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 중부 육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중부 육군은 미국 육군의 야전군으로, 현재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쇼 공군 기지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쿠웨이트 캠프 아리프잔에 전방 부대를 두고 있다. CENTCOM의 육군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하며, 중동 지역을 포함한 광대한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한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점령 임무를 수행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조지 S. 패튼 장군의 지휘 하에 유럽 전선에서 활약했다.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등 현대에도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으며, 1974년 FORSCOM 창설로 해체되었다가 1990년 걸프 전쟁을 계기로 재활성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해체된 단체 - 제2통신여단 (미국)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육군의 통신여단으로,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통신 및 사이버 지원을 담당하며,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후 2017년부터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직속 부대가 되었다.
  • 1974년 해체된 단체 - 제95민사여단
    제95민사여단은 미국 육군의 민사 작전 부대로서, 과거 일본 점령 임무와 한국 전쟁 참전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지역에서 지원 임무를 수행하는 유일한 정규군 민사여단이다.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제593원정지원사령부
    제593원정지원사령부는 1944년 창설되어 아시아-태평양 전구에서 활동한 미국 육군의 원정지원사령부로서, 여러 전쟁에 참전 후 현재 루이스-맥코드 합동기지에 주둔하며 군수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주아프가니스탄 미군
    주아프가니스탄 미군은 아프가니스탄의 치안 안정을 위해 아프가니스탄 국가안보군 등을 지원했으나, 2021년 8월 30일 최종 철수하며 해체되었다.
  • 1919년 해체된 단체 - 제1군단 (미국)
    제1군단은 미국 육군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군단 중 하나로, 남북 전쟁부터 한국 전쟁까지 주요 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안보를 위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1919년 해체된 단체 - 제2보병사단 공병여단
    제2보병사단 공병여단은 1918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 후 주한 미군의 일원으로 한반도 안보에 기여했으나, 2005년 여단 전투단 체계 도입으로 해산되었다.
미국 중부 육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미국 중앙 육군 견장
견장
명칭미국 중앙 육군
원어 명칭United States Army Central
별칭패튼의 자식들
표어제3군은 언제나 처음!
로마자 표기Tertia Semper Prima
조직
역할육군 근무구성사령부/전구 육군
지휘 체계미국 육군부
미국 중부 사령부
본부쇼 공군기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현재 사령관패트릭 D. 프랭크 중장
부사령관헨리 S. 딕슨 소장
주임원사에릭 R. 맥크레이 주임원사
상징
고유 부대 휘장
CFLCC 로고
깃발
NATO 지도 기호 (1997년)
NATO 지도 기호 (1997년)
NATO 지도 기호 (2004년)
NATO 지도 기호 (2004년)
연혁
창설1918년 - 1919년
1932년 - 1974년
1982년 - 현재
참전
주요 전투제1차 세계 대전
독일 점령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점령
서남아시아
대테러 전쟁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주요 지휘관
주요 지휘관 목록월터 크루거
코트니 호지스
조지 S. 패튼
루시안 트러스콧
토마스 J. H. 트랩넬
토미 프랭크스
데이비드 D. 맥커넌
빈센트 K. 브룩스
마이클 X. 개릿
기타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역사

미국 제3군은 1918년 11월 7일 프랑스 오트마른주 쇼몽에서 처음으로 편성되었다.[14] 미국 해외 파병군(AEF) 사령부는 제3군을 조직하고 참모진을 발표하는 일반 명령 198호를 발표했다. 독일과의 휴전 4일 후인 15일, 조지프 T. 딕맨 소장이 지휘권을 인수하고 제3군 일반 명령 제1호를 발표했다.[14] 제3군은 3개의 군단(존 L. 하인스 소장의 제3군단, 찰스 헨리 뮤어 소장의 제4군단, 윌리엄 G. 한 소장의 제7군단)과 7개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독일과의 휴전 이후, 제3군은 라인란트 점령 임무를 수행했다. 1919년 1월 동안 제3군은 예하 부대 훈련과 비상 상황에 대비했으며, 적대 행위 재개 시 행동 계획을 담은 지침서를 하급 지휘관들에게 배포하고 군 지역 전체에 시설을 설치했다.

1919년 7월 2일, 제3군은 해산되었고, 사령부와 모든 인원(약 6,800명) 및 예하 부대는 독일 주둔 미군으로 재편되었다.[14] 이 부대는 3년 이상 라인란트 점령에 참여했다. 이는 미국이 베르사유 조약을 거부하여 여전히 독일과 "사실상" 전쟁 상태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 상황은 1921년 여름 별도의 평화 조약이 체결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1932년 8월 9일 정규 육군에서 제3군 사령부 및 사령부 중대로 재편성되었다.[14] 1933년 10월 1일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에서 사령부가 발족되었고,[14] 1940년 11월 23일 같은 장소에서 사령부 중대가 발족되었다.[14] 이 기간 동안 제3군은 미국 본토 방어 및 훈련 임무를 맡았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제3군조지 S. 패튼 장군의 지휘 아래 유럽 전역에서 활약하며 연합군 승리에 기여했다. 1943년 12월, 제3군은 영국으로 이동했다. 이후 제3군은 노르망디, 북부 프랑스, 라인란트, 아르덴-알자스, 중부 유럽 전역 등에서 활약했다.

