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자유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자유주의는 1938년 처음 사용된 용어로, 정부 개입 축소, 시장 자유화, 규제 완화, 민영화를 강조하는 사상 및 정책을 의미한다. 오스트리아 학파의 경제 사상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몽펠르랭 학회를 통해 이론적 기반을 다졌다. 1970년대 이후 칠레, 영국, 미국 등에서 신자유주의 정책이 시행되었으며, 무역 장벽 감소, 규제 완화, 국영 기업 민영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옹호론자들은 경제 성장과 세계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비판론자들은 경제 불평등 심화, 민주주의 훼손, 금융 위기 등을 초래한다고 지적한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대처주의와 레이거노믹스가 있으며,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의 정책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수자유주의 - 진보당 (노르웨이)
진보당은 1973년 안데르스 랑에에 의해 창당된 노르웨이의 정당으로, 경제적 자유주의와 우익 포퓰리즘 성향을 보이며 이민, 범죄, 외교 정책 등에서 보수적인 입장을 취한다. - 보수자유주의 - 자유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는 전통적 가치와 자유 시장 경제를 옹호하며, 개인의 자유, 법치주의, 사유 재산, 시장 경제와 같은 자유주의적 제도를 수용하는 보수주의의 한 분파이다. - 우익 정치 - 보수자유주의
보수자유주의는 재산권, 자유권, 생존권 보장을 강조하며 경제적 자유를 중시하고 강력한 법 집행을 요구하는 자유주의의 분파이다. - 우익 정치 - 우익 포퓰리즘
우익 포퓰리즘은 민족주의, 사회보수주의, 경제적 국가주의를 결합하여 '토착주의'를 내세우며 권위주의적 성향을 띠고 사회를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대립을 조장하며, 반이민 정책, 세계화에 대한 의구심, 기존 정치 시스템에 대한 불신을 기반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지지자를 규합하는 이데올로기이다. - 신자유주의 - 제3의 길
제3의 길은 20세기 후반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대안으로 등장한 사회민주주의 이념으로, 시장 경제 효율성과 사회 정의 조화를 추구하며 여러 국가에서 시도되었으나, 신자유주의와의 차별성 부재와 이념적 모호성 비판 속에 쇠퇴한 과거의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 신자유주의 - 자유민주당 (독일, 1948년)
자유민주당은 1948년 서독에서 창당되어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자유주의 정당들을 계승하며, 기민련/기사련 또는 사민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며 캐스팅보트 역할을 수행했고, 자유시장 경제와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중도우파 정당이다.
신자유주의 | |
---|---|
신자유주의 | |
기원 | |
역사 | 제1차 석유 파동 (1973년) 영국병으로 인한 경제 침체 (1970년대) 제2차 석유 파동 (1978년) 영국의 대처리즘 정책 (1979년) 미국의 레이거노믹스 실시 (1981년) 검은 토요일 (1983년) 검은 월요일 (1987년) 소련의 붕괴 (1991년) 아시아 금융 위기 (199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2007년)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2008년) 그리스 국가 부채 위기 (2009년) 유럽 국가 부채 위기 (2010년) 월 가를 점거하라 (2011년) 노란 조끼 운동 (2018년) |
주요 사상 | 산업 혁명 중상주의 |
개념 | |
핵심 요소 | 감세 경제 자유화 경제 통합 경제적 상호의존 경제적 자유주의 공급측면 경제학 구조 조정 금융자본주의 긴축 재정 단일 시장 래퍼 곡선 민영화 사회 진화론 선별적 복지 세계화 신공공관리론 음의 소득세 자유 무역 자유 시장 자유의지 작고 강한 정부 재정 보수주의 지식 재산권 직접 투자 탈규제 |
이론 | 중앙 은행 회사 민주주의 민영화 규제 완화 경제적 자유 경제 통합 경제적 상호의존 경제 자유화 환율 공정 거래 불환 지폐 외환 보유고 외국 직접 투자 자유 시장 자유 무역 (협정) 세계화 법의 조화 인플레이션 조정 인플레이션 목표제 지적 재산권 정부 간 주의 자유화 시장화 혼합 경제 음의 소득세 공개 시장 조작 PFI 사유 재산 민영화 공공 도로 교육 바우처 공동 시장 초국가주의 감세 세제 개혁 |
학파 및 이론 | 낙수 경제 이론 시카고 학파 신고전파 경제학 오스트리아 빈 학파 비교 우위 소비자 물가 지수 경제 성장 경제적 합리주의 프리드먼 규칙 K 퍼센트 규칙 국내 총생산 국제 경제학 국제 금융 국제 무역 래퍼 곡선 금융 경제학 화폐 수량설 대칭 인플레이션 목표 |
경제학 | 시카고 학파 케인스 경제학 통화주의자 신고전파 경제학 트리클 다운 이론 공급측 경제학 |
운동 | 고전적 자유주의 경제적 자유 자유 시장 자유 무역 세계화 자유지상주의 레이거노믹스 로저노믹스 대처리즘 |
조직 | |
조직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ASEAN) 유럽 연합 아랍 자유 무역 협정 북미 자유 무역 협정 (NAFTA) 권한 위임 국제 기구 국제 통화 기금 세계 은행 리즈 재단 케이트 연구소 |
정치 분파 | 대처리즘 신보수주의 신우익 사상 우파 자유지상주의 |
인물 | |
주요 인물 | [[파일:Ludwig von Mises.jpg|30px]] 미제스 (1881년 ~ 1973년) [[파일:Question mark3.svg|30px]] 나이트 (1885년 ~ 1972년) [[파일:Friedrich Hayek portrait.jpg|30px]] 하이에크 (1899년 ~ 1992년) [[파일:Ayn Rand (1943 Talbot portrait).jpg|30px]] 랜드 (1905년 ~ 1982년) [[파일:Coase scan 10 edited.jpg|30px]] 코스 (1910년 ~ 2013년) [[파일:Ronald Reagan 1981 presidential portrait.jpg|30px]] 레이건 (1911년 ~ 2004년) [[파일:Portrait of Milton Friedman.jpg|30px]] 프리드먼 (1912년 ~ 2006년) [[파일:Pinochet crop.jpg|30px]] 피노체트 (1915년 ~ 2006년) [[파일:James Buchanan by Atlas network.jpg|30px]] 뷰캐넌 (1919년 ~ 2013년) [[파일:George H. W. Bush,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1989 official portrait (cropped).jpg|30px]] G. H. W. 부시 (1924년 ~ 2018년) [[파일:Margaret Thatcher cropped2.png|30px]] 대처 (1925년 ~ 2013년) [[파일:Alan Greenspan color photo portrait.jpg|30px]] 그린스펀 (1926년 ~ ) [[파일:GaryBecker-May24-2008.jpg|30px]] 베커 (1930년 ~ 2014년) [[파일:Question mark3.svg|30px]] 노직 (1938년 ~ 2002년) [[파일:George-W-Bush.jpeg|30px]] G. W. 부시 (1946년 ~ ) [[파일:Hans-Hermann Hoppe by Gage Skidmore.jpg|30px]] 호페 (1949년 ~ ) [[파일:Takenaka Heizo 1-1.jpg|30px]] 헤이조 (1951년 ~ ) [[파일:Jesús Huerta de Soto 2014 (cropped).jpg|30px]] 데소토 (1956년 ~ ) |
관련 인물 | 아담 스미스 데이비드 리카도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조지 스티글러 존 메이너드 케인스 밀턴 프리드먼 토머스 프리드먼 |
관련 주제 | |
관련 주제 | 반자본주의 반세계화 알터몬디알리슴 지적 재산권에 대한 비판 반저작권 보호 무역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 |
영향 | K% 준칙 아나르코자본주의 자유방임주의 자유지상주의 테일러 준칙 통화주의 창조적 파괴 |
관련 문헌 | 미제스, 《자유주의》 (1927년) 하이에크, 《노예의 길》 (1943년) 미제스, 《관료제》 (1944년) 하이에크, 《개인주의와 경제 질서》 (1948년) 미제스, 《인간행동론》 (1949년) 미제스, 《화폐와 신용의 이론》 (1953년) 미제스, 《자본주의 정신과 반자본주의 심리》 (1956년) 프리드먼, 《소비 함수 이론》 (1957년) 하이에크, 《자유의 구조》 (1960년) 뷰캐넌, 《재정 이론과 정치경제》 (1960년) 프리드먼, 《통화 안정을 위한 프로그램》 (1960년) 미제스, 《경제과학의 궁극적 기초》 (1962년) 뷰캐넌, 《동의의 산술》 (1962년) 프리드먼, 《자본주의와 자유》 (1962년) 프리드먼, 《통화 정책의 역할》 (1968년) 미제스, 《오스트리아 학파의 경기변동 이론》 (1969년) 뷰캐넌, 《지출과 선택》 (1969년) 프리드먼, 《통화 이론의 반혁명》 (1970년) 프리드먼, 《인플레이션과 실업》 (1977년) 하이에크, 《법, 입법 그리고 자유》 (1979년) 프리드먼, 《선택할 자유》 (1980년) 뷰캐넌, 《자유, 시장 그리고 국가》 (1985년) 하이에크, 《치명적 자만》 (1988년) 프리드먼, 《경제의 자유, 인간의 자유, 정치의 자유》 (1992년) 그린스펀, 《격동의 시대: 신세계에서의 모험》 (2007년) 그린스펀, 《미국 자본주의의 역사》 (2018년) |
기타 | |
관련 조직 | 보수당 자유당 자유민주당 국제결제은행 (BIS, 1930년 ~ ) 국제 통화 기금 (IMF, 1944년 ~ ) 세계은행 (1944년 ~ ) 카토 연구소 (CATO, 1974년 ~ ) 리즌 재단 (RF, 1978년 ~ ) 미제스 연구소 (1982년 ~ ) 북미 자유 무역 협정 (NAFTA, 1992년 ~ ) |
2. 용어
'''신자유주의'''(Neoliberalism)라는 용어는 1938년 독일 학자 알렉산더 뤼스토(Alexander Rüstow)와 월터 리프만 국제회의(Colloque Walter Lippmann)에서 처음 사용되었다.[403] 이 회의에서는 신자유주의 개념을 "가격 결정 메커니즘, 자유 기업, 경쟁이 있고 강하고 공정한 국가 체제의 우선"으로 정의하였다. 당시 경제 정책의 필요성 때문에 자유주의(리베럴리즘) 안에서 "신자유주의"(네오리베럴리즘)라고 명명하였다.
"신자유주의"라는 용어는 역사적 경위나 학파의 차이 등으로 인해, 결정적인 정의나 통일된 견해를 찾기 어렵다.[404] 이론적으로는 프라이부르크 학파, 오스트리아 학파, 시카고 학파, 리프만 현실주의 등, 여러 다른 학문적 접근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197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수용이 진전되었고, 신자유주의적인 개혁을 약속하는 정부가 세계 곳곳에 등장했지만, 상황에 따라 약속한 개혁을 실행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즉, 모든 신자유주의가 항상 이데올로기적으로 신자유주의적인 것은 아니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밀턴 프리드먼과 같은 신자유주의 옹호자와 데이비드 하비[405], 노엄 촘스키[406]와 같은 비판자들 사이에서도 신자유주의의 의미에 대한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아, 개인 간 의견 차이가 없는 신자유주의 정의를 만드는 것은 어렵다.
이 용어가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의미는 "가격 통제의 폐지, 자본 시장의 규제 완화, 무역 장벽의 축소" 등, 특히 민영화와 긴축 재정 등 정부의 경제 개입 축소 등의 경제 개혁 정책이다. 이 용어는 워싱턴 컨센서스에 반대하는 개발 모델, 최소 국가주의 등 정부 기능 축소를 주장하는 자유주의 개념을 비난하는 이데올로기 용어, 그리고 신고전파 경제학과 밀접하게 관련된 학문적 패러다임 등 여러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3. 역사
'신자유주의(Neoliberalism)'라는 용어는 1898년 프랑스 경제학자 샤를 지드(Charles Gide)가 이탈리아 경제학자 마페오 판탈레오니(Maffeo Pantaleoni)의 경제적 신념을 묘사하기 위해 처음 사용했다. néo-libéralisme프랑스어라는 용어는 이전부터 프랑스어에 존재했다.[32] 밀턴 프리드먼(Milton Friedman)은 1951년 에세이 "신자유주의와 그 전망"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33]
1938년 월터 리프먼 콜로키움(Colloque Walter Lippmann)에서 "신자유주의(neoliberalism)"라는 용어가 제안되어 특정한 경제적 신념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34] 이 콜로키움은 신자유주의 개념을 "가격 메커니즘의 우선순위, 자유 기업, 경쟁 시스템, 그리고 강력하고 공정한 국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루이 루지에(Louis Rougier)와 프리드리히 하이에크(Friedrich Hayek)는 신자유주의의 경쟁이 성공한 개인들의 엘리트 구조를 확립하여 사회에서 권력을 장악하고, 이들이 다수를 대신하여 행동하는 기존의 대의 민주주의를 대체할 것이라고 보았다.[32][33] 당시 "신자유주의자(neoliberal)"는 국가 개입을 포함하는 현대적인 경제 정책을 옹호하는 것을 의미했는데,[34] 이는 루트비히 폰 미제스(Ludwig von Mises)와 같은 고전적 자유주의자들의 "자유방임(laissez-faire)"과 충돌했다.
