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룡포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룡포읍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에 속하는 읍으로, 1942년 구룡포읍으로 승격되었다. 신라 진흥왕 때 구룡포라는 지명이 유래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 어민들의 이주로 어업이 번성했다. 현재는 과메기, 피데기 오징어, 대게 등 수산물과 구룡포 일본인 가옥거리, 구룡포과메기 축제 등의 관광 명소로 알려져 있다. 행정 구역은 10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 공공, 금융, 의료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2년 설치 - 광천읍
    광천읍은 충청남도 홍성군 남부에 위치한 읍으로, 조선시대 옹암포를 중심으로 해상 교통의 요지였으며 충남선, 장항선 개통으로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고, 토굴 새우젓과 조선김이 유명한 곳이다.
  • 1942년 설치 - 이인면
    이인면은 충청남도 공주시에 속한 면으로, 역사적으로 웅천, 공주목, 목동면을 거쳐 1942년 개칭되었으며, 공주역과 이인휴게소를 통해 교통이 연결되고 이인초등학교와 이인중학교 등의 교육기관이 위치한다.
  • 포항시 남구 -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는 포스코의 지원으로 1986년 설립되어 과학기술 분야 교육 및 연구에 집중하며 우수한 연구 시설을 보유한 대한민국의 연구중심대학이다.
  • 포항시 남구 - 오천도서관
    오천도서관은 1999년 오천공공도서관으로 개관하여 포항시 시립도서관으로 편입된 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강당, 자료실, 열람실 등을 갖추고 운영한다.
구룡포읍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구룡포
한자 표기九龍浦
종류
로마자 표기Guryongpo-eup
일반 정보
소속 국가대한민국
소속 도경상북도
소속 시포항시
소속 구남구
행정 구역10개의 법정리, 28개의 행정리, 209개의 반
지리 정보
면적45.17km²
인구 정보
인구 (2015년 5월 기준)9099명
세대 (2005년 12월 기준)5207세대
인구 (2022년 3월 기준)7272명
행정 정보
읍사무소 주소구룡포읍 호미로 133 (후동리 143)
웹사이트구룡포읍 행정복지센터

2. 역사

1914년 4월 1일 영일군 창주면(滄洲面)이 설치되었고(16개 리)[5], 1942년 10월 1일 창주면이 구룡포읍으로 승격되었다.(13개 리)[6]

1945년 3월 9일에는 대보리, 강사리, 구만동을 관할하는 구룡포읍 대보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6년 4월 1일 대보출장소는 대보면(현 호미곶면)으로 분리되었다.(10개 리)[7] 1995년 1월 1일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이 되었다.[8][9]

1914년 당시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은 아래 표와 같다.[4]

1914년현재
창주면(滄洲面) 구룡포동, 구평동, 삼정동, 하정동, 성동동, 석병동, 병포동, 눌태동, 후동동, 장길동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구룡포리, 구평리, 삼정리, 하정리, 성동리, 석병리, 병포리, 눌태리, 후동리, 장길리
창주면 공당동, 상정동, 중산동, 중흥동포항시 남구 동해면 공당리, 상정리, 중산리, 중흥리
창주면 강사동, 대보동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강사리, 대보리


2. 1. 구룡포 전설

신라 진흥왕 때, 현령이 부근을 순시하던 중 갑자기 폭풍을 만나 바다에서 열 마리의 용이 하늘로 승천하기 시작했다. 이 중 한 마리가 벼락에 맞아 바다에 가라앉고 폭풍이 잦아들었다. 나머지 아홉 마리의 용이 하늘로 승천했기 때문에 구룡포라고 이름 붙여졌다.[2]

