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그레고리오 10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레고리오 10세는 1271년 교황으로 선출되어 1276년 사망한 인물이다. 그는 교황 선출의 혼란을 막기 위해 교황 칙서 '우비 페리쿨룸'을 발표하여 콘클라베 규정을 강화했다. 또한, 동서 교회의 분열을 해결하고 십자군을 지원하기 위해 제2차 리옹 공의회를 개최했으며, 몽골 제국과의 외교 관계를 맺기도 했다. 그레고리오 10세는 유대인 혐오에 반대하는 서신을 보내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1713년 시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아첸차 출신 - 조르조 아르마니
    1970년대 자신의 패션 브랜드를 설립한 이탈리아 디자이너 조르조 아르마니는 단순하고 우아한 디자인 철학을 추구하며 영화 《아메리칸 지골로》를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고, 남성복, 여성복 디자인 외 다양한 서브 브랜드 론칭과 사업 확장을 이루었다.
  • 피아첸차 출신 - 니콜로 파졸리
    니콜로 파졸리는 다재다능한 이탈리아 축구 선수로, 유벤투스 FC와 US 크레모네세에서 활약하며 세리에 A 최우수 영플레이어상을 수상했으나 도박 규칙 위반으로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고,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에도 데뷔했다.
  • 1276년 사망 - 바실리 야로슬라비치
    바실리 야로슬라비치는 야로슬라프 2세의 아들이자 알렉산드르 넵스키와 야로슬라프 3세의 동생으로, 1272년부터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재임하며 노브고로드 지배 강화 실패와 킵차크 칸국 영향력 하 정치적 안정을 추구하다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조카 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가 대공위를 계승했다.
  • 1276년 사망 - 교황 인노첸시오 5세
    교황 인노첸시오 5세는 1276년 짧게 재임한 도미니코회 출신 최초의 교황으로, 동서 교회 재일치를 위해 노력했으며, 사후 복자로 시성되었다.
교황 그레고리오 10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칭복자
이름그레고리오 10세
본명테오발도 비스콘티
교회가톨릭 교회
재위 시작1271년 9월 1일
재위 종료1276년 1월 10일
이전 교황클레멘스 4세
다음 교황인노첸시오 5세
서품1272년 3월 19일
축성1272년 3월 27일
축성자톨레도의 요한
출생일대략 1210년
출생지신성 로마 제국 피아첸차
사망일1276년 1월 10일
사망지신성 로마 제국 아레초
그레고리오 10세 문장
그레고리오 10세의 문장
이전 직책리에주의 수석 사제 (1246–1271)
축일1월 10일
숭배가톨릭 교회
시복일1713년 7월 8일
시복 장소로마, 교황령
시복자클레멘스 11세
속성교황 예복
교황관
지팡이
수호 성인아레초 교구
프란치스코회 제3회
서품 정보
교구 사제 서품1272년 3월 19일
축성일1272년 3월 27일
주교 1피에트로 안젤렐리, O.P.
주교 1 축성일1272년 ????월 ????일
주교 2로스 주교 매튜
주교 2 축성일1272년 12월 29일
주교 3기 데 프레
주교 3 축성일1273년 1월 5일
주교 4성 보나벤투라, O.F.M.
주교 4 축성일1273년 11월 11일
주교 5기셀베르트 폰 브룬크호르스트
주교 5 축성일1274년 ????월 ????일
주교 6루돌프 폰 합스부르크-라우펜부르크
주교 6 축성일1274년 ????월 ????일
주교 7피에르 다니시
주교 7 축성일1274년 9월 16일
주교 8후안 데 루나
주교 8 축성일1274년 11월 5일
주교 9아메데 드 루실롱
주교 9 축성일1275년 ????월 ????일
주교 10지그프리트 데 베스테부르크
주교 10 축성일1275년 4월 7일
주교 11앙리 디스니, O.F.M.
주교 11 축성일1275년 10월 9일
추가 정보
아레초 대성당의 부팔마코가 그린 그레고리오 10세 프레스코
부오나미코 부팔마코가 그린 그레고리오 10세의 프레스코 (대략 1330년)

