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하드리아노 5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하드리아노 5세는 1276년 7월 11일 교황 인노첸시오 5세의 후임으로 선출되었으나, 사제 서품도 받기 전에 사망한 인물이다. 라바냐의 피에스키 가문 출신으로, 교황 전속 사제, 추기경, 교황 특사 등을 역임했다. 잉글랜드에서 교황 특사로 활동하며 헨리 3세와 잉글랜드 남작 사이를 중재하고 십자군 원정을 설교했으며, 외교적 위상을 인정받았다. 단테의 신곡에 등장하며, 탐욕의 죄를 짓고 연옥에서 정화되는 인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76년 사망 - 교황 그레고리오 10세
교황 그레고리오 10세는 1271년부터 1276년까지 재임한 184대 교황으로, 동서 교회 화합 노력, 제2차 리옹 공의회 개최, 몽골 제국과의 외교 관계 추진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276년 사망 - 바실리 야로슬라비치
바실리 야로슬라비치는 야로슬라프 2세의 아들이자 알렉산드르 넵스키와 야로슬라프 3세의 동생으로, 1272년부터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재임하며 노브고로드 지배 강화 실패와 킵차크 칸국 영향력 하 정치적 안정을 추구하다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조카 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가 대공위를 계승했다. - 1205년 출생 - 남송 이종
이종은 남송의 제5대 황제로, 사미원의 섭정 하에 즉위하여 주자학을 장려하고 개혁을 시도했으나 몽골의 침략으로 실패했으며, 가사도의 전횡과 사치스러운 궁궐 건축으로 국고가 낭비된 채 양자인 도종에게 황위를 물려주었다. - 1205년 출생 - 히로코 내친왕
히로코 내친왕은 준토쿠 천황의 황녀로 이세 재궁을 지냈으며, 츄쿄 천황의 딸인 기시 내친왕을 양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13세기 로마 가톨릭 대주교 - 요하네스 페캄
요하네스 페캄은 13세기 영국의 프란체스코회 수도사이자 철학자, 신학자, 캔터베리 대주교로서, 파리 및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교회 개혁을 추진하고 에드워드 1세의 외교 사절로도 활동했으며, 철학과 성경 주석 외에도 시각 연구와 시에 재능을 보였다. - 13세기 로마 가톨릭 대주교 - 교황 클레멘스 4세
클레멘스 4세는 프랑스 출신 법률가로 교황(재위: 1265년 ~ 1268년)이 되었으며, 시칠리아 왕국 분쟁 개입, 토마스 아퀴나스 후원, 로저 베이컨에게 《대저작》 집필 지시 등 학문 장려에 힘썼다.
교황 하드리아노 5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하드리아노 5세 |
본명 | 오토부오노 데' 피에스키 |
출생 이름 | Ottobuono de' Fieschi |
로마자 표기 | Adrianus V |
직함 | 로마 주교 |
교회 | 가톨릭교회 |
![]() | |
생애 | |
출생 | 1210년경-1220년경 |
출생지 | 제노바 공화국 제노바 |
사망 | 1276년 8월 18일 |
사망지 | 교황령 비테르보 |
경력 | |
이전 직책 | 산트 아드리아노 알 포로 성당 추기경 (1251년–1276년)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수석 사제 (1262년–1276년) |
추기경 임명 | 1251년 12월 |
추기경 임명자 | 인노첸시오 4세 |
재임 시작 | 1276년 7월 11일 |
재임 종료 | 1276년 8월 18일 |
선임자 | 인노첸시오 5세 |
후임자 | 요한 21세 |
문장 | |
![]() |
2. 생애
피에스키 가문 출신의 오토부오노는 1243년 교황 전속 사제로 임명되면서 성직 경력을 시작했다. 볼로냐와 파르마의 수석부제, 랭스 대성당 의전참사회원 등을 거치며 성직록을 받았고, 1251년 교황 인노첸시오 4세에 의해 추기경에 서임되었다.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의 수석사제로도 임명되었다.
1265년 교황 클레멘스 4세의 명으로 잉글랜드에 파견되어 헨리 3세와 남작들 사이를 중재하고 십자군 원정을 설교했다. 그의 외교적 영향력은 1267년 말버러법에 언급될 정도였다.
나폴리 국왕 카를로 1세의 영향으로 1276년 7월 11일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나, 병세가 악화되어 즉위식도 거행하지 못하고 같은 해 8월 18일 비테르보에서 선종하였다. 교황 그레고리오 10세의 콘클라베 관련 칙서를 무효화했지만, 새로운 규정을 제정하기 전에 사망하였다.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에는 탐욕 때문에 연옥에서 죄를 씻는 하드리아노 5세가 묘사되어 있다.