제3군이 코블렌츠를 점령한 후 Festung Ehrenbreitstein에 게양된 미국 국기, 1945


1982년 제3군은 미국 중부 사령부의 육군 구성 요소 역할 임무를 부여받고 포트 맥퍼슨에 새로운 사령부를 설립하며 복귀했다. 1990년 사담 후세인쿠웨이트 침공에 대응하여 제3군은 사막 방패 작전과 사막의 폭풍 작전에 참전했다. 사막 방패 작전에서 제3군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유전을 보호하고 이라크의 추가 침공을 저지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사막의 폭풍 작전에서는 주공격 부대로서 이라크 남부를 공격하고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를 격파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7]

페르시아 걸프전 종전 후에도 제3군은 휴전 협정 이행을 위한 다양한 작전을 통해 중동 지역에 계속 관여했다.[1] 2003년에는 이라크 전쟁에 참전하여 이라크를 공격하고 점령하였다.

2011년 7월, 기지 재배치(BRAC)로 인해 미국 중부 육군(ARCENT)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쇼 공군 기지에 본부를 두고, 쿠웨이트 캠프 아리프잔에 전방 부대를 주둔시키고 있다.[6]

2. 1. 제1차 세계 대전

독일과의 휴전 이후, 제3군라인란트 점령 임무를 수행했다. 1919년 1월 동안 제3군은 예하 부대 훈련과 비상 상황에 대비했으며, 적대 행위 재개 시 행동 계획을 담은 지침서를 하급 지휘관들에게 배포하고 군 지역 전체에 시설을 설치했다.

2월에는 군사 학교 개설, 병참 기지 조직, 영국과 프랑스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기 위한 2,000명의 장교 및 사병 파견, 휴가 시설 개선, 미국 사단 본국 송환 계획 수립 등의 조치가 이루어졌다. 2월 4일, 트리어 시의 군사 통제권이 최고 사령부에서 제3군으로 이관되었다.

3월에는 점령과 훈련 임무가 계속되었고, 군 말 쇼가 개최되었다. 군, 군단, 사단 교육 센터가 제3군 지역에 설립되었으며, 코블렌츠 항구 사령관이 코블렌츠 규제 장교의 임무를 인수했다. 제42사단은 제4군단에서 해제되어 군 예비대로 배치되었다.

4월에는 미국 사단의 본국 이동이 시작되었다. 자동차 수송 기지가 설립되고 군 모터 쇼가 개최되었으며, 군 지역이 재편되고 본국으로 반환될 군 재산의 집중화가 시작되었다. 1919년 4월 20일, 제3군 사령관이 조지프 T. 딕먼 소장에서 헌터 리겟 중장으로 교체되었다.

5월 14일, 연합군 총사령관 페르디낭 포슈 원수는 독일이 평화 조약 서명을 거부할 경우에 대비한 작전 계획을 제3군 사령관에게 제출했다. 5월 20일, 포슈 원수는 평화 조약이 서명되지 않으면 연합군 지휘관들에게 바이마르베를린으로 병력을 파견하라고 지시했다. 5월 22일, 제3군은 비상사태에 대비하여 5월 30일부터 발효되는 진격 계획을 발표했다. 5월 27일, 포슈는 존 J. 퍼싱에게 최고 전쟁 위원회가 연합군의 즉각적인 작전 재개를 원한다고 통보했다.

6월 1일, 트리어에 있던 미국 해외 원정군(AEF)의 진격 GHQ가 폐지되었다. 6월 16일, 포슈는 퍼싱에게 6월 20일 이후 연합군이 공세 작전을 재개할 준비를 해야 하며, 예비 이동은 6월 17일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통보했다. 6월 19일, 퍼싱은 포슈에게 6월 23일부터 제3군이 림부르크, 베스터부르크, 하헨부르크, 알텐키르헨을 점령하고, 제3군단이 이 마을들을 연결하는 철도를 장악할 것이라고 통보했다. 6월 23일, 독일이 평화 조약 서명 의사를 밝히면서 계획되었던 작전은 중단되었다. 6월 30일, 포슈와 퍼싱은 라인강에 남겨질 미군 병력에 대해 논의했다.

1919년 7월 1일, 존 J. 퍼싱 장군은 전쟁부에 독일이 군사적 조건을 준수하면 유럽 주둔 미군을 단일 보병 연대로 축소할 것이라고 통보했다. 이에 따라 1919년 7월 2일, 제3군은 해산되었고, 사령부와 모든 인원(약 6,800명) 및 예하 부대는 독일 주둔 미군으로 재편되었다. 이 부대는 3년 이상 라인란트 점령에 참여했다. 이는 미국이 베르사유 조약을 거부하여 여전히 독일과 "사실상" 전쟁 상태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 상황은 1921년 여름 별도의 평화 조약이 체결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2. 1. 1. 창설과 초기 임무

미국 제3군은 1918년 11월 7일에 정식으로 창설되었다.[14] 미국 해외원정군(AEF) 사령부는 제3군을 조직하고 참모진을 발표하는 일반 명령 198호를 발동했다. 11월 15일, 조지프 T. 딕먼 소장이 초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제3군에 일반 수칙 1호를 발표했다.[14]

제3군은 제3군단, 제4군단, 제7군단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7개 사단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조지프 T. 딕먼 소장은 존 J. 퍼싱 장군의 명령에 따라 독일군을 무장 해제하고 해산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또한, 신속하게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라인란트로 진입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4]

1918년 11월 17일, 점령 임무를 위한 라인란트 진군이 시작되었다. 12월 15일에는 마옌에 있던 제3군 사령부가 코블렌츠로 이동하여 문을 열었다. 12월 17일에는 라인강을 가로지르는 부교와 3개의 철도 교량으로 구성된 코블렌츠 교두보가 구축되었다.[14]

제3군 병력은 적대 행위에 직면하지 않았고, 점령 지역 내 식량과 석탄 공급은 충분했다. 최전선 사단의 라인강 도하는 순조롭게 진행되었으며, 라인강을 건넌 병력은 방어 거점 점령 준비를 위해 주둔했다. 12월 19일, 교두보 점령이 완료되었을 때 제3군의 병력은 장교 9,638명과 사병 221,070명이었다.[14]

