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591년은 명나라 만력 19년, 일본 덴쇼 19년, 조선 선조 24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일본에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 침략 준비를 본격화하며 임진왜란의 발발을 예고했고, 조선은 임진왜란 이후의 복구 작업에 착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럽에서는 스코틀랜드에서 마녀 재판이 있었고, 과학과 문화 분야에서 다양한 사건들이 발생했다. 주요 인물로는 로버트 드베럴, 호세 데 리베라, 구에르치노 등이 태어났으며, 도요토미 히데나가, 센노 리큐, 그레고리오 14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591년 | |
---|---|
연도 정보 | |
연도 | 1591년 |
사건 | |
정치 | 조선에서 정여립의 난이 발생하다. 일본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 침략을 준비하기 시작하다. |
문화 | 김성일이 일본에 파견되어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만나다. |
탄생 | |
날짜 미상 | 가토 다다히로, 일본의 다이묘. 야규 무네노리, 일본의 무사. 홍타이지, 후금의 칸. 구스타프 2세 아돌프, 스웨덴의 국왕. |
1월 12일 | 호세 데 리베라, 스페인의 화가. |
2월 16일 | 에른스트 1세, 작센고타 공작. |
10월 2일 | 디미트리 포자르스키, 러시아의 귀족이자 군인. |
사망 | |
10월 16일 | 그레고리 14세, 로마 교황. |
11월 27일 | 아사쿠라 가쓰미쓰, 일본의 무장. |
12월 25일 | 아우구스테, 작센 선제후 아우구스트의 아내. |
날짜 미상 | 니와 나가히데, 일본의 무장. 정여립, 조선의 문신. |
2. 연호
== 연호 ==
1591년은 다음과 같은 연호를 사용했다.
간지는 신묘이다. 조선에서는 선조 24년이며, 단군기원으로는 3924년이다. 불멸기원은 2133년~2134년, 히즈라력은 999년~1000년, 유대력은 5351년~5352년에 해당한다. 율리우스력으로는 1590년 12월 22일부터 1591년 12월 21일까지이다. 일본에서는 황기 2251년이다.
각 국가의 상황은 다음과 같다. 일본의 경우,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 침략을 위한 준비를 본격화한 시기로, 이는 이후 임진왜란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시점이었다. 조선은 임진왜란의 여파를 극복하기 위한 복구 작업에 착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후 레 왕조와 막 왕조는 당시 베트남의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며, 류큐 왕국은 명나라와의 관계를 유지하며 독자적인 발전을 이어갔을 것이다. 이러한 여러 국가들의 상황은 1591년 국제 정세의 복잡성을 보여준다. 특히, 일본의 움직임은 동아시아 지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1. 명나라
명(明) 만력(萬曆) 19년이었다. 일본은 덴쇼(天正) 19년, 후 레 왕조(後黎朝)는 꽝흥(光興) 14년, 막 왕조(莫朝)는 흥찌(興治) 4년이자 홍닌(洪寧) 원년이었다.2. 2. 일본
명(明) 만력제(萬曆帝) 19년, 일본(日本) 덴쇼(天正) 19년, 후 레 왕조(後黎朝) 광흥제(光興帝) 14년, 막 왕조(莫朝) 흥찌(興治) 4년/홍닌(洪寧) 원년이었다. 이는 조선(朝鮮)에서는 선조(宣祖) 24년에 해당한다. 일본에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오다 노부나가 사후 권력을 장악하여 조선을 침략하기 위한 준비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던 시기였다. 이러한 일본의 움직임은 조선에 큰 위협이 되었으며, 이후 임진왜란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전환점이었다.2. 3. 후 레 왕조
2. 4. 막 왕조
명(明) 만력 19년, 일본(日本) 덴쇼(天正) 19년, 후 레 왕조(後黎朝) 꽝흥(光興) 14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막 왕조(莫朝)는 흥치(興治) 4년이자 홍닌(洪寧) 원년이었다.2. 5. 류큐 왕국
류큐(琉球) 쇼네이왕(尚寧王) 3년, 명(明) 신종 만력제(神宗 萬曆帝) 19년, 조선(朝鮮) 선조(宣祖) 24년, 후 레 왕조(後黎朝) 세종(世宗) 19년, 막 왕조(莫朝) 막머우헙(莫茂洽) 27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이 시기 조선에서는 임진왜란 이후의 복구 작업이 진행되었을 것이며, 류큐는 명나라와의 관계를 유지하며 독자적인 발전을 이어갔을 것이다. 후 레 왕조와 막 왕조의 상황은 당시 동남아시아의 정세를 반영할 것이다.3. 기년
1591년은 신묘년으로,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기년으로 기록되었다.
- 조선: 선조 24년, 단기 3924년. 임진왜란 직전의 긴장된 시기였다.
- 명: 만력 19년
- 일본: 덴쇼 19년, 황기 2251년
- 류큐: 류큐 쇼네이왕 3년
- 후 레 왕조: 세종 19년
- 막 왕조: 막머우헙 27년
- 불멸기원: 2133년~2134년
- 히즈라력: 999년~1000년
- 유대력: 5351년~5352년
- 율리우스력: 1590년 12월 22일 ~ 1591년 12월 21일
각 국가의 기년은 다음과 같다. 조선에서는 선조 24년이었고, 단기 3924년에 해당한다. 이 시기는 임진왜란 직전으로 국제 정세가 매우 긴박했다. 일본에서는 덴쇼 19년, 명나라에서는 만력 19년이었다. 류큐에서는 쇼네이왕 3년이었다. 베트남에서는 후 레 왕조 세종 19년이자, 막 왕조 막머우헙 27년이었다.
{{Ambox-mini
| class = noprint selfreference
| text = 이 단락은 '''위키프로젝트 기년법'''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이 단락에 큰 변경을 가할 경우에는 미리 위 프로젝트의 토론 페이지에서 제안하고 합의를 형성해 주십시오.
- 분류에 있는 "일본", "중국", "중국 주변", "조선", "베트남"은 지역 개념이며 특정 국가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며, 그 외연은 편의상 정한 것입니다. 특히 "*"가 붙은 왕조의 분류는 임시 배치이며, 현재도 "가이드라인" 토론 페이지에서 대응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 "중국 주변"은 "광의의 북아시아, 중앙아시아, 그리고 이에 인접하는 중국 일부 지역(거의 중앙유라시아에 상당)"을 가리킵니다.
- 한 칸 오른쪽으로 들여쓴 항목에 제시된 연호는 그 위쪽 연호를 세운 왕조에 대항하는 사연호입니다.
- 불멸기원 및 유대력은 현재로서는 원년에 해당하는 서력 연도에서 역산한 숫자를 표시하고 있으며, 음력 등의 역법 기록과 함께 확실한 출처를 확인하지 않았으므로 이용에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황기는 일본에서 1873년 태양력 채택과 동시에 시행되었습니다.