2. 생애 초기

피아첸차에서 1210년에 태어난 테오발도 비스콘티는 팔레스트리나 교구장이자 시토회원인 자코모 데 페코라리 추기경(1231-1244)을 위해 일하면서 경력을 시작했다고 한다. 테오발도는 자코모 추기경에게 감명을 받았으며, 샹파뉴의 트루아퐁텐 수도원의 아빠스로 선출된 후에도 그의 집사로 계속 봉사하였다.[43] 자코모 추기경은 교황 그레고리오 9세의 특사로 토스카나와 롬바르디아, 프랑스, 독일을 순차적으로 방문하였는데, 이때 테오발도는 프로방스에서 추기경을 보좌하면서 프랑스의 유력한 성직자들과 평신도들과 알게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4] 1239년 테오발도는 이미 산 안토니오 성당의 의전참사회원이었다.[45]

이후 테오발도는 교황 그레고리오 9세와 전쟁을 벌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에 맞선 십자군을 프랑스에 요청하기 위한 임무를 띤 추기경과 동반하였다. 1239년 초, 교황은 황제를 재차 파문하였고, 양측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세계 공의회 소집이 요구되었다. 교황은 자신의 주최 아래 교황령에서 공의회를 소집하려고 계획하였고, 프리드리히 2세의 적들을 로마로 불러들이려 하였다. 1240년 테오발도는 자코모 추기경의 요청에 따라 리옹 대성당의 의전참사회원이 되었다.[46] 그레고리오 9세는 1241년 8월 22일 선종하였고, 그의 후임자 교황 첼레스티노 4세는 선출된 지 17일 만인 1241년 11월 10일 선종하였다. 첼레스티노 4세 사후 후임 교황 선출은 한동안 개최되지 못했고, 추기경들은 1241년 8월 22일부터 10월 25일까지의 사도좌 공석 기간 동안의 기억 때문에 흩어졌다.[47] 1243년 6월 아나니에서 개최된 교황 선거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4세가 선출되었다. 1243년 피아첸차 주교가 선종하자 인노첸시오 4세는 테오발도에게 피아첸차 주교직을 제안했으나, 테오발도는 이를 고사하고 1244년 6월 25일 선종한 자코모 추기경을 계속 보좌하였다.

3. 프랑스에서의 활동과 제1차 리옹 공의회

테오발도 비스콘티는 프랑스의 유력한 성직자 및 평신도들과 교류하였고, 1240년에는 리옹 대성당의 의전참사회원이 되었다.[46] 1244년 7월, 교황 인노첸시오 4세는 프리드리히 2세 황제를 피해 리옹으로 피신하여 제1차 리옹 공의회를 소집했다. 테오발도는 이 공의회 구성을 도왔으며,[48] 보나벤투라, 토마스 아퀴나스, 기 파우코이, 피에르 드 타랑테즈 등과 친분을 맺었다.[49]

1246년, 테오발도는 리에주 교구의 수석부제로 임명되었고,[49] 인노첸시오 4세의 지시로 십자군 원정 설교를 하였다. 그러나 리에주 주교 선출을 둘러싼 분쟁에 휘말렸고, 1262년에는 주교 하인리히와 갈등을 빚었다.[54] 이후 파리로 가서 신학 공부를 다시 시작했고, 프랑스루이 9세와 친구가 되었다.[55]

4. 교황 선출

추기경단의 분열로 2년 9개월이나 교황 선출이 지연되다가, 1271년 9월 1일 테오발도 비스콘티가 교황 클레멘스 4세의 후임으로 선출되었다. 비테르보에 모인 추기경들은 프랑스파와 이탈리아파로 나뉘었다. 루이 9세의 동생이자 클레멘스 4세에 의해 시칠리아 왕으로 임명된 카를로 1세의 지지를 받은 프랑스파는 자국 출신 교황을 선출하려 했다.[14]

