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이데 히데마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이데 히데마사는 1540년에 태어나 1604년에 사망한, 센고쿠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무장이자 다이묘이다. 오다 가문의 가신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외삼촌(이모부)이자 가신으로 활동하며, 히데요시의 측근으로 여러 중요한 임무를 수행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아들들이 동군과 서군으로 나뉘어 참전하는 상황 속에서, 차남 히데이에의 활약으로 가문 전체가 용서받고 영지를 보전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시와다번주 - 마쓰다이라 야스테루
마쓰다이라 야스테루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기시와다 번주, 하리마 야마자키 번주를 거쳐 이와미 하마다 번주를 지내며 번정의 기초를 다지고 가로 이시카와 마사니시에게 몬켄슈 편찬을 명했다. - 기시와다번주 - 고이데 요시히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종질이자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지지한 고이데 요시히데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서 단바 이즈시번과 기시와다번의 번주를 지냈다. - 고이데씨 - 기시와다번
기시와다번은 1585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고이데 히데마사를 성주로 임명하며 시작되어 고이데 가문, 마쓰다이라 마쓰이 가문을 거쳐 오카베 가문이 다스렸고, 폐번치현 이후 오사카부에 편입된 번이다. - 고이데씨 - 고이데 요시히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종질이자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지지한 고이데 요시히데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서 단바 이즈시번과 기시와다번의 번주를 지냈다. - 1604년 사망 - 휴정
휴정은 임진왜란 때 승군을 이끌고 활약했으며, 조선 불교 중흥에 기여하고 종교 간 화합을 강조한 승려이다. - 1604년 사망 - 구와야마 가즈하루 (초대)
구와야마 가즈하루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분로쿠·게이초의 역에 참전하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워 야마토 신조 번 초대 번주가 되었으나 후사 없이 사망했다.
고이데 히데마사 | |
---|---|
기본 정보 | |
씨족 | 고이데 씨 |
이름 | 고이데 히데마사 |
별명 | 시게마사, 통칭: 진자에몬(조) |
계명 | 혼코인 요운닛쇼 다이고지 |
묘소 | 혼코쿠지 (교토시 야마시나구) |
출생 | 덴분 9년 (1540년) |
사망 | 게이초 9년 3월 22일 (1604년4월 21일) |
관위 | 종5위 하리마노카미 |
정치적 연관 | |
막부 | 에도 막부 |
주군 | 도요토미 히데요시 → 히데요리 → 도쿠가와 이에야스 |
번 | 이즈미기시와다 번 초대 번주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고이데 마사시게 |
배우자 | 정실: 에이쇼인 (오오만도코로의 여동생) |
자녀 | 요시마사, 히데이에, 닛추서자. 승려가 되어, 혼코쿠지 에이쇼인의 주지가 되었다., 미쓰요시, 시게카타서자. 히데이에 양자., 히데키요서자. 요시마사 가래., 딸 (도모마쓰 진시로 실) |
2. 생애
고이데 히데마사는 1540년 오다 가문의 가신인 고이데 마사시게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와는 같은 고향 출신으로, 히데요시의 외삼촌(이모부)에 해당한다. 히데마사는 조카 히데요시를 따라 그의 가신이 되었으며, "히데"라는 이름은 히데요시에게서 받은 편휘이다.[5]
1582년 하리마국 히메지성의 유수를 맡았으며,[6] 1585년에는 이즈미 기시와다성 3만 석의 영지를 받았다.[7] 1591년 히데요시의 미카와 기라 사냥에 수행하였고, 1596년 도요토미 성을 하사받았다.[5]
1598년 히데요시 사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이시다 미쓰나리의 대립에서 히데마사는 병을 핑계로 은거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히데마사는 오사카성에 남아 도요토미 히데요리를 보좌했지만, 그의 아들들은 동군과 서군 양쪽에 가담했다. 전쟁 후, 고이데 가문은 처벌받을 위기에 놓였으나, 차남 히데이에의 공적으로 가문은 용서받고 영지를 유지할 수 있었다.[6]
1604년 히데마사는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법명은 혼코인 요운 닛세이 다이코지이다.
2. 1. 출신과 초기 이력
덴분 9년(1540년), 오와리국 아이치군 나카무라(지금의 아이치현 나고야시 나카무라구)에서 오다 가문의 가신인 고이데 마사시게(정중)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와는 같은 고향 출신으로, 정실은 히데요시의 어머니 오만도코로의 여동생인 에이쇼인이었으며, 히데마사는 히데요시의 외삼촌(이모부)에 해당한다. 조카 히데요시가 입신하자, 히데마사는 그의 가신이 되었다. 히데마사의 "히데"는 히데요시로부터 받은 편휘이다.[5]덴쇼 10년(1582년) 10월 22일, 하리마국 히메지성의 유수(留守居)를 맡았다.[6]
2. 2. 도요토미 정권 하에서의 활동
덴분 9년(1540년), 오다 가문의 가신인 고이데 마사시게(정중)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와는 같은 고향 출신으로, 히데요시의 어머니 오만도코로의 여동생이 히데마사의 정실이다. 즉, 히데마사는 히데요시의 외삼촌(이모부)에 해당한다. 히데마사는 조카 히데요시의 가신이 되었으며, "히데"라는 이름은 히데요시로부터 받은 편휘이다.[5]덴쇼 10년(1582년) 10월 22일, 하리마국히메지성의 유수(留守居)를 맡았다.[6] 덴쇼 13년(1585년)에는 이즈미 기시와다성 3만 석의 영지를 받았다.[7] 덴쇼 19년(1591년)에는 히데요시의 미카와 기라 사냥에 수행했다.
게이초 원년(1596년), 도요토미 성을 하사받았다.[5]
게이초 3년(1598년) 3월, 다이고의 벚꽃놀이 때 히데요시의 정실 고다이인을 수행했다. 같은 해 8월, 히데요리의 보좌를 의뢰받아 카타기리 카츠모토 등 5명의 후견인 중 한 명이 되었다. 같은 달, 히데요시가 죽자 유물로 금 30매를 받았다.
히데요시 사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고부교의 이시다 미쓰나리 사이에 갈등이 발생하자, 히데마사는 병을 핑계로 은거했다.
2. 3. 세키가하라 전투 전후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고이데 히데마사는 이에야스를 따르는 동군과 이시다 미쓰나리를 따르는 서군 사이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히데마사 자신은 오사카성에 남아 히데요리를 보좌했지만, 차남 히데이에는 이에야스를 따라 우에스기 정벌에 종군했고, 장남 요시마사와 4남 미쓰토시는 서군에 가담했다. 요시마사는 호소카와 유사이가 지키는 탄고국 타나베성 공격에, 미쓰토시는 오쓰성 공격에 각각 참여했다.이러한 상황 때문에 전쟁 후 고이데 가문은 처벌받을 위기에 놓였으나, 히데이에가 세키가하라 본전에서 전공을 세우고 전후 처리에도 활약한 덕분에 가문은 용서받고 영지도 그대로 유지되었다.[6]
게이초 9년(1604년) 3월 22일, 히데마사는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법명은 혼코인 요운 닛세이 다이코지이다.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05
[2]
문서
庶子。僧となり、[[本圀寺]]栄松院の住職となった。
[3]
문서
庶子。秀家養子。
[4]
문서
庶子。吉政家来。
[5]
서적
日本近世武家政権論
近代文芸社
2000
[6]
문서
秀家は父に先立つ前年に病没している。
[7]
문서
[[오만도코로]]의 여동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