- 단기는 대한민국에서 1948년부터 1961년까지 공식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주체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1997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불멸기원은 기원전 543년을 원년으로 하는 태국 불력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스리랑카 등에서는 기원전 544년을 원년으로 하고 있으므로 1을 더해야 합니다.
}}
3. 1. 명나라
명나라에서는 만력제(神宗 萬曆帝) 19년이었다. 만력제는 명나라의 황제로, 그의 치세는 1572년부터 1620년까지 이어졌다. 1591년은 만력제의 장기 집권 중 한 해로, 이 시기 명나라는 임진왜란이 발발한 조선에 군사적 지원을 하며 동아시아 정세에 깊이 관여했다. 그러나 명나라 내부적으로는 여러 문제들이 존재했고, 만력제의 무능력한 통치는 이러한 문제들을 더욱 악화시켰다는 비판도 존재한다.3. 2. 조선
선조 24년(1591년)은 조선의 국왕 선조의 24번째 해이다. 신묘년이며, 단기 3924년에 해당한다. 이 해는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직전으로, 긴장감이 고조되던 시기였다. 일본에서는 덴쇼 19년, 명나라에서는 만력 19년에 해당한다. 류큐왕국에서는 쇼네이왕 3년이었다. 베트남에서는 후 레 왕조 세종 19년이자, 막 왕조 막머우헙 27년이었다.3. 3. 후 레 왕조
후 레 왕조는 레 세종 19년이었다.3. 4. 막 왕조
막 왕조에서는 막머우헙이 27년 동안 통치하였다.4. 정치/외교적 사건
1591년의 주요 정치 및 외교적 사건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본에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정치적 움직임을 보였다. 그는 관백의 지위를 도요토미 히데쓰구에게 물려주고 태합이 되었으며, 7월 25일 포르투갈령 인도 부왕에게 에스파냐 왕의 일본 방문을 요구하는 등 서구 열강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했다. 이는 당시 일본의 국제 정세 인식과 외교 전략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다. 하지만 이 요구의 진정한 목적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같은 해 9월 15일에는 류큐에 대한 조공과 복속을 요구하며 주변 국가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추진했다. 이는 임진왜란 직전 상황과 맥락을 같이하며, 일본의 동아시아 패권 야망을 드러낸 사건으로 평가된다. 조선과의 관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또한, 다테 마사무네와 가모우 우지사토는 가사이 오사키 일치를 평정했다. 중국에서는 명나라 하주에서 양응룡의 난이 발생했다. 일본 장수원친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길이 9견의 고래를 바쳤다. 7월 7일에는 개기월식이 칠석과 겹쳤다.
아프리카에서는 1591년 3월 13일, 모로코의 사아디 왕조 군대가 송가이 제국을 상대로 통디비 전투에서 승리했다. 아흐마드 알 만수르의 명령을 받은 주다르 파샤가 이끄는 군대는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송가이 제국을 격파하며 서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사아디 왕조의 영향력을 크게 확대했다.[4] 5월 30일에는 같은 왕조의 명령을 받은 아르마족 원정대가 팀북투를 점령했다. 이는 사아디 왕조의 군사력과 아프리카 지역 내 영향력 확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유럽에서는 조르다노 브루노가 체포되었고(1600년 처형), 프랑수아 비에트가 "Artem Analyticien Isagoge"를 간행하여 기호대수의 원리를 확립했으며, 프로스페로 알피니가 『이집트 식물지』"De plantis aegypti"를 간행했다. 이 책에는 커피, 바나나, 바오밥의 묘사가 실려 있다.
4. 1. 유럽
1월 27일, 스코틀랜드의 교사 존 피안이 노스베릭 마녀 재판 이후 마녀 죄로 처형된 최초의 인물이 된다. 에든버러 외곽 캐슬힐에서 교살된 후 시신이 화형되었다. 애그니스 샘프슨은 다음 날 캐슬힐에서 가로테로 처형된 후 화형되었다.[1] 2월 7일, 그레고리오 14세가 시스티나 불가타 라틴어 성경 번역을 개정하는 위원회를 구성한다. 추기경단은 이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식스토-클레멘티나 불가타로 불리는 개정판은 1592년에 완성되어 1979년까지 가톨릭 교회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된다. 2월 25일, 시인 에드먼드 스펜서가 그의 저서 ''요정 여왕'' 출판을 기념하여 엘리자베스 1세 여왕으로부터 연금 50파운드를 받는다. 연금은 분기별로 지급되었다.[2] 3월 1일, 그레고리오 14세가 프랑스의 앙리 4세를 파문하고 프랑스의 성직자, 귀족, 사법 관계자, 제3신분에게 왕을 포기하라고 명령한다.[3] 3월 13일, 말리에서 모로코의 사아디 왕조 통치자 아흐마드 알 만수르가 보낸 군대가 송가이 제국을 물리친다.[4] 3월 21일, 그레고리오 14세가 교황 선거 결과, 교황 재위 기간, 추기경 임명에 대한 내기 금지에 관한 교황령 ''Cogit nos''를 발표한다.[3] 4월 10일, 교황 그레고리우스 14세가 교황령 ''Cum Sicuti''에서 스페인령 필리핀의 필리핀 노예 해방과 전 노예에 대한 배상을 명령하고, 이를 거부하는 스페인 노예 소유주는 파문될 것이라고 위협한다.[3] 영국 상인 제임스 랜캐스터가 동인도로 항해를 시작한다.[5] 4월 21일, 일본 다도 명인 센노 리큐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으로 할복한다. 5월 15일, 러시아에서 이반 뇌제의 아들 드미트리 이바노비치가 우글리치 궁전에서 의문의 죽음을 맞이한다. 공식적인 설명은 간질 발작 중에 자해했다는 것이지만, 많은 사람들은 차르가 된 그의 라이벌 보리스 고두노프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믿는다. 5월 24일, 잉글랜드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이 파견한 원정군을 이끈 존 노리스 경이 갱강을 점령하고 앙리 4세를 돕는다. 5월 30일, 모로코의 사아디 왕조 통치자의 명령을 받은 아르마족 원정대가 팀북투를 점령한다. 마우리츠가 이끄는 네덜란드와 영국 연합군이 츠트펜을 점령한다. 6월 10일, 마우리츠가 이끄는 네덜란드군이 데번터를 점령한다. 6월 26일, 마우리츠가 이끄는 네덜란드와 영국 연합군이 델프자일을 공격하여 공성전을 시작한다. 델프자일은 7월 2일에 항복한다. 10월 8일, 일본에서 신분의 이동을 금지하는 법인 관백령이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반포되었다. 10월 16일, 그레고리오 14세가 사망하여 로마 가톨릭 교황청이 14개월 만에 세 번째로 공석이 된다. 10월 19일, 이슬람력 1000년 A.H.가 시작되며, 세상의 종말을 알릴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10월 21일, 네덜란드 공화국의 총독인 오라녜의 모리스가 나이메헌을 함락시켰다. 10월 26일, 스리랑카 섬 북쪽에서 포르투갈의 자프나 왕국 침공이 시작되었다. 