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클레멘스 4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레멘스 4세는 1265년부터 1268년까지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이다. 그는 프랑스에서 태어나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프랑스 국왕 루이 9세의 고문으로 일하며 추기경이 되었다. 교황으로 선출된 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의 사생아 만프레디와 대립하며 앙주의 샤를을 지원하여 시칠리아 왕국의 카를로 1세로 즉위시켰다. 또한 프란치스코회 학자 로저 베이컨에게 《대저작》을 집필하도록 지시하고, 토마스 아퀴나스를 교황의 신학자로 초빙하는 등 학문을 후원했다. 몽골의 일칸국 아바카 칸과 외교 관계를 맺고 프랑코-몽골 동맹을 제안받았으나, 실질적인 동맹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클레멘스 4세는 금욕적인 성품으로 칭찬을 받았으며, 비테르보의 도미니코회 수도원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르본 대교구장 - 교황 클레멘스 7세
교황 클레멘스 7세는 메디치 가문 출신으로 정치적 불안과 로마 약탈을 겪었으며 헨리 8세의 이혼 문제로 잉글랜드 교회의 분리를 초래했지만 르네상스 문화 발전에 기여한 219대 교황이다. - 프랑스 재상 - 미셸 드 로피탈
미셸 드 로피탈은 프랑수아 1세부터 샤를 9세 시대에 프랑스 대법관을 지낸 법률가이자 정치가로, 종교적 관용 정책 추진, 스토아 철학 심취, 삼부회 옹호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몽테뉴로부터 훌륭한 재상으로 평가받았다. - 프랑스 재상 - 교황 실베스테르 2세
10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반에 활동한 프랑스 출신의 학자이자 교사이며 교황(재위 999년~1003년)인 실베스테르 2세는 당대 최고의 지식인 중 한 명으로, 수학, 천문학 등 학문 발전에 기여하고 유럽에 아라비아 숫자를 소개하고 주판을 재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교회 개혁과 동유럽 선교에 힘썼다. - 1268년 사망 - 김준 (고려 후기)
김준은 최충헌 가노의 아들로 최씨 정권 붕괴 후 권력을 잡았으나 몽골과의 전쟁 지속을 주장하며 부패를 초래했고, 임연에게 살해당하면서 무신정권 붕괴를 가져왔다. - 1268년 사망 - 피에트로 2세 디 사보이아 백작
피에트로 2세 디 사보이아 백작은 13세기에 활동한 사보이아 백작으로, 성직자에서 백작으로 전향하여 영토 확장과 행정 개혁을 추진했으며, 건축, 법률, 재정 개혁을 시행하다가 후계자 없이 사망했다.
교황 클레멘스 4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클레멘스 4세 |
본명 | 기 푸코이스 |
다른 이름 | 기 드 풀크 (프랑스어: Guy de Foulques) 기 풀크 (프랑스어: Guy Foulques) 귀도 팔코디우스 (라틴어: Guido Falcodius) 귀도 일 그로소 (이탈리아어: Guido il Grosso) |
종교 경력 | |
소속 교회 | 가톨릭교회 |
재임 시작 | 1265년 2월 5일 |
재임 종료 | 1268년 11월 23일 |
선임자 | 교황 우르바노 4세 |
후임자 | 교황 그레고리오 10세 |
주교 서임 | 레몽 아모리 |
주교 서임 날짜 | 1257년 |
주교 임명자 | 우르바노 4세 |
추기경 임명 날짜 | 1261년 12월 17일 |
이전 직책 | 르퓌앙벨레 주교 (1257년–1259년) 나르본 대주교 (1259년–1261년) 사비나 추기경 주교 (1261년–1265년) 고해성사 장관 (1263년–1265년) 잉글랜드 특사 (1263년–1265년)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190년경 11월 23일 |
출생지 | 생질, 툴루즈 백국, 프랑스 왕국 |
사망일 | 1268년 11월 29일 (78세) |
사망지 | 비테르보, 교황령 |
문장 | |
![]() | |
주교 서임 연대표 (클레멘스 4세) | |
주교 1 | O.P. 파페로네 데 파파레스키 |
서임 날짜 1 | 1265년 6월 27일 |
주교 2 | 마리노 데 에볼리 |
서임 날짜 2 | 1266년 ????월 ??일 |
주교 3 | 자코모 데 카스틸리오네 |
서임 날짜 3 | 1266년 3월 |
주교 4 | 우골리노 아쿠아비바 |
서임 날짜 4 | 1266년 ????월 ??일 |
주교 5 | 페드로 모렐라 |
서임 날짜 5 | 1266년 10월 12일 |
주교 6 | 피에르 드 샤르니 |
서임 날짜 6 | 1267년 ????월 ??일 |
서임 날짜 7 | 1267년 ????월 ??일 |
주교 8 | 니콜라 대주교 |
서임 날짜 8 | 1267년 ????월 ??일 |
주교 9 | 위그 대주교 |
서임 날짜 9 | 1268년 6월 20일 |
주교 10 | 장 (존) 루푸스 (라우데) 대주교 |
서임 날짜 10 | 1268년 6월 24일 |
주교 11 | 후안 비야호스 |
서임 날짜 11 | 1268년 9월 3일 |
2. 생애 초기
