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명 해왕성 바깥 천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명 해왕성 바깥 천체는 해왕성과 궤도 공명을 이루는 해왕성 바깥 천체(TNO)를 의미한다. 해왕성과의 궤도 공명은 해왕성이 A번 공전하는 동안 해당 천체가 B번 공전하는 A:B 형태로 표기하며, 분포, 기원, 주요 공명 유형에 따라 분류된다. 주요 공명 유형으로는 1:1 공명(해왕성 트로이군), 2:3 공명(명왕성족), 3:5 공명, 4:7 공명, 1:2 공명(투티노족), 2:5 공명 등이 있다. 해왕성 공명 천체는 궤도 긴반지름이 좁은 범위 안에 있어야 하며, 니스 모델에 따르면 거대 행성과 작은 입자 간의 상호 작용으로 해왕성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다양한 궤도의 천체를 공명 상태로 가둔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궤도 공명 - 커크우드 간극
    커크우드 간극은 소행성대에서 목성의 중력으로 인해 특정 궤도 반지름에 소행성이 부족한 궤도 공명 영역으로, 5:1, 4:1, 3:1, 5:2, 7:3, 2:1, 3:2, 4:3 공명 등 뚜렷한 간극 외에도 약한 간극들이 존재하며, 소행성대 영역 구분 기준으로도 활용된다.
  • 해왕성 바깥 천체 - 명왕성
    명왕성은 1930년에 발견된 왜소행성으로, 2006년 행성 정의 변경으로 인해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었으며, 얇은 대기와 5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고, 2015년 뉴 허라이즌스 탐사선이 근접 통과하여 상세 정보를 얻었다.
  • 해왕성 바깥 천체 - 카론 (위성)
    카론은 1978년 발견된 명왕성의 가장 큰 위성으로, 명왕성과 질량 중심을 공전하며, 뉴 호라이즌스 탐사선에 의해 다양한 지질학적 특징과 과거 지하 해양 존재 가능성이 확인되었고, 왜행성 분류 논쟁이 있었으나 현재는 명왕성 위성으로 분류된다.
  • 과학 및 자연에 관한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과학 및 자연에 관한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공명 해왕성 바깥 천체

2. 분포

해왕성 바깥 천체태양계 외곽에 넓게 분포하지만, 특히 해왕성과의 궤도 공명 관계에 있는 천체들은 해왕성의 중력적 영향으로 인해 특정 궤도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공명 천체의 분포는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분포 연구 시에는 종종 센타우루스 소행성군의 분포와 비교하기도 한다.

2. 1. 분포도

해왕성 바깥 천체의 분포. 공명 해왕성 바깥 천체는 붉은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해왕성 바깥 천체 분포. 강력한 공명 궤도를 점유하는 천체는 빨간색으로 표시됨.


알려진 해왕성 바깥 천체(TNO)의 분포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이 그림들에서 공명 해왕성 바깥 천체는 붉은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일부 그림에는 비교를 위해 센타우루스 소행성군이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해왕성과의 궤도 공명 상태에 있는 천체들의 위치는 수직 막대(때로는 보라색)로 표시된다. 주요 공명 비율과 해당 천체군은 다음과 같다.

  • '''1:1 공명''': 해왕성 트로이족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들은 해왕성과 거의 같은 궤도를 공유한다.
  • '''2:3 공명''': 명왕성과 명왕성족의 궤도를 나타낸다. 이들은 해왕성이 3번 공전하는 동안 정확히 2번 공전한다.
  • '''기타 공명''': 1:2, 2:5 등 다양한 공명 비율을 가지는 소규모 천체군들이 존재한다.


공명 비율 표기에서 '2:3' 또는 '3:2'는 동일한 공명을 의미한다. 해왕성 바깥 천체는 정의상 해왕성보다 공전 주기가 길기 때문에 표기법으로 인한 혼란은 발생하지 않는다. 어떤 천체가 해왕성과 A:B 공명 관계에 있다는 것은 해당 천체가 B번 공전하는 동안 해왕성이 A번 공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명왕성해왕성과 2:3 공명 상태에 있다.