2. 1. 가문 및 초기 경력
오토부오노는 리구리아의 봉건 가문이자 라바냐 백작 집안인 피에스키 가문 출신이다.[1] 그의 첫 성직 임명은 1243년 교황 채플린으로 임명되면서 시작되었다.[1] 이후 그는 볼로냐 (1244)와 파르마 (1244/48–1255)의 대주교, 랭스의 대성당 참사회 의원과 학장 (1243–1250), 피아첸차 참사회 의원과 학장 (c. 1247), 파리 대성당 참사회 의원 (1244/45–1270) 등 여러 교회 교구를 받았다. 1251년 12월, 그는 삼촌인 교황 인노첸시오 4세에 의해 산 아드리아노의 추기경 부제로 임명되었다.[1] 그는 또한 총대주교의 리베리아 바실리카의 대주교였다 (1262년부터 기록됨).[1]1265년 교황 클레멘스 4세는 잉글랜드 국왕 헨리 3세와 그의 귀족들 사이에서 중재하고, 십자군을 설교하기 위해 그를 잉글랜드로 파견했다.[1] 피에스키는 헨리 3세와 먼 친척 관계였는데, 그의 누이가 사보이의 토마스 2세와 결혼했고, 토마스 2세는 헨리의 부인인 프로방스의 엘레오노르의 사촌이었다.[2]
2. 2. 잉글랜드 교황 특사
교황 클레멘스 4세는 피에스키 가문 출신의 오토부오노를 잉글랜드로 파견하여 헨리 3세와 잉글랜드 남작들 사이를 중재하고 십자군 원정을 설교하도록 하였다.[1] 그는 1265년 10월부터 1268년 7월까지 교황 특사로 잉글랜드에 머물렀는데,[1] 그의 외교적 위상은 잉글랜드에서 가장 오래된 성문법인 1267년 말버러법에 ‘잉글랜드의 교황 사절 오토본 경’이라는 이름이 남아있을 정도였다. 당시 잉글랜드에 파견된 특사단 중에는 훗날 교황 보니파시오 8세가 되는 젊은 외교관도 있었다.피에스키는 헨리 3세와 먼 친척 관계였는데, 그의 누이가 헨리 3세의 왕비인 프로방스의 엘레오노르의 사촌 사보이의 토마스 2세와 결혼했다.[2] 1268년 4월, 그는 잉글랜드 교회법을 제정했는데, 이 법은 16세기 잉글랜드 종교 개혁이 일어나기 전까지 통용되었다.
2. 3. 교황 선출과 죽음
나폴리 국왕 카를로 1세의 영향으로 1276년 7월 11일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나,[3] 병세가 악화되어 대관식도 거행하기 전에 1276년 8월 18일 비테르보에서 선종하였다.[3] 교황 선출 후 사제 서품을 받기도 전에 사망한 것이다.[3] 시신은 산 프란체스코 알라 로카 성당에 안치되었으며, 그의 장례 기념물은 아르놀포 디 캄비오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아드리아노 5세는 1276년 4명의 교황의 해에 등장하는 세 번째 교황이었다.교황 그레고리오 10세의 교황 칙서 중 교황 선거 관련 조항을 무효화했지만, 새로운 규정을 제정하기 전에 사망했다.[1]
3. 평가
단테 알리기에리는 자신의 저서 신곡의 연옥편에서 아드리아노 5세를 탐욕과 낭비로 인해 벌을 받는 다섯 번째 층에서 만난다. 아드리아노 5세는 탐욕의 죄를 씻고 있으며(''연옥'' 19.79-145), 땅을 내려다보는 자세로 죄를 정화하고 있어 얼굴을 보고는 정체를 알 수 없다.[4] 그의 교황 신분은 "scias quod ego fui successor Petri"(나는 베드로의 후계자였다, ''연옥'' 19.99)와 "fui roman pastore"(나는 로마의 목자였다, ''연옥'' 19.107)라는 라틴어 구절을 통해 드러난다.[4] 또한 아드리아노 5세는 자신의 가문이 세스트리 레반테와 키아바리 사이에서 유래했다고 묘사하는데(''연옥'' 19.100-102), 이는 그의 가문인 피에스키 가문을 가리킨다.[4]
아드리아노 5세의 탐욕에 대한 역사적 증거는 부족하다. 일부 학자들은 단테가 존 오브 솔즈베리의 ''폴리크라티쿠스''에서 교황 아드리아노 4세의 탐욕을 언급한 내용을 아드리아노 5세에 대한 것으로 오해했을 수 있다고 추정한다.[4]
''신곡''에서 아드리아노 5세의 등장은 단테의 교회관과 여성관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아드리아노 5세의 탐욕 묘사는 지상 권력과 재물에 대한 야망을 반영하며(''연옥'' 19.106-114), 이는 단테가 중세 교회, 특히 교황들이 세속적인 것에 지나치게 이끌렸다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5] 아드리아노 5세는 자신의 조카 알라지아 피에스키를 제외한 가족 전체가 부패했다고 말하며(''연옥'' 19.142-145), 알라지아만이 기도를 통해 자신의 구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일한 여성이라고 묘사한다.[6] 이는 단테가 기독교 여성이 기도를 통해 남성의 구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믿음을 가졌음을 보여준다.