18개월간 교착 상태가 지속되자, 비테르보 당국과 시민들은 추기경들을 감금하고 빵과 물만 제공하며 압박했다. 결국 추기경들은 양측에서 3명씩, 총 6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이 위원회는 리에주의 수석부제였던 테오발도 비스콘티를 교황으로 결정했고, 1271년 9월 1일 추기경 전원이 만장일치로 비준했다. 이는 프랑스파의 승리로 여겨졌는데, 테오발도가 프랑스와 가까웠고 그의 조카가 카를로 1세의 조언자였기 때문이다.[14]

당시 테오발도는 잉글랜드에드워드 1세와 함께 아크레에서 제9차 십자군에 참여 중이었다. 그는 십자군 지원을 호소하며 이탈리아로 돌아갔고, 1272년 1월 1일 브린디시에 도착했다. 2월 초에는 비테르보에서 추기경들을 만났고, 교황 선출을 수락했다. 1272년 3월 13일 로마에 입성한 그는 3월 19일 사제 서품을, 3월 27일에는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주교 서품 및 교황 대관식을 가졌다.[14]

5. 교황 재위 기간의 업적

1268년 클레멘스 4세가 사망한 후 3년 만인 1271년 그레고리오 10세가 선출되었다. 그는 제8차 십자군에 종군 중이었기 때문에 로마로 돌아와 즉위했다.

1274년 제2차 리옹 공의회를 개최하여 동로마 제국 황제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를 초청, 대리 사절을 통해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의 통합을 논의했다. 그러나 이는 시칠리아 왕국의 샤를 1세를 견제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이 컸고, 결국 통합은 무산되었다.[67]

그레고리오 10세는 교황 선출 과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교황 선거법을 개정했다. 주요 내용은 교황 선출이 지연될 경우 추기경단을 외부와 격리하는 것이었다. 또한 신성 로마 제국의 대공위시대를 종식시키기 위해 루돌프 1세를 로마왕으로 승인하고, 알폰소 10세의 왕위 주장은 반대했다.

1271년 니콜로 폴로와 그의 아들 마르코 폴로에게 쿠빌라이 칸에게 보낼 편지를 전달하는 교황 그레고리오 10세.


몽골 제국과의 외교 관계도 주요 업적 중 하나였다. 쿠빌라이 칸의 요청에 따라 선교사를 파견하려 했으나, 일칸국과의 군사 협력 논의와 함께 십자군 원정 계획이 좌초되면서 무산되었다.[57][58][59][60]

5. 1. 제2차 리옹 공의회

그레고리오 10세는 교황으로 재임하는 동안 '피의 비방' 소문과 그로 인한 유대인 박해에 반대하는 서신을 썼다.[61] 그는 교황 선거 과정에 대한 엄격한 통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비테르보 콘클라베에서 자신이 선출된 경험을 바탕으로 엄격한 콘클라베 규정을 담은 교황 선거법을 제정하는 교황 칙서 《위험이 있는 곳에》(Ubi periculum)를 발표했다. 이 칙서는 1274년 7월 16일 제2차 리옹 공의회에서 비준되어 교회법전 조항에 포함되었다.

1272년 로마에 도착한 그레고리오 10세의 첫 번째 행동은 전임 교황 그레고리오 9세의 뜻을 이어받아 공의회 소집에 착수한 것이었다. 교황 즉위 이틀 후, 그는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1세에게 1274년 5월 1일로 예정된 공의회 초대장을 보냈다.[62] 1273년 6월 5일 오르비에토를 떠나 1273년 11월 중순에 리옹에 도착했다.[63] 모든 추기경이 동행한 것은 아니었다. 1273년 11월 29일 에드워드 1세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레고리오 10세는 리카르도 안니발디 추기경과 조반니 오르시니 추기경이 로마에 남아있으며, 기 드 몽포르를 엄중히 감시할 곳을 찾으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언급했다.[64] 두 추기경은 가문 간의 오랜 불화 때문에 로마에 남겨져 서로를 견제하는 효과를 냈다. 그들은 제2차 리옹 공의회 개막식에 참석하지 않았다.[65] 그레고리오 10세는 프랑스 왕 필리프 3세를 만났는데, 필리프 3세는 즉위 이후 꾸준히 국정을 이끌어왔다. 브나스크 백작령이 교황에게 이양되면서 양측의 만남은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된다.[66] 1274년 5월 1일, 교황 선거법 제정, 동서 교회의 분열 극복, 십자군 지원 등을 논의하기 위해 리옹에서 14번째 세계 공의회가 소집되었다.

