 실패

|-

| 1971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6위

| 진출 실패

|-

| 1972

| 니시테츠 라이온스(Nishitetsu Lions)

| 퍼시픽 리그 6위

| 진출 실패

|-

| 1973

| 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Taiheiyo Club Lions)

| 퍼시픽 리그 4위

| 진출 실패

|-

| 1974

| 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Taiheiyo Club Lions)

| 퍼시픽 리그 4위

| 진출 실패

|-

| 1975

| 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Taiheiyo Club Lions)

| 퍼시픽 리그 3위

| 진출 실패

|-

| 1976

| 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Taiheiyo Club Lions)

| 퍼시픽 리그 6위

| 진출 실패

|-

| 1977

| 크라운 라이터 라이온스(Crown Lighter Lions)

| 퍼시픽 리그 6위

| 진출 실패

|-

| 1978

| 크라운 라이터 라이온스(Crown Lighter Lions)

| 퍼시픽 리그 5위

| 진출 실패

|-

| 1979

| 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

| 퍼시픽 리그 6위

| 진출 실패

|-

| 1980

| 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

| 퍼시픽 리그 4위

| 진출 실패

|-

| 1981

| 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

| 퍼시픽 리그 4위

| 진출 실패

|-! style="background:#FDE910;"

| 1982

| 세이부 라이온스(Seibu Lions)

| 퍼시픽 리그 1위

| 재팬 시리즈 우승 (4-2, 드래곤스)

|-! style="background:#FDE

6. 구단 기록


  • 리그 우승 : 23회[160]

:(1954년, 1956년 ~ 1958년, 1963년, 1982년[161] ~ 1983년, 1985년 ~ 1988년, 1990년 ~ 1994년, 1997년, 1998년, 2002년, 2004년[162], 2008년, 2018년, 2019년)
:(1956년 ~ 1958년, 1982년, 1983년, 1986년 ~ 1988년, 1990년 ~ 1992년, 2004년, 2008년)
:(1951년 ~ 1952년, 1954년 ~ 1958년, 1960년 ~ 1963년, 1965년 ~ 1967년, 1975년, 1982년 ~ 2006년, 2008년, 2010년 ~ 2013년, 2017년 ~ 2020년, 2022년)

  • B클래스 : 25회

:(1950년, 1953년, 1959년, 1964년, 1968년 ~ 1974년, 1976년 ~ 1981년, 2007년, 2009년, 2014년 ~ 2016년, 2021년, 2023년 ~ 2024년)

  • 최하위 : 8회

:(1970년 ~ 1972년, 1976년 ~ 1977년, 1979년, 2021년, 2024년)

  • 연속 A클래스 진입 최장 기록 : 25년 (1982년 ~ 2006년) ※일본 프로 야구 기록.
  • 연속 B클래스 최장 기록 : 7년 (1968년 ~ 1974년)
  • 최다 승리 : 96승 (1956년)
  • 최다 패전 : 91패 (2024년)
  • 최다 무승부 : 18무 (2021년)[163]
  • 최고 승률 : .683 (1983년)
  • 최저 승률 : .311 (1971년)
  • 최소 경기차 : 0.0경기 (2010년)
  • 최대 경기차 : 43.5경기 (1971년)
  • 최다 홈런 : 219개 (1980년)
  • 최소 홈런 : 60개 (2024년)
  • 최고 타율 : .281 (1986년, 1997년)
  • 최저 타율 : .212 (2024년)
  • 최고 평균자책점 : 1.87 (1956년)
  • 최저 평균자책점 : 4.60 (1979년)
  • 최다 연승 : 14 (1957년) ※2무승부 포함
  • * 무승부를 포함하지 않는 연승 기록: 13 (2017년)
  • 최다 연패 : 13 (2015년)


