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수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수사령부는 1942년 3월 23일 미국 육군 지상군 휘하에 창설되어 공수부대의 훈련과 작전을 담당했다. 1940년 낙하산실험소대로 시작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82, 제101, 제11, 제17 공수사단을 창설하고, 공수학교 설립 및 야전교범 발간 등 공수부대 발전에 기여했다. 1944년 공수센터로 재편성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해체되었으며, 한국 전쟁 초기 특수부대에서 공수사령부의 인식표를 사용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공수부대 - 제18공수군단
    제18공수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걸프 전쟁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리버티에 본부를 두고 여러 사단을 예하 부대로 둔다.
  • 미국 육군의 사령부 - 미국 육군 전력사령부
    미국 육군 전력사령부는 전 세계 통합군에 파견될 육군 부대를 준비하고 훈련시키는 임무를 수행하며, 1942년 창설되어 현재 미국 육군 예비군 사령부 등을 지휘한다.
  • 미국 육군의 사령부 - 미사일사령부 (미국)
    미국 미사일사령부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 존재했던 육군 부대들로, 제1, 2, 3, 4 미사일사령부로 구성되어 각기 다른 지역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제4미사일사령부는 대한민국 춘천 캠프 페이지에 주둔하며 주한 미군과 한국군을 지원하다가 1978년에 해산되었다.
  • 1947년 해체된 단체 - 귀족원 (일본)
    귀족원 (일본)은 일본 제국 의회의 상원으로, 천황을 보좌하는 세습 귀족으로 구성되었으며, 중의원과 대조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보수적인 성향을 보였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폐지되었다.
  • 1947년 해체된 단체 - 폴란드 서부군
    폴란드 서부군은 1939년 폴란드 침공 후 프랑스와 영국에서 재편성되어 프랑스 전투, 영국 전투, 북아프리카, 이탈리아, 서유럽 전역 등에 참전하며 연합군 승리에 기여했으나, 전후 냉전으로 인해 논란을 겪다 1947년 해체되었다.
공수사령부
개요
공수사령부 어깨소매인식표
어깨소매인식표
활동 기간1942년 3월 23일 ~ 1947년 1월 29일
병과경보병
종류행정관리 사령부
역할공수부대 교육훈련 및 행정관리
명령 체계육군지상군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공수부대의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미국 육군은 초기 실험 부대를 거쳐 1942년 3월 23일 미국 육군 지상군 휘하에 정식으로 Airborne Command|공수사령부영어를 창설하였다.

사령부는 전쟁 기간 동안 제82공수사단, 제101공수사단, 제11공수사단, 제17공수사단 등 주요 공수부대의 창설과 훈련, 편성을 총괄했으며, 이는 연합군의 작전 수행에 핵심적인 기여를 했다. 또한, 공수 작전 교리 개발과 보급 체계 연구에도 힘썼다.

1944년 3월 1일, 사령부는 Airborne Center|공수센터영어로 재편성되어 임무를 이어갔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평시 체제로 전환되면서, 대규모 동원해제와 군 조직 개편에 따라 공수센터는 1947년 1월 29일에 최종적으로 해체되었다.[3]

2. 1. 창설 배경

미국 육군제2차 세계 대전공수부대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1940년 윌리엄 T. 라이더 소대장을 포함한 200여 명의 자원자로 구성된 Parachute Test Platoon|영어 (낙하산 실험 소대)를 창설했다. 이 소대는 이후 Provisional Parachute Group|영어 (임시낙하산집단)으로 재편성되었다. Ridgely Gaither|영어 대령은 Air Infantry Training Command|영어 (항공보병훈련사령부)의 설립을 제안했고, 이를 바탕으로 임시낙하산단을 기반으로 하여 1942년 3월 23일 미국 육군 지상군 휘하에 공수사령부가 창설되었다.

본격적인 공수부대 훈련과 작전 투입 준비를 위해 1942년 4월 30일에는 육군 항공대 제1병력수송사령부가 창설되었다. 또한 노스캐롤라이나주의 로린버그-맥스턴 육군 항공기지, 미주리주세달리아 육군 비행장, 네브래스카주의 얼라이언스 공항에 낙하산과 글라이더 강하 훈련이 가능한 항공 기지가 설립되었다. 다음 날인 5월 1일, 공수사령부는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서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래그로 이전했으며, 같은 날 새로 창설된 제504보병연대가 활동을 시작했다. 5월 15일에는 미국 육군 공수학교가 공수사령부 휘하 기관으로 설립되어 체계적인 공수 교육의 기틀을 마련했다.