1950년대와 1960년대 대부분의 학자들은 신자유주의를 사회시장경제와 발터 오이켄(Walter Eucken), 빌헬름 뢰프케(Wilhelm Röpke), 알렉산더 뤼스토우(Alexander Rüstow), 알프레드 뮐러-아르막(Alfred Müller-Armack)과 같은 주요 경제 이론가들과 관련하여 이해했다. 하이에크는 독일 신자유주의자들과 지적 유대감을 가졌지만, 그의 보다 자유 시장 친화적인 입장 때문에 이 기간 동안 그의 이름은 신자유주의와 함께 언급되는 경우가 드물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신자유주의'라는 용어는 1970년대 좌파 학자들 사이에서 주로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정책 입안자, 싱크탱크 전문가, 기업가들이 사회민주주의 개혁을 비난하고 자유 시장 정책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묘사하고 비판하기 위해서였다.[39] 1980년대 중반,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의 영향으로 학술 문헌에서 다시 등장했다.[40]
신자유주의는 일반적으로 "가격 통제 철폐, 규제 완화, 자본 시장 규제 완화, 무역 장벽 인하"와 같은 시장 지향적 개혁 정책을 의미하며, 특히 민영화와 긴축을 통해 경제에서 국가의 영향력을 줄이는 것을 포함한다.[24] 이는 영국의 마가렛 대처와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이 도입한 경제 정책과 관련이 깊다.[24]
3. 1. 초기
영어에서 '신자유주의(Neoliberalism)'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1898년 프랑스 경제학자 샤를 지드(Charles Gide)가 이탈리아 경제학자 마페오 판탈레오니(Maffeo Pantaleoni)의 경제적 신념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다. néo-libéralisme프랑스어라는 용어는 이전부터 프랑스어에 존재했다.[32] 밀턴 프리드먼(Milton Friedman)은 1951년 에세이 "신자유주의와 그 전망"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33]
1938년 월터 리프먼 콜로키움(Colloque Walter Lippmann)에서 "신자유주의(neoliberalism)"라는 용어가 제안되어 특정한 경제적 신념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34] 이 콜로키움은 신자유주의 개념을 "가격 메커니즘의 우선순위, 자유 기업, 경쟁 시스템, 그리고 강력하고 공정한 국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루이 루지에(Louis Rougier)와 프리드리히 하이에크(Friedrich Hayek)에 따르면, 신자유주의의 경쟁은 성공한 개인들의 엘리트 구조를 확립하여 사회에서 권력을 장악하고, 이들이 다수를 대신하여 행동하는 기존의 대의 민주주의를 대체할 것이라고 보았다.[32][33] "신자유주의자(neoliberal)"는 국가 개입을 포함하는 현대적인 경제 정책을 옹호하는 것을 의미했다.[34] 이는 루트비히 폰 미제스(Ludwig von Mises)와 같은 고전적 자유주의자들의 "자유방임(laissez-faire)"과 충돌했다.
1950년대와 1960년대 대부분의 학자들은 신자유주의를 사회시장경제와 발터 오이켄(Walter Eucken), 빌헬름 뢰프케(Wilhelm Röpke), 알렉산더 뤼스토우(Alexander Rüstow), 알프레드 뮐러-아르막(Alfred Müller-Armack)과 같은 주요 경제 이론가들과 관련하여 이해했다. 하이에크는 독일 신자유주의자들과 지적 유대감을 가졌지만, 그의 보다 자유 시장 친화적인 입장 때문에 이 기간 동안 그의 이름은 신자유주의와 함께 언급되는 경우가 드물었다.
3. 1. 1. 오스트리아 학파
오스트리아 학파는 경제 현상의 기초를 개인의 의도적인 행동에 두는 방법론적 개인주의를 주장했다.[408][409][410][411]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비엔나에서 카를 멩거(Carl Menger) 등을 중심으로 활동한 것에서 이 학파의 명칭이 유래했다.[412] 오스트리아 학파는 주관적 가치론(en), 가격 이론에서의 한계효용론 등의 경제 이론에 기여했다.[413]
초기 신자유주의는 고전적 신자유주의라고도 불리며, 하이에크, 미제스 등 전간기 오스트리아 경제학자들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이들은 사회주의와 파시즘 정부에 의해 유럽에서 자유주의가 쇠퇴하는 상황을 우려하여 자유를 재건하려는 시도를 시작했고, 이것이 신자유주의의 기초가 되었다.
신자유주의의 핵심 개념은 법치주의였다. 하이에크는 강제가 최소화될 때 자유가 최대화된다고 믿었다. 그는 자유로운 사회에서도 강제의 완전한 폐지는 불가능하지만, 강제를 원할지 여부는 개인이 판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 실체가 법이며, 그 사용은 법치주의라고 했다. 이러한 생각을 실현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에는 권력분립 등이 있으며, 이는 입법자로부터 단기적인 목표 추구를 분리하고 다수파에 의한 절대 권력을 방지하여 법에 실효성을 부여한다고 보았다. 또한 헌법주의 개념에 의해 입법자도 성립된 법에 법적으로 구속된다.
3. 1. 2. 월터 리프만 국제회의
1938년 8월, 프랑스 파리에서 월터 리프먼 국제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에는 월터 리프먼,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루트비히 폰 미제스, 빌헬름 뢰프케, 알렉산더 뤼스토 등 여러 학자들이 참석했다.[58]
리프먼, 뤼스토 등은 자유방임(laissez-faire)의 구(舊) 자유주의는 실패했으므로 새로운 자유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지만, 하이에크와 미제스는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참가자들은 모두 새로운 자유주의 연구 프로젝트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고, 뤼스토의 제안으로 이 프로젝트를 '신자유주의(Néoliberalisme)'라고 부르기로 했다.
이 회의에서 탄생한 신자유주의는 뤼스토의 개념에 따라 정부 규제를 배제한 자유 시장 경제였다. 이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모두와 다른 제3의 길을 찾으려는 시도였다. 따라서 초기 신자유주의는 21세기에 널리 알려진 시장 원리주의와는 다른 개념이었다.
이 국제회의는 신자유주의 국제기구인 자유주의 쇄신 국제 연구 센터(Centre International d’études pour la Rénovation du libéralisme)를 설립했다. 이 센터는 파리에 본부를 두고 1939년부터 활동하기 시작했다.
3. 1. 3. 몽펠르랭 학회
1947년,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신자유주의 이론과 정책을 널리 알리기 위해 몽펠레랭 학회(Mont Pelerin Society)를 설립했다.[417] 하이에크 등은 고전적 자유주의가 개념적 결함으로 인해 기능하지 못하고 실패했기 때문에, 그 진단과 시정을 위해 집중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3.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신자유주의'라는 용어는 1970년대 좌파 학자들 사이에서 주로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정책 입안자, 싱크탱크 전문가, 기업가들이 사회민주주의 개혁을 비난하고 자유 시장 정책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묘사하고 비판하기 위해서였다.[39] 1980년대 중반,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의 영향으로 학술 문헌에서 다시 등장했다.[40]
신자유주의는 일반적으로 "가격 통제 철폐, 규제 완화, 자본 시장 규제 완화, 무역 장벽 인하"와 같은 시장 지향적 개혁 정책을 의미하며, 특히 민영화와 긴축을 통해 경제에서 국가의 영향력을 줄이는 것을 포함한다.[24] 이는 영국의 마가렛 대처와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이 도입한 경제 정책과 관련이 깊다.[24]
신자유주의는 다음과 같이 여러 영역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24]
신자유주의라는 용어의 의미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1980년대 이후 뉴딜 정책 축소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된 자유 시장 사상을 무엇이라 불러야 하는지에 대해 논쟁이 있다고 주장하며, ''자유방임주의'' 또는 "자유 시장 이데올로기"와 같은 용어를 제시한다.[41] 다른 학자들은 신자유주의가 자본 축적 과정을 자유롭게 하려는 정치 철학이라고 주장하는 반면,[42] 프랜시스 폭스 파이번은 신자유주의를 초자본주의로 보기도 한다.[43] 로버트 W. 맥체스니는 신자유주의를 "장갑을 벗은 자본주의"와 유사하다고 정의했지만, 이 용어는 특히 미국에서 대중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고 주장한다.[44]
필립 미로우스키에 따르면, 신자유주의는 시장을 인간보다 우월한 정보 처리기로 보며, 진리의 판단자로 여긴다. 애덤 코츠코는 신자유주의를 정치 신학으로 묘사하며, 경제 정책을 넘어 "완전한 삶의 방식과 전체적인 세계관"을 추구하는 도덕적 윤리를 강조한다.[44]
신자유주의는 자유방임주의 경제 정책을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모든 측면에서 시장과 같은 개혁을 이루기 위해 강력한 국가를 옹호한다는 점에서 자유주의와 다르다.[45] 제이슨 히켈은 신자유주의 확산에는 세계적인 '자유 시장'을 확립하기 위한 상당한 국가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46] 나오미 클라인은 신자유주의의 세 가지 정책 기둥으로 "공공 영역의 민영화, 기업 부문의 규제 완화, 공공 지출 삭감으로 충당되는 소득 및 법인세 인하"를 제시한다.[47]
일부 학자들은 신자유주의가 비판가들에 의해 모욕적인 말로 사용되며, 통화주의, 신보수주의, 워싱턴 컨센서스와 같은 유사 용어보다 학술 저술에서 많이 나타난다고 주장한다.[47] ''신자유주의 백서''는 이 용어가 "광범위한 사회적, 정치적, 생태적, 경제적 문제에 대한 책임이 큰 것으로 보이는 광범위한 시장 지향적 정책을 식별하는 수단"이 되었다고 말한다.[47] 그러나 "이 용어의 특수성 부족은 분석적 틀로서의 역량을 감소시킨다"고 주장하며, 신자유주의가 사회 변화를 이해하는 방법으로 기능하려면 개념을 더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47] 역사가 다니엘 스테드먼 존스는 이 용어가 "세계화와 반복되는 금융 위기와 관련된 공포에 대한 포괄적인 약어"로 자주 사용된다고 말했다.[47]
윌 휴턴과 같은 일부 저술가들은 "신자유주의"라는 용어를 "무분별한 좌파의 모욕"이라고 비판하며 토론을 억압한다고 주장했다.[50] 반면, 많은 학자들은 이 용어가 의미있는 정의를 유지한다고 믿는다. 개리 거슬은 신자유주의를 "자본주의의 힘을 명시적으로 해방하라고 촉구하는 신조"라고 설명하며 정당한 용어라고 주장한다.[53] 그는 신자유주의가 전통에 대한 존중과 제도를 강화하는 것을 중시하는 전통적인 보수주의와 달리, 길을 가로막는 제도를 파괴하고 극복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고 설명한다.[53]
마니토바 대학교 지정학 경제 연구 그룹 소장 라디카 데사이는 세계 자본주의가 1914년에 최고조에 달했으며, 신자유주의의 목적은 자본주의를 과거의 최고 수준으로 회복하는 것이었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현대 신자유주의 자본주의가 "서서히 진행되는 경제적 재앙"을 조장하고 세계에 불평등 심화, 사회적 분열, 경제적 고통, 의미있는 정치의 부족을 남겼기 때문에 이 과정이 실패했다고 주장한다.[53]
3. 2. 1. 시카고 학파
밀턴 프리드먼을 중심으로 한 시카고 학파는 시카고 대학교 교수진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경제학 학술계에서는 신고전파 경제학으로도 불린다. 이 학파는 정부의 개입을 비판하고, 중앙은행의 통화 공급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장 규제에 반대하며, 기존의 정부 재량이 큰 복지 정책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고, 소득세 감면 등 정부 재량이 작은 복지 정책 도입을 주장했다.[402] 이 이론은 1980년대까지 신고전파 가격 이론과 자유지상주의에 영향을 미쳤으며, 케인스가 제창한 틀과 이론을 수용하면서 이를 수정하여 통화주의를 지지했다.
3. 2. 2. 독일과 오르도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사상은 서독에서 처음으로 실현되었다. 루트비히 에르하르트(Ludwig Erhard)를 중심으로 한 경제학자들은 1930년대와 1940년대에 개발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독의 재건에 기여했다.[62] 에르하르트는 몽펠레랭 사회의 회원이었다.
오르도자유주의(ordoliberal) 프라이부르크 학파(Freiburg School)는 더 실용적이었다. 독일 신자유주의자들은 경쟁이 경제 번영을 이끈다는 고전적 자유주의 개념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그들은 완전한 자유방임주의 국가 정책은 독과점과 카르텔이 경쟁의 자유를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강자가 약자를 잡아먹는 등 경쟁을 저해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잘 발달된 법 체계와 유능한 규제 기구의 창설을 지지했다. 여전히 대규모 케인스식 고용 정책이나 광범위한 복지 국가에 반대했지만, 독일 신자유주의 이론은 경제 효율성과 동등한 수준으로 인본주의적이고 사회적 가치를 두려는 의지로 특징지어졌다. 알프레트 뮐러-아르마크(Alfred Müller-Armack)는 이 사상의 평등주의적이고 인본주의적인 성향을 강조하기 위해 "사회적 시장경제"라는 용어를 만들었다.[415] 발터 오이켄(Walter Eucken)은 "사회 보장과 사회 정의는 우리 시대의 가장 큰 관심사"라고 말했다.[415]
3. 2. 3. 영국
1970년대 영국은 '영국병'이라 불리는 경제 침체와 사회 혼란을 겪었다. 구체적으로는 '분노의 겨울'이라 불리는 노동조합의 발언력 강화로 파업이 빈발하고 공공 서비스가 기능 부전에 빠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또한 국영 산업은 생산성 향상 등 자력으로 수익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게을리하고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면서 경쟁력을 상실해갔다.[24]
1979년 선거에서 승리하여 수상이 된 마거릿 대처는 국영 기업 민영화, 석탄·조선 등 중후장대산업 해체, 재정 재건에 착수했다. 그 결과 인플레이션 억제와 단기적인 비숙련 노동자 계층의 실업률 증가가 발생하여 지지율이 하락했다. 그러나 1982년 포클랜드 전쟁에서 승리하여 지지율을 회복하고 장기 집권을 하게 되었다.
