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태는 전연, 전진, 후연 시대를 거치며 활동한 인물로, 북제의 건국자 고양의 5대조이다. 전연 시기 차기종사중랑으로 시작하여, 모용수의 측근으로 활동했으나 모용평과의 갈등으로 면직되었다. 이후 신소의 추천으로 상서랑에 임명되었고, 전진의 석월을 대하는 모용평의 태도에 실망하여 사직했다. 전진 시대에는 왕맹에게 부융의 무고함을 변호하여 부견의 신임을 얻었으며, 유주 정동부관의 참군을 지냈다. 비수대전 이후 반역 혐의를 받아 피난했으며, 위서에 따르면 모용수를 따라 이부상서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북제 건국 후에는 이부부군으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호 십육국 시대 사람 - 요양
요양은 후조 장군 요익중의 아들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수완을 발휘하여 후조 혼란기에 활약하고 동진에 귀순했으나, 결국 배반하여 독자 세력을 형성했으나 전진과의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그의 세력은 동생 요장에 의해 계승되어 후진 건국으로 이어졌다. - 오호 십육국 시대 사람 - 모용준
모용준은 오호십육국시대 전연의 2대 군주이자 초대 황제로, 아버지 모용황의 뒤를 이어 연왕에 즉위한 후 후조의 혼란을 틈타 중원 진출을 본격화하여 황제를 칭하고 영토를 확장하며 전진, 동진과 대립했고 수도를 업으로 옮겼다. - 역사에 관한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역사에 관한 - 2013년
2013년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교황 사임, 북한 핵실험, 용산 개발 사업 부도, 윤창중 사건, 스노든 폭로, 김연아 우승, 방탄소년단 데뷔, 넬슨 만델라 사망 등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사건들이 발생한 해이다.
고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북제 칠묘 배향자 |
휘 | 고태(高泰) |
본관 | 발해 고씨 |
사망일 | 400년 |
출생지 | 발해현 |
부친 | 고경 |
관력 | |
전임자 | 사공공 |
후임자 | 진주사군 |
2. 생애
고태는 전연에서 차기종사중랑(車騎従事中郎)을 지냈다. 모용수가 전진으로 망명할 때 연좌되어 면직되었다가 신소의 추천으로 복직하여 상서랑(尙書郞)이 되었으나, 모용평에게 올린 간언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사직하였다.[1] 이후 왕맹과 부견의 신임을 얻어 전진에서 유주 정동부관(征東府官)의 참군(參軍)을 역임했다.[2] 비수대전 이후 전진이 혼란에 빠지자 반역 혐의를 받아 피난하였으며, 위서에 따르면 후연에서 모용수를 따라 이부상서(吏部尚書)에 임명되었다고 한다. 550년 그의 5대손 고양이 북제를 건국하자 이부부군(吏部府君)으로 추존되어 칠묘에 위패가 안치되었다.
2. 1. 전연 시기: 모용평과의 갈등
모용수가 국권을 장악하고 있던 태부 모용평과 갈등하여 전진으로 망명했을 때, 고태는 모용수의 신하였기에 연좌되어 면직당했다.[1] 당시 상서우승(右丞) 신소(申紹)는 모용평에게 "오왕(모용수)이 망명하면서 세간에 이 불미스러운 사건이 왜곡되어 퍼지고 있습니다. 오왕의 측근 가운데 지혜로운 자를 임관시켜 헛소문을 없애야 합니다."라고 건의했다. 모용평이 누구를 삼아야 할지 묻자 신소는 고태를 추천했고, 모용평은 고태를 상서랑(尙書郞)으로 임명하였다.[1]이후, 전진의 석월(石越)이 사신으로 오자, 모용평은 전연의 국력을 과시하기 위해 그를 성대히 대우하였다.[1] 고태는 태부참군(太傅参軍) 유정(劉靖)과 함께 "석월은 우호적인 사신이 아닌, 조국의 빈틈을 찾으러 온 것입니다. 조국의 군사 훈련을 현란하게 보여 저들의 사기를 떨어트려야 하며, 호사스러운 모습은 보이는 것만으로도 우리를 업신여길 것입니다."라고 건의했으나, 모용평은 듣지 않았다.[1] 고태는 실망하여 병을 이유로 사직하였다.[1]
2. 2. 전진 시기: 왕맹과의 만남과 부견의 신임