공수사령관 윌리엄 C. 리 장군은 영국 공수부대를 연구하기 위해 간부를 파견했고, 복귀한 간부들은 미 육군에 공수사단 창설을 권고했다. 이에 따라 육군 지상군은 제3군에 명령하여 루이지애나주 캠프 클레이본(Camp Claiborne|영어)에서 1942년 7월 30일 제82공수사단, 8월 15일 제101공수사단을 창설했다. 이들 사단의 관리는 제2군이 맡고, 훈련은 공수사령부가 담당하게 되었다. 사단장으로는 각각 오마 N. 브래들리 소장과 윌리엄 C. 리 소장이 임명되었다.

1942년 10월, 제82 및 제101공수사단이 포트 브래그로 이전하면서 제504 및 제502보병연대가 각 사단에 예속되었다. 또한, 미국 육군 공수학교에서 배출된 다양한 병과 부대들이 사단에 합류했다. 같은 시기, 제503보병연대는 태평양 전구로 배치되었다.

공수 작전 교리 발전을 위해 공수사령부는 제2보병사단 (미국)의 사막 훈련 센터(Desert Training Center|영어) 훈련 결과를 바탕으로, 1942년 11월 15일 야전교범 FM 31-40 "Supply of Ground Units by Air|영어 (공중에서 지상부대로의 보급)" 초안을 작성하여 육군 지상군에 제출했다.[1][2]

2. 2.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3월 23일, Ridgely Gaither|리지리 게이터eng 대령이 항공보병훈련사령부 설립을 제안함에 따라 ''임시낙하산단''(Provisional Parachute Groupeng)을 기반으로 미국 육군 지상군 휘하에 공수사령부가 창설되었다.

본격적인 공수부대 훈련과 작전 투입을 위해 1942년 4월 30일 육군 항공대 제1병력수송사령부가 창설되었고, 노스캐롤라이나주 로린버그-맥스턴 육군 항공기지, 미주리주 세달리아, 네브래스카주 얼라이언스에 낙하산과 글라이더 강하 훈련이 가능한 항공대 기지가 설립되었다. 다음 날인 1942년 5월 1일, 공수사령부는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서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래그로 이전했으며, 같은 날 새로 창설된 제504낙하산보병연대가 활동을 시작했다. 5월 15일에는 낙하산학교가 공수사령부 휘하 기관으로 설립되었다.

공수사령관 윌리엄 C. 리 장군은 영국 공수부대를 관찰하고 연구할 간부를 파견했으며, 이들은 복귀 후 육군에 공수사단 창설을 권장했다. 이에 따라 미국 육군 지상군은 제3군에 명령하여 1942년 7월 30일 루이지애나주 Camp Claiborne|캠프 클레이본eng에서 제82공수사단을, 8월 15일 같은 장소에서 제101공수사단을 창설했다. 제2군이 부대 관리를 맡고 공수사령부가 훈련을 담당했으며, 사단장으로는 각각 오마 브래들리 소장과 윌리엄 C. 리 소장이 임명되었다.

1942년 10월, 제82 및 101공수사단이 포트 브래그로 이전하면서 제504 및 제502낙하산보병연대가 공수사령부에서 벗어나 각각의 사단에 예속되었다. 또한 낙하산학교에서 배출된 보병 외 병과 부대들이 합류했다. 한편, 아시아-태평양 전구에는 제503낙하산보병연대가 배치되었다.

1942년 11월 15일, 공수사령부는 제2보병사단의 사막 훈련 결과를 바탕으로 야전교본 FM 31-40 "Supply of Ground Units by Air|공중에서 지상부대로의 보급eng" 초본을 작성하여 육군 지상군에 제출하였다.[1][2] 사령부는 이어 11월 27일 제11공수사단, 12월 31일 제17공수사단 창설 명령을 받았다.