2. 1. 2. 독일 점령

1918년 11월 17일, 제3군은 독일 점령 임무를 시작하여 코블렌츠 교두보를 확보했다.[1] 라인란트 진군은 1918년 11월 17일에 시작되었으며,[1] 12월 15일 마옌에 있던 제3군 사령부가 코블렌츠로 이동했다.[1] 1918년 12월 17일, 라인강을 가로지르는 부교와 3개의 철도 교량으로 구성된 코블렌츠 교두보가 구축되었다.[1]

제3군은 점령 기간 동안 어떠한 적대 행위에도 직면하지 않았고, 점령 지역 내 식량과 석탄 공급은 충분했다.[1] 최전선 사단의 라인강 도하는 혼란 없이 순조롭게 이루어졌으며,[1] 라인강을 건넌 병력은 방어 거점 점령 준비를 위해 주둔했다.[1] 12월 19일, 교두보 점령 완료 시점에 제3군의 병력은 장교 9,638명과 사병 221,070명이었다.[1]

2. 1. 3. 라인강 진군

1918년 12월 12일, 야전 명령 제11호에 따라 제3군은 코블렌츠 교두보 북쪽 지역을 점령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12월 13일 오전 7시, 미군은 라인강을 도하했다. 북쪽 경계는 그대로였고 남쪽 경계는 이전과 같았다. 진격에 앞서 제1사단이 제3군에 합류했다. 제1사단, 제2사단, 제32사단으로 구성된 제3군단은 코블렌츠 교두보의 미군 점령 지역을 담당했으며, 예정대로 12월 13일에 진격을 개시했다. 앤저스 (Neuwied)와 레마겐 철교, 그리고 코블렌츠의 부교 및 철교를 통해 병력이 이동했다. 같은 날, 제42사단이 제4군단 지휘 하에 제3군단을 지원하며 프로이센의 마옌, 아데뉴, 코쳄을 점령했다.[1]

2. 2. 전간기

독일과의 휴전 이후, 1919년 7월 2일 독일에서 해산되었다.[14] 1932년 8월 9일 정규 육군에서 제3군 사령부 및 사령부 중대로 재편성되었다.[14] 1933년 10월 1일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에서 사령부가 발족되었고,[14] 1940년 11월 23일 같은 장소에서 사령부 중대가 발족되었다.[14] 이 기간 동안 제3군은 미국 본토 방어 및 훈련 임무를 맡았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제3군조지 S. 패튼 장군의 지휘 아래 유럽 전역에서 활약하며 연합군 승리에 기여했다.

독일과의 휴전 이후, 제3군은 조지프 T. 딕맨 소장의 지휘 아래 3개 군단(존 L. 하인스 소장의 제3군단, 찰스 헨리 뮤어 소장의 제4군단, 윌리엄 G. 한 소장의 제7군단)과 7개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제3군은 징집병 훈련을 담당했다. 중장 월터 크루거는 1941년 5월부터 1943년 2월까지 제3군을 지휘하며 전투 부대로서의 기반을 다졌고, 코트니 호지스 중장이 그의 뒤를 이어 1943년 말까지 군대를 이끌었다. 1943년 12월, 제3군은 영국으로 이동했다.

이후 제3군은 노르망디, 북부 프랑스, 라인란트, 아르덴-알자스, 중부 유럽 전역 등에서 활약했다.

2. 3. 1.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오마 브래들리 휘하 부대가 노르망디 돌파를 달성한 직후, 조지 S. 패튼이 이끄는 제3군은 프랑스를 가로질러 대대적인 진격을 시작했고, 결국 보급선을 넘어 독일 국경 근처에서 멈춰 섰다.[3]

2. 3. 2. 벌지 전투

조지 S. 패튼이 이끄는 제3군은 벌지 전투에서 독일군의 마지막 대공세에 맞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독일군은 1940년의 성공적인 기습을 재현하려 했으나, 1944년에는 실패했다. 독일군 নিজস্ব의 보급 문제로 진격은 곧 멈췄지만, 미군 전선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했다.[3]

패튼은 정보 장교 오스카 코흐의 조언에 따라 제1군을 지원하기 위한 계획을 세웠다. 독일군 공세가 시작되자, 패튼은 제3군의 진격 방향을 90도 전환하여 독일군 남쪽 측면을 공격, 돌출부를 제거하고 연합군이 라인강으로 진격할 수 있도록 하였다.[3]

2. 3. 3. 독일 본토 진격

4월까지 제3군과 독일의 심장부 사이에는 라인강이라는 거대한 자연 장벽만이 남아 있었다. 1918년과 달리, 라인강 도하는 저항에 직면했다. 그러나 교두보가 확보되었고, 제3군은 동쪽으로 대대적인 진격을 시작했다.[3] 제3군은 오스트리아에 도달했고, 5월에는 마우트하우젠-구센 강제 수용소 단지를 해방시켰다. 제3군 부대는 체코슬로바키아까지 진격했는데, 이는 미군 부대 중 가장 동쪽으로 진출한 것이었다.[3]

2. 3. 4. 전후 처리

1945년 5월, 제3군 작전 보고서에 따르면, 제3군은 1,280,688명의 전쟁 포로를 확보하고, 적군 병사 144,500명을 사살하고 386,200명을 부상시켜 총 1,811,388명의 적에게 피해를 입혔다.[3] 풀러(Fuller)의 기록에 따르면 1944년 8월 1일부터 1945년 5월 9일까지 적군 47,500명이 사살되고 115,700명이 부상당했으며 1,280,688명이 포로로 잡혔다. 풀러가 집계한 제3군에 의해 사살, 부상 혹은 포로로 잡힌 적군의 총 수는 1,443,888명이다. 제3군은 16,596명이 전사하고 96,241명이 부상했으며 26,809명이 작전 중 실종되어 총 139,646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보고했다.[4] 풀러에 따르면 제3군은 27,104명이 전사하고 86,267명이 부상당했으며, 28,237명이 작전 중 실종되었다. 또한, 적에게 포로로 잡힌 127명을 포함하여 총 160,692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풀러는 제3군 작전 지역에서 독일군 사망자 대 미군 사망자 비율이 1.75:1이라고 밝혔다.