그레고리오 10세는 세계 공의회 소집을 자신의 주요 목표로 삼고, 다음과 같은 사안들을 다루도록 했다.

  • 동방 정교회와의 화해 및 동서 교회 분열 종식.[67]
  • 새로운 십자군 원정 준비 및 모든 교회의 지원금 납부.[68]
  • 교회 부패 척결.
  • 《위험이 있는 곳에》(Ubi periculum)를 통한 교황 선거법 제정.


그레고리오 10세는 교리적 문제보다는 규율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69]

그는 십자군 지원을 위해 모든 성직자에게 수입의 10%를 6년간 의무적으로 납부하도록 했다. 이는 1215년 제4차 라테라노 공의회에서 성직자들에게 수입의 5%를 3년간 십자군 지원금으로 내도록 한 것에 비해 4배나 인상된 것이었다. 이를 위해 26개의 세무소가 설치되었다.[70]

《위험이 있는 곳에》(Ubi periculum)는 콘클라베에 관한 여러 중요 사항을 규정했다.[71]

  • 교황 선종 시, 교황과 교황청이 머물던 곳에서 적절한 장소를 찾아 교황 선거를 진행해야 한다. 별장, 시골, 마을에 있다면 성무 금지령이 내려지지 않은 가장 가까운 도시로 이동해야 한다.
  • 교황 선거는 전임 교황 사후 10일 이내에 개최해서는 안 된다.
  • 콘클라베에 불참한 추기경은 투표권을 행사할 수 없다.
  • 추기경이 아닌 사람은 선거권을 가질 수 없다.
  • 교황 서거 후 9일간 공식 애도 기간을 갖는다. 10일째 되는 날 교황 선출 청원 미사를 봉헌한다. 모든 추기경은 교황이 선종한 장소에 머물러야 하며, 외부와 차단된 장소에 모여야 한다. 건강이 좋지 않은 추기경은 사전에 양해를 구해 3~4명의 하인을 동반할 수 있다. 건강 문제 외에는 외부인의 출입이나 퇴장이 금지된다. 내벽은 없지만, 각 추기경의 숙소는 천으로 분리하고 공동 기숙해야 한다.
  • 콘클라베 장소는 엄중히 경비해야 한다.
  • 추기경들은 새 교황이 선출되기 전까지 어떤 이유로든 콘클라베를 떠날 수 없다.
  • 콘클라베 장소 봉쇄 후 도착한 추기경도 선거에 참여할 수 있다. 파문된 경우를 제외하고 어떤 추기경도 교황 선거에서 배제될 수 없다.
  • 추기경들이 콘클라베에 들어간 후 3일 안에 교황을 선출하지 못하면 점심이나 저녁 중 한 끼만 제공된다.
  • 콘클라베 기간 동안 파문, 뇌물 수수, 약조, 교황 당선 후 공약 등이 금지된다. 추기경들은 교황 선출 외 다른 업무에 관여할 수 없다.
  • 추기경단 3분의 2 이상 득표를 얻어야 교황으로 선출된다.
  • 교황 선종 즉시 교황 궁무처장, 교황청 내사원장 및 부원장을 제외한 모든 교황청 기구는 업무를 중단한다.


1274년 제2 리옹 공의회에는 동로마 제국 황제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가 초청받았으나 직접 참석하지 않고 대리 사절을 파견했다. 공의회에서는 정교회와 가톨릭교회의 통합이 논의되어 동서 교회 통합이 이루어졌지만, 이는 동로마 제국 원정을 꾀하던 시칠리아 왕국 왕 샤를 1세를 견제하기 위한 방책이었고, 정교도들의 평판이 좋지 않아 결국 취소되었다.