제11공수사단은 1943년 2월 25일 노스캐롤라이나주 호프먼에서 조지프 메이 스윙 소장의 지휘 아래 활동을 시작했다. 공수사령부는 이들이 주둔할 군영을 횃불 작전 참전 용사인 John Thomas "Tommy" Mackall|존 토머스 맥칼eng 일병의 이름을 따 Camp Mackall|캠프 맥칼eng로 명명하고 4월 4일 공식 개설했다. 1943년 4월 15일에는 제17공수사단이 창설되었다. 사단은 제513낙하산보병연대, 제193글라이더보병연대, 제194글라이더보병연대를 예속받았으며, 소장으로 진급한 윌리엄 M. 밀리 장군이 사단장으로 임명되었다. 1943년 7월, 캠프 맥칼에서는 George P. Howell|조지 P. 하웰eng 준장이 이끄는 제2공수여단이 창설되었고, 12월 훈련을 마친 후 해외로 파견되었다. 같은 해 7월 10일, 제82공수사단허스키 작전에 투입되었다.

공수사령부는 1943년 8월부터 9월까지 확장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전력을 증강했다. 8월 1일에는 제464, 466낙하산야전포병대대와 제597공수공병중대가, 8월 12일에는 제541낙하산포병연대가 창설되었다. 8월 13일에는 캠프 브래그에서 제13공수사단이, 9월 1일에는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서 제542낙하산포병연대가 창설되었다.

1944년 3월 1일, 전쟁부의 명령으로 공수사령부는 "공수센터"(Airborne Centereng)로 재조직 및 재편성되었다. 업무는 이전과 동일했으나 조직 규모가 축소되었고, "총무", "조직화, 교리훈련", "보급", "장비물자"의 4개 부서가 신설되었다. 전쟁이 진행됨에 따라 공수부대들이 해외로 파견되거나 실전에 투입되면서 공수센터 휘하에는 제13공수사단, 제541낙하산보병연대, 제464낙하산야전포병대대만이 남게 되었다. 제13공수사단은 계속 예비대로 지정되어 있다가 1945년 4월에야 해외로 파견되어 프랑스에 주둔했지만, 종전까지 전투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되자, 평시 체제로 전환되면서 동원해제 명령에 따라 여러 공수부대가 해산되었다. 공수센터는 1947년 1월 29일에 해체되었다.[3]

2. 3. 한국 전쟁

제2차 세계 대전과 6.25 전쟁 이후, 미국 육군에 상비 특수작전부대가 창설된 1950년대에 제10특전단과 제77특전단은 1959년 1월 21일까지 공수사령부의 어깨소매인식표(SSI)를 사용하였다.[3] 이 SSI는 1943년 3월 22일에 처음 승인되었으며, 공수부대원이 전장 진입 시 사용하는 글라이더낙하산을 묘사하고 있다.[3]

3. 조직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본문 생략)

3. 1. 부서

1944년 3월 1일 공수센터로 재편성되면서 다음과 같은 부서가 신설되었다.

  • 총무부서 (Adjutant General Section영어)
  • 조직화, 교리훈련부서 (Organization, Doctrine and Training Section영어)
  • 보급부서 (Supply Section영어)
  • 장비물자부서 (Equipment and Material Section영어)

3. 2. 예하 부대


  • 총무부서 (Adjutant General Sectioneng); 1944년 3월 1일
  • 조직화, 교리훈련부서 (Organization, Doctrine and Training Sectioneng); 1944년 3월 1일
  • 보급부서 (Supply Sectioneng); 1944년 3월 1일
  • 장비물자부서 (Equipment and Material Sectioneng); 1944년 3월 1일
  • 본부 및 본부중대
  • 공수훈련분견대 (Airborne Training Detachmenteng)
  • 3개 전쟁증권 공수시범대(장교 4명, 병사 28명); 1945년 4월
  • 낙하산학교; 1942년 5월 15일 ~ 1947년 1월 29일
  • 연합공수병력수송본부 (Combined Airborne-Troop Carrier Headquartereng) - 노스캐롤라이나주, 캠프 맥칼; 1943년 11월 12일

참조

[1] 인용 History of Airborne Command
[2] 저널 Supply of Ground Units by Air https://usacac.army.[...] 2023-06-09
[3] 웹인용 Airborne Command http://www.tioh.hqda[...] The Institute of Heraldry 2017-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