전후, 점령 기간 동안 육군 G-2는 잠시 동안 페든 미션을 주최했다.[5] 제3군은 1947년 미국으로 복귀할 때까지 독일에 주둔했다. 미국으로 돌아온 후, 제3군은 1930년대와 거의 동일하게 미국 내 부대에 대한 지휘 및 훈련 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한국 전쟁에서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와 같은 훈련 임무를 반복했다. 제3군은 1974년 새로운 주요 사령부인 FORSCOM이 창설되어 제3군을 대체할 때까지 미군 작전의 이 측면을 담당했다. 그 후, 제3군은 해체되어 거의 10년 동안 유지되었다.

2. 4. 냉전 시대

1982년 12월 3일, 포트 맥퍼슨에서 M. 콜리어 로스 중장의 지휘 아래 제3 미국 육군 사령부가 현역 육군 지위로 복귀했음을 기념하는 특별 행사가 열렸다. 이 행사에는 제3 육군의 전 지휘관인 허버트 B. 파월 대장(퇴역)과 루이스 W. 트루먼 중장(퇴역)이 참석했다.[6]

새로운 사령부는 포트 맥퍼슨에 설립되었으며, 새로운 임무는 아프리카, 아시아, 페르시아만을 포함하는 광대한 해외 지역을 관할하는 통합 사령부인 미국 중부 사령부의 육군 구성 요소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6] 제3 육군은 육군 부대의 저수지를 활용할 수 있었으며 위기 상황에서 이러한 부대의 계획, 훈련 및 신속한 배치를 담당하게 되었다.[6]

2. 5. 걸프 전쟁

1990년 사담 후세인쿠웨이트 침공에 대응하여 제3군은 사막 방패 작전과 사막의 폭풍 작전에 참전했다. 사막 방패 작전에서 제3군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유전을 보호하고 이라크의 추가 침공을 저지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사막의 폭풍 작전에서는 주공격 부대로서 이라크 남부를 공격하고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를 격파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7]

위기 동안, 제22지원사령부는 사막 방패 작전, 사막의 폭풍 작전, 사막의 작별 작전 기간 동안 ARCENT의 주요 군수 및 전투근무지원 조직으로 활동했다. 사령부는 1990년 8월 19일에 ARCENT SUPCOM (임시)으로 발족했지만, 1990년 8월 10일부터 운영되어 왔다. ARCENT SUPCOM (임시)는 1990년 12월 16일에 제22지원사령부로 재지정되었다.[7] 분쟁 기간 동안 사령관은 윌리엄 '거스' 파고니스 중장이었다.

2. 5. 1. 사막의 방패 작전

사담 후세인이 1990년 8월 쿠웨이트를 침공하자, 미국군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유전을 보호하기 위해 즉시 파견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CENTCOM 관할 지역에 포함됨에 따라 제3군은 해당 지역의 육군 부대를 지휘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처음에는 제18군단이 제3군에 배속되어 이라크군이 사우디아라비아를 침공할 수 없도록 충분한 병력을 제공했다. 그러나 1990년 11월, 독일에서 제7군단이 대규모 증원군으로 투입되었다. 이 배치는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대 규모의 기갑 부대를 투입한 것으로, 패튼의 옛 지휘부인 제3군이 전투를 지휘하는 것이 적절했다.[7]

2. 5. 2. 사막의 폭풍 작전

존 J. 예오소크 중장이 지휘한 제3군은 사막의 폭풍 작전의 주요 공격 부대였다. 제3군은 공격 부대의 좌익에 위치하여 이라크 남부로 진격한 후, 동쪽으로 방향을 돌려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와 치열한 전투를 벌였고, 이 부대의 상당 부분을 파괴했다.[7] 걸프 전쟁은 즉각적인 목표 측면에서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다. 이라크군은 쿠웨이트에서 축출되었고, 그들의 군대는 철저하게 궤멸되었다.[7]

2. 6. 걸프전 이후

페르시아 걸프전 종전 후에도 제3군은 휴전 협정 이행을 위한 다양한 작전을 통해 중동 지역에 계속 관여했다.[1] 1990년대 사담 후세인은 지속적으로 UN 제재를 위반하고 지역 안정을 위협하였으며, 이에 미국은 쿠웨이트에 병력을 배치하고 전투 작전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2. 6. 1. 경계하는 전사 작전 (Operation Vigilant Warrior)

1994년 10월, 제3군(ARCENT)은 경계하는 전사 작전의 일환으로 쿠웨이트에 미 육군 병력을 지휘, 통제 및 배치하였다.[1]

이는 사담 후세인의 위협적인 행동과 이라크-쿠웨이트 국경을 따라 이라크 군사력을 과시한 것에 대한 대응이었다.[1] 이러한 공격 행위는 이 지역의 미묘한 평화 균형을 깨뜨릴 위험이 있었다.[1]

제3군(ARCENT)의 강력한 육군 병력의 신속한 창설과 배치는 이 지역의 우방 및 동맹국에 대한 미국의 결의와 약속을 분명히 보여주었다.[1]

2. 6. 2. 경계하는 파수꾼 작전 (Operation Vigilant Sentinel)

