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과메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메기는 청어나 꽁치를 얼리고 말려 반건조한 상태로 만든 한국의 전통 음식이다. 포항 영일만 지역에서 청어를 보관하기 위해 부엌 창문에 걸어두었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1960년대 이후 청어 어획량 감소로 꽁치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과메기라는 이름은 '관목'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꼬챙이로 생선의 눈을 꿰어 말린다는 의미의 '관메기'에서 변화했다는 설이 있다. 구룡포에는 과메기 문화와 관련된 역사, 과학, 전통을 다루는 구룡포 과메기 문화관이 2016년에 개관하여 연구 및 관광 명소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다생선 요리 - 피시 앤드 칩스
    피시 앤드 칩스는 튀긴 생선과 두꺼운 감자튀김으로 이루어진 영국의 대표 음식으로, 19세기 후반 영국 노동계급의 주요 음식으로 자리 잡았으며 현재는 세계적으로 인기 있다.
  • 바다생선 요리 - 아귀찜
    아귀찜은 경상남도 마산에서 유래된 매콤한 볶음 요리로, 아귀와 콩나물, 미나리 등을 함께 볶아 만들며 쫄깃한 아귀와 아삭한 콩나물의 조화, 매콤한 양념, 볶음밥으로 즐길 수 있어 술안주와 식사로 인기가 많다.
  • 건어물 - 김 (음식)
    김은 홍조식물 김속 및 돌김속 해조류를 총칭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식용으로 사용되고,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하여 영양 식품으로 널리 활용되며, 조미김, 김밥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다.
  • 건어물 - 미역
    미역은 동아시아 원산의 갈조류로, 식용 해조류이자 건강 식품으로 이용되지만, 전 세계로 확산되어 침입종 문제도 야기하며, 부착기, 줄기, 잎으로 구성되고, '와카메'에서 유래한 이름과 함께 고대부터 식용 및 의약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 생선 요리 - 루테피스크
    루테피스크는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유래한 건조 생선을 가성소다 용액에 처리하여 젤리처럼 만든 전통 음식으로, 특별한 날에 즐겨 먹으며 독특한 풍미와 조리법으로 다양한 이야깃거리가 되고 북미 이민자 사회에서도 소비된다.
  • 생선 요리 - 어묵
    어묵은 생선살을 주원료로 하여 쪄내거나 튀겨 만든 한국의 대표적인 수산가공품으로, 일제강점기 이후 부산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현재는 다양한 종류로 생산 및 소비되며, 부산 어묵은 한국을 대표하는 지역 특산물이다.
과메기 - [음식]에 관한 문서
개요
준비된 과메기
준비된 과메기
정의겨울철에 꽁치청어를 반건조한 한국 요리
어원'目'에서 유래
지역
주 생산지경상북도 포항시 구룡포읍
역사
유래원래는 청어로 만들었음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算稿)》와 《규합총서(閨閤叢書)》에 관련 기록 존재
현재꽁치 생산량 증가로 꽁치 과메기가 일반화됨
특징
제조 방식꽁치청어를 바닷바람에 자연 건조
겨울철 해풍에 건조하는 것이 특징
먹는 방법주로 쌈 형태로 섭취
김, 미역, 배추, 쪽파, 마늘, 고추, 초고추장 등과 함께 먹음
쫄깃하고 고소한 맛
영양DHA, EPA 등 오메가-3 지방산 풍부
비타민 E 풍부
축제
관련 축제포항 구룡포 과메기 축제

2. 역사

포항 영일만은 해초가 많아 겨울철에 청어 떼가 흩어지는 곳이었다. 그물에 걸린 청어는 주요 식량이었지만, 언제든 먹을 수 있도록 보관하는 것이 문제였다. 누군가 부엌 창문(통풍이 되는 작은 창문)에 청어를 걸어두었는데, 부엌에서 연기가 나와 훈제 효과가 있었다.

이후 사람들은 부엌 창문에 청어를 걸어 놓고 겨울을 났다. 청어는 추운 겨울바람에 얼었다가 요리 과정에서 녹고 말라서 반쯤 건조된 상태가 되었는데, 맛이 훌륭했다. 이렇게 얼리고 말리는 방법을 터득한 영일만 사람들은 낮에는 햇볕이 쨍쨍하고 밤에는 시원한 해풍이 부는 구룡포 해변에 청어를 걸어두는 방식으로 더욱 발전시켰다.