이후 토니 블레어 정권은 소비자 보호 등에서는 정부 개입을 하였지만, 노동당 강령에서 생산 수단과 운송의 국유화를 삭제하고 경제 정책을 자유 시장 경제로 전환하는 "'''제3의 길'''" 노선을 채택하여 실업 문제를 해소했다.
3. 2. 4. 오스트레일리아
1980년대 이후,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노동당과 자유당 정부 모두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추진했다.[415] 1983년부터 1996년까지 밥 호크 및 폴 키팅 정부는 오스트레일리아 달러 변동 환율제 전환, 국영 사업 민영화, 요소 시장 규제 완화, 무역 장벽 완화 등의 경제 자유화 및 미시 경제 개혁 정책을 시행했다.[415]
3. 2. 5. 미국
민주당 소속 카터 대통령은 1977년 취임하여 물류 및 금융 산업에 대한 규제 완화를 시작했다.[416] 레이건 정부는 이러한 경제 자유화 정책을 계승하여 연방 소득세 최고 세율을 50%에서 28%로, 법인세율을 46%에서 34%로 낮추었다.[416] 레이건 정부 하에서 실업률은 1981년부터 1983년까지 7%에서 10%로 일시적으로 상승했다가 1989년에는 5%로 감소했지만, 이것이 레이건의 경제 정책 때문인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또한, 방송법 개정을 통해 산업 규제 완화가 이루어져 현재 미국의 미디어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이후 클린턴 행정부까지 자유주의적 정책이 계승되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체결하고, 금융기관 규제인 글래스-스티걸법을 폐지했다.
3. 2. 6. 일본
1982년에 총리에 취임한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曽根康弘)는 "민활 프로젝트" 추진을 내걸고 민간 기업의 활력을 이용하여 재정 부담 없이 사회 정비를 도모하고[148], 일본전매공사(日本専売公社), 일본국유철도(日本国有鉄道) 및 일본전신전화공사(日本電信電話公社)의 삼공사를 민영화하였다. 이후 하시모토 류타로(橋本龍太郎) 정권의 금융 빅뱅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郎) 정권의 성역 없는 구조 개혁에 의한 규제 완화로 신자유주의적 정책은 계승된다.
3. 2. 7. 칠레
1973년 미국의 지원을 받아 발생한 칠레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장악한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정권은 시카고 보이즈의 제안을 받아들여 규제 완화, 민영화, 정부 지출 감축,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등 경제 자유화 정책을 추진했다.[47] 그 이전의 칠레에서는 지속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했고, 1974년에는 약 600%의 인플레이션율을 기록했지만, 1979년에는 50%, 1982년 칠레 경제 위기 직전에는 인플레이션율이 10%까지 수렴했다. 또한 경제 성장률은 다른 라틴아메리카 국가들보다 높은 값을 기록하는 경우가 많았다. 칠레의 영아 사망률은 1970년 1000명당 76.1명에서 1989년에는 22.6명으로 감소하여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 되었다. 그러나 당시부터 현대 칠레까지 경제적 불평등은 다른 라틴아메리카 국가들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위의 정책이 1982년 경제 위기를 악화시켰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어 이러한 정책들은 부분적으로 수정되었다.[52] 또한 반대파 숙청도 같은 시기에 이루어졌다.
현대에는 경제 자유화 정책에 대해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CIA World Factbook에서는 건전한 경제 정책으로 칠레의 빈곤이 절반 이상 해소되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또한 동시기의 불평등 확대가 정책의 결과로 나타난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3. 2. 8. 그 외 라틴 아메리카
1980년대 이후 라틴 아메리카 여러 국가에서는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조 조정 프로그램에 따라 신자유주의 정책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정책에는 가격 통제 철폐, 규제 완화, 자본 시장 규제 완화, 무역 장벽 인하, 민영화, 긴축 등이 포함된다.[24]
그러나 이러한 신자유주의 정책은 경제 위기를 심화시키고, 사회 불평등을 확대하는 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4. 주요 내용
신자유주의는 국제체제를 무정부적으로 규정하며, 국가를 유일한 합리자로 간주한다. 이는 국가의 보호를 받던 국민들이 더 이상 국가의 보호 없이 세계 자본에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것을 의미한다.[434] 신자유주의 국가는 국민을 더 이상 보호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국가의 존재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으로 해석될 수 있다. 국가는 자국민을 정치, 경제, 안보 등 다양한 부문에서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 신자유주의를 실현한다는 국가들은 자유시장 자본주의와 국가 자본주의를 혼합하지만 자유시장 자본주의에 더 치우치고, 국가 정책 결정과정에서도 신자유주의가 더욱 두드러질 뿐 완전한 경쟁상태를 만들지 않고 있다.
초기 자유주의가 고전적 자유주의로 불리듯이, 초기 신자유주의는 고전적 신자유주의라고도 불리며, 하이에크와 미제스 등을 포함한 전간기 오스트리아의 경제학자들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그들은 사회주의 정부와 파시즘 정부 모두에 의해 유럽에서 자유주의가 쇠퇴해 가는 상황을 우려하여 자유를 재건하려는 시도를 시작했고, 그것이 신자유주의의 기초가 되었다.
신자유주의의 핵심 개념은 법치주의였다. 하이에크는 강제가 최소화될 때 자유가 최대화된다고 믿었다. 그는 자유로운 사회에서도 강제의 완전한 폐지는 불가능하다고 믿었지만, 강제를 원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개인에게 허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 실체는 법이며, 그 사용은 법치주의라고 했다. 이러한 생각을 실현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에는 권력분립 등이 포함되며, 이 개념이 입법자로부터 단기적인 목표 추구를 분리하고, 또한 다수파에 의한 절대 권력을 방지함으로써 법에 실효성을 부여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헌법주의의 개념에 의해 입법자도 성립된 법에 의해 법적으로 구속된다.
또한 고전적 신자유주의는 전통을 존중하는 보수주의적 운동을 지향했다. 그러나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마거릿 대처, 로널드 레이건 등의 정책은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는 힘이 없었기에, 오래된 문화·전통에 대한 의존이나 국가의 성립 과정에 대한 신앙, 새로운 문화의 부정 등을 초래했다.
1980년대에는 존 윌리엄슨에 의해 신자유주의적 목표의 실질적인 선언인 워싱턴 컨센서스가 공식화되었다.
4. 1. 경제적 신자유주의
경제적 신자유주의는 시장 경쟁과 자유 무역을 통해 경제 성장과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정부 개입 최소화, 규제 완화, 민영화, 재정 긴축 등을 주요 정책으로 제시한다. '낙수 효과(Trickle-down effect)'를 통해 부의 증대가 빈곤층에게도 혜택을 줄 것이라고 주장한다.[420]세계 대공황 이후 케인스의 유효 수요 이론이 경제학의 주류로 자리 잡았으나, 이후 세계적인 스태그플레이션 발생으로 케인스 학파 이론의 타당성에 대한 비판과 함께 시카고 학파가 등장하였다. 시카고 학파는 "통화주의자"라고도 불리며, 이들의 이론은 신자유주의에 바탕을 둔 레이거노믹스의 근간이 된다.
신자유주의는 과거 자유주의와 마찬가지로 경제적 자유를 추구하며, 자유 시장, 규제 완화, 재산권 등을 중시한다. 신자유주의자들은 자유 무역과 국제적 분업을 통해 타국의 시장을 개방하는 것을 선호하며, 세계무역기구(WTO), 세계은행(특히 국제부흥개발은행), 아시아 개발은행을 통한 다자간 압력을 통한 시장 개방 역시 선호한다.
하지만 과거 자유방임주의를 표방했던 자유주의와는 달리, 신자유주의는 시장의 자생적 질서를 인정한다. 즉, 시장 경쟁을 기초로 하지만, 문제가 있을 때 자체 수정이 가능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으며, 공적 이익에 부합한다고 전제한다.[436]
1980년대 존 윌리엄슨에 의해 워싱턴 컨센서스가 성립되어, 균형 재정, 복지·공공 서비스 축소, 공영 사업의 민영화, 세계화를 전제로 한 경제 정책, 산업 정책 금지, 규제 완화에 의한 경쟁 촉진, 노동자 보호 폐지 등의 경제 정책이 체계화되었다.
신자유주의를 추진한 주요 학자로는 밀턴 프리드먼,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등이 있으며, 주요 정치인으로는 마거릿 대처(대처리즘) 레이건, 일본의 고이즈미 준이치로 등이 있다.
신자유주의는 국가에 의한 부의 재분배를 주장하는 사회 민주주의, 국가가 자본주의 경제를 직접 관리하는 개발주의 경제 정책 등과 대립한다.
4. 2. 철학적 신자유주의
철학적 신자유주의는 건강, 교육,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여 자유 시장의 기법을 상업 및 경영 외부에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421] 이는 시장의 자유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신자유주의가 단순한 경제 이론을 넘어 종교나 문화와 비슷한 철학적 방향성을 갖게 됨을 의미한다.폴 트레이너(Paul Treanor)는 "우리는 왜 여기에 있는가,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와 같은 질문에 대해 신자유주의자는 "우리는 시장에 있으며, 경쟁해야 한다"고 답한다고 설명한다. 신자유주의자는 인류가 시장에 존재하며 다른 길은 없다고 생각하며, 시장에서의 실천이 선이고, 시장에 참여하지 않으면 결국 실패할 것이라고 믿는다. 개인적인 윤리관에서도 모든 인류는 스스로를 관리하는 기업가이며, 그렇게 행동해야 한다고 본다. 개인은 기업가처럼 자신의 지위를 극대화하기 위해 친구, 취미, 스포츠, 배우자 등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초기 자유주의에는 없었지만, 시장 원리를 삶의 비경제적 영역으로 확대하여 적용한 것이며, 신자유주의의 특징적인 점이다.[421]
4. 3. 워싱턴 컨센서스
1980년대 John Williamson (economist)|존 윌리엄슨|label=존 윌리엄슨영어에 의해 워싱턴 컨센서스가 성립되어, 균형 재정, 복지·공공 서비스 축소, 공영 사업의 민영화, 세계화를 전제로 한 경제 정책, 산업 정책 금지, 규제 완화에 의한 경쟁 촉진, 노동자 보호 폐지 등의 경제 정책이 체계화되었다.[173]존 윌리엄슨은 신자유주의적 목표의 실질적인 선언인 다음 10개 항목으로 구성된 워싱턴 컨센서스를 공식화하였다.[173]
번호 | 내용 |
---|---|
1 | 재정 규율 |
2 | 공공 지출의 우선 순위 |
3 | 세제 개혁 |
4 | 금융 자유화 |
5 | 경쟁력 있는 환율 |
6 | 무역 자유화 |
7 | 자본 자유화 |
8 | 국영 기업의 민영화 |
9 | 규제 완화 |
10 | 소유권 법의 확립 |
그러나 이러한 워싱턴 컨센서스의 실천은 중남미 여러 국가의 경제를 파탄시켰고, 워싱턴 컨센서스에 대한 저항이 강해졌다.[173]
4. 4. 세계화
신자유주의는 국경을 넘는 자본과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촉진하는 세계화를 지지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989년 경제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워싱턴 컨센서스와 같은 견해를 지지하며, 개발도상국에서 다국적 기업의 위험을 줄이는 활동을 했다.[422]이러한 정책들을 비판하는 입장에서는, 이러한 정책들을 "신자유주의" 또는 "신식민지주의"라고 부른다. 그 주장에 따르면, 국제적인 금융 및 비즈니스에서 개발도상국은 제도 및 권리 수준이 낮다는 것이 큰 위험 요소가 되며,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에 비해 국제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특권이 적다. 또한 국제 금융은 국내 기업보다 다국적 기업과 같은 해외 기업에 투자하기 쉽기 때문에, 국제 기업은 불공정한 경쟁 우위를 얻는다는 것이다.[423] 게다가 투기적인 자본 유입은 경기 과열 및 침체에 따라 경제 불안정과 경제 위기를 야기한다.
