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영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자 영제는 춘추 시대 초나라의 인물로, 기원전 598년부터 기원전 570년까지 다양한 군사적, 외교적 활동을 펼쳤다. 그는 좌윤, 영윤을 역임하며 여러 나라를 공격하고, 제나라를 구원하는 등 군사적 능력을 보였다. 또한, 정전 회의를 주도하고, 무신과의 갈등을 겪는 등 복잡한 정치적 상황에 놓이기도 했다. 말년에는 오나라와의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부하의 기습으로 큰 피해를 입고 심병으로 사망했다.
공자 영제는 초나라의 왕족이자 영윤(최고위 관직)을 지낸 인물이다.
2. 생애
기원전 598년, 좌윤(左尹)의 벼슬로 송나라를 공격하면서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였다.[1] 기원전 597년에는 필 전투에서 진나라 군대를 크게 무찔렀으며,[2] 기원전 589년에는 영윤이 되어 안 전투에서 제나라를 구원하기도 했다.[3]
이후 기원전 575년 언릉 전투에서 진나라에게 패배한 책임을 지고 공자 측에게 자살을 암시했고, 공자 측은 자결하였다.[8] 기원전 570년, 오나라를 공격하여 승리하였으나, 부하들이 오나라의 기습을 받아 큰 피해를 입자 심병을 얻어 사망하였다.[10]
2. 1. 초기 활동
기원전 598년, 좌윤(左尹)이 되어 송나라를 공격하였다.[1]
기원전 597년, 좌군(左軍)을 거느리고 필 전투에 참여하여 진나라를 대패시켰다.[2]
기원전 589년, 영윤이 되어 군사를 이끌고 허나라, 채나라와 함께 위나라, 노나라를 공격하여 안 전투에서 진나라에게 공격을 받던 제나라를 구원하였다. 그해 겨울, 노 성공이 영제, 채 경후, 허 영공, 진(秦)나라의 우대부(右大夫) 열(說), 송나라의 화원(華元), 진(陳)나라의 공손 녕(公孫寧), 위나라의 손량부, 정나라의 공자 거질(公子去疾), 제나라의 대부와 함께 촉(蜀) 땅에서 회맹하였고, 공형(公衡)을 초나라에 인질로 보내기로 하였다.[3] 공자 영제는 송나라를 정벌한 뒤 신(申), 여(呂) 땅을 상전(賞田)으로 받고자 하였으나 신공(申公) 무신(巫臣)이 이를 저지하였다. 이후 무신이 진나라로 달아나자 공자 영제는 사마(司馬) 공자 측과 함께 무신의 일족 및 청윤(淸尹) 불기(弗忌), 연윤(連尹) 양로(襄老)의 아들 흑요(黑要)를 죽였다. 공자 영제는 무신의 일족 중 한 사람인 자염(子閻)의 가산을 얻었다.[4]
기원전 585년과 기원전 584년, 공자 영제는 진나라에 의존하고 있던 정나라를 공격하였다.
기원전 584년, 무신이 공자 영제로 인해 멸족당한 원수를 갚기 위해 진나라에게 오나라와 연합할 것을 건의하였다. 이로 인해 공자 측과 공자 영제는 1년 동안 7번이나 분명(奔命)하느라 피로해졌다.[5]
기원전 582년, 진(陳)나라와 거나라를 공격하였다.[6]
기원전 580년, 송나라의 화원(華元), 공자 영제, 진나라의 난서가 사적으로 우호를 맺고 진나라와 초나라 사이의 첫 번째 정전 회의를 달성하였다.[7]
2. 2. 영윤 취임과 외교 활동