과메기는 꽁치청어를 원료로 하여 엄동설한에 밤에는 얼리고 낮에는 햇볕에 말려 서서히 녹이면서 찬 바람에 건조시켜 발효시킨 것이다. 주로 포항 구룡포에서 생산되며, 현지에서는 마늘이나 고추장 등을 곁들여 상추에 싸서 먹는다.

2016년 구룡포에는 과메기 문화와 관련된 역사, 과학, 전통을 자세히 다루는 대규모 박물관인 '''과메기 문화관'''이 연구 센터이자 관광 명소로 문을 열었다.[8]

2. 1. 어원

과메기라는 이름은 말린 등푸른 생선을 뜻하는 '관목'(貫目, 관목|관목한국어)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꼬챙이로 생선의 눈을 꿰어 말린다는 뜻의 '관메기'에서 변화했다는 설이 있다. 포항 지역 방언으로 눈을 '메기'(메기|메기한국어)라고 부르기 때문에, '관메기'(관메기|관메기한국어)가 '과메기'로 변했다는 것이다.[9]

2. 2. 제조 방식의 변화

1960년대부터 영일만에서 청어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꽁치로 과메기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맛은 청어와 비슷했다. 오늘날에도 과메기는 여전히 꽁치로 만들어진다.[7] 더 나아가 한국 근해에서 꽁치 어획량마저 감소하자 일본으로부터 꽁치를 수입하여 과메기를 만들고 있다.[10]

3. 특징

과메기는 꽁치청어를 겨울철 찬 바람에 얼렸다 녹였다를 반복하며 말린 것으로, 구룡포에서 주로 생산된다. 쫄깃한 식감과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과메기는 '관목'(말린 등푸른 생선)의 '목'에, 포항 방언으로 '눈'을 뜻하는 '메기'가 합쳐진 말이다. 꼬챙이로 생선의 눈을 꿰어 말린다는 뜻에서 '관메기'로 불리다가 '과메기'가 되었다.[9]

원래 청어로 만들었으나, 청어 어획량이 줄면서 꽁치로 대체되었다. 한국 근해 꽁치 어획량도 감소하여 일본산 꽁치를 수입하기도 한다.[10]

3. 1. 섭취 방법

과메기는 주로 상추, 배추 등 쌈 채소와 , 마늘, 고추, 초고추장 등을 곁들여 쌈으로 먹는다.[9]

4. 지역 문화

과메기는 주로 포항 구룡포에서 생산되며, 현지에서는 마늘, 고추장 등을 곁들여 상추에 싸서 먹는다. 구룡포는 과메기 주산지로, 매년 과메기 축제가 열린다.[9]

4. 1. 구룡포 과메기 문화관

2016년 구룡포에 과메기 문화와 관련된 역사, 과학, 전통을 자세히 다루는 대규모 박물관인 '''구룡포 과메기 문화관'''이 문을 열었다. 이곳은 과메기 연구 센터이자 관광 명소로 활용되고 있다.[8]

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Gwamegi http://100.nate.com/[...] 2011-06-10
[2] 웹사이트 The True Flavor of Pohang, Gwamegi http://www.arirang.c[...] 2008-08-17
[3] 뉴스 Gwamegi Youngnam News 2018-02-21
[4] Doosan Encyclopedia Gwamegi http://100.naver.com[...] 2024-07
[5] 웹사이트 Gwamegi Festival http://eng.ipohang.o[...] Pohang City official site
[6] 뉴스 Pohang Gu-Ryong-Po Gwamegi festival http://terms.naver.c[...] 2018-04-10
[7] 웹사이트 과메기 http://korean.visitk[...] 2018-04-21
[8] 웹사이트 구룡포 과메기 문화관 http://gmg.pohang.go[...] 2021-03-05
[9] 웹사이트 冬の珍味、クァメギ! http://www.seoulnavi[...]
[10] 뉴스 <随筆>◇クァメギの季節◇ http://www.toyo-keiz[...] 東洋経済日報
[11] 웹인용 과메기 http://folkency.nfm.[...] 2019-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