클레멘스는 프랑스 랑그도크 지방에 있는 생질에서 변호사 피에르 파우코이와 그의 아내 마그리트 루피의 아들로 태어났다. 19세 때, 그는 이베리아 반도의 무어인들과 싸우기 위해 군대에 입대했다.[17] 그 후 툴루즈, 부르주, 오를레앙에서 법학을 공부하여 파리에서 유명한 변호사가 되었다. 그는 루이 9세 국왕의 비서로 활동했으며, 추기경으로 승진하는 데 그의 영향력에 크게 힘입었다. 그는 시몽 드 말보이스의 딸과 결혼하여 두 딸을 두었다. 아내가 죽자 그는 아버지의 모범을 따라 세속적인 삶을 버리고 교회로 들어갔다.[2]
클레멘스 4세는 교황으로 선출될 당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의 사생아 만프레디와 분쟁 중이었다. 프랑스에 있던 클레멘스 4세는 변장을 하고 이탈리아에 들어가 루이 9세의 동생인 앙주의 샤를과 동맹을 맺고, 1266년 1월 6일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샤를에게 시칠리아 왕국 왕위를 수여했다. 샤를은 카를로 1세로 즉위하였다.[17] 클레멘스 4세는 샤를에게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샤를은 베네벤토 전투와 탈리아코초 전투에서 승리하여 시칠리아 왕국을 장악했다.[17]
그의 승진은 매우 빨랐다. 그는 파리의 Abbaye Saint-Magloire de Paris|생 마글루아르 수도원프랑스어에서 서품을 받았고, 1255년 생질의 목사가 되었다. 1257년 그는 르퓌 주교로 임명되었고, 1259년에는 나르본 대주교로 임명되었으며, 1261년 12월에는 교황 우르바노 4세에 의해 최초로 임명된 추기경이 되어 사비나 교구를 맡았다.[3] 그는 1262년부터 1264년까지 잉글랜드에서 교황 특사로 활동했다.[2] 1263년에는 대사면 담당자로 임명되었다.[4]
3. 교황
클레멘스 4세는 프란치스코회 학자 로저 베이컨에게 《대저작》(Opus majus)》 집필을 지시하고, 토마스 아퀴나스를 교황의 신학자로 삼는 등 학문을 후원했다.[17][19][20] 또한 탈무드 금지령을 갱신하고, 교회법을 정비하여 교황의 권한을 강화했다.[21]
1265년 교황 클레멘스 4세는 성직자 배치에 교황이 개입할 수 있도록 교회법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아비뇽 교황청 시대에 교황의 개입권은 절정에 달했고, 교황청의 재원은 상당히 확충되었다. 14세기 중엽에는 교황청의 재원이 서구 각국 국왕과 같은 수준에 이르게 된다.[21]
1266년 클레멘스 4세는 베네벤토 전투 이후 피렌체의 구엘프에게 이탈리아 북부 여러 도시에 대한 권위를 공식적으로 인정해 주었다.
1267년부터 1268년까지 몽골 일칸국의 아바카 칸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외교 관계를 맺었다. 아바카 칸은 프랑스와 몽골의 동맹을 제안했고, 클레멘스 4세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으나, 실제 동맹은 성사되지 않았다.[22][24]
3. 1. 시칠리아 왕국 문제와 앙주 가문 지원
당시 교황청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의 사생아 만프레디와 분쟁을 겪고 있었다. 교황으로 선출될 당시 프랑스에 있었던 클레멘스 4세는 변장하고 이탈리아로 들어갔다. 그는 루이 9세의 동생 앙주의 샤를과 동맹을 맺었다. 호엔슈타우펜 왕가와 불화를 빚은 샤를은 교황을 자신의 봉건 영주로 인정했고, 클레멘스 4세는 1266년 1월 6일 로마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샤를에게 시칠리아 왕국 왕위를 수여했다. 샤를은 카를로 1세로 즉위하였다.[17]
클레멘스 4세는 샤를에게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다. 교황의 지원을 받은 카를로 1세는 군대를 이끌고 나폴리로 진격, 베네벤토 전투에서 만프레디를 격파하고 전사시켰다. 이후 탈리아코초 전투에서 승리하고 콘라딘을 포로로 잡아 시칠리아 왕국을 장악했다.[17]
3. 2. 학문 후원
클레멘스 4세는 프란치스코회 학자 로저 베이컨에게 《대저작(Opus majus)》을 집필하도록 지시했다.[17]
1265년 2월, 클레멘스 4세는 토마스 아퀴나스를 로마로 불러 교황의 신학자로 삼았다.[10] 아퀴나스는 이 기간 동안 로마에서 도미니크 수도회의 섭정 대가로도 활동했다.[11] 아퀴나스가 로마에 오면서, 1222년에 설립된 산타 사비나 성당의 ''수도원 학교''는 1259년 발랑시엔에서 아퀴나스와 다른 사람들에 의해 규정된 철학 연구 (''studia philosophiae'')를 특징으로 하는 수도회의 첫 번째 ''지방 학교''로 변모했으며, 이는 ''수도원 학교''와 ''일반 학교'' 사이의 중간 학교였다. 이 ''수도원 학교''는 16세기의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의 성 토마스 대학과 교황 성 토마스 아퀴나스 대학교, '안젤리쿰'의 선구자였다.[19][20]
1264년, 클레멘스 4세는 그레고리 9세가 공표하고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공개적으로 불태운 탈무드 금지령을 갱신했다. 클레멘스는 탈무드 사본을 숨긴 사람들을 화형에 처하라고 비난하지는 않았지만,[7] 파블로 크리스티아니가 탈무드를 비난하는 것에 응답하여,[8] 아라곤 왕국의 유대인들이 그들의 책을 도미니크 검열관에게 제출하여 삭제하도록 명령했다.[9]