연도팀명순위포스트시즌
1950니시테츠 클리퍼스퍼시픽 리그 5위진출 실패
1951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2위진출 실패
1952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53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1954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패배 (3-4, 드래건스)
1955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2위진출 실패
1956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우승 (4-2, 자이언츠)
1957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우승 (4-0, 자이언츠)
1958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우승 (4-3, 자이언츠)
1959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1960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61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62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63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패배 (3-4, 자이언츠)
1964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5위진출 실패
1965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66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2위진출 실패
1967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2위진출 실패
1968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5위진출 실패
1969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5위진출 실패
1970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6위진출 실패
1971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6위진출 실패
1972니시테츠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6위진출 실패
1973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1974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1975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76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6위진출 실패
1977크라운 라이터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6위진출 실패
1978크라운 라이터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5위진출 실패
1979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6위진출 실패
1980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1981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1982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우승 (4-2, 드래곤스)
1983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우승 (4-3, 자이언츠)
1984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85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패배 (2-4, 타이거스)
1986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우승 (4-3, 카프)
1987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우승 (4-2, 자이언츠)
1988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우승 (4-1, 드래곤스)
1989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90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우승 (4-0, 자이언츠)
1991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우승 (4-3, 카프)
1992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우승 (4-3, 스왈로스)
1993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패배 (3-4, 스왈로스)
1994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패배 (2-4, 자이언츠)
1995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96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1997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패배 (1-4, 스왈로스)
1998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패배 (2-4, 베이스타스)
1999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2위진출 실패
2000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2위진출 실패
2001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2002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패배 (0-4, 자이언츠)
2003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2위진출 실패
2004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우승 (4-3, 드래곤스)
2005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3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0-2, 마린스)
2006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1-2, 호크스)
2007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5위진출 실패
2008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일본 시리즈 우승 (4-3, 자이언츠)
2009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2010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0-2, 마린스)
2011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3위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전 패배 (0-4, 호크스)
2012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1-2, 호크스)
2013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1-2, 마린스)
2014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5위진출 실패
2015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2016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4위진출 실패
2017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2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1-2, 골든 이글스)
2018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전 패배 (2-4, 호크스)
2019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1위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전 패배 (1-4, 호크스)
2020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3위진출 실패
2021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6위진출 실패
2022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3위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패배 (0-2, 호크스)
2023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5위진출 실패
2024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퍼시픽 리그 6위진출 실패


7. 역대 홈구장

기간구장명
1950년헤이와다이 야구장, 가스가바라 구장[265]
1951년 ~ 1978년헤이와다이 야구장
1979년 ~ 1997년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1998년 ~ 현재메트라이프 돔[266]


  • 1965년부터 1972년까지는 고쿠라 구장을 병행 사용했다.
  • 1973년부터 1978년까지는 후지사키다이 현영 야구장을 준본거지로 사용했다.


1950년에는 서일본 파이리츠가 헤이와다이 야구장을, 서일본 철도가 가스가바라 구장을 일종의 본거지로 정했지만, 현내 경기 수는 매우 적었다.[169]

퍼시픽 리그에서는 지방 구장에서 주최 경기를 개최하여 관객 동원 수를 늘리는 전략을 사용하는 팀이 많았지만, 세이부 라이온스 구장(현 세이부 돔)에서의 경기 개최율이 높은 세이부의 방침은 이례적이었다.[170] 1982년부터 1986년, 1989년부터 1993년까지 총 10년간은 세이부 구장에서 모든 주최 경기를 실시했고, 그 외 5년간도 지방 구장 개최는 헤이와다이 야구장뿐이었다. 1994년 이후 점차 지방 개최를 실시, 2000년부터 2008년까지는 나가노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매년 경기를 개최했다. 1996년부터는 군마현립 시키시마 공원 야구장에서도 2, 3년에 한 번씩 경기를 개최했고, 와타나베 히사노부 감독 재임 시기에는 감독의 출신지라는 이유로 거의 매년 개최되었다. 2008년부터는 사이타마현영 오미야 공원 야구장에서도 매년 주최 경기를 실시하고 있다. 단, 구단명에 '사이타마'가 붙은 이후로는 사이타마현 외에서의 공식전 주최 경기는 감소하는 추세이다.

8. 역대 외국인 선수

다음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에서 활동했던 주요 외국인 선수들이다.한국어


  • Orestes Destrade|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영어
  • 郭泰源|궈타이위안중국어
  • Craig Brazell|크레이그 브라젤영어
  • Brian Sikorski|브라이언 시코스키영어
  • Andy Van Hekken|앤디 밴 헤켄영어

9. 영구 결번

稲尾和久|이나오 가즈히사일본어의 등번호 24번은 2012년 5월 1일 구단에 의해 라이온스의 첫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다.[1]

