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살로 산체스 데 로사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곤살로 산체스 데 로사다는 볼리비아의 정치 명문가 출신으로, 1993년부터 1997년까지, 그리고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두 차례 볼리비아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광산 기업가로 활동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으며, 1979년과 1980년 국회의원, 1985년 상원 의장을 지냈다. 첫 번째 임기 동안 헌법 개정을 통해 다민족 국가를 표방하고 지방 자치를 강화했으며, 국영 기업 민영화를 추진했으나 부작용을 낳았다. 두 번째 임기 중에는 가스 수출 계획에 반대하는 시위, 이른바 '볼리비아 가스 분쟁'으로 인해 사임하고 미국으로 망명했다. 그는 가스 분쟁 당시 발생한 사망 사건에 대한 책임을 추궁받고 있으며, 미국 법원에서 민사 소송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파스 출신 - 카를로스 메사
카를로스 메사는 1953년 볼리비아에서 태어난 역사가, 언론인, 정치인으로, 다양한 언론 활동과 볼리비아 시네마테크 설립 기여, 부통령 및 대통령 역임, 그리고 해양 권리 주장을 통해 볼리비아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 라파스 출신 - 파토 호프만
파토 호프만은 미국의 아메리카 원주민 출신 배우이자 연출가로, 영화와 TV 시리즈 출연 및 영화 제작뿐만 아니라 오페라,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출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 볼리비아의 정치인 - 자니네 아녜스
볼리비아 정치인 자니네 아녜스는 법학 학위 취득 후 라디오 진행자, 제헌 의회 의원, 베니주 상원의원을 거쳐 2019년 정치적 혼란 속에서 과도 대통령을 지냈으나, 2021년 모랄레스 퇴진 과정 연루 혐의로 체포되었다. - 볼리비아의 정치인 -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는 볼리비아의 법률가이자 정치인으로, 볼리비아 가스 분쟁으로 대통령직을 승계받아 1년 안에 선거를 치르는 헌법적 의무를 수행했으며, 퇴임 후 국제기구 활동과 미사일 폐기 결정 관련 반역죄 기소 등 논란을 겪었다.
곤살로 산체스 데 로사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곤살로 다니엘 산체스 데 로사다 산체스 부스타만테 |
로마자 표기 | Gonzalo Daniel Sánchez de Lozada Sánchez Bustamante |
출생일 | 1930년 7월 1일 |
출생지 | 라파스, 볼리비아 |
국적 | 볼리비아인, 미국 시민권 |
배우자 | 히메나 이투랄데 |
부모 | 엔리케 산체스 데 로사다, 카르멘 산체스 부스타만테 |
친척 | 다니엘 산체스 부스타만테 (조부) |
정당 | 민족 혁명 운동 |
모교 | 시카고 대학교 (문학사) |
경력 | |
볼리비아 대통령 | 재임 기간: 1993년 8월 6일 – 1997년 8월 6일 부통령: 빅토르 우고 카르데나스 전임: 하이메 파스 사모라 후임: 우고 반세르 |
기획 및 조정부 장관 | 대통령: 빅토르 파스 에스텐소로 재임 기간: 1986년 1월 22일 – 1988년 9월 20일 전임: 기예르모 베드레갈 구티에레스 후임: 페르난도 로메로 모레노 |
수상 | |
수상 내역 | 안데스 콘도르 훈장 |
2. 정치 입문
산체스 데 로사다는 볼리비아의 유서 깊은 정치 명문가 출신이다. 그의 외할아버지 다니엘 산체스 부스타만테는 외무 장관을 역임했고, 증조부 마리아노 칼보는 대통령을 지냈다. 또 다른 친척인 토마스 프리아스도 대통령이었다.[4][5] 그는 어린 시절 미국에서 성장했으며, 시카고 대학교에서 문학과 철학을 전공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그는 중서부 미국 억양의 스페인어를 구사한다.[6][5]
1993년, 산체스 데 로사다는 투파크 카타리 혁명 해방 운동(MRTKL)과 연합하여 대통령 선거에 다시 출마했으며, 이 원주민 정당의 지도자인 빅토르 우고 카르데나스가 부통령 후보였다. MNR-MRTKL 연합은 36.5%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고, 산체스 데 로사다는 의회에서 대통령으로 확정되었다. 이 선거 승리로 카르데나스는 남아메리카 최초의 선출된 원주민 부통령이 되었다.[4] 중도 좌파 자유 볼리비아 운동(MBL)과 포퓰리즘 시민 연대 연합(UCS)을 포함하는 연립 정부가 구성되었다.