3. 3. 교회법 정비
1265년 교황 클레멘스 4세는 성직자 배치에 교황이 개입할 수 있도록 교회법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아비뇽 교황청 시대에 교황의 개입권은 절정에 달했고, 교황청의 재원은 상당히 확충되었다. 14세기 중엽에는 교황청의 재원이 서구 각국 국왕과 같은 수준에 이르게 된다.[21]
3. 4. 몽골과의 외교 관계
1267년에서 1268년 동안 교황은 몽골의 일칸국 지배자이자 동로마 황제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의 사위인 아바카 칸과 서신을 주고받았다. 아바카 칸은 교황에게 프랑스와 몽골이 동맹을 맺는 것을 제안했다. 당초에 아바카 칸의 제안에 대해 어중간한 입장을 취했던 클레멘스 4세는 그에게 곧 십자군 원정이 있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1267년 클레멘스 4세와 아라곤 국왕 하우메 1세는 제이미 알라릭 드 페르피냥을 사절로 보냈다.[22]
클레멘스 4세의 후임 교황들은 세기 말까지 몽골과의 외교적 접촉을 계속 이어나갔지만, 실제로 동맹을 조정하지는 못했다.[24]
4. 죽음
몇 개월 후 클레멘스 4세는 선종하여 비테르보 교외에 있는 도미니코회 수도원인 산타 마리아 인 그라디 수도원에 안장되었다. 이곳은 그가 재임 시절 동안 지냈던 곳이기도 하다.[25] 1885년 그의 무덤은 비테르보에 있는 산 프란체스코 알라 로카 성당으로 이관되었다.[26] 클레멘스 4세가 선종한 후, 추기경들 사이에 반목으로 인해 교황좌는 거의 3년 동안 공석 상태가 되었다.
클레멘스 4세의 개인적인 성품은 금욕주의로 동시대 사람들에게 칭찬을 받았으며, 특히 자신의 친족을 등용하고 부유하게 만들지 않으려는 그의 성향에 대해 칭찬을 받았다. 그는 또한 프란체스코회 학자인 로저 베이컨에게 자신에게 헌정된 ''오푸스 마이우스''를 저술하도록 지시했다.
참조
[1]
서적
Personal Names of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Pope Clement IV.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6-01-02
[3]
EB1911
Clement
[4]
웹사이트
Miranda, Salvador. "Foucois, Gui",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https://web.archive.[...]
2016-01-02
[5]
간행물
Alexandre IV contre Manfred
[6]
서적
Registres de Clément IV
https://gutenberg.be[...]
Thorin & fils
[7]
문서
The Talmud
[8]
서적
The Apostolic See and the Jews
Pontifical Institute of Mediaeval Studies
[9]
서적
The Censorship of Hebrew Books
Knickerbocker Press
[10]
웹사이트
Saint Thomas Aquinas, by Placid Conway, OP
https://web.archive.[...]
Longmans, Green and Co.
2013-02-05
[11]
웹사이트
Acta Capitulorum Provincialium, Provinciae Romanae Ordinis Praedicatorum, 1265, n. 12, in Corpus Thomisticum
http://www.corpustho[...]
2011-08-04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Western Europe and the Mongol Empire
[15]
서적
Lives of the Popes
HarperCollins
[16]
문서
[17]
웹사이트
Pope Clement IV.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6-01-02
[18]
웹인용
Miranda, Salvador. "Foucois, Gui",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https://web.archive.[...]
2017-09-13
[19]
웹사이트
Saint Thomas Aquinas, by Placid Conway, OP
http://www.catholic-[...]
Longmans, Green and Co.
2012-10-27
[20]
웹사이트
Acta Capitulorum Provincialium, Provinciae Romanae Ordinis Praedicatorum, 1265, n. 12, in Corpus Thomisticum
http://www.corpustho[...]
2011-08-04
[21]
저널
Introduction to Medieval Europe 300-1500
http://dx.doi.org/10[...]
2014-02-03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Western Europe and the Mongol Empire
[25]
서적
Lives of the Popes
HarperCollins
[2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