5. 2. 교황 선거법 개정

그레고리오 10세는 교황으로 재임하는 동안 소위 ‘피의 비방’ 소문과 그로 인한 유대인 박해에 반대하는 서신을 썼다.[61] 그는 교황 선거 과정에 대한 엄격한 통제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비테르보의 콘클라베에서 자신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는 사실에 착안해 엄격한 콘클라베 규정을 담은 교황 선거법을 제정, 교황 칙서 《위험이 있는 곳에》(Ubi periculum)를 발표하였다. 이 칙서는 1274년 7월 16일 제2차 리옹 공의회에서 비준되어 교회법전 조항에 포함되었다.

《위험이 있는 곳에》(Ubi periculum)는 콘클라베에 대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중요한 사항을 제정했다.[71]

  • 교황이 선종하면 교황과 교황청이 머물러 있는 곳 중 적절한 장소에서 교황 선거를 치러야 한다. 만약 별장이나 시골 지역, 마을에 있다면 추기경단은 성무 금지가 내려져 있지 않은 가장 가까운 도시로 장소를 옮겨야 한다.
  • 교황 선거는 전임 교황 사후 10일 이내에 치러져서는 안 된다.
  • 콘클라베에 불참한 추기경은 투표권을 행사할 수 없다.
  • 콘클라베에 불참한 추기경 뿐만 아니라 추기경이 아닌 사람은 선거권을 가질 수 없다.
  • 선종한 교황에 대한 공식 애도 기간은 교황 사후 9일이다. 10일째 되는 날에는 교황 선출 청원 미사를 봉헌한다. 모든 추기경은 교황이 선종한 장소에 머물러 있어야 하며, 그들이 모인 장소를 외부와 차단해야 한다. 추기경들 중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이 있을 경우, 미리 양해를 구해 세네 명 정도의 하인을 대동할 수 있다. 그 밖에 건강이 좋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외부인이 함부로 퇴장하거나 출입할 수 없다. 내벽은 없어야 하지만, 각 추기경의 숙소는 천으로 분리되어야 하며, 그들은 공동으로 기숙해야 한다.
  • 콘클라베가 실시된 장소는 엄중히 경비해야 한다.
  • 추기경들은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새 교황이 선출되기 전까지는 콘클라베를 떠날 수 없다.
  • 콘클라베 장소가 봉쇄되어 교황 선거가 시작된 뒤에 도착한 추기경도 콘클라베에 참여하여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다. 파문된 경우를 제외하면, 이유를 불문하고 어떤 추기경도 교황 선거에서 배제될 수 없다.
  • 추기경들이 콘클라베에 들어간 후 3일 안에 교황을 선출하지 않으면 추기경들에게 점심과 저녁 중 한 끼만 제공한다.
  • 콘클라베 기간 동안에는 아무도 파문되거나 추기경들 사이에 뇌물을 주고 받거나 어떠한 약조를 하거나 자신이 교황이 된 후에 무엇을 하겠다고 공약할 수 없다. 콘클라베 기간 동안 추기경들은 교황을 선출하는 것 외에 다른 업무에 일체 관여해서는 안 된다.
  • 추기경단에서 3분의 2 이상 득표를 받은 사람만이 교황이 된다.
  • 교황이 선종하면 그 즉시 교황 궁무처장과 교황청 내사원장 및 부원장을 제외한 모든 교황청 기구는 업무를 잠시 중단한다.


1268년 클레멘스 4세가 사망한 후 열린 콘클라베에서 3년이 지나도록 교황이 선출되지 못하다가, 1271년 테오발도가 선출되었다. 그러나 그는 에드워드 왕태자(훗날 잉글랜드에드워드 1세)가 이끄는 제8차 십자군에 종군하여 부재 중이었고, 로마로 돌아와 즉위했다.

1274년에 제2차 리옹 공의회를 개최하여 동로마 제국 황제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에게 참가를 요청했고, 미하일 8세는 직접 참가하지는 않았지만, 대리 사절을 파견했다. 공의회에서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의 통합이 논의되었고, 동서 교회의 통합이 이루어졌지만, 이는 동로마 제국 원정을 꾀하는 시칠리아 왕국 왕 샤를 1세를 견제하기 위한 방책이었고, 정교도들의 평판은 좋지 않아 결국 취소되었다.