10. MLB 진출 선수


기쿠치 유세이


MLB 은퇴 선수:
마쓰이 가즈오


야마카와 호타카

11. 마이너 리그 팀

라이온스의 팜팀은 이스턴리그에서 활동한다. 팀 창단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1952년 간사이 팜리그에서 처음 활동했으며, 1979년 이스턴리그에 합류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uthentic Collection | 埼玉西武ライオンズ公式オンラインショップ https://store.seibul[...]
[2] 웹사이트 Rockies acquire infielder Kazuo Matsui and cash considerations from New York Mets in exchange for outfielder Eli Marrero http://newyork.mets.[...] 2016-08-01
[3] Youtube How Every NPB Team got its Name (feat. The Yakyu Cosmopolitan) https://www.youtube.[...] 2022-02-08
[4] 뉴스 The Veggie Baseball Team https://web.archive.[...] Parade Magazine 1984-04-15
[5] 웹사이트 Nippon Professional Baseball 埼玉西武ライオンズ 年度別成績 (1950-2021) https://npb.jp/bis/t[...] 2021-08-20
[6] 웹사이트 株式会社西武ライオンズ 第75期決算公告 https://catr.jp/comp[...]
[7] 기타
[8] 기타
[9] 기타
[10] 웹사이트 http://www.ncbank.co[...] 2015-10
[11] 기타
[12] 웹사이트 沿革 1946~1955年 https://www.nishitet[...] 西鉄グループ 2023-06-23
[13] 웹사이트 「2022年度決算及び第16次中期経営計画説明会」 2022年決算概要 https://www.nishitet[...] 西日本鉄道株式会社 2023-05-22
[14] 웹사이트 西鉄「野武士軍団」の軌跡 櫛田神社で展示、"幻の球団旗原案"も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 2022-01-13
[15] 기타
[16] 기타
[17] 기타
[18] 서적 魔術師 三原脩と西鉄ライオンズ 文藝春秋社
[19] 기타
[20] 기타
[21] 뉴스 プロ野球 両リーグの優勝決る 栄冠、中日と西鉄へ 朝日新聞 1954-10-20
[22] 기타
[23] 기타
[24] 기타
[25] 기타
[26] 웹사이트 セントラル・リーグの略史 https://npb.jp/cl/hi[...] 日本野球機構 2024-11-02
[27] 웹사이트 パシフィック・リーグの略史 https://npb.jp/pl/hi[...] 日本野球機構 2024-10-24
[28] 웹사이트 1979年 西武ライオンズ誕生 https://www.seibulio[...] 西武ライオンズ 2024-05-28
[29] 기타
[30] 간행물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3-11
[31] 기타
[32] 웹사이트 中西 太 (なかにし ふとし) https://baseball-mus[...]
[33] 웹사이트 三原 脩 みはら・おさむ 個人年度別成績 https://npb.jp/bis/p[...] 一般社団法人日本野球機構 2024-10-08
[34] 기타
[35] 기타
[36] text
[37] text
[38] text
[39] text
[40] book ライオンズ60年史 (不明) 2010
[41] text
[42] book 神様、仏様、稲尾様 私の履歴書 日本経済新聞出版社
[43] 웹사이트 【12月17日】1975年(昭50) えっ「五分五分」なのに発表!ライオンズ、幻のドローチャー監督 http://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08-12-11
[44] text
[45] 웹사이트 【10月12日】1978年(昭53) “福岡”ライオンズの歴史に幕、西武がついに球界進出 https://web.archive.[...]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07-10-12
[46] 뉴스 西武「クラウン」を買収 所沢新球場に本拠地 朝日新聞 1978-10-13
[47] 뉴스 朝日新聞 1978-10-13
[48] text
[49] 뉴스 【データ】阪神が開幕8連敗 9連敗でセ記録更新 最長記録はトンボと西武の12連敗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50] text
[51] 웹사이트 “常勝西武”をもう一度…強かったレオの黄金時代を振り返る http://baseballking.[...] 2016-02-25
[52] text
[53] text
[54] 웹사이트 東尾 修(ひがしお おさむ) https://baseball-mus[...]
[55] text
[56] 간행물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 2009-03
[57] 웹사이트 年度別成績 2002年 パシフィック・リーグ https://npb.jp/bis/y[...] 日本野球機構
[58] 웹사이트 2002年度日本シリーズ 試合結果 https://npb.jp/bis/s[...] 日本野球機構
[59] book ALL STAR SERIES JAPAN 2002 日米野球公式プログラム 読売新聞東京本社
[60] text
[61] text
[62] 웹사이트 伊東 勤 いとう・つとむ 個人年度別成績 https://npb.jp/bis/p[...] 一般社団法人日本野球機構
[63] 웹사이트 廣岡 達朗 (ひろおか たつろう) https://baseball-mus[...]
[64] 웹사이트 森 祇晶 (もり まさあき) https://baseball-mus[...]
[65] 웹사이트 球団概要 https://www.seibulio[...] 西武ライオンズ