1951년 볼리비아로 돌아온 그는 1952년 혁명에 참여했고, 이후 영화 제작자로 활동하며 다큐멘터리 영화 ''Voces de la Tierra''(대지의 목소리)로 에든버러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하기도 했다. 1957년에는 광산 회사 COMSUR를 설립하여 성공적인 기업가가 되었다.
1979년, 군사 독재가 끝나고 민주주의가 회복되자, 그는 코차밤바 지역구의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1985년에는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어 볼리비아 상원 의장까지 역임했다. 빅토르 파스 에스텐소로 대통령 시절, 그는 기획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경제 구조 개혁을 주도했다. 특히, '충격 요법'으로 알려진 경제 정책을 통해 당시 후안 L. 카리아가 오소리오 재무부 장관과 하버드 대학교의 미국 경제학자 제프리 삭스와 협력하여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극복하는 데 기여했다.
3. 첫 번째 대통령 임기 (1993-1997)
MNR 주도 정부는 1993년부터 1997년까지 일련의 헌법, 사회, 경제 및 정치 개혁을 시작했다. 헌법은 볼리비아를 다민족, 다문화 국가로 정의하기 위해 개정되었으며, 첫 번째 조항에는 원주민의 권리가 명시되었다.
주요 정책 및 개혁:
자본화 프로그램 (민영화):'자본화 프로그램'은 공기업을 사기업에 매각하여 자금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5] 1995년부터 1996년 사이에 5개의 대형 국영 기업이 민영화되었다:[7]
1996년까지 이 프로그램은 수도 민영화를 포함했다.[5]
지지자들은 새로운 합작 회사에 사적 자본을 직접 투자하도록 요구함으로써 부패의 여지가 크게 줄어들었다고 믿었다. 이 프로그램은 볼리비아 정부가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전략적" 자원의 개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새로운 회사의 수익은 인프라 개발뿐만 아니라 인적 및 사회적 개발을 위한 자금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비판을 받았다.
국영 석유 회사의 매각은 매각 가격에 비해 수백만 달러의 손실을 초래했다. 전기 민영화는 또한 전기 가격 인상을 초래했다.[7] 가장 논란이 많은 영향은 곤살로 산체스 데 로사다 정부 하에서 시작되어 우고 반세르 대통령이 뒤를 이은 수도 민영화로, 코차밤바 물 전쟁을 초래했다.[7][8]
4. 두 번째 대통령 임기 (2002-2003)
2002년, 산체스 데 로사다는 다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근소한 차이로 승리했다. 그는 민족혁명운동당(MNR)에 동조적인 무소속 역사학자이자 언론인인 카를로스 메사를 러닝메이트로 선택했다.[9]
산체스 데 로사다가 취임했을 때, 그는 이전 행정부로부터 물려받은 경제 및 사회적 위기에 직면했다. 경제 성장은 그의 첫 번째 임기 말 4.8%에서 1999년 0.6%로 급락했으며 2002년에는 2%로 회복되었다. 재정 적자는 8%에 달했다.
2003년 1월, 에보 모랄레스의 지도 아래, 노조 지도자 그룹(코카 재배자들을 위한 에보 모랄레스, 도시 노동자와 광부들을 위한 하이메 솔라레스, 로베르토 데 라 크루스, 라 파스를 둘러싼 아이마라 지역의 원주민 농민들을 위한 펠리페 키스페)이 "인민 최고 사령부(Estado Mayor del pueblo)"를 설립하기 위해 함께 모였다. 격렬한 시위가 시작되었고, 주요 도로가 봉쇄되었으며, 도시와 마을은 마비되었다.