2. 2. 표기법



해왕성과의 궤도 공명 상태에 있는 해왕성 바깥 천체는 일반적으로 A:B 형식의 비율로 표기한다. 이 표기법에서 A와 B는 서로소인 정수이다.

이 비율은 해당 천체가 '''A'''번 공전하는 동안 해왕성이 '''B'''번 공전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명왕성해왕성2:3 공명 상태에 있는데, 이는 명왕성이 2번 공전하는 동안 해왕성은 3번 공전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 2:3 공명 궤도에 있는 천체들을 명왕성족이라고 부른다.

간혹 같은 공명을 3:2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지만, 해왕성 바깥 천체는 정의상 해왕성보다 공전 주기가 길기 때문에 실제적인 혼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천체의 공전 주기가 해왕성 공전 주기의 B/A 배임을 나타낸다. 어떤 표기법을 사용할지는 저자나 연구 분야에 따라 다를 수 있다.

3. 기원

해왕성 공명에 대한 상세한 분석과 수치 연구는 공명 상태에 있는 천체들이 매우 좁은 에너지 범위, 즉 특정 궤도 긴반지름 범위 내에 존재해야 함을 보여준다.[2][3][19][20] 만약 천체의 궤도 긴반지름이 이 좁은 범위를 벗어나면, 궤도는 혼란스러워지고 궤도 요소들이 크게 변동하게 된다.[2][3]

해왕성 바깥 천체(TNO)들이 발견되면서, 그중 10% 이상이 해왕성과 2:3 공명 상태에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천체들이 무작위로 분포하는 것과는 상당히 다른 결과이다.[4] 현재 가장 유력한 설명은 태양계 형성 초기 거대 행성의 이동 과정에서 이 천체들이 포획되었다는 것이다.

최초의 TNO가 발견되기 훨씬 이전부터, 거대 행성들과 작은 천체들로 이루어진 원시 원반 사이의 상호작용이 각운동량 교환을 일으킬 것이라는 가설이 제기되었다.[5] 이 상호작용으로 인해 목성은 태양 쪽으로 약간 이동하고, 토성, 천왕성, 그리고 특히 해왕성은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행성 이동 시나리오는 니스 모델에서 잘 설명된다. 해왕성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해왕성의 공명대는 점차 바깥쪽 공간을 '휩쓸면서' 이동했고, 이 과정에서 원래 다양한 태양 중심 궤도에 있던 천체들을 특정 공명 상태로 끌어들여 '모았을' 것으로 생각된다.[4][5][21][22]

4. 주요 공명 유형

해왕성 바깥 천체(TNO) 중 상당수는 해왕성과의 중력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안정적인 궤도 공명 상태에 있다. 궤도 공명이란 해왕성이 특정 횟수를 공전하는 동안 해당 천체가 다른 특정 횟수를 공전하여, 두 천체의 공전 주기가 간단한 정수비(예: 1:2, 2:3)를 이루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공명 관계는 천체의 궤도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기여하며, 해왕성 바깥 천체를 분류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가장 잘 알려진 공명 집단으로는 해왕성과 거의 같은 궤도를 도는 해왕성 트로이군(1:1 공명)과 명왕성을 포함하는 명왕성족(2:3 공명)이 있다. 또한, 해왕성이 두 번 공전할 때 한 번 공전하는 투티노족(1:2 공명)도 주요 공명 유형 중 하나이다. 이 외에도 3:5, 4:7, 2:5 등 다양한 비율의 공명 관계를 가지는 천체들이 발견되었으며, 심지어 1:3, 3:10과 같은 더 복잡한 고차 공명 상태에 있는 천체들도 소수 존재한다. 각 공명 유형에 속하는 천체들은 고유한 궤도 특성과 분포를 보인다.