기원전 589년, 영윤이 되어 군사를 이끌고 허나라, 채나라와 함께 위나라, 노나라를 공격하여 안 전투에서 진나라에게 공격받던 제나라를 구원하였다.[3] 그해 겨울, 노 성공이 영제, 채 경후, 허 영공, 진(秦)나라의 우대부(右大夫) 열(說), 송나라의 화원, 진(陳)나라의 공손녕, 위나라의 손량부, 정나라의 공자 거질, 제나라의 대부와 함께 촉(蜀) 땅에서 회맹하였고, 공형을 초나라에 인질로 보내기로 하였다.[3] 공자 영제는 송나라를 정벌한 뒤 신(申), 여(呂) 땅을 상전(賞田)으로 받고자 하였으나 신공 무신이 이를 저지하였다. 이후 무신이 진나라로 달아나자 공자 영제는 사마(司馬) 공자 측과 함께 무신의 일족 및 청윤(淸尹) 불기(弗忌), 연윤(連尹) 양로(襄老)의 아들 흑요(黑要)를 죽였다. 공자 영제는 무신의 일족 중 한 사람인 자염(子閻)의 가산을 얻었다.[4]
기원전 580년, 송나라의 화원, 공자 영제, 진나라의 난서가 사적으로 우호를 맺고 진나라와 초나라 사이의 첫 번째 정전 회의를 달성하였다.[7]
2. 3. 무신과의 갈등
기원전 589년, 공자 영제는 신공(申公) 무신(巫臣)이 송나라 정벌 후 신(申), 여(呂) 땅을 상전(賞田)으로 요구하는 것을 저지하였다. 이후 무신이 진나라로 달아나자, 공자 영제는 사마(司馬) 공자 측과 함께 무신의 일족 및 청윤(淸尹) 불기(弗忌), 연윤(連尹) 양로(襄老)의 아들 흑요(黑要)를 죽이고, 무신 일족 중 한 사람인 자염(子閻)의 재산을 차지했다.[4]
기원전 584년, 무신은 공자 영제에게 멸족당한 원수를 갚기 위해 진나라에 오나라와의 연합을 건의했다. 이로 인해 공자 측과 공자 영제는 1년 동안 7번이나 분명(奔命)하며 피로해졌다.[5]
2. 4. 진나라와의 전쟁
기원전 585년과 기원전 584년, 공자 영제는 진나라에 의존하고 있던 정나라를 공격하였다.[4] 기원전 584년, 신공(申公) 무신(巫臣)이 공자 영제로 인해 멸족당한 원수를 갚기 위해 진나라에 오나라와 연합할 것을 건의하여, 공자 측과 공자 영제는 1년 동안 7번이나 분명(奔命)하느라 피로해졌다.[5] 기원전 582년, 진(陳)나라와 거나라를 공격하였다.[6] 기원전 575년, 진나라와 초나라 사이에 언릉 전투가 일어났다. 초 공왕이 소차(巢車)에 오르자 영제는 백주리로 하여금 공왕의 뒤에 서게 하였다. 전투 중에 진나라의 난침이 영제를 보고 이전에 그가 진나라 군대를 '정돈과 쉬기를 잘한다'고 평가한 것을 떠올려 진 여공에게 영제에게 술을 선물해 호의를 보이게 해 달라고 요청했다. 초나라가 전투에서 패하자 영제는 공자 측에게 자살하여 사죄하라고 암시를 보냈고, 공자 측은 자결하였다. 공왕이 소식을 듣고 사람을 보내 막게 했지만 이미 늦은 상태였다.[8]
2. 5. 말년
기원전 574년, 정나라를 구원하였다.[9]
기원전 573년, 팽성(彭城)의 어석(魚石)을 구원한 뒤 송나라를 공격하였다.
기원전 571년, 영제와 공자 임부가 소국의 재물을 받고 자신들을 핍박한 우사마(右司馬) 공자 신을 죽였다.[9]
기원전 570년, 오나라를 공격하여 구자(鳩兹)에서 이기고 형산(衡山)에 이르렀다. 자신은 먼저 개선하여 크게 연회를 벌였는데, 부하인 등료(鄧廖)가 이끄는 조갑차병(組甲車兵) 3백 명과 정예 보병 3천 명이 오나라의 기습을 받아 조갑 80명과 보병 300명만 남게 되었다. 영제는 소식을 듣고 심병(心病)을 얻어 사망하였다.[10]
참조
[1]
서적
春秋左氏傳·宣公十一年
[2]
서적
春秋左氏傳·宣公十二年
[3]
서적
春秋左氏傳·成公二年
[4]
서적
春秋左氏傳·成公七年
[5]
서적
春秋左氏傳·成公七年
[6]
서적
春秋左氏傳·成公九年
[7]
서적
春秋左氏傳·成公十一年
[8]
서적
春秋左氏傳·成公十六年
[9]
서적
春秋左氏傳·襄公二年
[10]
서적
春秋左氏傳·襄公三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