볼리비아 가스 분쟁으로 불리는 폭동은 천연 가스를 칠레로 수출하려는 산체스의 계획에 반대하여 일어났다. 10월 초, 산체스 데 로사다가 볼리비아의 가스를 칠레 항구를 통해 멕시코와 미국으로 수출하기로 결정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볼리비아가 태평양 전쟁에서 칠레에 해안 영토를 잃은 이후 칠레에 대한 적대감은 여전히 높았다. 시위대는 엘 알토 시에서 이웃 라 파스로 이어지는 주요 고속도로를 봉쇄했고, 대규모 시위와 라 파스의 사실상 포위가 뒤따랐다.
사흘 후, 라 파스에서는 연료와 기타 필수 물품이 부족했다. 10월 11일, 산체스 데 로사다 대통령은 최고령 27209호를 공포하여 가스 공장과 탄화수소 운송을 군사화했다.[13] 그 결과, 무장한 군대가 디젤 및 휘발유 유조차를 인구 밀도가 높은 빈민가를 통해 라 파스로 수송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는 보안 부대로 파견되었다. 시위대는 경로를 따라 여러 지점에서 호송대를 막으려 했다.
결국 시위 진압을 위해 군대가 강경한 수단을 사용했기 때문에 7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다.[14]
사망에 대한 분노가 고조되고 연립 파트너인 만프레드 레예스 빌라가 정치적 지원을 철회하자, 산체스 데 로사다는 2003년 10월 17일 사임을 제안했고, 그는 미국으로 떠났다.
5. 가스 분쟁과 사임
2002년 대통령에 다시 취임한 산체스 데 로사다는 심각한 경제 및 사회적 위기에 직면했다. 경제 성장은 둔화되었고 재정 적자는 8%에 달했다.[9]
2003년, 에보 모랄레스를 비롯한 노조 지도자 그룹은 '인민 최고 사령부'를 결성하고 격렬한 시위를 시작했다. 주요 도로가 봉쇄되고 도시 기능이 마비되었다. 시위대는 코카 재배 제한에 대한 불만, 원주민 자치 요구, 그리고 천연가스 생산 수익의 외국 유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 등 다양한 요구를 제기했다.[11]
특히, 19세기 후반 태평양 전쟁에서 칠레에 해안 영토를 잃은 역사적 배경 때문에, 칠레 항구를 통한 가스 수출 결정은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12] 시위대는 엘 알토에서 라파스로 이어지는 주요 고속도로를 봉쇄했고, 라파스는 사실상 포위되었다.
산체스 데 로사다 정부는 가스 시설 군사화를 명령하고 군경을 동원해 강경 진압에 나섰다.[13] 이 과정에서 5세 어린이와 임산부를 포함한 민간인 사망자가 발생했다.[14] 정부는 폭력 사태를 '쿠데타'로 규정했지만, 시민 단체는 이를 '학살'로 묘사했다.
결국 연립 파트너의 지지 철회와 국민적 저항에 직면한 산체스 데 로사다는 2003년 10월 17일 사임을 발표하고 미국으로 떠났다. 이른바 '볼리비아 가스 분쟁'으로 불리는 이 사건으로 총 65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고 약 400명이 부상당했다.