2. 2. 일제강점기

1906년경부터 가가와현 오다 촌(현 사누키시) 어민들을 중심으로 일본인들의 이주가 시작되었다. 당시 세토 내해는 어민 간의 어업권 분쟁이 심했고, 새로운 어장을 찾기 위한 것이었다. 구룡포 주변은 양호한 어장이었으며, 그물을 던지면 끌어올릴 때 그물을 끊지 않으면 무게 때문에 배가 전복될 정도였다고 한다. 당시 일본인들은 이곳을 "큐류"라고 불렀으며, 오늘날에도 그리워하고 있다. 어장은 활황을 띠었고, 일본인 마을은 크게 발전했다.[2] 최성기인 1930년대에는 1만 명이 넘는 유동 인구가 있었으며, 어업·수산업 종사자는 500명 정도(한국인 100명, 일본인 400명)였다.[3] 일본인 어민의 이주와 일본인 마을 개발에는 오카야마현 출신의 토가와 야사부로와 가가와현 출신의 하시모토 젠키치가 중심인물로 활약했다.[3] 하시모토 젠키치의 저택은 구룡포 근대 역사관으로 현존하고 있다.

2. 3. 해방 이후

1945년 일본의 통치가 끝나자 일본인들은 일본으로 철수했지만, 남겨진 가옥들은 헐리지 않고 현지 한국인들의 주거지가 되어 일본인 마을의 모습이 보존되었다. 한편, 구룡포의 수산업은 전후에도 호황을 누려 1977년에는 3만 2,699명의 인구를 기록했지만, 그 후 어획량이 급감하여 1997년을 기점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3] 지역 경제가 침체되는 가운데, 포항시는 옛 일본인 마을을 구룡포 근대 문화 역사 거리(이후, 구룡포 일본인 가옥 거리로 개칭)로 지정하고, 역사 교육의 장 및 관광지로 정비했다.[3] 2011년 3월 4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공비 86억을 들인 정비 사업은 2012년 12월에 마을 활성화의 모범 사례로 국토교통부의 "제2회 대한민국 경관 대상" 최우수상을 받았다.[3]

2. 4. 연혁

3. 행정 구역

구룡포읍은 10개의 리()로 나뉜다.[1]

한글한자
구룡포리九龍浦里
삼정리三政里
석병리石屛里
성동리城洞里
구평리邱坪里
장길리長吉里
하정리河亭里
병포리柄浦里
후동리厚洞里
눌태리訥台里


4. 문화·관광

구룡포의 대표 특산물, 과메기

4. 1. 특산물

과메기, 피데기 오징어(피데기 오징어|반건조 오징어한국어), 대게는 구룡포읍의 대표적인 특산물이다. 과메기는 겨울철 별미로 쫀득하고 고소한 맛이 특징이며, 피데기 오징어는 건오징어보다 육질이 연하고 맛이 좋다. 구룡포 대게는 전국적으로 판매될 만큼 유명하다.

4. 1. 1. 과메기

겨울이 되면 찬바람이 불기 시작할 때 청어꽁치를 그늘에 내다 걸어 냉동과 해동을 열흘에서 보름 정도 반복하면 껍질은 쭈글쭈글해지고 속살은 꾸덕꾸덕하게 마르게 되는데, 이것을 과메기라 부른다. 과메기는 껍질을 벗겨내고 속살을 찢어 고추장에 찍어 먹기도 하고, 그냥 먹기도 한다. 찬바람을 맞으며 그늘에서 말린 과메기는 비린내가 나지 않고 쫀득쫀득하게 씹히는 맛과 고소하고 담백한 맛이 일품이다. 과메기를 말릴 때 햇볕이 닿거나 따뜻한 바람을 맞게 되면 기름기가 배어 나오고 비린내가 나기 때문에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만 제 맛을 낼 수 있는 계절 별미이다.[10]

4. 1. 2. 피데기 오징어

피데기 오징어는 동해 청정해역에서 잡은 오징어를 산지의 신선한 바닷바람으로 75% 정도 말린 오징어를 뜻한다. 적정 수분을 함유하고 타우린비타민을 적당하게 생성시켜 건오징어에 비해 육질이 연하고 맛이 좋다.[10]