1994년 10월, 제3군(ARCENT)은 경계하는 전사 작전(Operation Vigilant Warrior)의 일환으로 쿠웨이트에 미 육군 병력을 지휘, 통제, 배치하기 위해 다시 소집되었다. 이 작전은 사담 후세인의 위협적인 행동과 이라크-쿠웨이트 국경을 따라 이라크 군사력을 과시한 것에 대한 대응으로, 이 지역의 미묘한 평화 균형을 깨뜨릴 위험이 있었다. 제3군(ARCENT)의 강력한 육군 병력의 신속한 창설 및 배치는 이 지역의 우방 및 동맹국에 대한 미국의 결의와 약속을 분명히 보여주었다.[1]

2. 6. 3. 사막의 일격 작전 (Operation Desert Strike)

제3군/ARCENT는 페르시아 걸프전 종전 후에도 휴전 협정 이행을 위한 다양한 작전을 통해 중동 지역에 계속 관여했다.[1] 1994년 10월, 제3군(ARCENT)은 경계하는 전사 작전 중 쿠웨이트에 미 육군 병력을 지휘, 통제 및 배치하기 위해 다시 소집되었다.[1]

이 작전은 사담 후세인의 위협적인 행동과 이라크-쿠웨이트 국경을 따라 이라크 군사력의 과시에 대한 대응으로 시작되었다.[1] 이러한 공격 행위는 이 지역의 미묘한 평화 균형을 깨뜨릴 위험이 있었다.[1]

제3군(ARCENT)의 강력한 육군 병력의 신속한 창설과 배치는 이 지역의 우방 및 동맹국에 대한 미국의 결의와 약속을 분명히 보여주었다.[1]

2. 6. 4. 사막의 천둥 작전 I & II (Operation Desert Thunder I & II)

1997년 가을, 사담 후세인이 유엔 무기 사찰을 거부하고 U-2 정찰기를 격추하겠다고 위협하자, 미국 중부 사령부(CENTCOM)는 35,000명 이상의 미국 및 연합군으로 구성된 육해공 타격 부대를 투입하여 대응했다. 이를 위해 앤서니 C. 지니 장군은 쿠웨이트 도하 기지에 본부를 둔 상설 연합/합동 태스크 포스(C/JTF)를 창설하고, 토미 프랭크스 중장을 사령관으로 임명했다.[8]

쿠웨이트에는 제3 보병 사단 예하 여단 태스크 포스가 신속하게 전개되었다. 헌터 육군 비행장에서 출발한 이 여단 태스크 포스는 120대의 항공기를 이용하여 4,000명의 병력과 2,900숏톤의 장비를 수송했다. 쿠웨이트 시티 국제공항에 착륙한 지 15시간 만에 이 부대는 사전 배치된 장비를 수령하고 사막 내 전투 위치를 점령했다. 2월 28일, 합동 연합 태스크 포스 쿠웨이트(C/JTF-K)는 9,000명 이상의 병력으로 쿠웨이트를 방어할 준비를 마쳤다.[8]

아르헨티나, 호주, 캐나다, 체코, 헝가리, 뉴질랜드, 폴란드, 루마니아, 영국, 그리고 쿠웨이트는 연락팀, 항공 지원, 특수 작전 부대, 화생방 방어, 기지 방어 부대, MASH 부대 및 의료진을 제공하여 C/JTF를 지원했다. 해상 사전 배치 부대와 함께 페르시아 만에 있는 해군과 해병대의 두 개 여단(육군 1개, 해병대 1개)에 대한 장비도 배치되었다. 해군, 공군 및 연합 자산에서 제공하는 공격 항공이 이 부대를 지원했다.[8]

이는 페르시아 만 전쟁 종전 이후 서남아시아에 집결한 최대 규모의 다국적 군대였다. 제3군에 따르면, 이러한 신속한 전투 병력 전개 능력은 이라크의 공격을 억제하고 유엔 무기 사찰 프로그램 준수를 재개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8]

1998년 11월, 유엔 사찰관들의 업무가 다시 중단되자, 제3군은 사담 후세인에게 미국이 휴전 조건을 강제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설득하기 위해 페르시아 만으로 신속하게 복귀했다. 사막의 천둥 I 작전 이후부터 주둔해 있던 합동/연합 기동부대-쿠웨이트(Combined/Joint Task Force-Kuwait)는 병력의 신속한 배치, 수용, 대기, 전진, 통합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8]

쿠웨이트에 배치된 부대에는 제3 보병사단과 제32 육군 항공 및 미사일 방어 사령부(AAMDC)의 선발대, 극장 지원 사령부(TSC), 항공 지원 작전 센터(ASOC) 및 해병대 병력이 포함되었다. 또한, 페르시아 만에 주둔 중이던 해병 원정 부대(MEU)의 재배치가 보류되었으며, 추가적인 해병 원정 부대가 증원 병력으로 페르시아 만에 배치되었다. 병력이 페르시아 만 지역으로 배치되는 동안,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이 사담 후세인과의 회담을 위해 바그다드로 향했다. 협상 결과, 사담 후세인은 유엔 무기 사찰의 중단 없는 재개를 허용하기로 합의했다. 위기가 완화되면서 11월 중순, C/JTF-쿠웨이트 지원을 위해 2,300명의 병력이 쿠웨이트에 배치되었다.[8]

2. 6. 5. 사막의 여우 작전 (Operation Desert Fox)

1998년 12월, 이라크 항공기가 설정된 비행 금지 구역에 도전하고 이라크 방공 시스템이 연합군 항공기에 발포하자, 미국과 영국군은 대규모 화력 시위를 벌였다.[1]

연합군 공군 및 해군 항공기, 순항 미사일은 12월 16일 아침에 지휘 및 통제, 통신, 그리고 일부 공화국 수비대 표적을 공격했다. 이라크 표적에 대한 집중 공격은 12월 19일 이른 아침까지 계속되었다.[1]