4. 1. 1:1 공명 (해왕성 트로이군)

해왕성과 1:1 공명 관계에 있는 천체들은 해왕성 트로이군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해왕성과 거의 같은 궤도 긴반지름을 가지며, 태양해왕성계의 라그랑주 점 L4(선행 라그랑주 점)와 L5(후행 라그랑주 점) 근처에 분포한다. 목성 트로이군처럼 해왕성 궤도의 안정된 지점인 라그랑주 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2020년 2월 기준으로 28개의 해왕성 트로이군 천체가 알려져 있다.[6] 이들 중 5개는 후행 라그랑주 점(L5) 근처에서 발견되었으며, 그중 하나는 확인이 불확실하다. 나머지 천체들은 대부분 선행 라그랑주 점(L4) 영역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316179) 2010 EN65는 L4와 L5 사이를 주기적으로 이동하는 "점핑 트로이군(jumping trojan)"으로 분류되는데, 이동 과정에서 L3 영역을 통과하기도 한다.[7]

다음은 알려진 해왕성 트로이군 목록이다.

'''L4 선행 트로이군:'''

  • 385571 오트레라
  • 385695 클레테
  • (527604) 2007 VL305
  • (530930) 2011 WG157
  • (612243) 2001 QR322
  • 2005 TN53
  • (613490) 2006 RJ103
  • (666739) 2010 TS191
  • 2010 TT191
  • 2012 UV177
  • 2013 RL124
  • 2013 TZ187
  • 2013 VX30
  • 2014 QO441
  • 2014 QP441
  • 2014 RO74
  • 2014 SC374
  • 2014 UU240
  • 2015 RW277
  • 2015 VV165
  • 2015 VW165
  • 2015 VX165


'''L5 후행 트로이군:'''

  • (530664) 2011 SO277
  • 2008 LC18
  • 2011 HM102
  • 2012 UD185
  • 2013 KY18 ''?''

4. 2. 2:3 공명 (명왕성족)

2:3 공명은 궤도 장반경이 약 39.4AU이고 공전 주기가 약 250년인 천체들이 가지는 공명 상태이다. 이 공명 궤도를 도는 천체들은 처음 발견된 명왕성의 이름을 따 명왕성족(Plutino)이라고 불린다. 명왕성족은 공명 해왕성 바깥 천체 중에서 가장 수가 많은 집단으로, 2020년 2월 기준으로 확인된 것만 383개이며 추가로 99개가 명왕성족일 가능성이 있다.[6] 이 중 338개는 딥 황도면 탐사(Deep Ecliptic Survey)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궤도가 확인되었다.

해왕성의 궤도 주기와 같은 주기를 가진 회전 좌표계에서 오르쿠스(회색)와 명왕성(빨간색)의 움직임


크기, 알베도, 색상 지수에서 오르쿠스익시온과 비교한 명왕성과 그 위성(상단)


주요 명왕성족 천체는 다음과 같다.[6]

천체비고
명왕성왜행성
오르쿠스왜행성 후보
2003 AZ84왜행성 후보
2003 UZ413
2003 VS2왜행성 후보
익시온왜행성 후보
2002 VR128
2001 QF298
후야왜행성 후보
1998 VG44
1993 SC
2007 JF43
2001 XD255
2004 EW95
렘포
2008 SO266
2002 VU130
2002 VE95
2003 WU172
2006 HJ123
2001 RX143
2005 EZ296


4. 3. 3:5 공명

3:5 공명은 해왕성이 5번 공전하는 동안 해당 천체가 3번 공전하는 궤도 공명을 의미한다. 이 천체들의 궤도 장반경은 평균적으로 약 42.3AU이며, 공전 주기는 약 275년이다.[24]

2008년 10월 기준으로, 42.3AU 거리의 3:5 공명점에서는 10개의 천체가 발견되었다.[24] 알려진 천체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15809) 1994 JS
  • (126154) 2001 YH140
  • (143751) 2003 US292

4. 4. 4:7 공명

4:7 공명은 해왕성이 7번 공전하는 동안 해당 천체가 4번 공전하는 궤도 공명을 의미한다. 이 공명 지점은 태양으로부터 약 43.7 AU 거리에 위치하며, 큐비와노족 천체들이 분포하는 궤도의 중심부에 해당한다. 2008년 10월 기준으로 20개의 4:7 공명 해왕성 바깥 천체가 발견되었다.