데이비드 하비는 2001년 아르헨티나의 사례를 들어, 지역 지도자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빈곤층의 희생을 치르면서 신자유주의적인 개혁을 실행하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악의적인 제국주의자"들을 비판한다고 언급했다.[405]
5. 국제 정치·외교적 측면
인도에서는 2014년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시행하겠다는 약속으로 취임했다. 이러한 약속은 국내 정치와 외교 정책을 형성하고, 동아시아에서 경제적 주도권을 놓고 중국과 일본과 경쟁하는 구도를 만들었다.[181][182]
5. 1. 국제 레짐에 대한 관점
신자유주의는 국제 체제가 무정부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지만, 국제레짐과 같은 제도를 통해 국가 간 협력이 가능하다고 본다. 현실주의와 달리, 국제사회의 무정부 상태를 국가 간 게임 규칙을 감시하고 처벌하는 핵심 주체의 부재로 해석하며, 이는 상호 간 배신을 가능하게 한다.[435]하지만 신자유주의는 개별 국가들이 상호주의 전략을 통해 서로를 감시하고 비협력적인 태도에 대해 처벌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국제 제도는 국가 간 협력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행위자들의 수익 구조를 변화시켜 국제 협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본다.[435]
5. 1. 1. 신자유주의와 정치적 민주주의
신자유주의는 국제 체제를 무정부적으로 보며, 국가를 유일한 합리적인 행위자로 간주한다. 이는 과거 국가의 보호를 받던 국민들이 이제 세계 자본을 직접 상대해야 함을 의미한다.[434] 신자유주의 국가는 국민을 더 이상 보호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지만, 현실에서는 자유 시장 자본주의와 국가 자본주의를 혼합한 형태를 띠며, 국가 정책 결정 과정에서 신자유주의적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케인스주의가 위기에 처하면서, 신자유주의는 전통적인 공동체를 파괴하고, 과거 시장의 압력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정부의 사회 프로그램마저 해체하는 것을 정당화한다. 신자유주의는 삶의 모든 영역에서 시장 가치를 강조하며, 공공 프로그램의 민영화를 통해 시장의 힘으로부터의 보호를 약화시킨다. 권력이 입법부에서 행정부로 이동하면서 삼권분립이 강화되었다는 긍정적 평가도 있지만, 로비의 영향력이 줄어들었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인도에서는 2014년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추진하여 국내 정치와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쳤고, 동아시아에서 경제적 주도권을 놓고 중국과 일본과 경쟁하는 구도를 만들었다.[181][182]
뉴질랜드에서는 데이비드 랭 총리가 이끄는 제4차 노동당 정부 하에서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인 로저노믹스가 시행되었다.[191] 랭 정부는 이전 정부의 경제 정책으로 인한 심각한 국제수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경제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뉴질랜드 재무부에서 제안한 경제 개혁을 추진했다.[194]
규제 완화, 관세 및 보조금 철폐 등의 개혁은 농업 공동체에 큰 타격을 주었고, 연금 부과금 도입으로 노년층의 지지를 잃었다.[195] 금융 시장 규제 완화로 금리, 대출, 외환에 대한 제한이 없어졌고, 1985년 3월 뉴질랜드 달러는 변동 환율제로 전환되었다.[196] 또한 여러 정부 부처가 국영 기업으로 전환되면서 대규모 일자리 감소가 발생했다. 전력 공사 3,000명, 석탄 공사 4,000명, 임업 공사 5,000명, 뉴질랜드 우정청 8,000명이 감소했다.[195]
뉴질랜드는 세계 경제의 일원이 되었고, 해외 자금 유입 제한이 없어지면서 경제의 중심이 생산 부문에서 금융 부문으로 이동했다. 금융 자본이 산업 자본을 능가하면서 제조업에서 약 76,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197]
5. 1. 2. 신자유주의 정치에 대한 저항
이러한 모든 변화는 저항에 직면해 왔는데, 그러한 저항은 사회적으로 이익이 되는 프로그램을 보호하려는 노력처럼 단편적인 기반에서 이루어졌거나, 아니면 현재의 정치 체제 내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민주주의를 방어하려는 노력과 같이 때때로 구조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했다.[181][182] 이들 투쟁에서 얻어낸 성공 사례는 우리가 종래에 알고 있던 것보다 많았다. 신자유주의자들이 하고자 했던 것과 그들이 지금까지 할 수 있었던 것들을 비교해 보면, 그들의 실패 정도를 알 수 있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의 저항이 갖고 있는 문제점은 단지 일부 제한적 개혁만을 희망함으로써 체제의 구조 그 자체는 그대로 수용한다는 데 있다. 신자유주의에 저항하는 최선의 방법은 신자유주의의 비민주적 구조 외부에 있으며, 그러한 구조에 반해서 저항하는 데 있다.인도에서는 2014년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시행하겠다는 약속으로 취임했다. 이러한 약속은 국내 정치와 외교 정책을 형성하고, 동아시아에서 경제적 주도권을 놓고 중국과 일본과 경쟁하는 구도를 만들었다.[181][182]
1960년대 후반부터 중동 지역에서는 신자유주의 개혁이 여러 차례 시행되었다.[198][199] 예를 들어, 이집트는 특히 1970년대 내내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의 '개방화 정책'[200]과 1981년부터 2011년까지 호스니 무바라크의 연이은 경제 개혁[201]과 관련하여 신자유주의 정책 시행과 자주 연관되어 있다. 알-인피타흐(al-Infitah)로 알려진 이러한 조치들은 나중에 이 지역 전체로 확산되었다. 튀니지에서는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이 전 대통령이자 사실상의 독재자[202]였던 즈인 알아비딘 벤 알리와 관련되어 있다.[203] 그의 통치는 경제적 신자유주의가 권위주의적 국가와 공존하고 심지어 권장될 수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었다.[204] 걸프 지역의 세계화와 경제 개혁에 대한 반응 또한 신자유주의 분석틀을 통해 접근되었다.[205]
6. 긍정적 입장
신자유주의 옹호론자들은 시장 원리를 중시하고, 경쟁을 격화시키며,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투자 및 소비를 증대시키는 등의 방식을 통해 세계 경제 성장에 기여했다고 주장한다.[437] 이들은 세계화를 통해 세계가 더 가까워지고, 하나가 되었으며, 더 자유로워졌다고 말한다. 또한, 자유 무역과 규제 완화가 경험적으로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438]
신자유주의는 기업들이 국내외의 세계적인 기업들과 경쟁하도록 만들어 경쟁 강도를 높였다. 이와 더불어, 인플레이션이 억제되면서 이자율이 낮아져 기업 투자가 쉬워지고,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증가하여 투자와 소비가 함께 늘어나는 선순환이 일어났다고 주장한다.[437]
세계무역기구(WTO), 세계은행(특히 국제부흥개발은행), 아시아 개발은행(ADB)과 같은 국제기구를 통한 다자간 압력을 통한 시장 개방 역시 선호한다.[436]
경제학자 야마다 히사시는 "신자유주의는 세계에 소득 불평등을 가져왔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부유한 자는 더욱 부유해지고, 가난한 자는 더욱 가난해진다'는 상황이 생긴 것은 신자유주의 그 자체의 구조적 결함이라기보다는 세계 경제 구도 변화의 결과이다. 오히려 이전의 경제 시스템에서의 반시장적인 사상을 후퇴시키고, 시장 원리 존중의 생각을 '상식화'하여 세계 경제의 성장력을 되찾았다는 역사적 의의가 있다고 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420]
7. 비판
신자유주의는 허버트 스펜서의 "사회진화론"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이는 적자생존을 통해 우수한 자들이 살아남아 인류가 사회적으로 진화 발전한다는 생각이다.[439]
로버트 실러 예일대 경제학과 교수는 "자본주의 경제는 규제가 없으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며, 우리에게는 착한 행동을 강요할 누군가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모두가 선의를 갖고 있는 게 아니며 모두가 관대하고 공익 정신을 갖고 있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에게는 사람들이 할 수 있는 행동을 제한할 규칙이 있어야 한다."라고 말했다.[439] 딘 베이커 CEPR(공공정책연구소) 소장은 "미국은 그동안 규제를 완화하는 데 너무 지나쳤다."라고 비판했다.
유럽 연합(EU)은 자유 무역과 이동의 자유를 촉진하고, 국가 보호 무역을 약화시키며 국가 보조금을 제한하기 때문에 때때로 신자유주의 조직으로 간주되기도 한다.[208] 그러나 EU가 구성국에 복지 정책 개발을 맡기는 등 완전히 신자유주의적인 것은 아니라는 반론도 있다.[209][210]
1929년 세계 대공황으로 인한 불황 시기에, 존 메이너드 케인스를 중심으로 한 일부 경제학자들은 정부의 재정 정책을 통한 수요 촉진 정책이 불황에 효과적이라고 주장했고, 이는 각국의 정책으로 채택되었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후까지 각국은 영국의 요람에서 무덤까지 정책과 같은 복지 정책을 적극적으로 실시했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영국에서 재정 파탄이 일어나면서 이러한 정책에 반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밀턴 프리드먼과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등으로 대표되는, 정부의 자의적인 정책을 비판하고 시장 원리를 중시하는 경제학자들의 주장이 힘을 얻으면서, 그들의 정책이 각국 정부에 도입되었다.
1980년대에는 존 윌리엄슨에 의해 워싱턴 컨센서스가 성립되어, 균형 재정, 복지·공공 서비스 축소, 공영 사업의 민영화, 세계화를 전제로 한 경제 정책, 산업 정책 금지, 규제 완화에 의한 경쟁 촉진, 노동자 보호 폐지 등의 경제 정책이 체계화되었다.
신자유주의를 추진한 주요 학자로는 밀턴 프리드먼,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등이 있다. 신자유주의 정책을 실행한 주요 정치인으로는 로널드 레이건, 마가렛 대처(대처리즘) 등이 있으며, 일본에서는 고이즈미 준이치로 등이 있다.
고도 경제 성장기의 경제 체제(포디즘)에 이은 자본주의 경제 체제이며, 국가에 의한 부의 재분배를 주장하는 사회 민주주의, 국가가 자본주의 경제를 직접 관리하는 개발주의 경제 정책 등과 대립한다. 모든 기업 활동이 계획 경제를 원칙으로 국가의 관리하에 놓이는 국가 사회주의와는 정반대의 경제 사상이다.
- 나오미 클라인은 저서 『쇼크 독트린』에서 밀턴 프리드먼과 시카고 보이즈의 이론과 정치 활동이 세계 각국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비판했다. 프리드먼은 공공재의 민영화를 주장하며 극단적인 원시 자본주의를 찬양했고, 칠레의 독재자 피노체트와 영국의 대처 등과 개인적으로도 친밀했다는 사실을 폭로했다.[425]
- 데이비드 하비는 저서 『네오리베럴리즘이란 무엇인가』에서 네오리베럴리즘은 세계화하는 신자유주의이며, 국제적 불평등과 계급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세계 시스템을 위기에 빠뜨리려 한다고 비판했다.[426]
- 우자와 히로후미는 "신자유주의는 기업의 자유가 최대한 보장되어야만 개인의 능력이 최대한 발휘되고 다양한 생산 요소가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일종의 신념에 기반하고 있으며, 사회적 공통 자본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428]
- 나카노 고시는 일본에서 1990년대부터 유행한 신자유주의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며, 일본식 경영이 갑자기 비판 대상이 된 것과 인간은 역사적으로 형성된 규칙에 강하게 구속되어 있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그는 고이즈미 정권 당시의 정치가 전체주의였다고 비판한다.[430]
- 카네코 요시오가나가와 대학 총장은 신자유주의 경제의 폐해를 지적하며,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가 가져온 세계화 속에서 학생들에게 "인간의 존엄"을 지키는 사회를 구축할 의무와 책임을 다해주기를 설파했다.[431]
- 나카타니 이와오(中谷巌)는 “세계화, 신자유주의는 대항해시대 이래로 계속되어 온 ‘서구에 의한 비서구 세계의 정복’이라는 큰 역사적 흐름 속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신자유주의의 본질이란 ‘세계 자본이 자유롭게 국경을 넘어 이동할 수 있는 금융 자본주의를 완성하려는 사상’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다.[429]
- 마스다 토시오(増田壽男) (전 호세이 대학 총장) 등은 마거릿 대처나 로널드 레이건에 의해 주장되기 시작한 신보수주의·신자유주의는 케인스 정책에 대한 비판에서 비롯되었으며, 1970년대의 스태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시장 원리주의라고 했다. 신자유주의는 고용 면에서는 케인스주의의 “경직성”을 제거하고 복지 국가를 해체한다.
- 경제학자 고미야 류타로(小宮隆太郎) (전 도쿄 대학 교수)는 “최근(2008년), 시장 원리주의·신자유주의 비판이 눈에 띄지만, 무엇을 비판하고 있는가. 레세페르의 ‘폐해’나 『시장 실패』는 존 메이너드 케인스, 알프레드 마셜, 아서 세실 피구도 지적했다. 미시경제학의 상식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다.[432]
7. 1. 민주주의 훼손
신자유주의는 경제 엘리트주의를 중시하고, 사회 진화론에 따라 불평등을 정당화하며, 약육강식의 논리를 옹호하여 민주주의를 훼손한다는 비판을 받는다.[443] 민주주의는 보편적 자유권보다 평등권을 중시하며, 절대적 평등을 형식적으로 보장하고 상대적 평등을 통해 평등권 실현을 점진적으로 추구한다.[440][441][442] 또한, 생산수단과 경제권 등 경제적 수단을 일반 노동계층이 폭넓게 소유하고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경제민주주의도 실현해야 한다고 명시한다.[440][441][442] 그러나 신자유주의는 경제적 합리주의를 맹신하여 경제 엘리트주의를 중시하고, 결과뿐만 아니라 기회의 불평등까지도 사회 진화론에 따라 정당화한다.7. 2. 패권적 자유 무역
개발도상국은 무역 자유화에도 불구하고 전혀 나아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멕시코는 자유화 이전 3.1% 성장했으나 이후 0.3% 성장에 그쳤고, 코트디부아르는 관세 축소 후 직물, 화학, 자동차 산업이 붕괴하고 실업률이 높아졌다. 동시에 개발도상국은 관세 수입 감소로 교육, 의료, 사회간접자본 등 필수 분야 지출이 줄어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받았다.[444]부자 국가들은 개발도상국에 자유 무역을 권장하면서, 자신들은 완전하지는 않더라도 그에 가까운 무역을 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이는 6살 아이에게 성공한 어른은 자립했기 때문에 성공했다는 논리로 일터로 보내라는 충고와 같다. 실제로 성공한 어른들은 성공했기 때문에 자립한 것이지, 자립했기 때문에 성공한 것은 아니다. 즉, 부자 나라들은 자국 생산자들이 준비를 갖추었을 때에만, 그것도 점진적으로 무역을 자유화했다. 역사를 보면 무역 자유화는 경제 발전의 원인이 아니라 결과이다.