369년 11월 모용수가 국권을 장악하고 있던 태부 모용평과 갈등하여 전진으로 망명했을 당시 고태는 모용수의 신하였기에 연좌되어 면직당했다. 당시 상서우승(右丞) 신소(申紹)는 모용평에게 "오왕(모용수)이 망명하면서 세간에 이 불미스러운 사건이 왜곡되어 퍼지고 있습니다. 오왕의 측근 가운데 지혜로운 자를 임관시켜 헛소문을 없애야 합니다."라고 건의하자 모용평이 누구를 삼아야 할지 물었다. 신소가 고태를 추천하자 모용평은 고태를 상서랑(尙書郞)으로 임명하였다.[1]이후, 전진의 석월(石越)이 사신 자격으로 오자, 모용평은 전연의 국력을 과시하기 위해 그를 성대히 대우하였다. 고태는 태부참군(太傅参軍) 유정(劉靖)과 함께 "석월은 우호적인 사신이 아닌, 조국의 빈틈을 찾으러 온 것입니다. 조국의 군사 훈련을 현란하게 보여 저들의 사기를 떨어트려야 하며, 호사스러운 모습은 보이는 것만으로도 우리를 업신여길 것입니다."라며 건의했으나 모용평은 듣지 않았다. 고태는 실망하고 병을 이유로 사직하였다.[1]
372년 8월, 전진의 부융(苻融)이 무단으로 서원을 건축한 일로 탄핵을 받자, 이찬(李纂)을 장안으로 파견해 변호하게 하였으나, 도중에 이찬이 사망하자 신소가 고태를 추천하였다. 부융이 "군자란 사람이 위급하면 구해야 하며, 경은 제발 사직하지 않기를 바랍니다"라며 청하자 고태는 응하여 장안으로 향했다. 장안에 도착하자 왕맹이 웃으며 "고자백께서 이제야 오셨는데 어찌하여 늦었느냐"고 묻자 고태는 "죄인이 와서 형을 받는데 어찌 그 속도를 묻습니까"라고 대답하였다. 이에 왕맹이 무슨 말을 하려는 거냐고 묻자, 고태가 말했다.[2]
"옛날 노나라 희공이 궁을 쪼갠 일로 칭송을 받고, 제나라 선왕은 식량을 퍼준 것으로 명성을 날렸는데, 지금 양평공은 그 둘을 추종하여 서원을 개건하고 있지만 포상은커녕 벼슬아치들의 탄핵으로 앓고 있습니다. 명공(明公, 왕맹)께선 성조(聖朝)를 보좌하는 위치에 있으시면서 이대로 일을 진행하시면 공께서도 죄를 피할 수 있겠습니까?"
왕맹이 그 말을 듣고, 잘못을 인정했으며 부융의 잘못은 없던 것이 되었다. 왕맹은 탄식하며 고자백을 양평공의 사람으로 끝내기엔 아까워해 그를 황제 부견에게 중용케 하였다. 부견이 고태를 불러내어 함께 이야기하자 그 사람됨을 기뻐하고 고태에게 통치의 기본이 무엇인지 물었다. 고태는 "기본은 사람을 얻는 데 있으며, 사람을 얻으려면 심거(心擧, 신중히 선거하는 것)를 해야 합니다. 심거야말로 핵심입니다. 벼슬이 있어도 사람이 없으면 나라를 다스릴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으며 부견이 이를 듣고, 말은 짧으나 그 이치는 매우 깊다며 감탄하였다. 그리고 고태를 전진의 상서랑에 임명하려 했으나 유주(幽州)로 돌아가기를 청하자 윤허하였고, 고태는 유주 정동부관(征東府官)의 참군(參軍)이 되었다.[2]
2. 3. 후연 시기: 혼란 속의 은거와 후손
전연 시기 차기종사중랑(車騎従事中郎)에 임명되었다.369년 11월, 모용수가 국권을 장악하고 있던 태부 모용평과의 갈등으로 전진으로 망명했을 당시, 고태는 모용수의 신하였기에 연좌되어 면직당했다. 당시 상서우승(右丞) 신소(申紹)는 모용평에게 "오왕(모용수)이 망명하면서 세간에 이 불미스러운 사건이 왜곡되어 퍼지고 있습니다. 오왕의 측근 가운데 지혜로운 자를 임관시켜 헛소문을 없애야 합니다."라고 건의했고, 모용평은 고태를 상서랑(尙書郞)으로 임명하였다.
이후, 전진의 석월(石越)이 사신 자격으로 오자, 모용평은 전연의 국력을 과시하기 위해 그를 성대히 대우하였다. 고태는 태부참군(太傅参軍) 유정(劉靖)과 함께 "석월은 우호적인 사신이 아닌, 조국의 빈틈을 찾으러 온 것입니다. 조국의 군사 훈련을 현란하게 보여 저들의 사기를 떨어트려야 하며, 호사스러운 모습은 보이는 것만으로도 우리를 업신여길 것입니다." 라며 건의했으나 모용평은 듣지 않았다. 고태는 실망하고 병을 이유로 사직하였다.
383년, 부견이 비수대전에서 참패하자 전진에 복속되어있던 국가들이 자립하려는 시도가 일어났다. 이듬해 2월 고태는 전연의 신하였던 점 때문에 정동부관으로부터 반역 혐의를 받았다. 이에 고태는 동군우조조사(同郡虞曹從事) 오소(吳韶)와 함께 고향인 발해군으로 피난하였다. 이때 오소가 연나라 군대가 가까이 있으니, 경은 그들에게 합류하라고 권했으나 고태는 "우리는 단지 화를 피하고 싶을 뿐이며, 한 군주를 따라 다른 군주를 섬기는 일 따위는 할 수 없다"라고 거절하였다. 이에 신소도 "물러감과 나아감(去就)이 순리적 이십니다. 이것이 바로 군자입니다."라고 감탄하였다. 이후 고태의 동향은 전해지지 않으나 위서에 따르면 모용수를 따라 이부상서(吏部尚書)에 임명되었다고 한다.
550년, 그의 5대손인 고양이 북제를 건국하자 고태는 이부부군(吏部府君)으로 추존되어 칠묘에 위패가 안치되었다.
3. 가계
참조
[1]
문서
전진의 황문랑(黃門郞)에 임명되었다
[2]
문서
전진의 양평공(陽平公)에 책봉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