이 작전 기간 동안 제3군은 쿠웨이트를 방어하고 페르시아 만 지역의 동맹국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병력을 배치했다.[1]

12월 말까지, C/JTF-쿠웨이트는 제31해병 원정대를 포함하여 약 6,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1]

2. 7. 이라크 전쟁

제3군은 2003년 초 이라크를 공격하기 위해 배치되었다. 이라크 자유 작전을 위해 지휘한 병력은 12년 전보다 훨씬 적었다. 주 공격 부대로 제5군단을 배치했으며, 2개 정규 사단과 1개 공수 여단을 지휘했다. 또한 제1 해병 원정군도 2개의 사단과 1개의 여단을 추가로 통제했다. 그러나 기술 발전으로 이러한 수적 열세를 극복하여 강력한 부대가 되었다. 제18 공수군단의 기갑/장갑 부대인 제3 보병 사단과 함께 이라크를 격파하는 데 6주가 걸렸다.[1]

작전 이후 제3군은 바그다드에 본부를 두고 100년 만에 세 번째 점령을 지휘했다.[1]

2. 8. 현대

2011년 7월, 기지 재배치(BRAC)로 인해 미국 중부 육군(ARCENT)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쇼 공군 기지에 본부를 두고, 쿠웨이트 캠프 아리프잔에 전방 부대를 주둔시키고 있다.[6] ARCENT는 CENTCOM의 육군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하며, 전방 부대는 다국적군 육상 구성군 사령부(CFLCC) 역할을 한다.[6] 또한 ARFOR 사령부에 지원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른 군에 대한 육군의 지원을 지시한다.[6]

이전에는 사우디 아라비아에 주둔했으며, 킹 압둘 아지즈 공군 기지, 킹 파흐드 공군 기지, 킹 칼리드 공군 기지, 에스칸 빌리지 공군 기지, 리야드 공군 기지 등의 기지를 사용했다.[9] 그러나 2003년, 미 육군은 모든 기지와 장비를 카타르 알 우데이드 공군 기지로 이전했다.[10]

3. 편성

미국 중부 육군(ARCENT)은 현재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12][13]

직책이름
사령관중장 패트릭 D. 프랭크
부사령관소장 헨리 S. 딕슨
참모장대령 제레미 A. 바텔
주임원사에릭 R. 맥크레이



2011년 7월 기지 재배치(BRAC)로 인해 제3 미국 육군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쇼 공군 기지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쿠웨이트, 캠프 아리프잔에 전방 부대를 두고 있다. ARCENT는 CENTCOM의 육군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계속 수행하고 있으며, 전방 부대는 다국적군 육상 구성군 사령부(CFLCC) 역할을 하고 있다. ARFOR 사령부에 지원 및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른 군에 대한 육군의 지원을 지시한다.

이전에는 사우디 아라비아에 주둔했으며, 킹 압둘 아지즈 공군 기지, 킹 파흐드 공군 기지, 킹 칼리드 공군 기지, 에스칸 빌리지 공군 기지, 리야드 공군 기지 등에 기지가 있었다.[9] 미 육군은 2003년 모든 기지와 장비를 카타르, 알 우데이드 공군 기지로 이전했다.[10]

주로 중동에 초점을 맞춘 중앙 사령부와 제3 육군의 책임 구역(AOR)은 크고 복잡한 지역으로, 중앙 아시아 국가에서 아프리카의 뿔까지 뻗어 있다. AOR은 약 약 16834839.03km2의 면적을 포괄하며, 12개의 주요 언어를 사용하고 7개의 주요 종교를 대표하는 6억 5천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는 27개 국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역 내에는 세 대륙의 역사적인 교차점, 세계 석유 및 천연 가스 매장량의 대부분, 유럽과 아시아 간의 주요 해상 연결 통로가 있다.[11]

3. 1. 주요 부대


  • 제335 극장 통신 사령부 (육군 예비군)
  • 제1 극장 지원 사령부
  • TF 스파르탄의 앰블럼
    태스크 포스 스파르탄 (정규군, 주 방위군, 예비군)[12][13]
  • 요르단 지역 지원단
  • 쿠웨이트 지역 지원단
  • 제3군단 (텍사스주 포트 후드 주둔)
  • 제1기병사단
  • 제4보병사단 (기계화)
  • 제3군단 주 방위군 부대
  • 제7보병사단 (경) (콜로라도주 카슨 주둔)
  • 제39보병여단 (경) (독립)
  • 제41보병여단 (경) (독립)
  • 제45보병여단 (경) (독립)
  • 군 직할 부대
  • 중앙군 통합 사령부 (쿠웨이트 주둔)
  • 중앙군 육군 사령부 (쿠웨이트 주둔)
  • 중앙군 육군 사령부 (사우디 아라비아 주둔)
  • 중앙군 육군 사령부 (카타르 주둔)
  • 육군 제3 사전 비축 부대
  • 육군 제5 사전 비축 부대

3. 2. 과거 부대


  • 쿠웨이트 지역지원단 (Area Support Group - Kuwait영어)
  • 콰타르 지역지원단 (Area Support Group - Qatar영어)
  • 제1전구지원사령부 (1st Theater Sustainment Command영어)
  • 제335통신사령부 (335th Signal Command (Theater)영어)
  • TF 스파르탄