이 천체들은 대부분 시등급이 6 이하로 비교적 작고(단, 예외도 존재함), 황도면에 가까운 궤도를 도는 경향이 있다. 궤도가 확립된 주요 4:7 공명 천체는 다음과 같다.[24]

  • (118378) 1999 HT11
  • (118698) 2000 OY51
  • (119070) 2001 KP77
  • (119956) 2002 PA149
  • 1999 CD158 (왜행성 후보)

4. 5. 1:2 공명 (투티노족)

1:2 궤도 공명 상태, 즉 해왕성이 두 번 공전하는 동안 천체가 한 번 공전하는 상태에 있는 천체들을 투티노족(Twotino)이라고 부른다. 이들의 궤도 장반경은 약 47.8AU로, 종종 카이퍼 대의 바깥쪽 가장자리로 여겨진다. 투티노족은 대부분 15° 이하의 낮은 궤도 경사각을 가지며, 0.1에서 0.3 사이의 궤도 이심률을 보인다.[26] 일부 투티노족은 해왕성의 바깥쪽 이동 과정에서 원래의 미행성체 원반에서 흩어진 천체가 아닐 수도 있다는 연구가 있다.[25]

2008년 10월 기준으로 14개의 투티노족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2:3 공명 상태인 명왕성족보다 훨씬 적은 수이다. 장기간의 궤도 시뮬레이션 결과, 1:2 공명은 2:3 공명보다 불안정하여 태양계 형성 이후 약 40억 년 동안 투티노족의 약 15%만이 현재 궤도에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같은 기간 동안 약 28%가 살아남은 명왕성족과 비교된다.[26] 따라서 초기 태양계에는 현재보다 훨씬 많은 투티노족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26]

현재까지 궤도가 비교적 잘 알려진 투티노족은 다음과 같다.[24]

  • (20161) 1996 TR66
  • (26308) 1998 SM165
  • (119979) 2002 WC19 - 왜행성 후보
  • (130391) 2000 JG81
  • (137295) 1999 RB216

4. 6. 2:5 공명

해왕성이 5번 공전하는 동안 2번 공전하는 천체들이다. 이 천체들의 궤도 장반경은 약 55.3 AU에서 55.4 AU[24] 정도이다. 2008년 10월 기준으로 11개의 천체가 발견되었다.[24] 궤도가 확립된 주요 천체는 다음과 같다.

천체비고
(69988) 1998 WA31
(84522) 2002 TC302왜행성 후보
(119068) 2001 KC77
(135571) 2002 GG32
(143707) 2003 UY117


4. 7. 기타 공명

하우메아의 진동. 빨간색이 녹색으로 변하는 지점은 황도를 가로지르는 지점이다.


소위 고차 공명에는 다음과 같은 제한된 수의 천체만이 알려져 있다.[24]

공명 비율근일점 거리 (AU)공전 주기 (년)알려진 천체
4:535약 205(131697) 2001 XH255
3:436.5약 220(15836) 1995 DA2, (143685) 2003 SS317
5:944.5약 2952002 GD32[27]
4:952약 370(42301) 2001 UR163 (왜행성 후보), (182397) 2001 QW297[28]
3:753약 385(95625) 2002 GX32, (131696) 2001 XT254, (181867) 1999 CV118, (183964) 2004 DJ71
5:1255약 395(79978) 1999 CC158, (119878) 2001 CY224[29]
3:857약 440(82075) 2000 YW134 (왜행성 후보)[30]
1:363약 495(136120) 2003 LG7, 2005 EO297
3:1067약 549(225088) 2007 OR10 (왜행성 후보)
2:770약 5802006 HX122[31], 2010 EK139 (왜행성 후보)
1:476약 6602003 LA7
1:588약 8252003 YQ179



왜행성의 미확정 공명 궤도는 다음과 같다.