4. 1. 3. 구룡포 대게

구룡포 대게는 몸통에서 뻗어나간 10개의 다리가 대나무처럼 곧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대한민국 동해안 전역에 서식한다. 특히 함경북도 연안의 냉수역 지대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나 현재는 일본 오끼군도 주위의 대게어장이 가장 큰 대게 어장으로 손꼽히고 있다.[10] 구룡포산 대게는 전국적으로 판매되고 있다.[10]

4. 2. 관광

구룡포 근대 역사관


구룡포읍은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 촬영지로 유명하며, 구룡포 일본인 가옥거리와 구룡포과메기 축제가 대표적인 관광지이다.[11]

4. 2. 1. 구룡포 일본인 가옥거리

구룡포항 뒷길에 있는 옛 일본인 집단 거주지로, 일본식 가옥 50여 채가 있다.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배경이 됐다.[11]

4. 2. 2. 구룡포과메기 축제

구룡포항에서 열리는 구룡포과메기 축제는 과메기 유통량의 80%를 차지하는 구룡포의 특징을 살려 음식과 수산문화를 결합시킨 축제이다.[11] 2012년 11월 17일부터 제15회 행사가 개최되었다.

5. 교육 기관

학교명소재지비고
구룡포도서관남구 구룡포읍 병포길52번길 17
구룡포중학교남구 구룡포읍 호미로 341
구룡포초등학교남구 구룡포읍 구룡포길 61
포항과학기술고등학교남구 구룡포읍 병포길52번길 17


6. 공공 기관

기관명소재지비고
구룡포상수도정수장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병포길52번길 41
구룡포119안전센터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호미로 265
포항남부경찰서 구룡포파출소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호미로 182
포항해양경찰서 구룡포파출소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호미로 222-1


7. 금융 기관

기관명소재지비고
구룡포 농업협동조합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구룡포길 76-5
구룡포 새마을금고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구룡포길 99
구룡포 수산업협동조합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호미로 247
구룡포 신용협동조합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구룡포길 74
구룡포 우체국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호미로 267


8. 의료 기관

구룡포보건지소는 구룡포읍 구룡포길65번길 7에 있다.

9. 주요 시설

시설명소재지
포항어업정보통신국남구 구룡포읍 병포길 23


10. 교통

동해안로(국도 제31호선), 용주로, 일출로, 하정로, 호미로(지방도 제929호선), 해안로는 구룡포읍을 지나는 주요 도로이며, 이 외에도 공개산길, 구룡포길, 눌태길, 땅끝마을길, 명월길, 병포길, 상정길, 석문길 등이 있다.

10. 1. 간선 도로

동해안로(국도 제31호선), 용주로, 일출로, 하정로, 호미로(지방도 제929호선), 해안로는 구룡포읍을 지나는 주요 도로이다. 이 외에도 공개산길, 구룡포길, 눌태길, 땅끝마을길, 명월길, 병포길, 상정길, 석문길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ap of Guryongpo http://guryongpo.ipo[...] Pohang City 2015-06-19
[2] 문서 九龍浦近代歴史館の映像展示より
[3] 보고서 近代歴史文化遺産としての 植民地期(日帝強占期)の日本人集住地区復元の動き ―韓国南東部海岸にある浦項市の九龍浦を中心に― http://www.kyoai.ac.[...] 共愛学園前橋国際大学 2017-01-01
[4] 문서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1917년)
[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6]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43호 1942-09-30
[7] 법률 대통령령 제11874호 경기도 남양주군 조안면등 면설치와 읍·면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1986-03-27
[8]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9] 법률 포항시 조례 제10호 1995-01-11
[10] 웹사이트 구룡포읍의 특산물 http://guryongpo.ipo[...] 2011-07-29
[11] 뉴스 '맛·추억 묻어나는겨울 포구', 포항 구룡포 https://weekly.hanko[...] 2021-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