4. 역대 지휘관

계급이름취임일퇴임일
중장패트릭 D. 프랭크2022년현재
중장로널드 P. 클라크2021년2022년
중장테리 R. 페렐2019년2021년
중장마이클 X. 개럿2015년2019년
중장제임스 L. 테리2013년2015년
중장빈센트 K. 브룩스2011년2013년
중장윌리엄 G. 웹스터2009년2011년
중장제임스 J. 러블레이스2007년2009년
중장R. 스티븐 휘트콤2004년2007년
중장데이비드 D. 맥키어난2002년2004년
중장폴 T. 미콜라세크2000년2002년
중장토미 프랭크스1997년2000년
소장로버트 이바니1997년1997년
중장스티븐 L. 아놀드1994년1997년
중장제임스 R. 엘리스1992년1994년
중장존 J. 요서크1989년1992년
중장앤드루 챔버스1987년1989년
중장T.G. 제네스 주니어1984년1987년
중장윌리엄 J. 리브시1983년1984년
중장M. 콜리어 로스1982년1983년
부대 활동 중단 (1973–1982)
소장워렌 베넷1973년1973년
중장멜빈 자이스1972년1973년
중장앨버트 O. 코너1969년1972년
중장존 L. 트록모턴1967년1969년
중장루이스 W. 트루먼1965년1967년
소장윌리엄 C. 불록 (대행)1965년1965년
중장찰스 W. G. 리치1964년1965년
중장존 W. 보웬 (대행)1964년1964년
중장앨버트 왓슨 2세1963년1964년
중장해밀턴 H. 하우즈 (대행)1962년1963년
중장토머스 J. H. 트래프넬1961년1962년
중장폴 D. 애덤스1960년1961년
중장토머스 J. H. 트래프넬1960년1960년
중장허버트 B. 파월1960년1960년
중장로버트 F. 싱크 (대행)1960년1960년
중장클라크 L. 러프너1958년1960년
중장토머스 F. 히키1955년1958년
중장알렉산더 볼링1952년1955년
소장윌리엄 A. 비덜린덴1952년1952년
대장존 R. 호지1950년1952년
중장앨번 컬럼 길렘 주니어1947년1950년
중장에드워드 H. 브룩스 (대행)1947년1947년
중장오스카 그리즐월드 (임시)1947년1947년
소장어니스트 N. 하몬 (임시)1947년1947년
중장제프리 키스1946년1947년
중장루시안 K. 트러스코트 주니어1945년 10월1946년 4월
대장조지 S. 패튼 주니어1944년 1월1945년 10월
중장코트니 호지스1943년 5월1944년 1월
중장월터 크루거1941년 5월1943년 5월
중장허버트 J. 브리스1940년1941년
중장스탠리 D. 엠빅1938년1940년
소장조지 V. H. 모슬리1936년1938년
소장프랭크 파커1936년1936년
소장존슨 헤구드1933년1936년
소장에드윈 B. 위난스1932년1933년
부대 활동 중단 (1919–1932)
중장헌터 리겟1919년 5월1919년 7월
소장조지프 T. 딕먼1918년 11월1919년 4월


5. 부대 훈장 및 표창


  • 공로 부대 표창(육군), 휘장 수놓아짐 SOUTHWEST ASIA 1990-1991
  • 공로 부대 표창(육군), 휘장 수놓아짐 CENTRAL AND SOUTHWEST ASIA 2008
  • 공로 부대 표창(육군), 휘장 수놓아짐 SOUTHWEST ASIA 2009-2010
  • 육군 우수 부대상, 휘장 수놓아짐 2001-2004[14]

6. 상징

미국 중부 육군의 상징은 다음과 같다.


  • 어깨 소매 휘장: 지름 약 5.08cm의 파란색 원반 위에 폭 약 2.54cm의 흰색 "A"자가 있고, 지름 약 5.08cm 및 폭 약 7.62cm의 빨간색 원 안에 위치한다.[15] 1922년 12월 20일 제3군에 대해 최초로 승인되었으며, 1960년 11월 10일 제3 미국 육군, 2006년 8월 29일 미국 중부 육군으로 재지정되었다.[15]

  • 전투 지원 식별 배지: 지름 약 5.08cm의 은색 금속과 에나멜 장치로, 견장과 유사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다.[16]

  • 고유 부대 휘장: 금색 금속과 에나멜 장치로, 전체 높이는 약 2.54cm이다. 빨간색 테두리가 있는 파란색 원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란색 영역에는 흰색 대문자 "A"가 있다. 그 앞에는 금색의 양식화된 백합 문양이 있는데, 백합 문양의 중앙 꽃잎은 "A"의 가로 막대 뒤와 위로 뻗어 있고, 빨간색 테두리 뒤와 아래에 있다. 두 개의 바깥쪽 꽃잎의 상단은 아래로, 아래로, 빨간색 테두리 위로 뻗어 "A"의 발과 연결되고, 하단은 빨간색 테두리 뒤와 아래로 뻗어 있다. 상단에는 금색 오각별 5개가 있고, "TERTIA SEMPER PRIMA"라는 금색 문자가 새겨져 있다.[17] "TERTIA"는 아래쪽에 있으며 백합 문양의 바깥쪽 꽃잎과 별 사이에 있고, "SEMPER"는 왼쪽에, "PRIMA"는 오른쪽에 있다. 이 디자인은 미국 중부 육군(구 제3 미국 육군)의 어깨 소매 표장을 기반으로 한다. 백합 문양은 1918년 11월 15일 프랑스 리니-앙-바루아에서 제3 육군 본부가 처음 창설되었음을, 다섯 개의 별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노르망디, 북프랑스, 라인란트, 아르덴-알자스, 중부 유럽 등 5개의 작전을 의미한다. 모토는 제3 육군의 끊임없는 준비 태세를 반영한다. 1968년 10월 10일 제3 미국 육군에 대해 최초 승인되었으며, 2006년 8월 29일, 설명이 수정되고 상징이 변경되면서 US Army Central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7]