5. 1. 가스 분쟁 이후: 망명과 책임 논란
가스 분쟁으로 70여 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후, 산체스 데 로사다는 미국으로 망명했다.[11] 2004년 볼리비아 의회는 망명 중인 그를 대량 학살 혐의로 기소하는 것을 승인했다.[12] 이는 가스 전쟁의 폭력 사태에 대한 법적 책임을 묻기 위한 조치였다.2008년 볼리비아 정부는 미국에 공식적으로 그의 송환을 요청했지만, 2012년 미국 국무부는 이를 거부했다.[13] 미국은 산체스 데 로사다의 행위가 미국 법률상 범죄에 해당하지 않으며, 이중 처벌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한편, 희생자 가족들은 미국 법원에 민사 소송을 제기했다. 2009년 미국 플로리다 남부 지방 법원은 반인도적 범죄 혐의는 증거 부족으로 기각했지만, 초법적 살인 혐의에 대한 소송은 허용했다.[14] 2014년, 법원은 원고들이 고문 피해자 보호법 (TVPA)에 따른 청구를 진행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15]
2018년, 미국 배심원단은 산체스 데 로사다와 그의 국방장관에게 유죄 평결을 내리고 1000만달러의 배상금을 지불하라고 명령했다.[19][20] 그러나 이후 판결이 번복되기도 했다.[21] 2020년, 항소 법원은 지방 법원의 평결 무효화 결정을 취소하고 사건을 재검토하도록 명령했다.[22][23] 2021년, 배심원 평결과 1000만달러 지불 명령이 재확인되었다.[24] 이 사건은 현재도 진행 중이며, 그의 법적 책임과 관련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6. 비판과 논란
산체스 데 로사다의 정책은 여러 면에서 비판과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1993년 재선에 성공한 산체스 데 로사다는 투파크 카타리 혁명 해방 운동(MRTKL)과 연합하여 원주민 정당의 지지를 받았다. 빅토르 우고 카르데나스는 남아메리카 최초의 원주민 출신 부통령이 되었다. 산체스 데 로사다 정부는 헌법을 개정하여 볼리비아를 다민족, 다문화 국가로 정의하고 원주민의 권리를 명시했다. 또한 국민 참여법을 통해 지방 자치를 강화하고 원주민을 위한 직접적인 지방 선거를 도입했다.
그러나 자본화 프로그램은 공기업 민영화를 통해 외국 자본에 의존하고 부패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비판론자들은 국가 기금 손실, 물가 상승, 사회 혼란을 지적했다. 특히 국영 석유 회사와 전력 회사의 민영화는 큰 손실과 전기 가격 인상을 초래했다.[7]
2002년 대선에서 산체스 데 로사다는 미국의 정치 컨설턴트들을 고용하여 선거 운동을 펼쳤다.[9] 그러나 미국 대사의 반(反) 코카인 수출국 발언과 미국 원조 중단 위협은[10] 오히려 반미 감정을 불러일으켜 에보 모랄레스의 지지율 상승에 기여했다.
6. 1. 신자유주의 정책에 대한 비판
산체스 데 로사다의 경제 정책은 '신자유주의'로 불린다.[7] 국영 기업 민영화, 긴축 재정, 시장 개방 등은 경제 성장과 외국인 투자 유치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빈부 격차 심화, 사회 불안정, 공공 서비스 약화 등의 문제를 야기했다는 비판을 받는다.비판론자들은 국가 기금 손실, 현지인들의 급증하는 물가, 그리고 이러한 변화와 관련된 사회 혼란을 지적한다. 국영 석유 회사의 매각은 매각 가격에 비해 수백만 달러의 손실을 초래했고, 전기 민영화는 전기 가격 인상을 초래했다.[7] 라틴 아메리카 북미 의회를 위해 짐 슐츠가 쓴 것처럼, "이러한 공공 자산 매각으로 약속된 막대한 자금은 빈곤층의 주머니에는 거의 흘러가지 않고 거래를 성사시킨 부유한 볼리비아인들의 금고로 자유롭게 흘러 들어가는 듯했으며, 주요 부패 스캔들은 정기적인 현상이었다."[7] 가장 논란이 많았던 영향은 곤살로 산체스 데 로사다 정부 하에서 시작되어 우고 반세르 대통령이 뒤를 이은 수도 민영화로, 코차밤바 물 전쟁을 초래했다.[7][8]