그레고리오 10세는 자신의 교황 선출까지 3년이나 걸린 콘클라베의 악습을 바로잡기 위해 교황이 선출되지 않을 경우, 추기경단을 외부와 격리하는 등의 개정을 실시했다.

5. 3. 몽골과의 외교 관계



1271년 교황으로 선출된 직후 그레고리오 10세는 몽골을 방문하고 온 니콜로 폴로와 그의 17살짜리 아들 마르코 폴로를 통해 몽골의 대칸 쿠빌라이 칸이 보낸 편지를 받았다. 쿠빌라이 칸은 교황에게 선교사 백 명과 거룩한 무덤 성당의 등잔 기름 일부를 보내줄 것을 요청했다. 교황은 두 명의 수사와 약간의 기름만을 보내주었다. 몽골로 떠난 수사들은 얼마 안 가 되돌아왔다. 니콜로 폴로와 마르코 폴로 부자는 1275년 몽골 제국으로 다시 가서 교황이 쿠빌라이 칸에게 보낸 기름을 전달하였다.[57]

몽골의 일칸국 지도자 아바카 칸은 몽골과 유럽 간의 군사 협력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1274년 제2차 리옹 공의회에 십여 명으로 구성된 외교 사절단을 파견했다.[58] 공의회가 폐회한 후, 아바카 칸은 재차 조지아 사람인 바사리 형제를 서방 지도자들에게 외교 사절로 보내 군사들을 준비시켰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이에 그레고리오 10세는 아바카 칸의 사절단에게 일칸국이 십자군 원정에 참여한다면 군사 조직에 편성될 수 있을 것이라고 대답하였다.[59] 그러나 1276년 1월 10일 그레고리오 10세가 선종하면서 새 십자군 원정 계획은 사실상 좌초되었다. 십자군 원정을 위해 모은 자금은 이탈리아에 배분되었다.[60]

5. 4. 그 밖의 활동

그레고리오 10세는 교황으로 재임하는 동안 '피의 비방' 소문과 그로 인한 유대인 박해에 반대하는 서신을 썼다.[61] 또한 교황 선거 과정의 엄격한 통제를 위해, 자신이 교황으로 선출된 비테르보의 콘클라베를 참고하여 엄격한 콘클라베 규정을 담은 교황 선거법을 제정한 교황 칙서 《위험이 있는 곳에》(Ubi periculum)를 발표했다. 이는 1274년 제2차 리옹 공의회에서 비준되어 교회법전 조항에 포함되었다.

1268년 클레멘스 4세 사망 후 열린 콘클라베는 3년이 지나도록 교황을 선출하지 못했다. 1271년 테오발도가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나, 제8차 십자군에 종군하여 부재중이었고, 로마로 돌아와 즉위했다. 이러한 콘클라베의 악습을 바로잡기 위해, 교황이 선출되지 않을 경우 추기경단을 외부와 격리하는 등의 개정을 실시했다.

1274년 제2차 리옹 공의회에서는 동로마 제국 황제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에게 참가를 요청하여, 대리 사절을 통해 정교회와 가톨릭교회의 통합이 논의되었다. 그러나 이는 시칠리아 왕국 왕 샤를 1세를 견제하기 위한 방책이었고, 정교도들의 평판이 좋지 않아 결국 취소되었다.

그레고리오 10세는 대공위시대를 종결시킨 루돌프 1세의 로마왕 지위를 승인했지만, 카스티야 왕국알폰소 10세의 선출에는 반대했다. 알폰소 10세는 1275년에 왕위를 포기했다.