[66] 웹사이트 西武鉄道の後藤社長がチーム名変更を検討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05-11-19
[67] 웹사이트 2008年 王座奪還!初のアジア制覇!! https://www.seibulio[...] 西武ライオンズ
[68] text
[69] 웹사이트 2008年度 パシフィック・リーグ チーム勝敗表 https://npb.jp/bis/2[...] 一般社団法人 日本野球機構
[70] 웹사이트 ホーム側変更のお知らせ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08-12-26
[71] 뉴스 null null null null
[72] 뉴스 null null null null
[73] 뉴스 null null null null
[74] 웹사이트 西武10連勝!逆転CSへ驚異の追い上げ http://www.sanspo.co[...] SANSPO.COM 2011-10-18
[75] 뉴스 西武が大逆転でCS進出! パの順位確定 http://www.sanspo.co[...] サンケイスポーツ 2011-10-18
[76] 웹사이트 ライオンズ・クラシック 稲尾和久 生誕75周年 永久欠番メモリアルゲーム 〜背番号「24」の記憶〜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2-05-01
[77] 뉴스 「稲尾デー」西武み〜んな背番「24」生誕75周年 https://www.sponichi[...] 2012-07-02
[78] 뉴스 逆転Vならず…渡辺監督「こういう形で優勝が決まって残念」 https://www.sponichi[...] 2012-10-02
[79] 웹사이트 2012年10月15日 埼玉西武 対 福岡ソフトバンク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2-10-15
[80] 웹사이트 平尾博嗣・佐藤友亮 2選手が引退を表明|埼玉西武ライオンズ https://sp.seibulion[...]
[81] 웹사이트 中村マイケル・大島裕行 2選手が引退を表明|埼玉西武ライオンズ https://sp.seibulion[...]
[82] 뉴스 中島裕之:アスレチックスへ 2年契約5億5000万円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2-12-18
[83] 뉴스 アスレチックス:中島が入団会見 「この場にいて光栄」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2-12-19
[84] 뉴스 【西武】開幕ダッシュ成功で10勝一番乗り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3-04-14
[85] 뉴스 ミスミス陥落に渡辺監督さばさば 「ずるずるいきそう」危機感も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3-05-09
[86] 뉴스 西武 ミス響き1カ月ぶり零敗で3位に後退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3-05-22
[87] 웹사이트 2013年度 交流戦 チーム勝敗表 https://npb.jp/bis/2[...] 日本野球機構 null
[88] 뉴스 西武、3連敗で貯金すべて吐き出す…渡辺監督は「必ず上がってくる」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3-06-29
[89] 뉴스 西武 15安打7点でオリックスを圧倒 2位に浮上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3-07-28
[90] 뉴스 西武 同一カード3連敗…7月4日以来の4位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3-08-15
[91] 뉴스 埼玉でCS!西武、最終決戦10点爆勝&今季初8連勝で2位 http://www.sanspo.co[...] 産業経済新聞社 2013-10-09
[92] 뉴스 おかわり弾で逆転CS圏!3位浮上 直接対決でソフトBを連破4連勝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3-10-04
[93] 뉴스 西武4年連続CS進出!おかわり9回V弾 岸139球熱投実った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3-10-05
[94] 뉴스 西武、8連勝締め!2位死守でCS本拠地開催決めた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3-10-08
[95] 뉴스 パも下克上!ロッテ、西武下して3年ぶりファイナルS進出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3-10-14
[96] 웹사이트 渡辺久信監督が辞意を表明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3-10-15
[97] 웹사이트 渡辺前監督シニアディレクターに就任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3-10-18
[98] 웹사이트 伊原春樹監督 就任のお知らせ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3-10-22
[99] 웹사이트 選手の心が離反して最下位独走。西武・伊原監督休養 https://allabout.co.[...] 2021-07-28
[100] 뉴스 西武 伊原監督が休養 残り試合は田辺コーチが代行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4-06-04
[101] 뉴스 西武 伊原氏退任 球団本部付アドバイザーに 田辺代行そのまま指揮 https://web.archive.[...]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4-06-27
[102] 뉴스 西武、7年ぶり負け越し決定…田辺監督代行「俺の責任」 https://www.sanspo.c[...] 産業経済新聞社 2014-09-22