또한 부자 나라들은 자국 형편에 맞는 분야에만 경쟁을 평평하게 만든다. 국내 보조금은 대부분 금지되어 있지만, 농업, 기초 개발, 지역 균형 관련 산업 보조금은 허용하고 있다. 미국은 25,000명의 땅콩 농장에 40억달러의 보조금을 사용하지만, 개발도상국에는 그림의 떡이다. 겉보기에는 중립적이지만 이중적이다.
개발도상국이 무역을 통해 발전하려면, 부자 나라들은 1950~1970년대에 했던 비대칭적인 보호주의를 용인하고, 자국에 대한 보호 수준을 개발도상국보다 훨씬 낮출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개발도상국 유치산업을 장려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인 보호 관세, 보조금, 외국인 투자 규제 등을 자유롭게 사용해야 한다.[445]
7. 3. 가짜 만병통치약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가 제시하는 신자유주의 정책 처방은 개발도상국의 경제 위기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자본 시장 자유화는 개발도상국 경제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금융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447]케인스경제학에 따르면 경기가 하강할 때 일반적으로 지출을 늘리고 세금을 줄여 경기를 부양한다.[446] 그런데 자유주의 경제학을 지향하는 IMF는 1990년대 말 대한민국에서 심각한 경기 하강 징후가 뚜렷이 드러났을 때 긴축 정책을 요구했다. IMF는 아르헨티나, 태국, 인도네시아에도 같은 정책을 처방했다. IMF와 세계은행이 20년 넘게 전 세계에 강요해 온 워싱턴 합의는 낮은 인플레이션, 긴축 재정, 민영화, 자유화를 강조한다.
자본 시장 자유화는 개발도상국 경제를 불안정하게 만든다는 견해가 있다. 단기성 자본 흐름을 자유화하면 주식 시장과 부동산 시장에 돈이 흘러 들어가 거품이 만들어지고, 이 거품이 붕괴되면서 개발도상국의 경제가 불안정해진다는 것이다. 자본 시장이 개방되어 있을 때 정부가 금리를 내리거나 재정 적자를 늘려 경기를 부양하려 하면, 들어왔던 단기 자본이 유출되면서 경제가 더 어려워진다. 자본시장이 발달하지 않은 개발도상국은 단기 자본 흐름의 충격으로 변동성이 증폭되기 쉽다. 이는 동아시아 위기 때 증명됐다. 자본 시장을 개방한 한국, 태국, 인도네시아 등은 고통을 겪은 반면, 통제 국가인 중국, 인도, 대만은 위기를 피했다. 또 재빨리 자본 통제를 실시한 말레이시아 경제는 신속하게 회복됐다.[447]
7. 4. 미국의 금융 위기
로버트 실러 예일대 경제학과 교수는 "자본주의 경제는 규제가 없으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며, 우리에게는 착한 행동을 강요할 누군가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모두가 선의를 갖고 있는 게 아니며 모두가 관대하고 공익 정신을 갖고 있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에게는 사람들이 할 수 있는 행동을 제한할 규칙이 있어야 한다."라고 말한다.[439]딘 베이커 CEPR(공공정책연구소) 소장은 "우리는 물론 파이를 원한다. 하지만 파이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규제가 필요하다. 미국은 그동안 이러한 규제를 완화하는 데 너무 지나쳤다. 파이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것이란 생각은 지나치게 순진한 것이었다."라고 비판한다.
워싱턴 컨센서스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 그리고 미국 재무부가 위기에 처한 개발도상국들을 위해 개발한, 신자유주의와 밀접하게 관련된 일련의 표준화된 정책 처방이다.[226][227][228] 이러한 처방들은 종종 IMF와 세계은행으로부터의 대출 조건으로 첨부되었으며, 시장 자유화, 특히 무역 장벽 완화, 인플레이션 억제, 국영 기업 민영화, 그리고 정부 예산 적자 감축에 중점을 두었다. 영국 출신 경제학자인 존 윌리엄슨은 1989년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 미국 정부가 개발도상국에 부과한 10가지 규칙을 제시하며 워싱턴 컨센서스를 정의했다.[229] 그는 이러한 권고안들이 실제로 부과된 방식과 신자유주의자들에 의한 그 활용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게 되었다.[230]
8. 대표적인 예
역사가 퀸 슬로보디언(Quinn Slobodian)은 2018년에 소위 제네바 경제학파(Geneva School of economics)의 존재를 제시했는데, 이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제네바 대학원 연구소(Geneva Graduate Institute), 제네바(Geneva)에 본부를 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GATT) 및 국제연맹(League of Nations)을 중심으로 활동한 경제학자 및 정치경제학자 그룹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특정한 정치철학적 흐름은 프리드리히 하이에크(Friedrich von Hayek), 빌헬름 뢰프케(Wilhelm Röpke), 제이콥 바이너(Jacob Viner), 그리고 고트프리트 하버러(Gottfried Haberler)와 같은 저명한 경제학자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231][232][233] 슬로보디언은 그들을 국경을 넘는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호하기 위해 세계적 기구의 창설을 촉진한 "오르도-세계주의자들(ordo-globalists)"로 묘사한다.[233][234] 그는 이 학파가 "지식의 한계에 대한 오스트리아 학파의 강조와 세계적 규모를 독일 오르도자유주의(ordo-liberal)의 제도와 정치적 결정의 순간에 대한 강조와 결합했다"고 주장한다.[232][235]
참조
[1]
서적
Modern Political Ideologies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09
[2]
학술지
Neoliberalism
2017
[3]
서적
Encyclopedia of Critical Psychology
2014
[4]
학술지
Neoliberalism
2020
[5]
학술지
What is neo-liberalism?
2008
[6]
서적
The Ethics of Neoliberalism: The Business of Making Capitalism Moral
https://www.routledg[...]
Routledge
2017
[7]
학술지
Markets Everywhere: The Washington Consensus and the Sociology of Global Institutional Change
2021
[8]
서적
Neoliberalism is a slippery concept, meaning different things to different people. Scholar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neoliberalism and a vast array of conceptual categories.
https://books.google[...]
2016
[9]
학술지
What is neoliberalism really? A global analysis of its real-world consequences for development, inequality, and democracy
2023
[10]
학술지
From Keynesianism to Neoliberalism: Shifting Paradigms in Economics
http://fpif.org/from[...]
2017-03-25
[11]
서적
The Triumph of Broken Promises: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Rise of Neoliberalism
https://www.hup.harv[...]
Harvard University Press
2022
[12]
harvp
2009
[13]
harvp
https://books.google[...]
2016
[14]
서적
Neoliberalism
https://www.routledg[...]
Routledge
2017
[15]
서적
A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6]
harvp
2014
[17]
harvp
2009
[18]
학술지
Contesting 'Actually Existing' Neoliberalism
https://www.ppesydne[...]
2015-06
[19]
서적
Global Neoliberalism and Education and its Consequences
https://www.routledg[...]
Routledge
2011
[20]
서적
The Handbook of Neoliberalism
https://www.routledg[...]
Routledge
2016
[21]
논문
https://books.google[...]
[22]
서적
Collins English Dictionary – Complete and Unabridged
HarperCollins Publishers
[23]
웹사이트
Neo-Liberal Ideas
https://web.archive.[...]
2004-08-06
[24]
웹사이트
[25]
학술지
Neoliberalism as Corporate Power
2020-01-01
[26]
서적
Globalists: The End of Empire and the Rise of Neoliberalism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 Morals of the Market: Human Rights and the Rise of Neoliberalism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8]
서적
The Political Theory of Neoliberalism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9]
잡지
The IMF Confronts Its N-Word
https://foreignpolic[...]
2016-07-06
[30]
학술지
Has Co-operation Introduced a New Principle into Economics?
https://zenodo.org/r[...]
1898-01-01
[31]
OED
Neoliberalism
[32]
서적
Les Mystiques économiques
Librairie de Médicis
[33]
서적
Law, Legislation and Liberty, Vol. 2: The Mirage of Social Justice
[34]
뉴스
Against the Neoliberals
https://mises.org/da[...]
2012-05-00
[35]
뉴스
The Vanishing Neoliberal
https://www.nytimes.[...]
2007-03-11
[36]
간행물
The First Neoliberals
https://www.jacobinm[...]
2016-04-28
[37]
간행물
The Death of Contrarianism. The New Republic returns to its Progressive roots as a cheerleader for state power
http://reason.com/ar[...]
2013-05-00
[38]
간행물
A Neoliberal's Manifesto
1983-05-00
[39]
학술지
Review
2014-12-00
[40]
뉴스
The Fairytale of Hegemonic Neoliberalism
https://www.aier.org[...]
2019-06-05
[41]
서적
The Power of Market Fundamentalism: Karl Polanyi's Critique
https://web.archiv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42]
서적
Neoliberalism and Everyday Life
http://www.mqup.ca/n[...]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10
[43]
서적
Imagine: Living in a Socialist USA
Harper Perennial
2014
[44]
서적
Knocking the Hustle: Against the Neoliberal Term in Black Politics
Punctum Books
2016
[45]
웹사이트
The Thirteen Commandments of Neoliberalism
http://www.the-utopi[...]
2018-03-26
[46]
서적
The Divide: A Brief Guide to Global Inequality and its Solutions
Windmill Books
2018
[47]
서적
This Changes Everything: Capitalism vs the Climate
Simon & Schuster
2014
[48]
잡지
Worlds Apart
https://newrepublic.[...]
2018-04-23
[49]
웹사이트
How 'Neoliberalism' Became the Left's Favorite Insult of Liberals
https://nymag.com/in[...]
2017-07-16
[50]
뉴스
'Neoliberal' is an unthinking leftist insult. All it does is stifle debate
https://www.theguard[...]
2019-12-29
[51]
논문
Neoliberalism: Oversold?
http://www.imf.org/e[...]
[52]
뉴스
Neoliberalism: the idea that swallowed the world
https://www.theguard[...]
2017-08-22
[53]
뉴스
Has Neoliberalism Really Come to an End?
https://www.thenatio[...]
2022-07-01
[54]
웹사이트
Historical Statistics for the World Economy: 1–2003 AD
http://www.ggdc.net/[...]
2016-07-27
[54]
서적
Golden Fetters: The Gold Standard and the Great Depression, 1919–1939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5]
웹사이트
The End of Economic Liberalism
https://www.e-educat[...]
Penn State Department of Geography
2019-07-06
[56]
뉴스
Hayek, Friedman, and the Illusions of Conservative Economics
https://newrepublic.[...]
The New Republic
2012-11-15
[57]
논문
At the Origins of Neo-Liberalism: The Free Economy and the Strong State, 1930–1947
2010-01-29
[58]
서적
The Conservative Intellectual Movement in America Since 1945, Thirtieth-Anniversary Edition
https://books.google[...]
Intercollegiate Studies Institute
2006
[59]
웹사이트
Statement of Aims
https://www.montpele[...]
1947-04-08
[60]
뉴스
The birth of neoliberalism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12-10-13
[61]
뉴스
Neo-Liberalism and Its Prospects
https://miltonfriedm[...]
Farmand
1951-02-17
[62]
서적
Gedanken aus fünf Jahrzehnten, Reden und Schriften
Karl Hohmann
1988
[63]
서적
Deutsche Wirtschaftsgeschichte seit 1945
C.H. Beck
2011
[64]
서적
Die wirtschaftliche Selbstbestimmung des Verbrauchers
J.C.B. Mohr
1998
[65]
서적
Vom Ordoliberalismus zur Sozialen Marktwirtschaft: Stationen des Neoliberalismus in Deutschland
2004
[66]
서적
Mises: The Last Knight of Liberalism
Ludwig von Mises Institute
[67]
서적
The Rise and Fall (and Rise Again?) of Neoliberalism in Latin America
SAGE Publications Ltd
2018
[68]
학술지
The neoliberal food regime in Latin America: state, agribusiness transnational corporations and biotechnology
Informa UK Limited
[69]
서적
The politics of expertise in Latin America
https://www.palgrave[...]
Palgrave Macmillan
1998
[70]
서적
The Jakarta Method: Washington's Anticommunist Crusade and the Mass Murder Program that Shaped Our World
PublicAffairs
2020
[71]
뉴스
The Boys Who Got to Remake an Economy
https://slate.com/bu[...]
Slate
2016-01-12
[72]
잡지
CHILE: The Bloody End of a Marxist Dream
http://www.time.com/[...]
[73]
뉴스
Pinochet's rule: Repression and economic success
http://news.bbc.co.u[...]
2001-01-07
[74]
웹사이트
Chile and the United States: Declassified Documents Relating to the Military Coup, September 11, 1973
http://www2.gwu.edu/[...]
[75]
잡지
Controversial legacy of former Chilean dictator Augusto Pinochet
http://www.csmonitor[...]
