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공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 공왕은 초나라의 왕으로, 장왕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어렸을 때 왕위에 올라 영윤 자중이 정사를 맡았으며, 진(晉)나라와의 언릉 전투에서 패배하여 눈에 부상을 입었다. 이후 국력이 쇠퇴하는 가운데, 오나라와의 갈등을 겪었다. 그는 사후 시호로 폄하된 명칭을 원했지만, 신하들의 반대로 '공'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다섯 아들 중 기질을 총애했으며, 장남 소가 초 강왕이 되었다. 초궁초득(楚弓楚得) 일화는 그의 넓은 도량을 보여주는 이야기로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600년 출생 - 월자 부담
월자 부담은 기원전 565년 월나라의 군주로 즉위하여 차남 윤상을 후계공으로 책봉한 뒤 기원전 538년 왕위를 물려주고 사망했다. - 기원전 560년 사망 - 알리아테스 2세
알리아테스 2세는 리디아의 왕으로서, 킴메르인과의 전쟁 종식, 영토 확장, 메디아 왕국과의 국경 확정, 그리고 최초의 화폐 도입 등의 업적을 남기며 리디아를 강국으로 만들었다. - 기원전 560년 사망 - 덕창왕
덕창왕은 역사, 주요 내용, 한국의 관점 등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고대부터 현대까지 이론, 특징, 사회적 영향 등을 다루고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분석한다. - 기원전 6세기 중국의 군주 - 초 영왕
초 영왕은 춘추 시대 초나라의 왕으로, 조카를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한 후 쇠퇴한 초나라의 패권을 재건하려 했으나, 쿠데타로 자결했다. - 기원전 6세기 중국의 군주 - 주 경왕 (개)
주 경왕은 주 영왕의 손자이자 주 경왕의 아들로, 형인 도왕 사후 기원전 520년에 즉위하여 왕자조의 난 등을 겪고 성주로 천도했으며 기원전 476년에 사망했다.
초 공왕 | |
---|---|
기본 정보 | |
이름 | 웅심 (熊審) |
가문 | 미 (羋) |
씨족 | 웅 (熊) |
칭호 | 초나라의 왕 |
재위 기간 | 기원전 590년 – 기원전 560년 |
시호 | 초 공왕 (楚共王) |
개인 정보 | |
성 | 미 (羋) |
씨 | 웅 (熊) |
이름 | 심 (審) |
시호 | 공왕 (共王) |
아버지 | 장왕 |
배우자 | 진영 (秦嬴) |
출생 | 기원전 600년 (장왕 14년) |
사망 | 기원전 560년 9월 1일 (공왕 31년 9월 15일) |
2. 생애
장왕이 죽자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즉위할 때 어렸기 때문에 영윤 자중(子重)이 정사를 오로지 맡았다.[9]
기원전 575년 6월, 초나라와 진나라 군대가 정나라, 송나라, 위나라, 진나라 등 중원(中原)의 주요 중소 국가들에 대한 지배력을 놓고 언릉(鄢陵, 지금의 허난성 언릉 서남쪽)에서 벌인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 초나라는 준비 부족과 적군을 과소평가하여 패배하였다. 공왕은 눈에 화살을 맞아 부상을 당했고, 공자 무(茂)는 포로가 되었으며, 군의 대장인 자반은 자살했다.[2] 이 전투의 결과로 진나라의 국제적 위상이 다시 높아졌다.
초 공왕 즉위 초, 초 장왕의 사망으로 초나라의 패권이 약화되자 진나라가 다시 세력을 키우며 양국 간 갈등이 심화되었다. 기원전 575년 6월, 양국 군대는 언릉에서 중원의 주요 국가들에 대한 지배권을 두고 전투를 벌였다. 이 전투에서 초나라는 준비 부족과 적군 과소평가로 패배했고, 공왕은 눈에 화살을 맞는 부상을 입었으며, 공자 무(茂)는 포로가 되었다. 군의 대장 자반(子反)은 자살했다.[5]
기원전 560년, 공왕은 병으로 죽기 전에 신하들에게 언릉 대전에서 패배한 책임을 자신에게 돌리며, '영(靈)'이나 '여(厲)'와 같이 나쁜 의미를 가진 시호로 추시해 달라고 부탁했다.[7] 신하들은 처음에는 따르려 했으나, 영윤 자낭(공자 정)이 "왕이 잘못을 능히 고칠 줄 알았다"라고 주장하며 반대했다.[2] 결국, '공손하다'는 뜻을 가진 '공(共)'으로 시호가 정해졌다.