공명 비율근일점 거리 (AU)공전 주기 (년)해당 천체
7:1243약 283하우메아 (왜행성)[32]
6:1145약 302마케마케 (왜행성)[33]
5:1767약 560에리스 (왜행성)[33]


5. 공명 천체의 분류 및 정의

해왕성 바깥 천체(TNO) 중 해왕성궤도 공명 관계에 있는 천체들을 분류하고 정의하는 데에는 몇 가지 어려움이 있다. 특히 멀리 떨어진 천체들은 궤도 주기가 300년 이상으로 매우 길지만, 관측 기록은 불과 몇 년에 불과한 경우가 많아 궤도의 정확성이 부족하다.[14] 이 때문에 특정 궤도가 진정한 공명 상태인지, 아니면 단순히 우연한 궤도 일치인지 확신하기 어렵다. 진정한 공명 상태에서는 공명 관련 변수가 특정 값 주위에서 부드럽게 진동(libration)하는 특징을 보이지만, 우연한 근사 공명에서는 순환(circulation)하는 경향을 보인다.[14] (공식적인 정의 참조) 이러한 궤도의 불확실성 때문에, 약한 공명을 입증하거나 특정 천체가 실제로 공명 상태에 있는지 확실히 분류하는 데에는 수십 년이 걸릴 수 있다.

5. 1. 공식적인 정의

해왕성 바깥 천체(TNO)의 분류는 아직 국제적으로 통일된 명확한 정의가 없으며, 분류 경계가 모호하고 공명의 개념 자체도 정확하게 정의되지 않았다. 특히 멀리 떨어진 천체는 관측 기간이 짧고 궤도 정보의 정확성이 부족하여 약한 공명을 확인하기 어렵다. 많은 천체의 궤도 주기는 300년 이상인데 비해 관측 기록은 몇 년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특정 궤도가 실제 공명 상태인지, 아니면 단순히 우연한 궤도 일치인지 확신하기까지 수십 년이 걸릴 수 있다. 진정한 공명 상태에서는 공명 각이 특정 값 주위에서 부드럽게 진동하지만, 우연한 근사 공명에서는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황도 심층 탐사(Deep Ecliptic Survey, DES)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 4개의 거대 행성으로부터 받는 섭동을 고려하여 장기간에 걸쳐 궤도를 계산하는 방식을 통해 역학적 분류 체계를 도입했다.

일반적으로, 평균 운동 공명은 천체와 해왕성의 평균 경도(각각 λ와 λN) 및 작은 정수 p, q를 이용한 관계식

: p\cdot\lambda - q\cdot\lambda_{\rm N}

뿐만 아니라, 천체의 근점 경도(\varpi)와 승교점 경도(\Omega), 그리고 해왕성의 해당 값들(\varpi_{\rm N}, \Omega_{\rm N})까지 포함하여 정의된다. (기본적인 예는 궤도 공명 참조).

어떤 천체가 공명 상태에 있다는 것은, 작은 정수 p, q, m, n, r, s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공명 각(argument 또는 phase) \phi가 특정 값 주위에서 진동(libration)하는 경우를 의미한다.[15]

: \phi = p\cdot\lambda - q\cdot\lambda_{\rm N} - m\cdot\varpi - n\cdot\Omega - r\cdot\varpi_{\rm N} - s\cdot\Omega_{\rm N}

여기서 '진동'은 각도가 특정 값 주변에서 주기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뜻하며, 0°에서 360°까지 모든 값을 취할 수 있는 '순환(circulation)'과는 구분된다. 예를 들어, 명왕성의 경우 공명각 \phi는 180°를 중심으로 진폭 약 82°~86.6° 범위에서 진동한다. 즉, 각도가 주기적으로 93.4°~98°에서 262°~266.6° 사이를 오간다.[16]

황도 심층 탐사에서 발견된 모든 새로운 명왕성족 천체들은 명왕성과 유사한 2:3 평균 운동 공명을 가지며, 다음과 같은 공명 각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hi = 3\cdot\lambda - 2\cdot\lambda_{\rm N} - \varpi