10월 29일, 세 번째 투표에서 조반니 안토니오 파키네티가 선출되어 고인이 된 그레고리오 14세의 뒤를 이었다. 그는 인노첸시오 9세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1월 3일, 로마에서 인노첸시오 9세의 대관식이 거행되었다. 11월 6일, 오스만 제국이 크로아티아 반란군 요새 리파치를 함락시켰다. 11월 11일, 프랑스의 앙리 4세가 루앙 공성전을 시작했다. 11월 27일, 조반니 아고스티노 지우스티니아니 캄피가 제노바 공화국의 새로운 제노바 총독으로 선출되었다.[16] 12월 10일, 로마 가톨릭 사제 4명과 평신도 3명이 영국에서 처형되었다. 12월 18일, 인노첸시오 9세가 건강이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로마 주변의 7개 순례 교회를 순회하기 시작했고, 그의 병세는 악화되었다. 그는 12일 후 사망했다. 12월 27일, 보스웰 백작 프랜시스 스튜어트가 에든버러의 홀리루드 궁전을 공격했다. 12월 30일, 인노첸시오 9세가 사망하여 16개월 만에 네 번째로 교황청이 공석이 되었다.4. 2. 아시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7월 25일 포르투갈령 인도 부왕에게 에스파냐 왕의 일본 방문을 요구했다. 이는 일본이 서양 국가와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모색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이는 당시 일본의 국제 정세 인식과 외교 전략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다. 하지만 이 요구가 단순한 외교적 제스처였는지, 아니면 보다 깊은 전략적 목적을 지닌 행위였는지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6]9월 15일에는 류큐에 대한 조공과 복속을 요구했다. 이는 주변 국가에 대한 일본의 영향력 확대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임진왜란 직전의 상황과 맥락을 같이 하며, 일본이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패권을 장악하려는 야망을 드러낸 사건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조선과의 관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6] 다테 마사무네와 가모우 우지사토는 가사이 오사키 일치를 평정했다.
4. 3. 아프리카
3월 13일, 모로코의 사아디 왕조 군대가 송가이 제국을 상대로 통디비 전투에서 승리했다. 아흐마드 알 만수르의 명령을 받은 주다르 파샤가 이끄는 모로코 군대는 압도적인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송가이 제국을 격파하며 서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사아디 왕조의 영향력을 크게 확대했다.[4] 5월 30일에는 같은 왕조의 명령을 받은 아르마족 원정대가 주다르 파샤의 지휘 아래 팀북투를 점령했다. 이러한 사건들은 사아디 왕조의 군사력과 아프리카 지역 내 영향력 확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5. 군사적 사건
== 군사적 사건 ==
1591년에는 유럽과 아시아에서 여러 군사적 사건들이 발생했다. 유럽에서는 6월 1일부터 10일까지 데번터 공방전이 벌어졌다.
아시아에서는 일본에서 주요한 사건들이 전개되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관백의 지위를 도요토미 히데쓰구에게 물려주고 태합이 되었고, 다테 마사무네와 가모우 우지사토가 협력하여 가사이 오사키 일치를 평정했다. 장수원친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길이 9견의 고래를 바쳤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포르투갈령 인도 부왕에게 에스파냐 왕의 일본 방문을 요구했고, 스페인령 필리핀 제도(류큐)에 조공과 복속을 요구하는 외교적 압력을 가했다. 명나라에서는 하주에서 양응룡의 난이 발생하여 내부적인 혼란을 겪었다. 3월 13일에 시작된 쿠노헤의 난은 9월 4일에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진압되었고, 이는 일본 통일 과정의 완료를 의미하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아프리카에서는 5월 30일 사아디 왕조가 팀북투를 점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사아디 왕조의 서아프리카 지역 지배력 강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모로코의 영향력을 서아프리카 내륙까지 확장시켰다. 이 사건의 세부 경과와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지만, 당시 서아프리카의 정치, 상업,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그 영향을 더욱 명확히 밝힐 필요가 있다.
5. 1. 유럽
4월 10일, 교황 그레고리우스 14세는 교황령 ''Cum Sicuti''에서 스페인령 필리핀의 필리핀 노예 해방과 전 노예에 대한 배상을 명령하고, 이를 거부하는 스페인 노예 소유주는 파문될 것이라고 위협했다.[3] 같은 날, 영국 상인 제임스 랜캐스터가 동인도로 항해를 시작했다.[5] 4월 21일에는 일본 다도 명인 센노 리큐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으로 할복했다. 5월 15일에는 러시아에서 이반 뇌제의 아들 드미트리 이바노비치가 우글리치 궁전에서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다. 공식적인 설명은 간질 발작 중 자해였다는 것이지만, 많은 사람들은 차르가 된 그의 라이벌 보리스 고두노프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믿는다. 5월 24일에는 잉글랜드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이 파견한 원정군을 이끈 존 노리스 경이 짧은 포위 공격 끝에 브르타뉴의 갱강을 점령하고 앙리 4세를 도왔다. 5월 30일에는 모로코 사아디 왕조 통치자의 명령을 받은 아르마족 원정대가 주다르 파샤의 지휘 아래 팀북투를 점령했고, 마우리츠가 이끄는 네덜란드와 영국 연합군은 1591년 츠트펜 공성전에서 츠트펜을 점령했다. 6월 10일, 마우리츠가 이끄는 네덜란드군은 1591년 데번터 공성전에서 데번터를 점령했다. 6월 26일에는 오라녜 공 마우리츠가 이끄는 네덜란드와 영국 연합군이 스페인령 네덜란드 도시 델프자일을 공격하여 델프자일 함락을 시작했고, 델프자일은 6일 후 함락되어 7월 2일에 항복했다.5. 2. 아시아
아시아에서는 여러 사건이 발생했다. 일본에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관백의 지위를 도요토미 히데쓰구에게 물려주고 태합이 되었으며, 다테 마사무네와 가모우 우지사토가 힘을 합쳐 가사이 오사키 일치를 평정했다. 장수원친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길이 9견의 고래를 바쳤다. 또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포르투갈령 인도 부왕에게 에스파냐 왕의 일본 방문을 요구했고, 스페인령 필리핀 제도(류큐)에 조공과 복속을 요구했다. 한편, 명나라에서는 하주에서 양응룡의 난이 발생했다. 일본에서는 3월 13일에 시작된 쿠노헤의 난이 9월 4일에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진압되어 일본 통일이 완료되었다.5. 3. 아프리카