6. 죽음과 시복

그레고리오 10세는 1275년 4월 리옹을 떠난 후 건강이 급격하게 나빠졌다. 탈장 증세로 고생하여 로마로 돌아가는 길에 자주 멈춰야 했다. 1275년 9월 30일 빈에서 출발해 1275년 10월 6일 로잔에 이르렀다.[72] 로잔에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선출된 로마왕 루돌프 1세를 만나 1275년 10월 20일 그에게서 충성 서약을 받았다.[73] 1275년 11월 12일 밀라노에 도착했고, 교황 일행은 1275년 12월 5일 레지오에밀리아, 12월 11일에는 볼로냐에 이르렀다. 체온이 급격하게 올라가고 탈장 증세로 인해 1275년 크리스마스 때 아레초에서 멈추었다. 그레고리오 10세의 건강은 눈에 띄게 나빠졌으며, 결국 1276년 1월 10일 아레초에서 선종하였다. 그의 시신은 아레초 대성당 안에 안장되었다.

아레초 대성당의 교황 그레고리오 10세 무덤


그의 후임자는 생전에 가깝게 지낸 협력자인 도미니코회원 피에르 드 타랑테즈(교황 인노첸시오 5세)가 되었다.[74]

그레고리오 10세가 교황으로 재임하는 동안 시성한 인물은 한 명이었다. 1273년 9월 프란카 비살타에 대한 공경을 승인하였다. 프란카 비살타는 피아첸차 태생의 시토회 수녀로 수도회 규칙에 따라 엄격한 극기를 하였다. 그녀는 7세의 나이에 수녀원에 들어가 14세 때 서원을 하였다. 나중에 수녀원장으로 선출되었다.[75]

1270년 프랑스 왕 루이 9세가 사망하자 그레고리오 10세는 1272년 그에게 하느님의 종 칭호를 부여하고 시성 절차를 개시하였다.

1274년 그레고리오 10세는 루케치오 몬데스티니를 시복하였다. 1713년 교황 클레멘스 11세는 교황 그레고리오 10세를 시복하였다. 그의 시성 절차는 1944년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재개되었다. 현재 그레고리오 10세의 시성은 그의 전구를 통해 일어난 기적이 요구되어 여전히 미결 상태이다. 1276년 1월 10일, 아레초에서 병으로 사망했다. 사후에 복자로 시성되었다. 즉시 콘클라베가 열렸고, 21일에 인노첸시오 5세가 선출되었다. 그레고리오 10세가 확립한 콘클라베는 형태를 바꾸면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7. 평가와 유산

아레초에서 병으로 사망하였다. 사후에 복자로 시성되었다. 즉시 콘클라베가 열렸고, 21일에 인노첸시오 5세가 선출되었다. 그레고리오 10세가 확립한 콘클라베는 형태를 바꾸면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참조