초 장왕이 죽자 공왕이 즉위하였다. 즉위 당시 어렸기 때문에 영윤 자중(子重)이 정사를 오로지 맡았다.[2]
기원전 585년에 자의(子儀)의 난이 일어나 대부 석공(析公)이 진(晉)나라로 도망갔다. 석공이 진나라에서 모사가 된 사실은 초재진용(楚才晉用)의 전고가 되었다.
장왕 사후 초나라의 패권이 다소 둔화되는 틈을 타 진(晉)나라가 서서히 부흥하는 과정에서 진나라와 초나라 양 강대국의 갈등이 점차 고조되었다. 그 결과, 기원전 575년 6월에 양국 군대가 정나라·송나라·위나라·진(陳)나라 등 중원(中原)의 주요 중소 국가들에 대한 지배력을 놓고 언릉(鄢陵, 지금의 허난성 언릉현 서남쪽)에서 대전을 벌였다. 이 전투에서 초나라가 준비 부족과 적군을 과소평가한 것으로 인해 패배하였는데, 공왕 자신은 눈에 화살을 맞아 부상을 당했고, 공자 무(茂)는 포로가 되었으며, 군의 대장인 자반(子反)은 자살했다.[14] 진나라의 국제적 위상이 다시 높아졌다.[15]
이후 초나라는 국력이 계속해서 쇠퇴하였으며, 진(晉)나라의 거듭되는 침공과 오(吳)나라의 성장으로 인한 충돌로 초 강왕 때까지 계속해서 불안정하였다.
기원전 560년에 화병이 쌓여 결국 죽었다. 죽기 전에 자신이 언릉에서 패배한 것은 완전히 자신의 책임이니, 대부들에게 영(靈)이나 여(厲) 같은 나쁜 시호로 추시해 달라고 부탁하였다. 신하들이 그대로 따르려고 하자 영윤 공자 정(貞, 자낭)이 반대하며 임금이 잘못을 능히 고칠 줄을 알았다고 주장하였으므로, 당시에 '공손하다'는 뜻인 공(共)으로 시호를 정하였다.
공왕에겐 다섯 아들이 있었는데, 첫째는 소(昭), 둘째는 위(圍), 셋째는 비(比), 넷째는 흑굉(黑肱), 다섯째는 기질(棄疾)이었다. 기질이 태어났을 때 공왕은 그를 총애하여 차후에 왕으로 만들고자 하는 마음이 있었다. 이에 공왕이 부인인 파희(巴姬)와 함께 벽옥을 종묘의 앞마당에다 묻고 조상들에게 기도하여 장차 왕이 될 사람이 벽옥 위에서 절하게 해 달라고 하였다. 이후 제사를 지낼 때 다섯 아들이 그 위에서 절하는지 보고자 했다. 소는 두 다리가 벽옥 위에 있었고, 위는 두 팔이 벽옥 위에 있었고, 비는 두 손이 벽옥 위에 있었고, 흑굉은 오히려 동떨어진 곳에 있었고, 기질은 몸통이 온전히 벽옥 위에 있었다. 이때 공왕은 기질이 끝내는 왕이 될 것임을 알았다.
장남인 소가 결국 세자가 되었고, 공왕 사후에 소가 뒤를 이으니, 이가 초 강왕이다. 초 강왕 이후에 위는 초 영왕, 비는 초 자오, 흑굉은 왕위에 오르지도 못하고 죽었고, 기질은 초 평왕이 되니 예언이 맞아떨어진 것이다.