[103] 뉴스 西武 5年ぶりBクラス決定も…田辺代行「全力尽くしてやるしか」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4-09-27
[104] 웹사이트 田辺 徳雄監督 就任のお知らせ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4-10-02
[105] 뉴스 おかわり連発 田辺監督24歳以来の西武開幕5連勝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5-04-03
[106] 뉴스 西武中村 交流戦8本目の本塁打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5-06-14
[107] 뉴스 西武・おかわり19号!観戦家族の前で三男バースデー祝砲 https://www.sanspo.c[...] 2015-06-14
[108] 뉴스 CS進出へ必死の白星!西武、球団通算4500勝 https://www.sanspo.c[...] 2015-08-29
[109] 뉴스 西武 パ最速4500勝 高橋朋、信頼回復へ52日ぶり22S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5-08-29
[110] 뉴스 西武4500勝!十亀が自己最多9勝 https://www.daily.co[...] 神戸新聞社 2015-08-29
[111] 뉴스 西武4500勝「序盤ムダな失点なかった」十亀9勝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5-08-28
[112] 뉴스 CS逃した西武・田辺監督「大事な試合で勝ちきれなかった」 https://www.tokyo-sp[...] 東京スポーツ新聞社 2015-10-04
[113] 웹사이트 2016年度 パシフィック・リーグ チーム守備成績 http://npb.jp/bis/20[...]
[114] 뉴스 西武 楽天に初の負け越し、田辺監督淡々「こういう時もある」 https://www.sponichi[...] スポニチ 2016-09-18
[115] 뉴스 【楽天】地元・宮城出身の岸、FA移籍「実現すると思わなかった」…インタビュー https://web.archive.[...] スポーツ報知
[116] 뉴스 西武D名称は「メットライフドーム」に!命名権5年間取得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7-01-16
[117] 뉴스 西武止まらない13連勝 58年西鉄以来59年ぶり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7-08-05
[118] 뉴스 西武2位浮上、楽天キラー8連勝「まだまだ先長い」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7-08-31
[119] 뉴스 西武・菊池雄星がダブルで初タイトル、最優秀防御率&最多勝利の2冠に輝く https://full-count.j[...] Full-Count 2017-10-10
[120] 뉴스 西武・源田と中日・京田が新人王!両リーグ遊撃手は史上初 https://baseballking[...] ベースボールキング 2017-11-20
[121] 웹사이트 西武ライオンズ 40周年記念事業 http://www.seibulion[...]
[122] 웹사이트 株式会社西武ライオンズ 40周年記念事業 http://v4.eir-parts.[...]
[123] 웹사이트 株式会社西武ライオンズ 40周年事業の実施を発表 メットライフドームエリアの改修計画・周年イベントの内容が決定! 〜過去最大規模となる改修を実施、2021年春完成へ〜 http://www.seibulion[...]
[124] 뉴스 西武HD、ライオンズの本拠地を改修 https://www.nikkei.c[...] 日経新聞
[125] 뉴스 西武 球場観客席など大幅改修を発表 http://www3.nhk.or.j[...] NHK
[126] 웹사이트 4/17(火)、球団史上初の東京ドーム主催試合で来場者全員に「ライオンズ・クラシック2018」ユニフォームを配布! https://www.seibulio[...]
[127] 뉴스 西武球団初、本拠開幕8連勝 栗山弾で3戦連続逆転!! https://www.nishinip[...]
[128] 뉴스 西武63年ぶり貯金10 怪童中西太氏も強さに◎ - プロ野球 : 日刊スポーツ https://www.nikkansp[...]
[129] 뉴스 西武 11点快勝!球団記録更新の開幕から本拠地9連勝 - スポニチ Sponichi Annex 野球 https://www.sponichi[...]
[130] 뉴스 西武、本拠地連勝が「12」でストップ https://web.archive.[...]
[131] 뉴스 西武、5試合連続9得点!パ・リーグ新記録達成! - スポニチ Sponichi Annex 野球 https://www.sponichi[...]
[132] 뉴스 西武、14年ぶり4月に2度目の5連勝!山川の2本塁打などで12点圧勝 - スポニチ Sponichi Annex 野球 https://www.sponichi[...]
[133] 뉴스 【西武】10年ぶり22度目のリーグ優勝 「獅子おどし打線」でパ制圧…辻監督8度舞う https://hochi.news/a[...] 2018-09-30
[134] 뉴스 西武の辻発彦監督がCS敗退に男泣き 嗚咽がスタジアム内に響き渡る https://news.livedoo[...] 2018-10-21
[135] 웹사이트 読売ジャイアンツ、歴代監督・シーズン順位変遷一覧 (3ページ目〜) https://www.baseball[...] カンゼン 2022-10-02
[136] 웹사이트 埼玉西武ライオンズ、歴代監督・シーズン順位変遷一覧 (2ページ目〜) https://www.baseball[...] カンゼン 2022-10-02
[137] 일반
[138] 뉴스 西武、2年連続23度目のリーグv 最大8・5差を逆転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19-09-24
[139] 웹사이트 西武、個人打撃タイトル6部門中5部門を占める。中村剛也は「『ランナーをかえす』ということを意識して打席に入った結果」、山川穂高は「正直悔しい」 https://www.baseball[...]
[140] 뉴스 ソフトバンクに下剋上を許した西武の辻発彦監督「強かったな」 https://news.livedoo[...]