[1] 서적 Relazione delle aversita e patimenti del glorioso Papa Pio VI negli ultimi tre anni del suo pontificato Tipografia poliglotta del S.C. di Propaganda Fide 1889
[2] 서적 Il conclavo 1901
[3] 서적 Dell' historia ecclesiastica di Piacenza 1651
[4] 기타
[5] 기타
[6] 기타
[7] 웹사이트 The Sede Vacante and Conclave of 10 November 1241-24 June 1243 http://www.csun.edu/[...]
[8] 기타
[9] 서적 Pope Gregory X and the Crusades
[10] 간행물 Tableau des archdiacres de Liége pendant le XIIIe siècle 1903
[11] 서적 The Hospitallers and the Holy Land: Financing the Latin East, 1187-1274 Boydell Press 2005
[12] 서적 Gallia christiana 1725
[13] 서적 Pope Gregory X and the Crusades
[14] 서적 Gallia christiana 1725
[15] 서적 Gallia christiana 1725
[16] 기타 Vita Gregorii X Papae
[17] 서적 Henry the Third and the English Church 1905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The Medieval Expansion of Europe Clarendon 1998
[21] 서적 The Mongols and the West: 1221-1410 Routledge 2014
[22] 서적 Histoire des Croisades Fayard 1996
[23] 서적 Atlas des Croisades
[24] 웹사이트 http://www.fordham.e[...]
[25] 서적 Foedera, Conventiones, Literae et cuiusque generis Acta Publica inter Reges Angliae et alios... 1745
[26] 서적 Regesta pontificum Romanorum 1875
[27] 서적
[28] 간행물 Brevis Historia Concilii Lugdunensis Ermanno Loescher 1890
[29] 기타 1273-11-21
[30] 서적 The Orthodox Church in the Byzantine Empire OUP 2010
[31] 서적 Papal Crusading Policy, 1244-1291: The Chief Instruments of Papal Crusading Policy and Crusade to the Holy Land from the Final Loss of Jerusalem to the Fall of Acre 1244-1291 E.J. Brill 1975
[32] 서적 Church in Council: Conciliar Movements, Religious Practice and the Papacy I.B.Tauris 2011
[33] 서적 Pope Gregory X and the Crusades
[34] 서적
[35] 서적 Regesta Pontificum Romanorum 1875
[36] 서적 Dell' historia ecclesiastica di Piacenza Piacenza 1662
[37] 웹사이트 SEDE VACANTE http://www.csun.edu/[...]
[38] 간행물 Acta Sanctorum: Aprilis Antwerp 1675
[39] 웹사이트 Vatican newspaper examines history of red, white papal garb http://www.catholicc[...] 2015-04-02
[40] 웹사이트 L'Osservatore Romano http://www.osservato[...] 2015-04-02
[41] 서적 Index ac status causarum beatificationis servorum dei et canonizationis beatorum Typis polyglottis vaticanis 1953-01
[42] IMDb Marco Polo
[43] 서적 Dell' historia ecclesiastica di Piacenza Piacenza 1651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웹인용 The Sede Vacante and Conclave of 10 November 1241-24 June 1243 http://www.csun.edu/[...]
[48] 서적 Pope Gregory X and the Crusades
[49] 간행물 Tableau des archdiacres de Liége pendant le XIIIe siècle Liège 1903
[50] 서적 The Hospitallers and the Holy Land: Financing the Latin East, 1187-1274 Boydell Press 2005
[51] 서적 Pope Gregory X and the Crusades
[52] 서적 Pope Gregory X and the Crusades
[53] 간행물 Gallia christiana Paris 1725
[54] 간행물 Gallia christiana Paris 1725
[55] 간행물 "Vita Gregorii X Papae," ab antiquissimo anonymo auctore scripta, in Ludovico Muratori Rerum Italicarum Scriptores Mediolani 1733
[56] 서적 Henry the Third and the English Church London 1905
[57] 서적 The Medieval Expansion of Europe Clarendon 1998
[58] 서적 The Mongols and the West: 1221-1410 Routledge 2014
[59] 서적 Histoire des Croisades Fayard 1996
[60] 서적 Atlas des Croisades
[61] 웹사이트 http://www.fordham.e[...]
[62] 간행물 Foedera, Conventiones, Literae et cuiusque generis Acta Publica inter Reges Angliae et alios... The Hague 1745
[63] 서적 Regesta pontificum Romanorum Berlin 1875
[64] 간행물
[65] 간행물 Brevis Historia Concilii Lugdunensis
[66] 기타
[67] 서적 The Orthodox Church in the Byzantine Empire OUP 2010
[68] 서적 Papal Crusading Policy, 1244-1291: The Chief Instruments of Papal Crusading Policy and Crusade to the Holy Land from the Final Loss of Jerusalem to the Fall of Acre 1244-1291 E.J. Brill 1975
[69] 서적 Church in Council: Conciliar Movements, Religious Practice and the Papacy I.B.Tauris 2011
[70] 서적 Pope Gregory X and the Crusades
[71] 서적 Breviarium historico-chronologico-criticum illustriora pontificum Romanorum, Conciliorum Generaliorum acta... Antwerp 1718
[72] 서적 Regesta Pontificum Romanorum Berlin 1875
[73] 서적 Dell' historia ecclesiastica di Piacenza Piacenza 1662
[74] 웹사이트 Conclave of 20-21 January 1276 http://www.csun.edu/[...]
[75] 간행물 Acta Sanctorum: Aprilis Antwerp 1675
[76] 웹인용 Vatican newspaper examines history of red, white papal garb http://www.catholicc[...] 2015-04-02
[77] 웹인용 L'Osservatore Romano http://www.osservato[...] 2015-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