공왕 2년(기원전 589년), 공왕은 자중(공자 영제)에게 군사를 맡겨 위나라를 공격하게 했고, 더 나아가 노나라 군대를 공격하게 했다. 노나라는 재물과 공자를 내놓으며 화해를 청했고, 공왕은 이를 받아들였지만 공자는 돌려보냈다. 같은 해 무신이 하희를 데리고 진나라로 달아났다. 자반(공자 측)은 이에 분노하여 진나라에 선물을 보내 무신의 등용을 방해하려 했지만, 공왕은 "선물을 보낸다고 해도 무신이 유능하다면 진나라에서 등용될 것이고, 무능하다면 내쳐질 것이다."라고 말리며 제지했다.[10]
공왕 3년(기원전 588년), 초나라의 포로가 된 진나라의 대부인 지영(지무자)을 포로 교환으로 진나라로 돌려보내게 되었다. 이때 공왕은 지영에게 몇 차례 질문을 했지만 지영의 답변이 훌륭하여 감복했고, 진나라와는 아직 다툴 수 없다고 말했다.[11] 이때 초나라의 맹약 하에 있던 허나라가 같은 초나라의 맹약 하에 있던 정나라에게 자주 공격을 받는다고 호소해왔다. 정나라 역시 초나라에게 호소했지만, 공왕은 허나라가 옳다고 했다. 이 일로 분노한 정나라는 진나라의 맹약 하로 이반했다.[12]
정나라는 계속해서 허나라를 공격했기에, 공왕 15년(기원전 576년) 공왕은 정나라를 공격하여 항복시켰다.[13]
3. 언릉 대전
언릉 대전은 일련의 사소한 사건들로 촉발되었다. 기원전 577년 진나라의 제후국 정이 초나라의 제후국 허를 공격했다. 다음 해 초나라는 복수하기 위해 정나라를 공격했고, 정나라는 초나라에 충성을 맹세하도록 강요받았다. 그 후 정나라는 진나라의 또 다른 제후국인 송을 공격했다. 기원전 575년 진나라 여공은 정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군대를 일으켰고, 공왕은 그의 새로운 동맹국을 방어하기 위해 초나라 군대를 북쪽으로 이끌었다.[3]
두 군대는 언령에서 만났고, 진나라는 훈련이 제대로 되지 않은 정나라와 동이 병사들이 배치된 초나라의 약한 측면을 공격하여 초나라를 격파했다. 전투 중에 공왕은 화살에 눈을 맞았다. 부상에도 불구하고, 그날 마지막에 공왕은 다음날의 전투 계획을 논의하기 위해 최고 군사 사령관 자반을 불렀지만, 자반이 술에 취한 것을 발견했다. 공왕은 퇴각을 결정했고 자반은 나중에 자결했다.[3][4][5]
공왕 16년(기원전 575년), 진나라는 정나라의 변절을 책망하기 위해 위, 제, 노나라 군대를 이끌고 정나라를 공격했고, 양군은 언릉(현재의 허난성언릉현)에서 격돌했다(언릉 전투).[14] 이 전투에서 공왕은 진나라의 에게 눈을 맞아 부상을 입었다. 밤이 되자 공왕은 장군 자반을 불러 작전을 논의하려 했지만, 자반은 진중에서 술에 취해 있었고, 이로 인해 전투 의지를 잃은 공왕은 자반을 처형하고[15] 수도인 영으로 돌아갔다.
4. 오나라와의 갈등
이후 초나라는 국력이 계속 쇠퇴했고, 진나라의 침공과 오나라의 성장으로 인해 초 강왕 때까지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졌다. 기원전 598년, 초나라 대신 오신(伍臣, 신공)은 진나라로 망명하여 오나라와 진나라의 동맹을 맺게 하였다. 기원전 584년, 오신은 오나라 군대에게 전차 사용법을 가르치고 초나라에 대한 반란을 일으키도록 부추겼다. 오나라 왕 수몽은 초나라를 침략하여 주래를 병합하고 여러 부족들을 점령했다.[5]
기원전 570년, 초나라 장군 자충은 오나라를 공격했으나 오나라의 반격으로 패배하고, 가(賈)를 점령당했다. 자충은 패배의 책임을 지고 병사했다.[7] 이후 70년 동안 초나라는 오나라와 최소 10번의 전쟁 또는 전투를 치렀으며, 기원전 506년 백거 전투에서 오나라 군대가 초나라 수도 영을 점령하고 파괴했다.[6]
5. 사후 시호 논쟁
6. 후계 구도
기원전 560년에 공왕은 병으로 죽었다. 죽기 전 언릉 대전의 패배에 대한 책임을 자신에게 돌리며, 나쁜 시호로 추시해 달라고 부탁하였다. 그러나 신하들은 '공손하다'는 뜻의 '공(共)'으로 시호를 정했다.[2]
공왕에게는 다섯 아들이 있었다.