3. 1. 단테의 신곡
단테 알리기에리는 신곡에서 아드리아노 5세를 연옥의 다섯 번째 층(탐욕과 낭비를 위한 곳)에서 만난다. 아드리아노 5세는 탐욕이라는 죄에서 정화된다(''연옥'' 19.79-145).[4] 이 층의 영혼들은 지상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며 땅을 응시함으로써 죄를 정화하기 때문에, 아드리아노 5세의 신원은 얼굴을 보고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인 추론을 통해 드러난다. 그의 교황 신분은 라틴어 구절 ''scias quod ego fui successor Petri''(나는 베드로의 후계자였다, ''연옥'' 19.99)와 그의 말 ''fui roman pastore''(나는 로마의 목자였다, ''연옥'' 19.107)를 통해 추론된다.[4] 이러한 구절들은 교황이 초대 교황 성 베드로의 후계자이고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에 따라 교회의 목자라는 점을 고려할 때 아드리아노 5세의 교황 신분을 드러낸다. 아드리아노 5세는 또한 자신의 가문이 세스트리 레반테와 키아바리 사이에 거주하는 사람들로부터 유래했다고 묘사한다(''연옥'' 19.100-102).[4] 이는 그의 가문인 피에스키 가문을 드러내는데, 이 가문은 두 도시 사이에 광대한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아드리아노 5세의 탐욕스러운 행동에 대한 역사적 증거는 부족하다. 일부 학자들은 단테가 아드리아노 5세에 대한 견해를 존 오브 솔즈베리의 ''폴리크라티쿠스''에서 발췌한 내용을 읽고 얻은 것으로 생각한다.[4] 이 책에서 저자는 익명으로 교황 아드리아노 4세에게 탐욕의 행동을 귀속시켰다. 단테는 이 발췌 내용을 아드리아노 4세가 아닌 아드리아노 5세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했을 가능성이 높다.
아드리아노 5세의 인물에 대한 오해의 소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신곡'' 등장은 단테가 교회와 여성이 인간의 구원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의 역할에 대해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드리아노 5세 교황의 탐욕에 대한 묘사는 지상 권력과 재물에 대한 열렬한 야망을 반영한다.[5] 아드리아노 5세는 짧은 기간 동안 교황직을 수행하면서 세상적인 것에 대한 사랑에서 벗어나야 했다고 묘사한다(''연옥'' 19.106-114).[5] 이는 단테가 중세 시대 교회의 핵심에 탐욕이 있었고, 교황들이 지나치게 세상적인 것에 이끌렸으며 권력 행사에 몰두했다는 견해를 상징한다. 더욱이 아드리아노 5세는 자신의 탐욕뿐만 아니라 조카 알라지아 피에스키를 제외한 자신의 가족의 부패한 본성을 드러낸다(''연옥'' 19.142-145).[6] 애수에 찬 어조로 아드리아노 5세는 알라지아가 그의 구원 여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도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덕이 있는 여성이라고 표현한다. 알라지아의 묘사는 기독교 여성이 기도를 통해 남성의 구원 달성에 기적적인 역할을 한다는 단테의 견해를 반영한다.
참조
[1]
서적
Pope Adrian V
[2]
서적
Eleanor of Provence: Queenship in 13th Century England
Blackwell Publishing
1998
[3]
서적
Adrian (popes)
[4]
서적
Dante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Group
2000
[5]
서적
Dante's Political Purgato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6
[6]
서적
The Women in Dante's Divine Comedy and Spenser's Faerie Queene
Griffon House Publications
2005
[7]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Burns & Oates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