더 일반적으로, 이 2:3 공명은 p:(p+1) 형태 공명(예: 1:2, 2:3, 3:4)의 한 예시이며, 이러한 공명은 안정적인 궤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4] 이들 공명의 각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phi = p\cdot\lambda - q\cdot\lambda_{\rm N} - (p-q)\cdot\varpi

이 공명 각 \phi의 중요성은 천체가 근일점에 있을 때(\lambda = \varpi) 다음 식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phi = q\cdot ( \varpi - \lambda_{\rm N})

즉, \phi는 천체의 근일점이 해왕성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낸다.[4] 공명 각 \phi가 0°에서 먼 값을 중심으로 진동하면, 천체는 근일점을 해왕성으로부터 멀리 유지하게 되어 해왕성의 강한 섭동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2007년 Emel'yanenko와 Kiseleva의 시뮬레이션 연구는 공명 상태의 예를 보여준다. (131696) 2001 XT254는 해왕성과 3:7 공명 상태에서 공명 각이 진동하며, 이 상태는 수억 년에서 수십억 년 동안 안정적일 수 있다.[14]

해왕성의 3:7 공명 주변에서 (131696) 2001 XT254의 궤도 주기.


반면, (48639) 1995 TL8은 해왕성과 3:7 공명 상태에 있을 확률이 1% 미만이며, 공명 각이 특정 값 주위에서 진동하는 대신 순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4]

해왕성의 3:7 공명을 벗어나 순환하는 (48639) 1995 TL8의 궤도 주기.

5. 2. 분류 방법

해왕성 바깥 천체는 매우 멀리 떨어져 있고 궤도 주기가 300년 이상으로 매우 긴 경우가 많다. 하지만 대부분 짧은 기간 동안만 관측되었기 때문에[17] 궤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특히 약한 공명의 경우, 관측된 현상이 진정한 궤도 공명인지 아니면 단순히 우연한 근사 공명인지 구분하기 어렵다. 진정한 공명은 공명 인수가 특정 값 주변에서 안정적으로 진동하는 반면, 우연한 근사 공명은 순환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불확실성 때문에 궤도 공명 여부를 확신하기까지 수십 년이 걸릴 수도 있다.

이러한 궤도 결정의 불확실성은 거짓 양성, 즉 실제로는 공명 상태가 아닌 천체를 공명 상태로 잘못 분류하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관측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고려하는 새로운 분류 방법이 사용된다.[17][37]

이 방법은 현재 가장 잘 맞는 최적 궤도 하나만을 고려하는 대신, 관측 오차 범위를 반영하는 두 개의 추가적인 가능성 있는 궤도를 포함하여 총 세 개의 궤도를 분석한다. 이 세 궤도를 1000만 년 이상 동안 수치적으로 적분하여 공명 상태를 유지하는지 확인한다.[17][37] 공명 상태 유지는 공명 인수가 진동하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정식 정의 참조).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다.[17][37]

  • 세 궤도 모두 공명 상태를 유지하면, 해당 천체는 확실한 공명 천체로 분류된다.
  • 세 궤도 중 두 개만 공명 상태를 유지하면, "아마도" 공명 상태에 있는 것으로 분류된다.
  • 세 궤도 중 하나만 공명 상태를 유지하면, 공명과의 "근접성"만 기록하고 추가 관측을 통해 데이터를 개선하도록 권장한다.