1591년 5월 30일, 사아디 왕조가 팀북투를 점령했습니다. 이는 서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사아디 왕조의 지배력 강화를 의미하는 중요한 사건입니다. 이를 통해 사아디 왕조는 모로코의 영향력을 서아프리카 내륙까지 확장시켰습니다. 이는 당시 서아프리카 지역의 정치적 지형을 크게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상업과 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건의 세부적인 경과와 그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은 실정입니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사아디 왕조의 팀북투 점령이 서아프리카 지역에 미친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6. 사회/문화적 사건
== 사회/문화적 사건 ==
1591년에는 세계적으로 다양한 사회, 문화적 사건들이 발생했다. 인도에서는 무함마드 쿨리 쿳브 샤에 의해 하이데라바드 도시가 건설되었고,[18] 베네치아에서는 안토니오 다 폰테가 설계한 리알토 다리가 완공되었다. 학문적으로는 코임브라 대학교 예수회가 저술한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최초의 코임브리켄세스 주석이 출판되었다.[19] 동아시아에서는 명나라에서 양응룡의 난이 발생했으며, 사이암-캄보디아 전쟁이 시작되었다. 아프리카에서는 패배한 아스키아 왕조가 니제르의 덴디 지방으로 이동했다. 유럽에서는 조르다노 브루노가 체포되었고(1600년 처형), 프랑수아 비에트가 미지수의 기호화를 실시하여 기호대수를 확립하는 업적을 남겼다. 프로스페로 알피니는 『이집트 식물지』를 간행하여 커피, 바나나, 바오밥 등의 식물을 묘사하였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7월 13일 가지 2세 기라이가 이끄는 크림 군대가 모스크바를 포위 공격하기 시작했고, 7월 15일에는 베를렝가스 해전이 벌어졌다. 7월 18일에는 부차르 모리 전투가 끝나 무굴 제국이 나와나가르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6] 7월 25일에는 크노덴스부르크 공성전에서 모리스 오라녜 공과 프랜시스 베어가 알레산드로 파르네세를 물리쳤다. 8월 1일에는 세르다르 페르하드 파샤가 새로운 오스만 제국 대베지르로 임명되었고, 8월 9일에는 모스크바 포위 공격 중 가지 2세 기라이가 부상을 입었다. 8월 29일에는 몰다비아 공국의 통치자 페트루 폰티피엑스가 퇴위하고 아론 티란트가 그를 대신했다.[9] 8월 30일부터 9월 1일까지 플로레스 해전이 벌어졌고, 9월 4일에는 쿠노헤의 난이 진압되었다.[11] 9월 5일에는 아소르스 제도 근처에서 폭풍이 발생하여 많은 스페인 선박이 침몰했다.[10] 9월 14일에는 훌스트 공성전에서 모리스 오라녜 공이 훌스트를 점령했다. 10월 8일에는 일본에서 관백령이 반포되었고, 10월 16일에는 그레고리우스 14세가 사망했다. 10월 19일에는 이슬람력 1000년 A.H.가 시작되었고, 10월 21일에는 나이메헌 공성전이 끝났다. 10월 26일에는 자프나 왕국 포르투갈 침공이 시작되었고,[13] 10월 29일에는 인노첸시오 9세가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14] 11월 3일에는 인노첸시오 9세의 대관식이 거행되었고, 11월 6일에는 오스만 제국이 크로아티아 반란군 요새 리파치를 함락시켰다. 11월 11일에는 루앙 공성전이 시작되었고,[15] 11월 27일에는 조반니 아고스티노 지우스티니아니 캄피가 제노바 총독으로 선출되었다.[16] 12월 10일에는 영국에서 로마 가톨릭 신자들이 처형되었고, 12월 18일에는 인노첸시오 9세가 순례를 시작했다. 12월 27일에는 홀리루드 습격이 발생했고,[17] 12월 30일에는 인노첸시오 9세가 사망했다.
6. 1. 유럽
스페인에서는 7월 7일에 산페르민 축제가 시작되었다. 같은 해 1월 27일에는 스코틀랜드에서 교사 존 피안이 노스베릭 마녀 재판에서 마녀 죄로 처형된 최초의 인물이 되었다. 그는 에든버러 외곽 캐슬힐에서 교살된 후 시신이 화형되었다. 애그니스 샘프슨은 다음 날 같은 장소에서 가로테로 처형된 후 화형되었다.[1] 2월 7일에는 그레고리오 14세가 추기경 마르코 안토니오 콜론나와 여섯 명의 추기경을 임명하여 1590년 식스투스 5세의 편집 아래 출판된 시스티나 불가타 라틴어 성경 번역을 개정하는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이 개정판은 식스토-클레멘티나 불가타로 불리며 1592년에 완성되어 1979년까지 가톨릭 교회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2월 25일에는 시인 에드먼드 스펜서가 그의 저서 ''요정 여왕'' 출판을 기념하여 엘리자베스 1세 여왕으로부터 연금 50파운드를 받았다. 연금은 분기별로 지급되었다.[2] 3월 1일, 그레고리오 14세는 프랑스의 앙리 4세를 파문하고 프랑스의 성직자, 귀족, 사법 관계자, 제3신분에게 왕을 포기하라고 명령하였다.[3] 3월 13일에는 말리에서 모로코의 사아디 왕조 통치자 아흐마드 알 만수르가 보낸 군대가 주다르 파샤의 지휘 아래 송가이 제국을 격파하는 통디비 전투가 벌어졌다.[4] 3월 21일에는 그레고리오 14세가 교황 선거 결과, 교황 재위 기간, 추기경 임명에 대한 내기 금지에 관한 교황령 ''Cogit nos''를 발표하였다.[3] 4월 10일에는 그레고리오 14세가 교황령 ''Cum Sicuti''에서 스페인령 필리핀의 필리핀 노예 해방과 전 노예에 대한 배상을 명령하고, 이를 거부하는 스페인 노예 소유주는 파문될 것이라고 위협하였다.[3] 같은 날 영국 상인 제임스 랜캐스터가 동인도로 항해를 시작하였다.[5] 4월 21일에는 일본 다도 명인 센노 리큐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으로 할복하였다. 5월 15일에는 러시아에서 이반 뇌제의 아들 드미트리 이바노비치가 우글리치 궁전에서 의문의 죽음을 맞이하였다. 많은 사람들은 차르가 된 그의 라이벌 보리스 고두노프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믿는다. 5월 24일에는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이 파견한 원정군을 이끈 존 노리스 경이 브르타뉴의 갱강을 점령하고 앙리 4세를 도왔다. 5월 30일에는 모로코의 사아디 왕조 통치자의 명령을 받은 아르마족 원정대가 주다르 파샤의 지휘 아래 팀북투를 점령하였고, 마우리츠가 이끄는 네덜란드와 영국 연합군은 츠트펜을 점령하였다. 6월 10일에는 마우리츠가 이끄는 네덜란드군이 데번터를 점령하였다. 6월 26일에는 오라녜 공 마우리츠가 이끄는 네덜란드와 영국 연합군이 스페인령 네덜란드 도시 델프자일을 공격하여 공성전을 시작하였고, 델프자일은 7월 2일에 항복하였다. 인도의 하이데라바드 도시가 무함마드 쿨리 쿳브 샤에 의해 건설되었고,[18] 안토니오 다 폰테가 설계한 베네치아의 리아르토 다리가 완공되었다. 코임브라 대학교의 예수회가 저술한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최초의 ''코임브리켄세스'' 주석이 출판되었고,[19] 1591년-1594년 사이암-캄보디아 전쟁이 시작되었다. 패배한 아스키아 왕조가 현재 니제르에 있는 덴디 지방으로 이동하였다.6. 2. 아시아
- 7월 13일 – 타타르 칸 가지 2세 기라이가 이끄는 크림 군대가 모스크바를 포위 공격하기 시작했다.
