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도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도노는 676년 11월 2일에 즉위하여 678년까지 재위한 로마 출신의 교황이다. 그는 성 베드로 대성전 앞 마당을 대리석으로 포장하고, 여러 로마 성당을 재건했다. 또한 라벤나 대교구의 분열을 해결하고, 네스토리우스주의를 추종하는 무리를 로마에서 몰아냈다. 동로마 제국과의 관계는 유화적으로 유지하려 했으나, 교황 재임 중 사망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와의 논쟁은 후임 교황에 의해 종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78년 사망 - 아이샤
아이샤는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아내 중 한 명으로 수니파 무슬림들에게 존경받는 여성상의 전형이며 초기 이슬람 정치와 사회에 관여했고 하디스 전승에 기여했지만, 결혼 시기와 제1차 피트나 당시 알리와의 대립은 역사적 논쟁거리이다. - 678년 사망 - 예군
예군은 백제 멸망 전후 당나라에서 활동하며 백제 유민들을 위무하는 데 힘쓴 백제 좌평 출신의 인물로, 시안에서 발견된 묘지명에 '일본'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여 논쟁이 있다. - 7세기 이탈리아 사람 - 교황 호노리오 1세
교황 호노리오 1세는 앵글로색슨 선교 지원과 기독교 건축물 재건에 힘썼으나, 단의론 논쟁에 휘말려 사후 파문되었고, 이슬람의 부상을 인지했다. - 7세기 이탈리아 사람 - 교황 요한 4세
교황 요한 4세는 640년에 즉위하여 642년에 사망한 교황으로, 단의론을 비판하고 슬라브족 선교에 힘썼으며 고향 지역 구호 활동을 펼쳤다. - 7세기 교황 - 교황 호노리오 1세
교황 호노리오 1세는 앵글로색슨 선교 지원과 기독교 건축물 재건에 힘썼으나, 단의론 논쟁에 휘말려 사후 파문되었고, 이슬람의 부상을 인지했다. - 7세기 교황 - 교황 요한 4세
교황 요한 4세는 640년에 즉위하여 642년에 사망한 교황으로, 단의론을 비판하고 슬라브족 선교에 힘썼으며 고향 지역 구호 활동을 펼쳤다.
교황 도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함 | 교황 |
이름 | 도노 |
재임 기간 | |
임기 시작 | 676년 11월 2일 |
임기 종료 | 678년 4월 11일 |
이전 교황 | 아데오다토 2세 |
다음 교황 | 아가토 |
개인 정보 | |
출생지 | 동로마 제국, 로마 |
사망일 | 678년 4월 11일 |
사망지 | 동로마 제국, 로마 |
2. 생애
도노는 로마 출신으로 마우리키우스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 외에 도노의 유년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전혀 없다.
교황으로 선출된 후 성 베드로 대성전 앞마당을 하얀색 대리석 벽돌로 포장했으며, 산 파올로 푸오리 레 무라 대성전과 아피아 가도에 있는 성녀 에우페미아 성당을 비롯한 로마의 다른 여러 성당을 재건하였다.[11]
라벤나 대주교 레파라투스는 로마에 돌아와 로마 관구에 귀속하여, 라벤나 대교구의 독립을 주창했던 마우루스가 일으킨 기독교 분열을 치유하였다.
도노 교황 재임 시기에 로마의 한 시리아계 수도원에서 네스토리우스주의를 추종하는 무리가 거주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도노는 즉시 수사들을 로마의 다른 여러 수도원 및 기도원으로 분산시키고, 수도원 건물은 로마 수사들에게 하사하였다. 콘스탄티노폴리스와의 관계에서는 유화적인 태도를 보였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가 도노에게 일치를 요구하는 서신을 보냈지만, 정통 교리에 관한 언급이 없었기 때문에 논란이 되었다. 678년 동로마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4세는 유화적인 서신을 도노에게 보내어 이 문제를 종식시키기 위해 공의회를 소집하자고 제안하였지만, 도노는 이미 선종한 후였다.
도노는 1년 160일 동안 교황으로 재위하였으며, 사후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황 선출
도노는 로마 출신으로 마우리키우스의 아들로 태어났다. 도노의 유년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전혀 없다.[1]676년 11월 2일, 도노는 아데오다토 2세의 뒤를 이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2] 교황으로 선출될 당시 도노는 이미 노령이었다.[1]
2. 2. 교황 재위 기간의 업적
도노는 성 베드로 대성전 앞마당을 하얀색 대리석 벽돌로 포장했으며, 산 파올로 푸오리 레 무라 대성전과 아피아 가도에 있는 성녀 에우페미아 성당을 비롯한 로마의 다른 여러 성당을 재건하였다.[11]라벤나 대주교 레파라투스는 로마에 돌아와 로마 관구에 귀속하여, 라벤나 대교구의 독립을 주창했던 마우루스가 일으킨 기독교 분열을 치유하였다.[7]
도노 교황 재임 시기에 로마의 한 시리아계 수도원에서 네스토리우스주의를 추종하는 무리가 거주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도노는 즉시 수사들을 로마의 다른 여러 수도원 및 기도원으로 분산시키고, 수도원 건물은 로마 수사들에게 하사하였다.[6] 콘스탄티노폴리스와의 관계에서는 유화적인 태도를 보였다.[8][9]
2. 3. 죽음
도노는 1년 160일 동안 교황으로 재위하였으며, 678년 4월 11일에 사망하여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장되었다.[11][10] 그의 뒤를 이어 아가토가 즉위했다.[10]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Popes: From Peter to Pius XII
[2]
서적
The Popes and the Church of Rome in Late Antiquity
[3]
서적
Liber Pontificalis
[4]
서적
Vite de'vescovi Aretini ... dall'anno CCCXXXVI sino all'anno MDCXXXVIII, etc
https://books.google[...]
Ercole Gori
[5]
서적
Liber Pontificalis
[6]
서적
The Popes and the Church of Rome in Late Antiquity
Routledge
2014-11-27
[7]
웹사이트
Pope Donu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7-09-12
[8]
서적
Patrologiae latinae: 87: Scriptorum ecclesiasticorum qui in 7. saeculi secunda parte floruerunt opera omnia ... juxta memoratissimas editiones D. Mabillonii ...
https://books.google[...]
Migne
[9]
서적
[10]
서적
[11]
웹사이트
Pope Donus
https://en.wikisourc[...]
Robert Appleton Compa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