6. 2. 원주민과의 갈등
산체스 데 로사다는 원주민의 권리 신장을 위한 정책을 추진했지만, 코카 재배 금지와 천연가스 개발 등 원주민의 생존권과 전통 문화를 위협하는 정책도 함께 추진하여 갈등을 빚었다. 1993년부터 1997년까지 MNR 주도 정부는 헌법을 개정하여 볼리비아를 다민족, 다문화 국가로 정의하고 원주민의 권리를 명시했다. 국민 참여법을 통해 지방 정부를 창설하고 지방 자치를 강화했으며, 원주민을 위한 직접적인 지방 선거를 도입했다. 또한, 교육 개혁을 통해 현지 원주민 언어로 수업을 진행하고, 보편적인 산모 보장 및 아동을 위한 의료 보장, 노령 연금 혜택 등을 제공했다.[9]그러나 산체스 데 로사다의 정책은 코카 재배 농민들의 반발을 샀다. 미국은 코카 재배를 마약 문제와 연결하여 강경하게 금지 정책을 추진했고, 산체스 데 로사다는 이에 협력했다. 이로 인해 코카 재배 농민들은 생존권을 위협받았고, 반미 감정이 높아졌다.[10]
2003년에는 '가스 전쟁'이 발생하여 그의 정책에 대한 원주민들의 불만이 폭발했다. 2002년 8월 취임부터 연말까지는 긴장이 적었으나, 2003년 1월 에보 모랄레스의 지도 아래 여러 노조 그룹이 연합하여 격렬한 시위를 시작했다. 코카 재배자들은 코카 근절에 항의했고, 아이마라 지역 원주민 농민들은 정치 개혁과 경제적 분권을 요구했다. 도시 노동자와 광부들은 천연 가스 생산 수익이 외국으로 돌아갈 가능성에 항의했다.[11]
9월 말, 와리사타에서 시위대와 군대 간의 충돌로 6명이 사망했다.[12] 10월 초, 산체스 데 로사다가 볼리비아 가스를 칠레 항구를 통해 수출하기로 결정했다는 보도가 나오자 시위가 격화되었다. 10월 11일, 산체스 데 로사다는 가스 공장과 탄화수소 운송을 군사화하는 최고령을 공포했다.[13] 그 결과, 군대가 투입되어 시위대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5세 어린이와 임산부를 포함한 민간인 사망자가 발생했다.[14]
결국, 가스 전쟁으로 총 65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고 약 400명이 부상당했다. 이에 대한 분노가 커지고 정치적 지지가 철회되자, 산체스 데 로사다는 2003년 10월 17일 사임을 제안하고 미국으로 떠났다.
6. 3. 미국의 영향력
곤살로 산체스 데 로사다는 어린 시절을 미국에서 보내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문학과 철학을 공부한 친미 성향의 정치인이다. 그는 미국 중서부 억양의 스페인어를 구사했다.[6][5]1986년 경제기획부 장관 시절, 그는 미국의 경제학자 제프리 삭스가 옹호한 경제 충격 요법을 도입하여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극복했다. 1993년부터 1997년까지 첫 번째 대통령 임기 동안에는 국유 기업 민영화 등 미국의 지원을 받으며 시장 개방 정책을 추진했다.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 그는 미국의 정치 컨설턴트들을 고용하여 선거 운동을 진행했다.[9] 그러나 선거 3일 전, 미국 대사가 볼리비아 국민들에게 "코카인 수출국을 원하는 사람"을 뽑지 말라고 경고하며 미국 원조 중단을 시사하는 발언[10]을 해 반미 감정이 고조되었다. 이는 사회주의를 향한 운동 (MAS)의 에보 모랄레스 후보의 지지율 상승으로 이어져, 산체스 데 로사다는 근소한 차이로 1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2003년, 그의 정부는 천연 가스 수출 결정을 둘러싸고 대규모 시위와 국내 분쟁에 직면했다. 특히, 수출 경로로 칠레 항구를 선택한 것은 태평양 전쟁 이후 칠레에 대한 뿌리 깊은 반감을 가진 볼리비아 국민들의 분노를 샀다.