- 7월 15일 – 베를렝가스 해전이 포르투갈 해안에서 벌어졌다. 컴벌랜드 백작 조지 클리퍼드의 5척의 영국 사략선이 프란시스코 콜로마 장군이 지휘하는 5척의 스페인 갤리선(Armada de Guarda Costa)에 기습을 당했고, 컴벌랜드의 배인 ''골든 노블''호가 나포되었다.
- 7월 18일 (6 Shawal 999 AH) – 인도 구자라트 주에서 4일간의 부차르 모리 전투가 끝났다. 미르자 아지즈 코카 장군이 이끄는 무굴 제국이 술탄 무자파르 샤 3세가 이끄는 나와나가르를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6]
- 7월 22일 – 잉글랜드 켄트주 브래스테드의 듀트넬(다트넬) 가문이 건설업자로 일하기 시작했고, 이 사업은 13대에 걸쳐 이어지다가 2019년에 영업을 중단했다.[7]
- 7월 25일 – 크노덴스부르크 공성전: 네덜란드 공화국의 총독 모리스 오라녜 공과 영국 장군 프랜시스 베어가 4일간의 공성전 끝에 나이메헌 외곽에서 파르마 공작 알레산드로 파르네세를 물리쳤다.
- 8월 1일 – 세르다르 페르하드 파샤가 술탄 무라드 3세에 의해 새로운 오스만 제국 대베지르로 임명되었고, 코차 시난 파샤를 대체하며, 예니체리의 반란 이후였다.
- 8월 9일 – 크림 타타르 칸 가지 2세 기라이가 모스크바 포위 공격 중 방어자들에게 부상을 입었고, 가지의 형제 페티흐 1세 기라이가 포위 공격을 계속했다. 1594년 평화 협정과 1만 루블의 지불로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8]
- 8월 29일 – 몰다비아 공국(현재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일부)의 통치자 페트루 폰티피엑스가 이아시에서 퇴위했다. 이전 17년 동안 대부분 통치했으나 오스만 제국에 바치는 돈을 마련하지 못해 몰락했고, 아론 티란트(Aron Vodă)가 그를 대신했다.[9]
- 8월 30일 – 플로레스 해전이 플로레스 섬 (아소르스 제도) 근해에서 시작되었고, 9월 1일까지 스페인 함대가 영국 함대를 승리로 이끌고 영국 함선 ''어벤저''호를 나포하며, 리처드 그랜빌을 치명적으로 부상입혔다.[10]
- 9월 4일 – 3월 13일 일본 혼슈 북부 무쓰 지방(현재 이와테현)에서 쿠노헤 마사자네가 일으킨 쿠노헤의 난이 섭정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진압되었고, 이 승리로 일본 통일이 완료되었다.[11]
- 9월 5일 – 북대서양 아소르스 제도 근처에서 폭풍이 발생하여 최근에 나포된 HMS ''어벤저''호를 포함한 많은 스페인 선박이 침몰했다.[10] 8월과 9월 동안 기록상 가장 심각했던 1600년 이전 시즌에 적어도 8개의 강력한 허리케인이 발생했다.
- 9월 14일 – 훌스트 공성전: 네덜란드 공화국의 총독 모리스 오라녜 공이 훌스트를 점령했다.
- 10월 8일 – 일본에서 신분의 이동을 금지하는 법인 관백령(관백령)이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에 의해 반포되었다.
- 10월 16일 – 그레고리우스 14세(Gregorius 14세)가 담석으로 사망하여 로마 가톨릭 교황청이 14개월 만에 세 번째로 공석이 되었다. 1590년 12월 5일 선출된 이후 10개월 만에 서거한 교황(전 니콜로 스폰드라티 추기경)이었다.
- 10월 19일 – 이슬람력 1000년 A.H.가 무하람(Muharram)의 첫날로 시작되었고, 새해가 세상의 종말을 알릴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1592년 10월 7일 종말 없이 해가 끝나자 오스만인 무슬림들 사이에서는 오스만 제국이 "다른 어떤 무슬림 국가보다 완벽에 더 가까이 다가갔다"는 공식 해석이 나왔다.[12]
- 10월 21일 – 네덜란드 공화국의 총독인 오라녜의 모리스(Maurice van Oranje-Nassau)가 스페인 점령군으로부터 나이메헌(Nijmegen)을 함락시켰다. 나이메헌 공성전
- 10월 26일 – 스리랑카(Sri Lanka) 섬 북쪽에서 포르투갈의 자프나 왕국 침공(Portuguese invasion of the Jaffna Kingdom)이 시작되었다. 자프나 왕국 포르투갈 침공
- 10월 29일 – 루도비코 마드루초 추기경이 후보직을 철회한 후, 세 번째 투표에서 조반니 안토니오 파키네티(Giovanni Antonio Facchinetti)가 선출되어 고인이 된 그레고리우스 14세의 뒤를 이었다.[13] 그는 인노첸시오 9세(Innocentius 9세)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4] 1591년 교황 선거
- 11월 3일 – 로마에서 인노첸시오 9세(Innocentius 9세)의 대관식이 거행되었고, 부르가우의 안드레아스 마르크그라프(Andreas von Österreich) 추기경이 조반니 파키네티(Giovanni Facchinetti)의 머리에 왕관을 씌웠다.
- 11월 6일 – 100년 전쟁(Hundred Years' Croatian–Ottoman War): 오스만 제국이 크로아티아 반란군 요새 리파치(Ripač)를 함락시켰다.
- 11월 11일 – 프랑스의 앙리 4세(Henri IV)가 노르망디(Normandie)의 스페인 점령 수도 루앙(Rouen) 공성전을 시작했다. 루앙 공성전[15] 스페인 해군이 5개월 후에 도착했고, 앙리 4세는 4월 20일에 공성전을 포기했다.