6. 1. 어깨 소매 휘장 (Shoulder Sleeve Insignia)

미국 중부 육군 어깨 소매 휘장


지름 약 5.08cm의 파란색 원반 위에 폭 약 2.54cm의 흰색 "A"자가 있고, 지름 약 5.08cm 및 폭 약 7.62cm의 빨간색 원 안에 위치한다.[15]

이 휘장은 1922년 12월 20일 제3군에 대해 최초로 승인되었다. 1960년 11월 10일 제3 미국 육군으로, 2006년 8월 29일에는 미국 중부 육군으로 재지정되었다.[15]

6. 2. 전투 지원 식별 배지 (Combat Service Identification Badge)

미국 중부 육군(United States Army Central)의 전투 지원 식별 배지
[15]

지름 약 5.08cm의 은색 금속과 에나멜 장치로, 견장과 유사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다.[16]

6. 3. 고유 부대 휘장 (Distinctive Unit Insignia)

미국 중부 육군 특유의 부대 휘장


금색 금속과 에나멜 장치로, 전체 높이는 약 2.54cm이다. 빨간색 테두리가 있는 파란색 원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란색 영역에는 흰색 대문자 "A"(미국 중부 육군에 승인된 어깨 소매 표지에 묘사된 대로)가 있다. 그 앞에는 금색의 양식화된 백합 문양이 있는데, 백합 문양의 중앙 꽃잎은 "A"의 가로 막대 뒤와 위로 뻗어 있고, 빨간색 테두리 뒤와 아래에 있다. 두 개의 바깥쪽 꽃잎의 상단은 아래로, 아래로, 빨간색 테두리 위로 뻗어 "A"의 발과 연결되고, 하단은 빨간색 테두리 뒤와 아래로 뻗어 있다. 상단에는 금색 오각별 5개가 있고, "TERTIA SEMPER PRIMA"라는 금색 문자가 새겨져 있다. "TERTIA"는 아래쪽에 있으며 백합 문양의 바깥쪽 꽃잎과 별 사이에 있고, "SEMPER"는 왼쪽에, "PRIMA"는 오른쪽에 있다.[17]

이 디자인은 미국 중부 육군(구 제3 미국 육군)의 공인된 어깨 소매 표장(shoulder sleeve insignia)을 기반으로 한다. 기저에 있는 백합 문양은 1918년 11월 15일 프랑스 리니-앙-바루아에서 제3 육군 본부가 처음으로 창설되었음을 암시한다. 다섯 개의 별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제3 미국 육군이 참여했던 노르망디, 북프랑스, 라인란트, 아르덴-알자스, 중부 유럽 등 5개의 작전을 의미한다. 모토는 제3 육군의 끊임없는 준비 태세를 반영한다.

고유 부대 휘장은 1968년 10월 10일 제3 미국 육군에 대해 최초 승인되었다. 2006년 8월 29일, 설명이 수정되고 상징이 변경되면서 US Army Central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7]

참조

[1] 간행물 Crossing the Rhine Third Army, A.E.F. 1919-07-02
[2] 서적 U.S. Army Order of Battle 1919-1941 Volume 1, The Arms: Major Commands and Infantry Organizations 1919-1941 http://usacac.army.m[...]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2010
[3] 간행물 U.S. Third Army After Action Report Headquarters, Third U.S. Army 1945-05
[4] 간행물 U.S. Third Army After Action Report Headquarters, Third U.S. Army 1945-05
[5] 서적 The Race for Hitler's X-Planes History Press 2013
[6] 웹사이트 Third Army is reborn as ARCENT http://www.arcent.ar[...] Third US Army
[7] 서적 Order of Battle: Allied Ground Forces of Operation Desert Storm Hellgate Press/PSI Research 2000
[8] 웹사이트 Third Army History – Checking Aggression http://www.arcent.ar[...] Third US Army
[9] 웹사이트 GLOBEMASTER Air Bases Search Engine http://www.globemast[...] Globemaster.de 2011-05-21
[10] 뉴스 U.S. to move operations from Saudi base http://www.cnn.com/2[...] CNN 2003-04-29
[11] 웹사이트 Third Army Commanding General's Welcome Letter http://www.arcent.ar[...] arcent.army.mil
[12] 웹사이트 Leaders {{!}} U.S. Army Central https://www.usarcent[...] 2019-11-12
[13] 웹사이트 Units {{!}} U.S. Army Central https://www.usarcent[...] 2019-11-12
[14] 웹사이트 Lineage and Honors Information, Main Command Post and Operational Command Post, United States Army Central https://history.army[...] 2021-02-15
[15] 웹사이트 The Institute of Heraldry: U.S. Army / U.S. Army Heraldry / Unit Insignia / Distinctive Unit Insignia, Shoulder Sleeve Insignia, Coat of Arms / Army / US Army Central / Shoulder Sleeve Insignia https://tioh.army.mi[...] 2021-02-15
[16] 웹사이트 The Institute of Heraldry: U.S. Army / U.S. Army Heraldry / Unit Insignia / Distinctive Unit Insignia, Shoulder Sleeve Insignia, Coat of Arms / Army / US Army Central / Combat Service Identification Badge https://tioh.army.mi[...] 2021-02-15
[17] 웹사이트 The Institute of Heraldry: U.S. Army / U.S. Army Heraldry / Unit Insignia / Distinctive Unit Insignia, Shoulder Sleeve Insignia, Coat of Arms / Army / US Army Central / Distinctive Unit Insignia https://tioh.army.mi[...] 2021-02-15
[18] 웹사이트 United States Army in the World War, 1917-1919: Volume 1: Organization of the American Expeditionary Forces https://history.army[...] 2021-02-15
[19] 서적 The Armies of George S. Patton Arms & Armour Press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