참조
[1]
웹사이트
Doble nacionalidad y edad de Sánchez de Lozada podrían dificultar su extradición
https://www.lostiemp[...]
2024-09-09
[2]
간행물
Bolivia says Washington won't extradite former leader
https://www.chicagot[...]
Chicago Tribune
2012-09-07
[3]
뉴스
El Gobierno dice que insistirá con la extradición de Sánchez de Lozada y Sánchez Berzaín
https://www.la-razon[...]
2022-01-11
[4]
뉴스
Bolivian President More Comfortable Playing Soccer Than Watching
https://www.chicagot[...]
1994-06-16
[5]
웹사이트
Like Water for Capitalists
https://historicly.s[...]
2020-07-25
[6]
웹사이트
Thanks, but Goodbye: Why Many of Evo Morales' Supporters Want Him to Move on
http://americasquart[...]
[7]
웹사이트
Selling the Public Sector: Latin America reacts; Bolivia: The Water War Widens
https://nacla.org/ar[...]
2020-07-25
[8]
웹사이트
FRONTLINE/WORLD . Bolivia - Leasing the Rain . Timeline: Cochabamba Water Revolt {{!}} PBS
https://www.pbs.org/[...]
2020-07-26
[9]
서적
Dispatches from the War Room: In The Trenches With Five Extraordinary Leaders
2009
[10]
웹사이트
Polémica en Bolivia con el embajador de EE.UU
http://www.clarin.co[...]
Clarin.com
2017-06-08
[11]
간행물
"State Crisis and Popular Power"
2006-01
[12]
citation
Como Cayó Goni
http://comocayogoni.[...]
[13]
웹사이트
Bolivia: Decreto Supremo Nº 27209, 11 de octubre de 2003
http://www.lexivox.o[...]
Lexivox.org
2017-06-08
[14]
웹사이트
La Paz, tomada por el ejército; se agrava la escasez de alimentos
http://www.jornada.u[...]
La Jornada
2017-06-08
[15]
뉴스
Landmark case in Florida pits Bolivia's ex-leader against villagers attacked by his army
http://www.miamihera[...]
2018-03-27
[16]
웹사이트
Mamani, et al. v. Sánchez de Lozada / Mamani, et al. v. Sánchez Berzaín | Center for Constitutional Rights
http://ccrjustice.or[...]
Ccrjustice.org
2017-06-08
[17]
웹사이트
ELOY ROYAS MAMANI, ETELVINA RAMOS MAMANI, SONIA ESPEJO VILLALOBOS, HERNAN APAZA CUTIPA, JUAN PATRICIO QUISPE MAMANI, et al., versus JOSE CARLOS SANCHEZ BERZAIN, GONZALO SANCHEZ DE LOZADA
http://media.ca11.us[...]
Appeals from the United States District Court for the Southern District of Florida
2017-06-08
[18]
뉴스
Sanchez de Lozada v. Mamani - SCOTUSblog
http://www.scotusblo[...]
2018-03-27
[19]
뉴스
Former Bolivian President Faces US Trial for 2003 Killings
https://www.voanews.[...]
2018-03-27
[20]
웹사이트
BREAKING: Fla. Jury Blames Ex-Bolivian Prez For Civilian Deaths - Law360
https://www.law360.c[...]
2018-04-03
[21]
뉴스
'October Massacre' victims' trial highlights traumas in Bolivia
https://www.pri.org/[...]
2020-08-03
[22]
뉴스
EEUU: Anulan la sentencia que favorecía a Goni y Sánchez Berzaín en el caso Octubre Negro
https://erbol.com.bo[...]
2020-08-04
[23]
court
http://media.ca11.us[...]
2020-08-03
[24]
뉴스
Federal Judge Upholds Ruling Against Former Bolivian President in Human Rights Case Brought by HLS Clinic
https://www.thecrims[...]
The Harvard Crimson
2021-04-14
[25]
웹사이트
Gonzalo Sánchez de Lozada
http://www.clubmadri[...]
2008-11-14
[2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anchezdeloza[...]
2009-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