[141] 뉴스 パ・リーグ歴代優勝チーム/一覧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20-10-28
[142] 웹사이트 プロ野球・2020年シーズンの全日程発表 CSはセなし・パありに https://baseballking[...]
[143] 웹사이트 埼玉西武ライオンズが球団通算5000勝に到達。史上6球団目|パ・リーグ.com|プロ野球 https://pacificleagu[...]
[144] 웹사이트 球団通算5,000勝を達成!|埼玉西武ライオンズ https://www.seibulio[...]
[145] 뉴스 【西武】球団通算5000勝達成!史上6球団目 2リーグ分裂後に誕生した球団では最速到達 https://www.nikkansp[...] 2022-08-28
[146] 웹사이트 西武、3位確定で3年ぶりCS進出が決定 試合なしも楽天がソフトバンクに敗れる https://full-count.j[...] 2022-09-29
[147] 뉴스 【西武】連敗で敗退 ソフトバンク柳田に連日の1発浴びる 辻監督CS8連敗、4度目も勝てず https://www.nikkansp[...] 2022-10-09
[148] 웹사이트 埼玉西武ライオンズ監督代行のお知らせ https://npb.jp/news/[...] 2024-05-27
[149] 웹사이트 西武激震!松井稼頭央監督が休養へ 渡辺久信GMが監督代行 リーグ最下位と苦戦 26日オリ戦が最後 https://www.sponichi[...] 2024-05-26
[150] 뉴스 【西武】2年連続交流戦最下位が決定 渡辺GM兼監督代行「ファンには申し訳ない」 https://hochi.news/a[...] 報知新聞社 2024-06-16
[151] 웹사이트 日本生命セ・パ交流戦2024 勝敗表 https://npb.jp/inter[...] 日本野球機構 2024-07-06
[152] 뉴스 西武、球団ワースト32イニング連続無得点で100敗ペース突入 借金も今季最多26に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24-06-22
[153] 뉴스 【西武】ロッテに開幕から13連敗 1965年以来のプロ野球ワーストタイ記録 https://www.nikkansp[...] 2024-07-31
[154] 웹사이트 西武、天敵ロッテに負け続けプロ野球ワースト新記録の同一カード開幕14連敗 https://baseballking[...] シーソーゲーム 2024-08-01
[155] 뉴스 【西武】まさかのサヨナラ暴投で対ロッテ16連敗「投打含めて勝負弱さ」渡辺監督代行 / 一問一答 https://www.nikkansp[...] 2024-08-28
[156] 뉴스 西武がロッテに勝った!14安打8得点で331日ぶりのカード勝利 パ59年ぶり屈辱の17連敗は回避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24-08-29
[157] 뉴스 西武CS完全消滅…8月でBクラス確定 渡辺監督代行は“謝罪”「私の力不足しかない」 https://full-count.j[...] Creative2 2024-08-31
[158] 웹사이트 西武・渡辺監督代行 3年ぶり最下位確定も「これだけ負けてれば当然」若手へ「モチベーションを持って」 https://www.sponichi[...] 2024-09-10
[159] 뉴스 【西武】球団ワースト更新となるシーズン最多の85敗目…ルーキー杉山が4回途中6失点と振るわず https://www.nikkansp[...]
[160] 일반
[161] 일반
[162] 일반
[163] 일반
[164] 웹사이트 【背番号物語】西武「#24」振り返られた西鉄の栄光。“鉄腕”の永久欠番が西武を黄金時代に導いた? https://column.sp.ba[...]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1-01-31
[165] 뉴스 西武「24」永久欠番に 西鉄エースの鉄腕・稲尾氏しのび https://www.sponichi[...] 2012-04-28
[166] 웹사이트 投手三冠で沢村賞を逃したのは1人だけ。千賀滉大は2人目になる!? https://news.yahoo.c[...]
[167] 웹사이트 三冠王 | 各種記録達成者一覧 | 達成記録 https://npb.jp/histo[...] 日本野球機構 2022-10
[168] 웹사이트 最優秀選手 - プロ野球 : 日刊スポーツ https://www.nikkansp[...]
[169] 웹사이트 【記録員コラム】29都道府県、52球場を駆け巡った西日本パイレーツ https://npb.jp/news/[...]
[170] 일반
[171] 일반
[172] 일반
[173] 일반
[174] 일반
[175] 일반
[176] text
[177] text
[178] 웹사이트 スポーツライター・綱島理友の「綱島プロ野球研究所」からニックネームCの項 http://homepage2.nif[...] 2015-10
[179] 웹사이트 西武ライオンズ株式のグループ内異動について https://ssl4.eir-par[...] 西武ホールディングス 2020-04-12
[180] text
[181] 논문 “私のレオ”がマスコットで復活した喜び 文藝春秋 1988-03-20
[182] text
[183] text
[184] text
[185] 웹사이트 ついに21人目、止まらぬ西武の“FA流出” 12球団最多…パ連覇の中軸が全員他球団へ https://full-count.j[...] 2024-08-13
[186] 간행물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 2002
[187] 서적 よみがえる1970年代のプロ野球 [Part.1] 1974年編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2
[188] 서적 [完全保存版]12球団ユニフォーム大図鑑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0
[189] 서적 [完全保存版]12球団ユニフォーム大図鑑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0
[190] text
[191] text
[192] text