- 11월 27일 – 이탈리아에서 바티스타 네그로네(Battista Negrone)의 후계자를 찾기 위한 12일간의 탐색 끝에 조반니 아고스티노 지우스티니아니 캄피(Giovanni Agostino Giustiniani Campi)가 제노바 공화국(Repubblica di Genova)의 새로운 제노바 총독(Doge di Genova)으로 선출되었다.[16]
- 12월 10일 – 로마 가톨릭 사제 4명과 평신도 3명이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탄압 운동에서 영국에서 처형되었다. 잉글랜드 종교개혁 순교자 목록
- 12월 18일 – 인노첸시오 9세(Innocentius 9세)가 건강이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로마 주변의 7개 순례 교회를 순회하기 시작했고, 그의 병세는 악화되었다. 그는 12일 후 사망했다.
- 12월 27일 – 보스웰 백작 프랜시스 스튜어트(Francis Stewart, Earl of Bothwell)가 에든버러(Edinburgh)의 홀리루드 궁전(Holyrood Palace)을 공격했다. 홀리루드 습격 궁전 감옥에 대한 조기 공격 경고를 받은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6세(James VI) 국왕과 덴마크의 앤(Anne of Denmark) 왕비는 성으로 피신할 수 있었고, 습격은 실패했다. 보스웰의 부하 7명이 이후 체포되어 교수형에 처해졌다.[17]
- 12월 30일 – 인노첸시오 9세(Innocentius 9세)가 로마 가톨릭 교회 교황으로 선출된 지 두 달 만에 사망하여 16개월 만에 네 번째로 교황청이 공석이 되었다.
- 인도의 하이데라바드 도시가 무함마드 쿨리 쿳브 샤에 의해 건설되었다.[18]
- 안토니오 다 폰테가 설계한 베네치아의 리아르토 다리가 완공되었다.
- 코임브라 대학교의 예수회가 저술한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최초의 ''코임브리켄세스'' 주석이 출판되었다.[19]
- 사이암-캄보디아 전쟁이 시작되었다.
- 패배한 아스키아 왕조가 현재 니제르에 있는 덴디 지방으로 이동하였다.
7. 과학/기술적 사건
1591년, 프랑스의 수학자 프랑수아 비에트는 저서 "Artem Analyticien Isagoge"를 통해 미지수를 기호화하고 기호대수의 원리와 방법을 확립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는 수학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같은 해, 이탈리아의 식물학자 프로스페로 알피니는 『이집트 식물지』(De plantis aegypti)를 간행하여 커피, 바나나, 바오밥 등의 식물을 상세히 묘사하였다. 이는 당시 식물학 연구에 크게 기여한 업적으로 평가된다. 참고로 조르다노 브루노의 체포는 1591년이 아닌 1600년에 일어났다. 한편, 중국에서는 명나라 播州(하주)에서 양응룡의 난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은 명나라 정부에 큰 타격을 주었다.
7. 1. 유럽
1591년 프랑스의 수학자 프랑수아 비에트는 "Artem Analyticien Isagoge"를 출판하여 미지수를 기호화하고 기호대수의 원리와 방법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같은 해, 이탈리아의 식물학자 프로스페로 알피니는 『이집트 식물지』(De plantis aegypti)를 출판하여 커피, 바나나, 바오밥 등의 식물을 묘사하며 식물학 발전에 공헌했습니다. 한편, 중국에서는 명나라의 하주에서 양응룡의 난이 발생했습니다.8. 탄생
== 탄생 ==
1591년에 태어난 주요 인물들을 정리한다. 이들은 당시 사회, 문화, 정치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친 인물들이다.
- 1월 11일 - 로버트 드베럴 (제3대 에식스 백작)(Robert Devereux, 3rd Earl of Essex) - 청교도 혁명 당시 의회군 사령관으로 활동했지만, 그의 행보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민주당 입장에서는 그의 의회 지지와 왕당파에 대한 저항을 높이 평가할 수 있겠지만, 보수적인 시각에서는 그의 정치적 행보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 월일 불명 - 아담 샬 폰 벨, 독일의 예수회 선교사이자 가톨릭 신부. 그는 한국에서의 선교 활동에도 참여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활동은 당시 한국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그의 활동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월일 불명 - 윌리엄 렌솔(William Lenthall), 정치가 (+ 1662년). 잉글랜드 내전 시대의 정치인으로, 1662년에 사망했다. 그는 잉글랜드 의회의 의장으로 활동하며 청교도 혁명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당시 의회파의 입장에서 왕당파에 맞서 싸웠으며, 혁명의 성공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7월부터 12월까지 태어난 인물들과 기타 추가 정보는 하위 항목을 참조하라.
8. 1. 1월 ~ 6월
- 1월 3일 – 발렌탱 드 불로뉴, 프랑스 화가 (사망 1632년)
- 1월 4일 – 윌리엄 스펜서, 웜리턴의 제2대 스펜서 남작 (사망 1636년)
- 1월 7일 – 도로테아 공주, 퀘들린부르크 수녀원장 (사망 1617년)
- 1월 11일 – 로버트 드베로, 에식스의 제3대 백작, 잉글랜드 내전 장군 (사망 1646년)
- 1월 12일 – 호세 데 리베라, 스페인의 테네브리즘 화가이자 판화가 (사망 1652년)
- 1월 15일 – 다비드 판 고를레, 네덜란드 신학자이자 이론 과학자 (사망 1612년)
- 1월 26일 – 매슈 보이턴, 잉글랜드 정치인 (사망 1647년)
- 1월 29일 – 프란치스쿠스 유니우스, 게르만어 문헌학의 선구자 (사망 1677년)
- 2월 8일 – 허비 배고트, 잉글랜드 정치인 (사망 1660년)
- 2월 8일 – 구에르치노, 이탈리아 화가 (사망 1666년)
- 2월 13일 – 안토니오 사비노, 이탈리아 작곡가 (사망 1650년)
- 2월 21일 (또는 3월 2일) – 지라르 데자르그, 프랑스 수학자 (사망 1661년)
- 2월 25일 – 프리드리히 폰 스페, 독일 예수회 신부이자 시인 (사망 1635년)
- 2월 28일 – 헨리 클리포드, 컴벌랜드의 제5대 백작, 잉글랜드 정치인 (사망 1643년)