2006-12-11
[76]
서적
Pinochet: The Politics of Power
https://books.google[...]
Allen & Unwin
[77]
웹사이트
The military dictatorship, from 1973
https://www.britanni[...]
[78]
뉴스
Explainer: Chile's 'Chicago Boys,' a model for Brazil now?
https://www.reuters.[...]
Reuters
2019-01-04
[79]
서적
Ideas and Economic Policy in Latin America
Praeger Publishers
1998
[80]
서적
Historia contemporánea de Chile III. La economía: mercados empresarios y trabajadores
2002
[81]
웹사이트
Chile's Way to the Social Market Economy
http://www.kas.de/wf[...]
Konrad Adenauer Foundation
[82]
논문
Public Policy and Regime Consolidation: The First Five Years of the Chilean Junta
[83]
웹사이트
Inflation, GDP deflator (annual %)
https://data.worldba[...]
2019-07-08
[84]
웹사이트
GDP Growth (annual %)
https://data.worldba[...]
2019-07-07
[85]
서적
Victims of the Chilean Miracle: Workers and Neoliberalism in the Pinochet Era, 1973–2002
https://www.dukeupre[...]
Duke University Press
2004
[86]
서적
A Nation of Enemies: Chile Under Pinochet
W. W. Norton & Company
1993
[87]
간행물
Historia contemporánea de Chile III. La economía: mercados empresarios y trabajadores
2002
[88]
논문
The Political Economy of Unilateral Trade Liberalization
http://www.anderson.[...]
2010-12-06
[89]
서적
Two Lucky Peopl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04-08
[90]
웹사이트
Unemployment Rate: Aged 15 and Over: All Persons for Chile
https://fred.stlou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9-07-08
[91]
뉴스
What Pinochet Did for Chile
https://www.hoover.o[...]
2019-07-07
[92]
서적
The Shock Doctrine: The Rise of Disaster Capitalism
Picador
2008
[93]
학술지
Poverty and Inequality in Chile: Are Democratic Politics and Neoliberal Economics Good for You?
https://www.jstor.or[...]
1996
[94]
뉴스
PBS Interview with Alejandro Foxley conducted March 26, 2001
https://www.pbs.org/[...]
2014-12-04
[95]
서적
The Road to Serfdo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6]
서적
Chile: The Great Transformation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996
[97]
학술지
Chile in the 1990s: Embracing Development Opportunities
https://www.imf.org/[...]
2019-07-11
[98]
서적
Constructing democratic governance in Latin America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3
[99]
웹사이트
GDP growth (annual %)
https://data.worldba[...]
2019-07-11
[100]
웹사이트
2019
https://web.archive.[...]
The Heritage Foundation
2019-07-08
[101]
웹사이트
Chile's insurgency and the end of neoliberalism
https://voxeu.org/ar[...]
Center for Economic and Policy Research
2019-11-30
[102]
뉴스
How Chile Successfully Transformed Its Economy
https://www.heritage[...]
The Heritage Foundation
2006-09-18
[103]
논문
What Latin America Owes to the "Chicago Boys"
http://www.hoover.or[...]
[104]
웹사이트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database
http://data.worldban[...]
2010-04-01
[105]
서적
Economic Reforms in Chile: From Dictatorship to Democrac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06]
웹사이트
GINI index (World Bank estimate) – Chile
https://data.worldba[...]
The World Bank
[107]
웹사이트
Income inequality
https://data.oecd.or[...]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108]
웹사이트
OECD Better Life Index
http://www.oecdbett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109]
서적
Economic Reforms in Chile: From Dictatorship to Democrac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10]
논문
The Chilean "economic miracle": an empirical critique
1990-07-01
[111]
서적
Hunger and Public 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12]
웹사이트
Chile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13]
학술지
From Chicago to Santiago: Neoliberalism and social security privatization in Chile
https://www.research[...]
2005
[114]
뉴스
Jubilation as Chile votes to rewrite constitution
https://www.bbc.com/[...]
BBC News
2020-10-26
[115]
뉴스
'An End to the Chapter of Dictatorship': Chileans Vote to Draft a New Constituti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0-10-25
[116]
서적
The Reagan Administration, the Cold War, and the Transition to Democracy Promotion
Palgrave Macmillan
[117]
서적
The Reagan Administration, the Cold War, and the Transition to Democracy Promotion
Palgrave Macmillan
[118]
학술지
The work of economics: how a discipline makes its world
2005
[119]
웹사이트
Welcome, Mr. Peruvian President: Why Alan García is no hero to his people
http://www.coha.org/[...]
2010-06-02
[120]
학술지
Unsettled accounts: militarization and memory in postwar Peru
Taylor & Francis
1998-09-01 # Assuming September-October means the first of September
[121]
논문
The forced serilization of indigenous population in Mexico in the 1990s
2020
[122]
웹사이트
La frugalidad de "Cambio 90" y el derroche de Fredemo
http://www.proceso.c[...]
El Proceso
2017-12-27
[123]
잡지
El "Plan Verde" Historia de una traición
https://www.scribd.c[...]
1993-07-12
[124]
서적
Exodus from Capitalism: The End of Inflation and Debt
2003
[125]
논문
Latin American Autogolpes: Dangerous Undertows in the Third Wave of Democratisation
Taylor & Francis
1998-06
[126]
웹사이트
Evaluation of the Policy Analysis,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API) Project USAID/Peru
https://pdf.usaid.go[...]
1997-05
[127]
뉴스
Peru's Fujimori Weighs In On Behalf of Street Sellers Nation's informal economy is protected in president's economic plan
1991-03-04
[128]
뉴스
A Peruvian Is Laying Out Another Path
https://www.nytimes.[...]
2020-09-26
[129]
뉴스
The World; Fujimori In the Time Of Cholera
https://www.nytimes.[...]
2021-08-05
[130]
뉴스
Peruvians Puzzle Over President; Popularity Plummets As 'Fujishock' Felt
1991-03-23
[131]
서적
La intervención de los Estados Unidos en el Perú
Editorial Sur
[132]
학술지
Are Parties What's Wrong with Democracy in Latin America?
[133]
서적
The Reagan Administration, the Cold War, and the Transition to Democracy Promotion
Palgrave Macmillan
[134]
웹사이트
How the U.S. Government Led a Program That Forcibly Sterilized Thousands of Poor Peruvian Women in the 1990s
https://fee.org/arti[...]
2018-10-26
[135]
뉴스
Mass sterilisation scandal shocks Peru
http://news.bbc.co.u[...]
2002-07-24
[136]
웹사이트
Buenos Aires Times Inequality fuels rural teacher's unlikely bid to upend Peru
https://batimes.com.[...]
Bloomberg
2021-06-03
[137]
잡지
Pedro Castillo Can Help End Neoliberalism in Peru
https://jacobinmag.c[...]
2021-06-01
[138]
웹사이트
Pedro Castillo and the 500-Year-Old Lima vs Rural Divide
https://www.americas[...]
2021-05-03
[139]
뉴스
Presumed President-elect Pedro Castillo faces challenges in Peru
https://www.aljazeer[...]
[140]
뉴스
Pedro Castillo, Leftist Political Outsider, Wins Peru Presidency
https://www.nytimes.[...]
2021-07-20
[141]
논문
Poster Child or Victim of Imperialist Globalization? Explaining Argentina's December 2001 Political Crisis and Economic Collapse
2005
[142]
논문
Social Revolution or Political Takeover? The Argentine Collapse of 2001 Reassessed
[143]
논문
Mexico's Financial Crisis of 1994–1995
http://nrs.harvard.e[...]
2012-05-08
[144]
논문
Three Decades of Neoliberalism in Mexico: The Destruction of Society
https://journals.sag[...]
2015
[145]
뉴스
The Zapatista Movement: The Fight for Indigenous Rights in Mexico
http://www.internati[...]
2014-07-30
[146]
논문
Strategic Alliances: State-Business Relations in Mexico Under Neo-Liberalism and Crisis
[147]
논문
The Mexican peso crisis: Sudden death or death foretold?
http://www.nber.org/[...]
1996-11
[148]
논문
Neoliberalism and its consequences in Brazil
https://www.research[...]
[149]
논문
Mass protests under 'left neoliberalism': Brazil, June–July 2013
[150]
논문
Blair's Project in Retrospect
2004
[151]
웹사이트
Coming Out as Neoliberals
https://www.adamsmit[...]
2016-10-11
[152]
서적
Fiscal Policy Convergence from Reagan to Blair: The Left Veers Right
https://books.google[...]
Routledge
[153]
서적
The SAGE Handbook of Neoliberalism
[154]
웹사이트
Neoliberalism: Kim Phillips-Fein and Tracy Neumann Unpack the Knotty Realities and History of the Ubiquitous Term
https://themetropole[...]
2019-06-05
[155]
서적
Chicago on the Make
https://www.ucpres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56]
웹사이트
Remaking the Rust Belt Tracy Neumann
https://www.upenn.ed[...]
[157]
서적
New Capitalism
https://books.google[...]
Polity
[158]
웹사이트
Attack of American Free Enterprise System
https://www.pbs.org/[...]
1971-08-23
[159]
잡지
The First Neoliberals
https://jacobinmag.c[...]
[160]
서적
Revolt of the rich: How the politics of the 1970s widened America's class divide
Columbia University Press
[161]
웹사이트
Rethinking Carter
https://mises.org/li[...]
2000-10-25
[162]
웹사이트
No, Jimmy Carter did it
http://www.salon.com[...]
2009-06-04
[163]
웹사이트
A salute to Carter, deregulation's hero
http://articles.hera[...]
2017-01-20
[164]
서적
Congress and Economic Policy Mak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
[165]
서적
The US Economy and Neoliberalism: Alternative Strategies and Policies
https://www.routledg[...]
Routledge
2013
[166]
뉴스
Food Stamps
http://www.democracy[...]
2013-08-16
[167]
뉴스
Alan Blinder: Five Years Later, Financial Lessons Not Learned
https://www.wsj.com/[...]
2013-09-10
[168]
웹사이트
How 'Neoliberalism' Became the Left's Favorite Insult of Liberals
https://nymag.com/da[...]
2018-01-18
[169]
웹사이트
Against Progressive Neoliberalism, A New Progressive Populism
https://www.dissentm[...]
2019-06-13
[170]
서적
The Great Leveler: Violence and the History of Inequality from the Stone Age to the Twenty-First Century
http://press.princ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1]
웹사이트
Neoliberal Cities
https://nyupress.org[...]
2020-09-04
[172]
논문
Education, the Public Sphere, and Neoliberalism: Libraries' Contexts.
2020
[173]
논문
The developmental state: dead or alive?.
http://eprints.lse.a[...]
[174]
논문
China: an East Asian alternative to neoliberalism?
http://dro.dur.ac.uk[...]
2017
[175]
논문
Urban China through the lens of neoliberalism: Is a conceptual twist enough?.
[176]
논문
Hong Kong as the 'neoliberal exception'of China: Transformation of Hong Kong citizenship before and after the transfer of sovereignty
[177]
논문
Dependency, the state and class in the neoliberal transition of Taiwan
[178]
논문
Neoliberalization of the developmental state: Tokyo's bottom-up politics and state rescaling in Japan
[179]
논문
Neoliberal Agricultural Policies and Farmers' Political Power in Japan
[180]
논문
Neoliberalism, the developmental state and civil society in Korea
https://www.research[...]
2015
[181]
논문
Beyond India's Quest for a Neoliberal Order
[182]
서적
Indian Grand Strategy: History, Theory, Cases
Routledge
2014
[183]
서적
Economic rationalism in Canberra: A nation-building state changes its mi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84]
웹사이트
How the Federal Parliamentary Labor Party Lost Its Way
http://www.historyco[...]
[185]
웹사이트
Australian politics explainer: the Prices and Incomes Accord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Media Group
2017-04-24
[186]
웹사이트
Government spending explained in 10 charts; from Howard to Turnbull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Media Group
2017-05-08
[187]
웹사이트
Chronology of superannuation and retirement income in Australia
http://www.aph.gov.a[...]
2008-07
[188]
웹사이트
Tertiary Education: A revolution to what end?
http://www.onlineopi[...]
2005-04-05
[189]
웹사이트
Government Delivers on Promise to Phase Out Full Fee Degrees
https://ministers.jo[...]
2008-10-29
[190]
뉴스
Diversity helped Australia weather the resources bust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18-10-25
[191]
서적
My Life
Viking
[192]
서적
When Schools Compete: A Cautionary Tale
https://archive.org/[...]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93]
뉴스
David Lange, in his own words
https://www.nzherald[...]
2005-08-15
[194]
서적
Revolution: New Zealand from Fortress to Free Market
Hodder Moa Beckett
[195]
서적
Revolution: New Zealand from Fortress to Free Market
Hodder Moa Beckett
[196]
웹사이트
Reserve Bank – Reserve Bank, 1936 to 1984
http://www.TeAra.gov[...]