[193] 서적 日本プロ野球ユニフォーム大図鑑 下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3
[194] 논문 復刻ユニフォーム物語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8-07-28
[195] text
[196] 서적 よみがえる1990年代のプロ野球[Part.3] 1996年編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1
[197] text
[198] 뉴스 西武が新ユニホーム発表/胸にLIONS https://www.shikoku-[...] 四国新聞社 SHIKOKU NEWS 2022-06-22
[199] text
[200] text
[201] 웹사이트 ライオンズ 3rdユニフォームとして「Saitama」ユニフォームを2013シーズン着用!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5-10-26
[202] 웹사이트 球界初の県章を配した「Saitama」ユニフォーム!2014シーズンも着用決定!!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5-10-26
[203] 웹사이트 マジェスティック社とのオフィシャルサプライヤー契約締結のお知らせ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6-01-15
[204] 웹사이트 ユニフォームのパンツスポンサーが西武・そごうのプライベートブランド「リミテッド エディション」に決定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6-01-29
[205] 웹사이트 球団初!キャップ広告決定「こんにゃくパーク」を運営するヨコオデイリーフーズとスポンサー契約を締結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8-01-29
[206] 뉴스 ファンと選手がひとつとなり勝利を目指すビクトリーエンブレムとサードユニフォームを発表!|埼玉西武ライオンズ http://www.seibulion[...] 2018-11-23
[207] 뉴스 2023シーズンよりホームユニフォームが新しく!新ホームユニフォーム発表!|埼玉西武ライオンズ https://www.seibulio[...] 2023-03-10
[208] 웹사이트 ライオンズユニフォームデザイン大募集!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公式 2012-05-27
[209] 웹사이트 あの感動と興奮を再び!9/25~27 西武鉄道創立100周年記念ユニフォームを再着用!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5-10-26
[210] 웹사이트 球団初!記念ユニフォームの来場者配布も!!「西武鉄道創立100周年記念シリーズ」開催日程決定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3-02-11
[211] 웹사이트 ジャングル大帝シリーズ開催!手塚プロダクションがユニフォームをデザイン!!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5-10-26
[212] 웹사이트 西武鉄道の「黄色い電車」をモチーフにしたユニフォームを着用!西武鉄道100年アニバーサリー企画開催決定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5-10-26
[213] 웹사이트 2016年夏の新シリーズ「ライオンズ フェスティバルズ 2016」開催決定!LIONSの夏は「エメラルド」!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6-06-13
[214] 웹사이트 9/17・18・19エメラルドユニフォームの再着用が決定!スタンドをもう一度“エメラルド”に!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6-08-26
[215] 웹사이트 炎の色の獅子を見よ!「ライオンズ フェスティバルズ 2017」期間限定ユニフォームは真っ赤に燃える“炎獅子【えんじし】”ユニフォームに決定!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7-04-08
[216] 뉴스 西武59年ぶり13連勝!“絶好調男”山川V打で首位ソフトB下す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7-08-04
[217] 뉴스 強すぎる!西武、“戦闘服”炎獅子ユニで20勝4敗締め https://www.sanspo.c[...] サンケイスポーツ 2017-08-18
[218] 웹사이트 「ライオンズ フェスティバルズ2018」期間限定“獅子風流≪ししぶる≫”ユニフォームを発表!この夏はライオンズが辻風を巻き起こす!!|埼玉西武ライオンズ http://www.seibulion[...] 2018-04-10
[219] 웹사이트 7/19(金)~「ライオンズ フェスティバルズ 2019」は期間限定“令王≪レオ≫”ユニフォームで、新時代“令和”初の王座をつかみ獲る!|埼玉西武ライオンズ https://www.seibulio[...] 2019-05-06
[220] 웹사이트 西武、夏の企画ユニホーム発表 「令王《レオ》」ユニで“令和初王座”つかむ https://full-count.j[...] 2019-05-06
[221] 웹사이트 “ライオンズ70周年ユニフォーム”&“サードユニフォーム”チーム着用日と“各種ユニフォーム付きチケット”販売のお知らせ|埼玉西武ライオンズ https://www.seibulio[...] 2021-03-18
[222] 웹사이트 西武、2020年出陣式開催で“黄金期ユニ”披露 年間16試合で70周年シリーズ開催 https://full-count.j[...] 2020-02-03
[223] 웹사이트 ライオンズ70周年「SPIRIT of KING」が始動!70周年ユニフォーム発表&4/21東京ドーム開催を含む3試合でビジター外野除く来場者全員配布(※)|埼玉西武ライオンズ https://www.seibulio[...] 2020-02-03