- 3월 2일 – 빌렘 보렐, 네덜란드 외교관 (사망 1668년)
- 3월 3일 – 루카스 드 바엘, 플랑드르 화가 (사망 1661년)
- 3월 6일 – 톰마소 탐부리니, 이탈리아 신학자 (사망 1675년)
- 3월 9일 – 요하네스 크리소스토무스 판데르 스테레, 네덜란드 수도원장, 교회 저술가 (사망 1652년)
- 3월 11일 – 이사벨라 사보이아 공녀, 이탈리아 귀족 (사망 1626년)
- 3월 15일 또는 1593년 – 알렉상드르 드 로드, 프랑스 예수회 선교사 (사망 1660년)
- 3월 19일 – 디르크 할스, 네덜란드 화가 (사망 1656년)
- 3월 28일 – 윌리엄 세실, 솔즈베리의 제2대 백작, 잉글랜드 백작 (사망 1668년)
- 4월 5일 – 프리드리히 울리히, 브런스비크-뤼네부르크 공작 (사망 1634년)
- 4월 11일 – 바르톨로메우스 스트로벨, 실레시아 화가 (사망 1650년)
- 4월 25일 – 마르코스 데 토레스 이 루에다, 신스페인 임시 총독 (사망 1649년)
- 5월 2일 – 프란시스 찰스, 작센-라우엔부르크 공작 (사망 1660년)
- 5월 5일 – 프리드리히 아킬레스, 뷔르템베르크-노이엔슈타트 공작 (사망 1631년)
- 5월 26일 – 올림피아 마이다르키니, 이탈리아 귀족 여성 (사망 1657년)
- 6월 16일 – 조셉 솔로몬 델메디고, 이탈리아 의사, 수학자, 음악 이론가 (사망 1655년)
- 6월 24일 – 무스타파 1세, 오스만 제국 술탄 (사망 1639년)
8. 2. 7월 ~ 12월
7월 4일 – 조나단 래쉴리(Jonathan Rashleigh) (1591–1675), 잉글랜드 정치인 (사망 1675년)7월 9일 – 장 바고(Jean Bagot), 프랑스 신학자 (사망 1664년)
7월 20일 – 앤 허친슨(Anne Hutchinson), 잉글랜드 청교도 설교가 (사망 1643년)
8월 6일 – 게오르크 빌헬름, 츠바이브뤼켄-비르켄펠트 변경백(George William, Count Palatine of Zweibrücken-Birkenfeld) (사망 1669년)
8월 12일 – 루이즈 드 마리야크(Louise de Marillac), 프랑스, 성빈센트 드 폴 자선 수녀회(Daughters of Charity of Saint Vincent de Paul) 공동 설립자 (사망 1660년)
8월 24일 – 로버트 헤릭(Robert Herrick), 잉글랜드 시인 (사망 1674년)[20]
8월 28일 – 브제크 공작 요한 크리스티안(John Christian of Brieg) (1602–1639) (사망 1639년)
9월 8일 – 마리 앙젤리크 아르노(Marie Angélique Arnauld), 프랑스 포르 로얄 수녀원(Abbey of Port-Royal) 수녀원장 (사망 1661년)
9월 29일 – 미카엘 데 산크티스(Michael de Sanctis), 스페인 성인 (사망 1625년)
10월 2일 – 로렌 공작부인 마르게리타 곤자가(Margherita Gonzaga, Duchess of Lorraine) (1608–1624) (사망 1632년)
10월 7일 – 피에르 르 뮈에(Pierre Le Muet), 프랑스 건축가 (사망 1669년)
10월 22일 – 모데나 공작 알폰소 3세 데스테(Alfonso III d'Este, Duke of Modena), 이탈리아 귀족 (사망 1644년)
11월 20일 – 게오르크 알브레히트 2세, 브란덴부르크 변경백(George Albert II, Margrave of Brandenburg) (사망 1615년)
11월 29일 – 베르나르트 폰 몰링크로트(Bernhard von Mallinckrodt), 독일 서적 애호가 (사망 1664년)
12월 22일 – 토마소 딩글리(Tommaso Dingli), 몰타 건축가이자 조각가 (사망 1666년)
12월 30일 – 요제프 푸르텐바흐(Joseph Furttenbach), 독일 건축가 (사망 1667년)
8. 3. 기타
- 윌리엄 렌솔(William Lenthall): 잉글랜드 내전 시대의 정치인으로, 1662년에 사망했다. 그는 잉글랜드 의회의 의장으로 활동하며 청교도 혁명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당시 의회파의 입장에서 왕당파에 맞서 싸웠으며, 혁명의 성공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9. 사망
1591년 사망한 주요 인물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인물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 2월 15일: 도요토미 히데나가(豊臣秀長)가 사망했다. 그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동생이었던 유력한 무장이었다.(1540년생)
- 4월 21일: 센노 리큐(千利休)가 사망했다. 그는 유명한 다인이었다. (1522년생)
- 6월 21일: 알로이시우스 곤자가(Aloysius Gonzaga)가 사망했다. 그는 16세기 예수회 회원이었으며, 현재는 성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1568년생)
- 7월 2일: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아버지이자 작곡가였던 빈첸초 갈릴레이(Vincenzo Galilei)가 사망했다. (1520년경 생)
- 7월 18일: 작곡가 야코부스 갈루스(Jacobus Gallus)가 사망했다. (1550년생)
- 10월 16일: 로마 교황 그레고리오 14세가 사망했다. (1535년생)[22]
- 12월 14일: 십자가의 성 요한(John of the Cross)이 사망했다. 그는 스페인 카르멜회 수사이자 시인으로, 현재는 성인으로 추앙받고 있다.(1542년생)
- 12월 30일: 교황 인노첸시오 9세(Innocentius IX)가 사망했다.(1519년생)[23]
다른 사망자들로는 안나 소피아 프로이센 공녀 겸 메클렌부르크 공녀, 베스파시아노 1세 곤자가, 요스트 아만, 작센의 에밀리, 엘리자베스 세실, 드미트리(Дмитрий Иванович), 헤세의 안나, 루이스 폰세 데 레온, 캐서린 오브 베레인, 하인리히 주더만, 리처드 그랜빌, 알론소 데 오로스코 메나, 크리스티안 1세, 요한 2세 동프리지아 백작, 오토 하인리히 브룬스비크-하르부르크 공작, 크리스토퍼 해튼, 마리흐예 아리엔스, 쓰다 소규(津田宗及), 도요토미 츠루마쓰(豊臣鶴松), 오타 스케마사(太田資正), 호조 우지나오(北条氏直) 등이 있다. 하지만 이들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인물들이기에 본 항목에서는 주요 인물들 위주로 다루었다. 더 자세한 정보는 Category:1591년 죽음을 참고할 수 있다.