2012-06-20
[197]
서적
I See Red
Awa Press
[198]
서적
Over-stating the Arab state : politics and society in the Middle East
I.B. Tauris
1995
[199]
서적
The Arab State and Neo-liberal Globalization: the Restructuring of State Power in the Middle East
Garnet Publishing (UK) Ltd
2009
[200]
서적
The Egypt of Nasser and Sadat: the political economy of two regime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
서적
The autumn of dictatorship: fiscal crisis and political change in Egypt under Mubarak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
뉴스
Tunisia's Ben Ali: Soldier who turned into dictator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1-06-20
[203]
서적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in Tunisia: from Bourguiba to Ben Ali
St. Martin's Press
[204]
학술지
The Other Side of a Neoliberal Miracle: Economic Reform and Political De-Liberalization in Ben Ali's Tunisia
2013
[205]
서적
Capitalism and class in the Gulf Arab states
Palgrave Macmillan
[206]
서적
Latin American Adjustment: How Much Has Happened?
https://www.piie.com[...]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1990-04
[207]
웹사이트
A Guide To John Williamson's Writing
http://www.iie.com/c[...]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08]
웹사이트
The split in neoliberalism on Brexit and the EU
http://speri.dept.sh[...]
2017-06-22
[209]
서적
The European rescue of the nation-state
Routledge
[210]
서적
Governing Europe in a globalizing world : neoliberalism and its alternatives following the 1973 oil crisis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11]
서적
Principles of Economics
https://www.mises.or[...]
[212]
백과사전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http://plato.stanfor[...]
2016-05-02
[213]
서적
Human Action
[214]
서적
A Research Agenda for Neoliberalism
https://www.elgaronl[...]
Elgar Research Agendas
[215]
서적
Vienna and Chicago: Friends or Foes? A Tale of Two Schools of Free-Market Economics
Capital Press
2005
[216]
웹사이트
Austrian school of economics
https://www.britanni[...]
2023-12-15
[217]
웹사이트
Austrian Economics Explained
https://www.progress[...]
2015-04-12
[218]
서적
The Birth of Biopolitics: Lectures at the Collège de France, 1978–79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1978
[219]
뉴스
How Markets Became Masters: The Neoliberal Roots of Deregulation
https://neweconomics[...]
2018-09-07
[220]
잡지
The truth about neoliberalism
https://www.spiked-o[...]
2019-03-22
[221]
서적
History of economic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222]
서적
Hayek, Co-ordination and Evolution: His Legacy in Philosophy, Politics, Economics and the History of Ideas
https://archive.org/[...]
Routledge
1994
[223]
간행물
Hearings before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Committee on Financial Services
U.S. House of Representatives' Committee on Financial Services
2000-07-25
[224]
서적
The Elgar Companion to the Chicago School of Economics
Edward Elgar Publishing Ltd.
2010
[225]
학술지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hicago's Economics in Latin America
2002-01
[226]
서적
The Washington Consensus Reconsidered: Towards a New Global Governance
https://growthlab.ci[...]
Oxford University Press
[227]
뉴스
The Post-Washington Consensus
https://www.foreigna[...]
2011-04
[228]
웹사이트
Washington Consensus
https://www.britanni[...]
[229]
웹사이트
Did the Washington Consensus Fail?
https://piie.com/com[...]
2002
[230]
뉴스
John Williamson, 83, Dies; Economist Defined the 'Washington Consensus'
https://www.nytimes.[...]
2021-04-15
[231]
웹사이트
OTR—Neoliberalism—A Creative Destruction Disease
https://cospolon.sub[...]
2024-12-14
[232]
웹사이트
A New Narrative for Neoliberalism
https://www.aspenins[...]
2024-12-14
[233]
논문
Globalists: The End of Empire and the Birth of Neoliberalism
https://academic.oup[...]
2020-02-01
[234]
웹사이트
Neoliberalism’s World Order
https://www.dissentm[...]
2024-12-13
[235]
서적
Post-neoliberalism
https://doi.org/10.4[...]
Edward Elgar Publishing
2024-12-13
[236]
서적
Capitalism and freedo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237]
뉴스
So What is this Neoliberal Globalisation Free Trade Thing About Anyway?
https://www.forbes.c[...]
2012-03-01
[238]
웹사이트
Neoliberalism
https://www.britanni[...]
2023-05-18
[239]
서적
Beyond neoliberalism: Insights from emerging markets
https://www.brooking[...]
The Brookings Institution
2019-04-01
[240]
웹사이트
Neoliberalism
https://www.uni-biel[...]
Universität Bielefeld
2012
[241]
뉴스
The decline and fall of neoliberalism in the Democratic Party
https://theweek.com/[...]
The Week
2018-01-08
[242]
뉴스
The fatal flaw of neoliberalism: it's bad economics
https://www.theguard[...]
2017-11-14
[243]
저널
Free Trade Agreements and the Neo-Liberal Economic Paradigm: Economic, Ecological, and Moral Consequences
2009-01-01
[244]
웹사이트
The Benefits of Free Trade: Time to Fly My Neoliberal Freak Flag High!: Hoisted from March 2016
https://equitablegro[...]
2017-05-26
[245]
뉴스
The Rise of China and the Fall of the Fall of the 'Free Trade' Myth
https://www.nytimes.[...]
2018-02-07
[246]
웹사이트
The Case for Free Trade
https://www.hoover.o[...]
1997-10-30
[247]
웹사이트
Free Trade: The Litmus Test of Economics
https://mises.org/li[...]
2012-07-09
[248]
뉴스
The Economist Explains: Why is free trade good?
https://www.economis[...]
2018-03-14
[249]
웹사이트
The Case for Free Trade
https://www.hoover.o[...]
1997-10-30
[250]
뉴스
Is free trade always the answer?
https://www.theguard[...]
2018-08-13
[251]
서적
Capitalism and Freedom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2]
뉴스
Is free trade always the answer?
https://www.theguard[...]
2018-08-13
[253]
웹사이트
The Case for Free Trade
https://www.cato.org[...]
2019-05-02
[254]
웹사이트
Monetarism
https://www.econlib.[...]
2019-07-08
[255]
뉴스
To Treat the Fed as Volcker Did
https://www.nytimes.[...]
2008-11-04
[256]
웹사이트
Paul Volcker
https://www.britanni[...]
2019-07-08
[257]
간행물
Higher Degree Research By Numbers: Beyond the Critiques of Neo-liberalism
https://www.academia[...]
[258]
서적
Neoliberal hegemony: a global critique
Routledge
2018-07-07
[259]
웹사이트
Nobel Prize-winning economist Stiglitz tells us why 'neoliberalism is dead'
http://www.businessi[...]
2017-02-08
[260]
서적
Why Voice Matters: Culture And Politics After Neoliberalism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Ltd
2010
[261]
웹사이트
Neoliberalism Will Soon Force Americans to Leave the United States
https://www.truthdig[...]
2016-06-18
[262]
서적
Bad Samaritans: The Myth of Free Trade and the Secret History of Capitalism
Random House
[263]
서적
Contours of Descent: U.S. Economic Fractures and the Landscape of Global Austerity
https://archive.org/[...]
Verso Books
[264]
서적
Capital and Ideology
Belknap Press
2020-03-10
[265]
뉴스
The time for a new economics is at hand
http://america.aljaz[...]
2015-03-09
[266]
서적
Democracy at Work: A Cure for Capitalism
http://www.democracy[...]
Haymarket Books
2012
[267]
서적
The Courage of Hopelessness: A Year of Acting Dangerously
Melville House
2018
[268]
뉴스
Goodbye, American neoliberalism. A new era is here
https://www.theguard[...]
2016-11-17
[269]
웹사이트
From the Personal is Political to the Personal is Personal: Neoliberalism and the Defanging of Feminism
https://www.youtube.[...]
YouTube
2013-08-05
[270]
서적
The Three Dimensions of Freedom
Faber & Faber
[271]
뉴스
It was the Democrats' embrace of neoliberalism that won it for Trump
https://www.theguard[...]
2016-11-09
[272]
뉴스
Pope Francis Laments Failures Of Market Capitalism In Blueprint For Post-COVID World
https://www.npr.org/[...]
2020-10-04
[273]
뉴스
Neoliberalism – the ideology at the root of all our problems
https://www.theguard[...]
2016-04-15
[274]
뉴스
Neoliberalism has brought out the worst in us
https://www.theguard[...]
2014-09-29
[275]
웹사이트
VIDEO: Chris Hedges on the Big Lie of Neoliberalism and the Very Real Threat of a President Trump
https://www.truthdig[...]
2015-09-14
[276]
뉴스
Why it's so much harder to think like a Conservative
https://www.theguard[...]
2014-09-10
[277]
서적
Polarising Development: Alternatives to Neoliberalism and the Crisis
https://www.academia[...]
Pluto Press
2015
[278]
뉴스
Is It Bad Enough Yet?
https://www.nytimes.[...]
2014-12-13
[279]
뉴스
The Neoliberal Collapse: Markets Are Not The Answer
https://www.foreigna[...]
Foreign Affairs
2019-12-10
[280]
뉴스
How Decades of Neoliberalism Led to the Era of Right-Wing Populism
https://jacobinmag.c[...]
Jacobin
2019-09-19
[281]
웹사이트
Market Fundamentalism
http://www.longviewi[...]
[282]
논문
National Labor Movements and Transnational Connections: Global Labor's Evolving Architecture Under Neoliberalism
https://mulpress.mcm[...]
2014
[283]
서적
The Virtual University?: Knowledge, Markets, and Manag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3-01-30
[284]
논문
Mass Transit Workers and Neoliberal Time Discipline in San Francisco
2016
[285]
보고서
Transportation Benchmarking
https://sfgov.org/sc[...]
City and County of San Francisco
2018
[286]
뉴스
New York City's subway is falling apart — here's how it compares to other cities around the world
https://www.business[...]
Business Insider
2017-11-21
[287]
웹사이트
Henry Giroux on the Rise of Neoliberalism
http://truth-out.org[...]
2014-10-19
[288]
웹사이트
The Violence of Neoliberalism and the Attack on Higher Education
http://www.truthdig.[...]
2013-03-27
[289]
웹사이트
Truthout Interviews Henry A. Giroux on Neoliberalism
https://web.archive.[...]
2014-06-15
[290]
논문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economic freedom
2003
[291]
서적
Undoing the Demos: Neoliberalism's Stealt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15
[292]
서적
The Handbook of Neoliberalism
https://www.routledg[...]
Routledge
2016
[293]
웹사이트
The Market Radicals Who Want to Put an End to Democracy
https://www.thenatio[...]
2023-10-13
[294]
학술지
The Cost of Neoliberalism: How Economic Policies Are Undermining Democracy
2024
[295]
서적
Red Hangover: Legacies of Twentieth-Century Communism
https://www.dukeupre[...]
Duke University Press
2017
[296]
학술지
Neoliberalism, the Left and the Rise of the Far Right: On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Implications of Capitalism's Subordination of Democracy
https://www.berghahn[...]
2020-06-01
[297]
서적
An incredible race of people: a passionate history of Australia
2012
[298]
서적
The social costs of neoliberalism : essays on the economics of K. William Kapp
Spokesman
[299]
서적
The heterodox theory of social costs
Routledge
[300]
서적
The Communist Horizon
https://archive.org/[...]
Verso Books
2012
[301]
논문
Critics of neoliberalism have therefore looked at the evidence that documents the results of this great experiment of the past 30 years, in which many markets have been set free. Looking at the evidence, we can see that the total amount of global trad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at global poverty has increased, with more today living in abject poverty than before neoliberalism.
[302]
웹사이트
An Open Letter to Steven Pinker (and Bill Gates)
https://jacobinmag.c[...]
2019-02-13
[303]
간행물
Increasing Inequality in the United States
http://www.paecon.ne[...]
[304]
간행물
Charting U.S. Economic Performance with Alternative Labor Market Indicators: The Importance of Accounting for Job Quality
[305]
서적
Moral rhetoric and the criminalisation of squatting: vulnerable dem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7-07
[306]
학술지
The Neoliberal Revolution in Industrial Relations
[307]
학술지
Venezuelan Health Reform, Neoliberal Policies and their Impact on Public Health Education: Observations on the Venezuelan Experience
http://www.medicinas[...]
2008-11-00
[308]
웹사이트
OECD Employment Outlook. Statistical Annex
http://www.oecd.org/[...]
2007-00-00
[309]
웹사이트
The reality of Swedish neo-liberalism
http://www.socialist[...]
2014-02-26
[310]
웹사이트
In Sweden, Riots Put an Identity in Question
https://www.nytimes.[...]
2014-02-26
[311]
뉴스
IMF: The last generation of economic policies may have been a complete failure
http://www.businessi[...]
Business Insider
2016-05-00
[312]
잡지
Neoliberalism Is a Political Project
https://www.jacobinm[...]
2016-07-23
[31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Neoliberalism 1/5
https://www.youtube.[...]
2007-07-17
[314]
서적
The handbook of neoliberalism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315]
학술지
The Revenge of the Capitalist Class: Crisis, the Legitimacy of Capitalism and the Restoration of Finance from the 1970s to Present
2016-07-28
[316]
서적
The Global Gamble: Washington's Faustian Bid for World Dominance
Verso Books
[317]
서적
Anti-System Politics: The Crisis of Market Liberalism in Rich Democrac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318]
웹사이트
Neoliberal Policies, Institutions Have Prompted Preference for Greater Inequality, New Study Finds
https://www.nyu.edu/[...]
2022-05-11
[319]
학술지
Neoliberalism and the Ideological Construction of Equity Beliefs
https://psyarxiv.com[...]
2022-05-10
[320]
웹사이트
Dr. Kristen Ghodsee, Bowdoin College – Nostalgia for Communism
http://wamc.org/post[...]
Wamc.org
2011-11-01
[321]
서적
The Russo-Ukrainian War: From the bestselling author of Chernobyl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23-05-16
[322]
학술지
The revolt of the Rust Belt: place and politics in the age of anger
2017-11-08
[323]
잡지
The Wreckage of Neoliberalism
https://www.theatlan[...]