[224] 웹사이트 7/13(火)~「ライオンズ フェスティバルズ 2021」を2年ぶりに開催!色鮮やかな「彩虹(さいこう)ユニフォーム」で真夏のお祭りを楽しもう!|埼玉西武ライオンズ https://www.seibulio[...] 2021-05-05
[225] 웹사이트 西武が夏季限定「彩虹ユニフォーム」お披露目 7~8月の計17試合で着用予定 | BASEBALL KING https://baseballking[...] 2021-05-05
[226] 웹사이트 7/22(金)~「ライオンズ フェスティバルズ 2022」を開催!今年のテーマは「WILD WILD SUMMER 野性に還る夏」!|埼玉西武ライオンズ https://www.seibulio[...] 2022-09-10
[227] 웹사이트 6/30(金)~「西武特急シリーズ」開催決定!西武鉄道の新型特急Laview(ラビュー)をイメージした限定ユニフォームを発表 https://www.seibulio[...] 2023-06-03
[228] 웹사이트 【西武】西武特急シリーズ限定ユニホームを発表 松井稼頭央監督「スピード感あふれるプレーで躍動してほしい」 https://hochi.news/a[...] 2023-06-03
[229] 웹사이트 8/1(火)~「ライオンズ フェスティバルズ 2023」を開催!期間限定ユニフォーム「蒼空ユニフォーム」の販売も本日スタート! https://www.seibulio[...] 2023-06-03
[230] 웹사이트 4/19(金)~「西武ブルーシリーズ」開催決定!期間中選手たちが着用する限定ユニフォームを発表 https://www.seibulio[...] 2024-04-14
[231] 웹사이트 【西武】“ライオンズブルー”の限定ユニホーム発表…3年目左腕コンビが''試着'' https://hochi.news/a[...] 2024-04-14
[232] 웹사이트 null null null
[233] 웹사이트 球団応援歌を初のリニューアル!「吠えろライオンズ LIONS 70th バージョン」歌い手は広瀬香美さん!ラッキー7を一緒に盛り上げてくれるファンクラブ会員も募集! https://www.seibulio[...] 2020-06-08
[234] 뉴스 西武ライオンズの先祖に“幻の球団歌” 1950年に1シーズンだけ存在「西鉄クリッパース」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 2019-04-23
[235] 일반 null null null null
[236] 일반 null null null null
[237] 일반 null null null null
[238] 뉴스 九州の礎を築いた群像 西鉄編 (10) ライオンズ 復興支えた栄光の「野武士集団」 創設の裏に白洲次郎、GHQ… (6/8ページ) https://web.archive.[...] 産業経済新聞社 2014-03-13
[239] 일반 null null null null
[240] 일반 null null null null
[241] 일반 null null null null
[242] 일반 null null null null
[243] 웹사이트 球団情報 | 西武ライオンズ https://web.archive.[...] 2008-02-03
[244] 뉴스 九州の礎を築いた群像 西鉄編 (10) ライオンズ 復興支えた栄光の「野武士集団」 創設の裏に白洲次郎、GHQ… (7/8ページ) https://web.archive.[...] 産業経済新聞社 2014-03-13
[245] 보도자료 夜行高速バス 福岡〜横浜・池袋(大宮)線「Lions Express」 デザイン決定! http://www.nishitets[...] 西鉄高速バス・西武観光バス 2015-10-26
[246] 보도자료 [高速バス]福岡〜横浜・池袋(大宮)線「Lions Express」 12/8から運行開始 http://www.nishitets[...] 西鉄高速バス・西武観光バス 2011-11-11
[247] 웹사이트 にしてつwebミュージアム http://www.nishitets[...]
[248] 웹사이트 http://wakajishi-sei[...]
[249] 웹사이트 「あの事件で大人に」ロッテ木村が7年目でプロ1勝 - 野球 : 日刊スポーツ https://www.nikkansp[...]
[250] 위키
[251] 웹사이트 asahi.com:「本人、知らなかったことに」西武が偽装指示 早大会見 - ドラフト裏金 http://www.asahi.com[...]
[252] 웹사이트 asahi.com:西武調査委が最終報告書 処分は連休明け以降に - ドラフト裏金 http://www.asahi.com[...]
[253] 위키
[254] 위키
[255] 보도자료 東京のラジオ局 文化放送と資本業務提携が決定 https://broncos20.jp[...] 공식 사이트 2021-02-16
[256] 웹사이트 2021시즌 라이온즈 주최 경기는 "소고우·세이부" 기업 로고가 들어간 통일구를 사용 https://www.seibulio[...] 2021-03-18
[257] 웹사이트 ~2018 퍼시픽 리그~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우승 축하" 세일 https://www.itoyokad[...] 2018-09-28
[258] 뉴스 日(일) 프로야구(야구) 구단 양도 교섭(교섭) 파산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72-10-24
[259] 뉴스 【ライオンズ70周年】福岡野球株式会社 https://note.com/ner[...] note 2020-05-24
[260] 뉴스 중국-대만 문제가 여기에도? 태평양 클럽 라이온즈의 대만 캠프에 보도진이 1사의 이유/주간 베이스볼 회고 1973년 편 https://column.sp.ba[...] 슈칸 베이스볼 2021-06-23
[261] 뉴스 롯데, 1차 캠프 미국이 아닌 대만으로 가는 이유 https://sports.news.[...] 스포츠조선 2018-01-07
[262] 뉴스 라쿠텐 이글스, 대만 원정. 대만에 원정 간 일본 프로야구 팀을 돌아본다 https://news.yahoo.c[...] 야후 재팬 뉴스 2019-02-26
[263] 위키
[264] 위키
[265] 위키
[266] 위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