9. 1. 1월 ~ 6월
- 2월 15일 - 도요토미 히데나가(豊臣秀長),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동생이자 센고쿠 시대의 유명한 무장이었던 그는 이날 사망했다. (* 1540년)[1]
- 4월 21일 - 센노 리큐(千利休), 일본 다도의 거장이자 다도의 대가로 알려진 그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으로 할복하여 생을 마감했다. (* 1522년)[1]
- 6월 21일 - 알로이시오 곤자가(Aloysius Gonzaga), 16세기 예수회 소속의 사제이자 성인으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 1568년)[1]
9. 2. 7월 ~ 12월
7월 2일,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아버지이자 작곡가였던 빈첸초 갈릴레이가 사망했다. 같은 달 13일에는 타타르 칸 가지 2세 기라이가 이끄는 크림 군대가 모스크바를 포위 공격하기 시작했고, 15일에는 포르투갈 해안에서 베를렝가스 해전이 벌어졌다. 영국 사략선 5척이 스페인 갤리선 5척에 기습을 당해, 컴벌랜드 백작 조지 클리퍼드의 배인 ''골든 노블''호가 나포되었다. 7월 18일에는 인도 구자라트 주에서 4일간의 부차르 모리 전투가 끝나 무굴 제국이 나와나가르를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7월 22일에는 잉글랜드 켄트주 브래스테드의 듀트넬 가문이 건설업자로 일하기 시작했으며, 7월 25일에는 네덜란드 공화국의 총독 모리스 오라녜 공과 영국 장군 프랜시스 베어가 4일간의 공성전 끝에 나이메헌 외곽에서 파르마 공작 알레산드로 파르네세를 물리쳤다.8월 1일에는 세르다르 페르하드 파샤가 새로운 오스만 제국 대베지르로 임명되었고, 8월 9일에는 크림 타타르 칸 가지 2세 기라이가 모스크바 포위 공격 중 부상을 입었다. 그의 형제 페티흐 1세 기라이가 포위 공격을 계속했고, 1594년 평화 협정과 1만 루블의 지불로 사태가 마무리되었다. 8월 29일에는 몰다비아 공국 통치자 페트루 폰티피엑스가 퇴위했고, 아론 티란트가 그를 대신했다. 8월 30일에는 플로레스 해전이 플로레스 섬 근해에서 시작되어, 9월 1일까지 스페인 함대가 승리하여 영국 함선 ''어벤저''호를 나포하고 리처드 그랜빌을 치명적으로 부상입혔다.
9월 4일에는 쿠노헤의 난이 진압되어 일본 통일이 완료되었고, 9월 5일에는 북대서양 아소르스 제도 근처에서 폭풍이 발생하여 많은 스페인 선박이 침몰했다. 9월 14일에는 네덜란드 공화국의 총독 모리스 오라녜 공이 훌스트를 점령했다. 10월 8일에는 일본에서 신분의 이동을 금지하는 법인 관백령이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반포되었다. 10월 16일에는 교황 그레고리오 14세가 사망했고, 10월 19일에는 이슬람력 1000년 A.H.가 시작되었다. 10월 21일에는 모리스 오라녜 공이 스페인 점령군으로부터 나이메헌을 함락시켰고, 10월 26일에는 스리랑카에서 포르투갈의 자프나 왕국 침공이 시작되었다. 10월 29일에는 조반니 안토니오 파키네티가 새로운 교황 인노첸시오 9세로 선출되었다.
11월 3일에는 로마에서 인노첸시오 9세의 대관식이 거행되었고, 11월 6일에는 오스만 제국이 크로아티아 반란군 요새 리파치를 함락시켰다. 11월 11일에는 프랑스의 앙리 4세가 루앙 공성전을 시작했고, 11월 27일에는 조반니 아고스티노 지우스티니아니 캄피가 제노바 공화국의 새로운 총독으로 선출되었다. 12월 10일에는 영국에서 로마 가톨릭 사제 4명과 평신도 3명이 처형되었고, 12월 18일에는 인노첸시오 9세가 건강이 악화되었다. 12월 27일에는 보스웰 백작 프랜시스 스튜어트가 에든버러의 홀리루드 궁전을 공격했으나 실패했고, 12월 30일에는 인노첸시오 9세가 사망했다. 이로써 16개월 만에 네 번째로 교황청이 공석이 되었다.
9. 3. 기타
- 2월 15일 - 일본 센고쿠 시대의 무장 도요토미 히데나가가 사망했다. 그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동생이었다.
- 10월 16일 - 로마 교황 그레고리오 14세가 사망했다.
- 애너니어스 데어(Ananias Dare), 버지니아 데어의 아버지가 이 해에 태어났다. (출생년도: 약 1560년)
- 버지니아 데어(Virginia Dare), 아메리카에서 태어난 최초의 영국인 아이로 알려져 있다. (출생년도: 1587년)(확인되지 않음)
- 크리스핀 반 덴 브로크(Crispin van den Broeck), 플랑드르 화가가 이 해 이전에 태어났다. (출생년도: 1523년)
- 던의 존 어스킨(John Erskine of Dun),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가가 이 해 이전에 태어났다. (출생년도: 1509년)
- 베로니카 프랑코(Veronica Franco), 이탈리아 시인이자 고급 매춘부가 이 해 이전에 태어났다. (출생년도: 1546년)
참조
[1]
서적
Ancient Criminal Trials in Scotland
Bannatyne Club
[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dmund Spenser
Oxford University Press
[3]
백과사전
Pope Gregory XIV
Robert Appleton Company
[4]
서적
Timbuktu and the Songhay Empire: Al-Saʻdī's Taʼrīkh Al-Sūdān Down to 1613 and Other Contemporary Documents
https://books.google[...]
Brill
1999-01-01
[5]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Weidenfeld & Nicolson
[6]
서적
Victory Of The K. Azim M. Koka And The Disgrace Of Mozaffar Gujrati in The Akbarnama
Packard Humanities Institute
[7]
뉴스
Britain's oldest building firm collapses
https://www.bbc.co.u[...]
2019-07-04
[8]
서적
The Crimean Khanate Under the Reign of Ğazı II Giray
Bilkent University
[9]
서적
Cronologia critică a domnilor din Țara Românească și Moldova a. 1324–1881
Editura Enciclopedică
[10]
서적
Ships of the Royal Navy: The Complete Record of All Fighting Ships of the Royal Navy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Present
Pen & Sword Books Limited
[11]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mpany
[12]
서적
Political Islam in Turkey: Running West, Heading East?
Palgrave Macmillan
[13]
웹사이트
Konklave vom 27.-29.10.1591 zur Wahl von Papst Innozenz IX
https://web.archive.[...]
[14]
서적
National Geographic Atlas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15]
서적
Rouen During the Wars of Reli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Rosso doge: I dogi della Repubblica di Genova dal 1339 al 1797
De Ferrari Editore
[17]
간행물
Account of the attempt upon Holyroodhouse, 1591
https://archive.org/[...]
Blackwood's Edinburgh Magazine
1817-10
[18]
서적
The Book Review
https://books.google[...]
C. Chari for Perspective Publications
[19]
서적
Commentarii Collegii Conimbricensis Societatis Jesu in octo libros physicorum Aristotelis Stagyritæ
[20]
서적
The Renaissance: Excluding Drama
https://books.google[...]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1983-04-01
[21]
서적
Y Cymmrodor: The Magazine of the Honourable Society of Cymmrodorion ...
https://books.google[...]
Cymmrodorion Society
[22]
웹사이트
Gregory XIV pope
https://www.britanni[...]
2019-05-06
[23]
웹사이트
Innocent IX pope
https://www.britanni[...]
2021-01-24
[24]
웹사이트
Il Guercino Italian artist
https://www.britanni[...]
[25]
웹사이트
Gregory XIV pope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