2023-02-22
[324]
잡지
Inside the New Right's Next Frontier: The American West
https://www.vanityfa[...]
2023-02-22
[325]
학술지
Neoliberalizing space
https://hal.archives[...]
2002
[326]
웹사이트
Neoliberalism and Economic Globalization
http://www.stwr.org/[...]
2012-02-29
[327]
잡지
Wrong all along: Neoliberal IMF admits neoliberalism fuels inequality and hurts growth
http://www.salon.com[...]
2016-05-31
[328]
뉴스
You're witnessing the death of neoliberalism – from within
https://www.theguard[...]
2016-05-31
[329]
웹사이트
End the IMF: What Is It Good For?
http://www.thefreema[...]
2012-02-29
[330]
학술지
The Global Class War
2019
[331]
서적
Struggle and the Prospects for World Government
Trafford Publishing
2003
[332]
서적
Youth and work in the post-industrial city of North America and Europe
Brill
[333]
학술지
Are Private Prisons to Blame for Mass Incarceration and its Evils? Prison Conditions, Neoliberalism, and Public Choice
https://ir.lawnet.fo[...]
Fordham University School of Law
2014-12-27
[334]
서적
Caught: The Prison State and the Lockdown of American Politics
http://press.princ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335]
웹사이트
Loïc Wacquant: "Prisons of Poverty"
http://notes-taken.b[...]
2010-09-29
[336]
웹사이트
The punitive regulation of poverty in the neoliberal age
http://www.opendemoc[...]
2011-08-01
[337]
학술지
Feeding the School-to-Prison Pipeline: The Convergence of Neoliberalism, Conservativism, and Penal Populism
http://cedar.wwu.edu[...]
Woodring College of Education, Western Washington University
[338]
보고서
Correctional Populations in the United States, 2010
http://bjs.ojp.usdoj[...]
US Bureau of Justice Statistics
2011-12
[339]
보고서
Correctional Populations in the United States, 2013
http://www.bjs.gov/c[...]
U.S. Bureau of Justice Statistics
2014-12
[340]
학술지
Neoliberalism's penal and debtor states
2010
[341]
서적
Global Slump: The Economics and Politics of Crisis and Resistance
https://web.archive.[...]
Spectre
2015-03-10
[342]
뉴스
The Illusion of Free Markets: Six Questions for Bernard Harcourt
http://harpers.org/b[...]
2014-12-27
[343]
학술지
Marginality, ethnicity and penality in the neo-liberal city: an analytic cartography
https://web.archive.[...]
2014
[344]
웹사이트
Neoliberal Penality: A Genealogy of Excess
http://www.law.uchic[...]
2009-05-21
[345]
기타
[346]
서적
The Crisis of Neoliberalism
http://www.hup.harv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347]
잡지
Globalization's True Believers Are Having Second Thoughts
https://time.com/435[...]
2016-06-03
[348]
웹사이트
The arbitration game
https://www.economis[...]
2014-10-14
[349]
웹사이트
Antiglobalization
https://www.britanni[...]
Britannica
[350]
학술지
Imperialist appropriation in the world economy: Drain from the global South through unequal exchange, 1990–2015
2022
[351]
논문
Nationalism: What We Know and What We Still Need to Know
2021-05-11
[352]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press.pri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53]
서적
The Right to Regulate in International Investment Law
Nomos and Hart
[354]
간행물
Human Rights in International Investment Law and Arbitration
Oxford Scholarship Online
2010-02
[355]
논문
Globalization or Imperialism? Neoliberal Globalization in the Age of Capitalist Imperialism
2007
[356]
논문
Neoliberal Imperialism and Pan-African Resistance
https://jwsr.pitt.ed[...]
2019-06-30
[357]
논문
The private military industry and neoliberal imperialism: Mapping the terrain
http://oro.open.ac.u[...]
2013-01-03
[358]
서적
State Terrorism and Neoliberalism: The North in the South
http://www.routledge[...]
Routledge
2009
[359]
서적
Economists with Guns: Authoritarian Development and U.S.–Indonesian Relations, 1960–1968
https://www.sup.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360]
논문
'Blind Spot: How Neoliberalism Infiltrated Global Health' Book Review
https://academic.oup[...]
2016-09-17
[361]
논문
Globalisation and neoliberalism as structural drivers of health inequities
2018-10-09
[362]
서적
The Deadly Ideas of Neoliberalism: How the IMF has Undermined Public Health and the Fight Against AIDS
Zed Books
[363]
서적
Blind Spot: How Neoliberalism Infiltrated Global Health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64]
논문
International NGOs and primary health care in Mozambique: the need for a new model of collaboration
[365]
논문
Capitalism and extreme poverty: A global analysis of real wages, human height, and mortality since the long 16th century
2023
[366]
서적
Neoliberalism, Economic Radicalism, and the Normalization of Violenc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
[367]
서적
The Violence of Neoliberalism: Crime, Harm and Inequal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
[368]
뉴스
This Theorist Believes That Capitalism Creates Mass Murderers by Causing People to 'Malfunction'
https://www.vice.com[...]
2019-08-11
[369]
뉴스
American hyper-capitalism breeds the lonely, alienated men who become mass killers
https://www.salon.co[...]
2019-08-11
[370]
서적
Mean Streets: Homelessness, Public Space, and the Limits of Capital
https://ugapress.org[...]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20
[371]
논문
Neoliberalism, Economic Radicalism, and the Normalization of Violenc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0-10-23
[372]
논문
Mental Health Challenges Related to Neoliberal Capitalism in the United States
2022
[373]
논문
Neoliberalism can reduce well-being by promoting a sense of social disconnection, competition, and loneliness
2021
[374]
논문
Neoliberalism and Nature: The Case of the WTO
2003-11-01
[375]
논문
Global Capitalism, Reactionary Neoliberalism, and the Deepening of Environmental Injustices
2018
[376]
논문
Transcending the metabolic rift: a theory of crises in the capitalist worldecology
2011
[377]
논문
Neoliberal environmentality: Towards a poststructuralist political ecology of the conservation debate
2010
[378]
논문
Ecological economics for humanity's plague phase
http://www.fraw.org.[...]
2020
[379]
서적
The Politics of Total Liberation: Revolution for the 21st Century
Palgrave Macmillan
2014
[380]
웹사이트
Debunking the Tragedy of the Commons
https://news.cnrs.fr[...]
2018-01-05
[381]
뉴스
Beyond SDGs: Can Fiduciary Capitalism and Bolder, Better Boards Jumpstart Economic Growth?
https://www.academia[...]
2016-10-01
[382]
웹사이트
Why Milton Friedman was right and wrong
https://www.afr.com/[...]
2020-09-13
[383]
저널
Neoliberalism and the Biophysical Environment 1: What 'Neoliberalism' is, and What Difference Nature Makes to it
https://pure.manches[...]
2010-12-01
[384]
저널
The Low-Wage Conservationist: Biodiversity and Perversities of Value in Madagascar
https://anthrosource[...]
2009-12-01
[385]
저널
Environmental Certification of Forests in Mexico: The Political Ecology of a Nongovernmental Market Intervention
http://www.tandfonli[...]
2006-09-01
[386]
웹사이트
Not Everything is for Sale: A Critique of Neoliberalism
https://europeancons[...]
2022-02-19
[387]
뉴스
Pope attacks 'tyranny' of markets in manifesto for papacy
https://www.reuters.[...]
2013-11-26
[388]
뉴스
Pope Francis denounces 'trickle-down' economic theories in sharp criticism of inequality
https://www.washingt[...]
2013-11-26
[389]
서적
Anti-Politics, Depoliticization, and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01
[390]
서적
Neoliberal Hegemony and the Pink Tide in Latin America: Breaking Up With TINA?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Series)
http://www.palgrave.[...]
Palgrave Macmillan
[391]
서적
The Rhetoric of Food: Discourse, Materiality, and Pow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392]
뉴스
Greece shows what can happen when the young revolt against corrupt elites
https://www.theguard[...]
2015-01-25
[393]
뉴스
The Paris 'Yellow Vest' Protests Show the Flaws of Capitalism
https://www.vice.com[...]
2019-11-03
[394]
뉴스
'We are at war': 8 dead in Chile's violent protests over social inequality
https://www.washingt[...]
2019-11-03
[395]
뉴스
Welcome to the Global Rebellion Against Neoliberalism
https://www.thenatio[...]
2019-11-29
[396]
뉴스
Student protest leader to president-elect: Gabriel Boric caps rise of Chile's left
https://www.reuters.[...]
2021-12-21
[397]
논문
Open Democracies: How Labor Repression Facilitates Trade Liberal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398]
뉴스
Margaret Thatcher
http://www.cnn.com/S[...]
CNN
2008-10-29
[399]
뉴스
Enemies within: Thatcher and the unions
http://news.bbc.co.u[...]
2008-10-29
[400]
서적
Populism and Neoliberal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
[401]
웹사이트
リベラリズムの多義性(川崎修) - 思想 2004年 第9号
http://www.iwanami.c[...]
[402]
논문
書庫の一隅にて
https://hdl.handle.n[...]
京都大学附属図書館
2012-07-25
[403]
서적
Casino Capit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0-00
[404]
웹사이트
This article makes this point rather well, and shows how these problems influence neoliberalism
http://folk.uio.no/d[...]
[405]
Youtube
A Brief History of Neoliberalism
2010-00-00
[406]
웹사이트
Robert W. McChesney summarises the views of Chomsky
http://www.chomsky.i[...]
[407]
서적
新自由主義をめざして
学文社
1989-00-00
[408]
웹사이트
Carl Menger, Prinicples of Economics
http://www.mises.org[...]
[409]
웹사이트
Austrian School of Economics: The Concise Encyclopedia of Economics | Library of Economics and Liberty
http://www.econlib.o[...]
[410]
웹사이트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t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plato.stanfor[...]
[411]
서적
Human Action
2011-11-23
[412]
서적
History of economic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413]
서적
Hayek, Co-ordination and Evolution: His Legacy in Philosophy, Politics, Economics and the History of Ideas
Routledge
[414]
웹사이트
Franz Oppenheimer, dem Lehrer und Freund
http://www.franz-opp[...]
[415]
웹사이트
How the Federal Parliamentary Labor Party Lost Its Way
https://archive.is/2[...]
[416]
웹사이트
内閣府ホームページ 米国レーガン政権下における税制改革の経験
https://www.cao.go.j[...]
内閣府
2024-02-17
[417]
위키
Friedrich Hayek
[418]
웹사이트
Political Compass
http://www.political[...]
[419]
웹사이트
ケインズ復権とインフレ目標政策--「転換X」にのっとる政策その2
http://synodos.jp/ec[...]
2014-05-29
[420]
웹사이트
「市場主義1.0」がもたらした不可逆的変化 サッチャー、レーガン、小泉改革の意味
https://diamond.jp/a[...]
2012-07-18
[421]
웹사이트
Paul Treanor – Neoliberalism: origins, theory, definition
http://web.inter.nl.[...]
[422]
서적
世界を不幸にしたグローバリズムの正体
徳間書店
[423]
서적
Globalization and Its Discontents
W. W. Norton & Company
[424]
논문
Friedman's Presidential Address in the Evolution of Macroeconomic Thought
[425]
웹사이트
http://www.naomiklei[...]
[426]
서적
ネオリベラリズムとは何か
青土社
[427]
서적
新自由主義:その歴史的展開と現在
作品社
[428]
간행물
提言 【特別寄稿(上)】菅政権のめざすことと、その背景 宇沢弘文・東京大学名誉教授、日本学士院会員
http://www.jacom.or.[...]
JAcom 農業協同組合新聞
2011-02-14
[429]
간행물
日本の価値観が滅びる! 中谷 巌
http://gekkan-nippon[...]
月刊日本
2013-07-27
[430]
서적
グローバル恐慌の真相
[431]
웹사이트
2016年度神奈川大学卒業式・学位授与式(一回目)兼子良夫学長式辞
http://photoreport.k[...]
[432]
서적
競争と公平感-市場経済の本当のメリット
中央公論新社
2010
[433]
웹사이트
신자유주의
https://terms.naver.[...]
매일경제, 매경닷컴
[434]
논문
2005
[435]
논문
1986
[436]
서적
국가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다산북스
2011
[437]
간행물
신자유주의는 어디로 갔나
세계경영연구원(IGM)
2010
[438]
서적
렉서스와 올리브나무 : 세계화는 덫인가, 기회인가?
창해
2000
[439]
방송
부동산 거품의 역습 서프프라임 위기
KBS 1TV
2008-01-27
[440]
간행물
불평등한 민주주의와 평등한 민주주의
기억과전망
2010
[441]
서적
민주주의와 인간평등원리
법정
[442]
서적
민주주의와 자유의 양립가능성으로서의 경제 민주화 -토크빌과 달의 맥락에서
범한철학
[443]
간행물
Measuring 50 Years of Economic Change
[444]
서적
21세기 자본
글항아리
[445]
서적
나쁜 사마리아인들
부키
[446]
서적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447]
서적
이단의 경제학
시대의 창
[448]
간행물
신자유주의 금융위기와 주기적 공황 : 2007/2009년 위기의 성격과 전망
민주사회와정책연구
[449]
간행물
신자유주의 위기와 한국의 경제 민주화
시민과세계
[450]
간행물
금융 포커스 : 리만 브라더스 사태와 글로벌 금융충격
주간 금융 브리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