공왕은 기질을 총애하여 왕으로 만들고자, 부인 파희(巴姬)와 함께 종묘 앞마당에 벽옥을 묻고 조상들에게 기도했다. 이후 제사 때 아들들이 벽옥 위에서 절하는지를 보았는데, 기질이 온전히 벽옥 위에 있었다. 공왕은 기질이 결국 왕이 될 것임을 알았다.[2]
결국 장남 소가 세자가 되었고, 공왕 사후 왕위를 이으니, 이가 초 강왕이다. 강왕 이후 위는 초 영왕, 비는 초 자오, 기질은 초 평왕이 되어 예언이 맞아떨어졌다.[2]
공왕의 아들 중 4명이 왕위에 올랐다. 기원전 545년 강왕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 웅원(麇員, 시호 겹오)이 즉위했다. 4년 후 공왕의 둘째 아들 위가 겹오와 그의 두 아들을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하여 초 영왕이 되었다.[2]
기원전 529년, 영왕이 원정을 나간 사이 그의 세 동생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영왕의 아들을 살해했다. 셋째 동생 비가 왕위에 올라 초 자오가 되고, 넷째 동생 자시(子晳)는 재상이 되었다. 그러나 다섯째 동생 기질이 영왕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숨기고, 영왕이 곧 돌아올 것이라 속였다. 자오와 자시는 두려움에 자살했고, 기질이 왕위에 올라 초 평왕이 되었다.[2]
7. 가족 관계
8. 초궁초득 고사
공왕과 관련된 '''초궁초득'''이라는 고사가 전해진다.
어느 날, 공왕이 사냥을 나갔다가 활을 잃어버렸다. 측근이 활을 찾으러 가려 하자 왕은 이를 막고 "초나라 사람이 잃은 활을 초나라 사람이 주울 뿐이다"라고 말하며 군주로서의 넓은 도량을 보였다. 그러나 훗날 이 이야기를 들은 공자는 "사람이 잃은 활을 사람이 주울 뿐인데, 어찌하여 초나라로 한정하는가"라고 하며 왕의 좁은 소견을 지적했다고 한다.
이 고사는 《공손룡자》, 《공총자》, 《여씨춘추》, 《설원》, 《공자가어》 등 다양한 문헌에 실려 있으며, 세부적인 내용은 조금씩 차이가 있다.
이후에도 이 고사는 여러 시문에 자주 인용되었는데, 송나라 시대의 여류 시인 이청조의 《금석학후서》 등이 그 예이다.
참조
[1]
서적
Defining Chu: image and reality in ancien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
웹사이트
楚世家 (House of Chu)
http://www.guoxue.co[...]
2012-02-21
[3]
웹사이트
Battle of Yanling
http://www.hawh.cn/h[...]
Henan Museum
2006-04-21
[4]
웹사이트
Battle of Yanling
http://military.peop[...]
People.com.cn
2010-06-13
[5]
웹사이트
Book VIII. Duke Cheng
http://www2.iath.vir[...]
2012-02-22
[6]
웹사이트
柏舉之戰 (Battle of Boju)
http://www.mod.gov.c[...]
China Ministry of Defense
2009-07-22
[7]
웹사이트
Book IX. Duke Xiang
http://www2.iath.vir[...]
2012-02-22
[8]
문서
春秋左氏伝』襄公十三年九月庚辰条による。
[9]
문서
『春秋左氏伝』宣公18年
[10]
문서
『春秋左氏伝』成公2年
[11]
문서
『春秋左氏伝』成公3年
[12]
문서
『春秋左氏伝』成公5年
[13]
문서
『春秋左氏伝』成公15年
[14]
문서
『春秋左氏伝』成公16年
[15]
문서
『史記』楚世家の記述より。晋世家や『春秋左氏伝』の記述では、子反は郢に帰還後に、子重に失態を責められて自殺に追いやられている。
[16]
문서
『春秋左氏伝』襄公13年
[17]
서적
中国名文選
岩波新書
[18]
문서
『春秋左氏伝』襄公12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