이 분석에 사용되는 궤도 장반경의 범위는 관측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최대 3 표준 편차까지 고려하여 설정된다. 이를 통해 실제 궤도가 분석 범위를 벗어날 확률을 0.3% 미만으로 줄일 수 있다. 이 방법은 최소 세 번의 기간 동안 관측된 천체에 적용될 수 있다.[17][37]

참조

[1] 논문 Neptune's Migration into a Stirred-Up Kuiper Belt: A Detailed Comparison of Simulations to Observations 2005-11
[2] preprint The Phase Space Structure Near Neptune Resonances in the Kuiper Belt https://ntrs.nasa.go[...] 1996-01
[3] 논문 On the Plutinos and Twotinos of the Kuiper Belt 2002-12
[4] 논문 The Origin of Pluto's Orbit: Implications for the Solar System Beyond Neptune https://archive.org/[...] 1995-07
[5] preprint Protostars and Planets IV University of Arizona Press 2000-05
[6] 웹사이트 List of Known Trans-Neptunian Objects (and other outer solar system objects) http://www.johnstons[...] 2019-12-27
[7] 논문 Four temporary Neptune co-orbitals: (148975) 2001 XA255, (310071) 2010 KR59, (316179) 2010 EN65, and 2012 GX17 2012-11
[8] 논문 Dynamical classification of trans-neptunian objects: Probing their origin, evolution, and interrelation https://www.research[...] 2007-07
[9] 논문 Chaotic Diffusion of Resonant Kuiper Belt Objects
[10] 논문 A Dwarf Planet Class Object in the 21:5 Resonance with Neptune 2018
[11] 논문 Candidate Members and Age Estimate of the Family of Kuiper Belt Object 2003 EL61 2007-09-04
[12]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136108 http://www.boulder.s[...]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Space Science Department) 2008-10-02
[13] 웹사이트 Orbit and Astrometry for 136108 https://www.boulder.[...] 2020-07-14
[14] 논문 Resonant motion of trans-Neptunian objects in high-eccentricity orbits
[15] 간행물 "The Deep Ecliptic Survey: A Search for Kuiper Belt Objects and Centaurs. II. Dynamical Classification, the Kuiper Belt Plane, and the Core Population." http://alpaca.as.ari[...] 2006
[16]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134340 https://www.boulder.[...] 2019-11-12
[17] 서적 Nomenclature in the Outer Solar System
[18] 논문 Neptune's migration into a stirred-up Kuiper Belt https://arxiv.org/ab[...] 2005-11
[19] 논문 The Phase Space Structure Near Neptune Resonances in the Kuiper Belt https://arxiv.org/ab[...]
[20] 논문 On the Plutinos and Twotinos of the Kuiper Belt http://www.iop.org/E[...] 2002
[21] 논문 The Origin of Pluto's Orbit: Implications for the Solar System Beyond Neptune https://arxiv.org/ab[...] 1995
[22] 간행물 Dynamics of the Kuiper Belt https://arxiv.org/ab[...] University of Arizona Press
[23] 웹사이트 Trans-Neptunian objects http://www.johnstons[...]
[24] 웹사이트 List of the classified orbits http://cfa-www.harva[...]
[25] 논문 Dynamical classification of trans-neptunian objects: Probing their origin, evolution, and interrelation
[26] 논문 Chaotic Diffusion of Resonant Kuiper Belt Objects 2008-04
[27]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02GD32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9-02-05
[28]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182397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9-01-29
[29]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119878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9-01-29
[30]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82075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9-01-29
[31] 웹사이트 MPEC 2008-K28 : 2006 HX122 http://www.cfa.harva[...] Minor Planet Center 2009-01-30
[32] 논문 Candidate Members and Age Estimate of the Family of Kuiper Belt Object 2003 EL61 2008-09-19
[33] 웹사이트 Possible resonances of Eris (2003 UB313) and Makemake (2005 FY9) http://www.orbitsimu[...] Gravity Simulator 2009-01-29
[34] 웹사이트 List Of Neptune Trojans https://minorplanetc[...] Minor Planet Center 2013-01-08
[35] 논문 Resonant motion of trans-Neptunian objects in high-eccentricity orbits 2009-01-30
[36] 논문 The Deep Ecliptic Survey: A Search for Kuiper Belt Objects and Centaurs. II. Dynamical Classification, the Kuiper Belt Plane, and the Core Population. http://alpaca.as.ari[...] 2006-08-23
[37] 간행물 Nomenclature in the Outer Solar Syste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