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피아 가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피아 가도는 로마의 감찰관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고대 로마의 도로이다. 기원전 312년 삼니움 전쟁 중 군사 도로로 처음 사용되었으며, 로마와 카푸아를 연결하는 주요 통로였다. 아피아 가도는 로마 군대의 신속한 이동과 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스파르타쿠스의 반란 진압, 제2차 세계 대전의 안치오 전투, 1960년 로마 올림픽 마라톤 코스 등 역사적인 사건과 관련이 있다. 이 도로는 직선적인 구조, 포장 기술, 배수 시스템 등 뛰어난 기술적 특징을 갖추고 있으며, 현재는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어 다양한 유적과 볼거리를 제공한다. 202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예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도로 - 트라이아나 가도
    트라이아나 가도는 로마에서 아드리아 해로 연결되어 이탈리아 남부 도시들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 위키백과에는 정보가 부족하다.
  • 로마 도로 - 로마의 도로
    로마의 도로는 고대 로마에서 건설된 도로망으로, 군사적 목적과 물류 및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제국의 통치와 연결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바실리카타주의 역사 - 마그나 그라이키아
    마그나 그라이키아는 기원전 8세기부터 고대 그리스인들이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에 건설한 식민 도시들을 일컫는 명칭으로, 인구 증가, 경제적 필요, 정치적 불안 등의 요인으로 건설되었으며, 헬레니즘 문화를 꽃피웠으나 로마의 팽창으로 로마 문화와 융합되었고, 현재는 칼라브리아와 풀리아 지역에 그리코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 공동체 형태로 남아있는 역사적 지역이다.
  • 바실리카타주의 역사 - 양시칠리아 왕국
    양시칠리아 왕국은 1816년부터 1860/61년까지 이탈리아 남부에 존재했던 왕국으로, 나폴리 왕국과 시칠리아 왕국이 통합되어 부르봉 왕가의 페르디난도 1세가 통치했으나, 주세페 가리발디의 천인대 원정으로 사르데냐 왕국에 병합되어 이탈리아 왕국이 되었다.
아피아 가도
지도 정보
아피아 가도 지역 공원 구역 - 로마
기본 정보
이름아피아 가도
로마자 표기Via Appia
건설 시기기원전 312–264년
건설자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 트라야누스 추가 (트라야누스의 아피아 가도)
유형로마 가도
위치로마 포럼, 로마에서 브린디시까지
세계유산 지정 정보
명칭Via Appia. Regina Viarum
지정 연도2024년
지정 번호1708
지정 기준iii, iv, vi
유형문화
지역남유럽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기원

기원전 312년,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는 로마에서 검열관이 되었다. 그는 사비니족 출신의 귀족인 클라우디우스 족 출신으로, 족의 시조인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사비니어어로는 아투스 클라우수스)의 이름을 물려받았다. 그는 민중주의자로, 총명하고 통찰력 있는 인물이었으나, 성공의 세월 속에서 시력을 잃어 "맹인"을 뜻하는 caecusla라는 이름을 얻었다.[30]

로마 상원의 지시를 기다리지 않고,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는 아피아 수도교 건설과 폰티네 습지를 가로질러 카푸아까지 이어지는 도로 건설이라는 대담한 공공 사업을 시작했다. 이 도로를 통해 로마는 수많은 신병을 작전 지역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키고, 적이나 지형의 방해 없이 대량의 보급품을 로마 기지로 이동시킬 수 있었다. 검열관 임기 후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가 두 번이나 집정관을 역임하고, 이후 다른 직책을 맡았으며, 晩년에도 국가의 존경받는 고문이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기원전 312년,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의 요청에 따라, 원로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로마와 알바노 언덕을 잇는 도로 개축 및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다. 포장에는 베수비우스 산의 화산암(주로 현무암)이 사용되었다.[25]

아피아 가도의 초기 노선은 로마 세르비우스 성벽의 카페나 문(카라칼라 목욕탕 부근)을 기점으로 아리차, 아피우스의 포룸, 텔라치나, 폰디, 폼비아, 민투르노(민투르나에), 몬드라골레(시누에사), 카푸아까지였다.[26]

기원전 190년에는 베네벤트움(현재의 베네벤토)과 베누시아(현재의 베누사)까지, 기원전 244년에는 타렌툼(현재의 타란토)과 브룬디시움(현재의 브린디시)까지 연장되었다. 109년에는 베네벤트움에서 브룬디시움(현재의 브린디시)을 직선으로 잇는 (트라야누스의 아피아 가도)가 건설되었다.

2. 1. 명칭

아피아 가도라는 이름은 삼니움 전쟁 중이던 기원전 312년 로마감찰관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가 처음으로 군사 도로로 사용한 뒤에 붙여졌다. 아피우스가 도로 건설을 입안하고 직접 총감독을 맡았기 때문에 그의 이름이 붙었다.[30]

2. 2. 도로 건설의 필요성

로마 군대는 군대를 재정비하고 다시 전투를 준비할 수 있는 기지에 의존했다. 이 기지는 전장에서 바로 공격할 기회를 기다릴 수 있도록 많은 수의 로마 병사를 수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런 기지들은 수도인 로마에서부터 연결되어 출입이 쉽고 물자 공급이 수월한 좋은 도로를 필요로 했다. 이 때문에 기원전 4세기 중반, 아피아 가도는 군사적 물자 교류를 위한 중요 수송로로 건설되었다.[7][8]

특히 제1차 삼니움 전쟁(기원전 343~341년)에서 로마인들은 늪지 건너의 삼니움인들에 맞서 평원에서 군대를 지원하거나 재공급할 수 없음을 알았기 때문에 도로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카푸아와 로마 사이에는 말라리아가 창궐하는 폰티네 늪지(''Pomptinae paludes'')가 있었고, 이 때문에 로마인들은 늪지를 사이에 두고 삼니움과 싸우는 야전군에 대한 지원이나 보급을 할 수 없었다.

3. 역사

아피아 가도는 기원전 312년 로마가 남부 이탈리아 정복을 위해 군수품을 수송하고 통신을 개선하기 위해 건설한 도로이다.[7][8] 로마는 이 도로를 통해 군대를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었다.

초기 로마 시대에는 에트루리아인들이 도로를 주로 건설했지만, 공화정 시대부터 로마인들이 도로 건설의 주역이 되었다. 로마인들은 이탈리아 대부분을 지배하며 도로 건설 기술을 발전시켰다. 아피아 가도는 로마의 영역을 벗어나 건설된 최초의 장거리 도로였으며, 이 시대에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라는 속담이 생겨났다.

로마인들은 에트루리아인의 후예인 캄파니아 주민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다. 삼니움 전쟁은 로마가 캄파니아의 카푸아와 동맹을 맺으려 하자 삼니움인들이 군사적으로 대응하면서 시작되었다.[9]

로마는 시간을 벌면서 해결책을 찾고자 했다. 첫 번째 해결책은 콜로니아 건설이었다. 기원전 334년 칼레스(Cales)에, 기원전 328년에는 프레겔라에(Fregellae)에 식민지를 건설하려 하면서 제2차 삼니움 전쟁(기원전 327~304년)이 발발했다. 그리스인들의 도시 타렌툼을 패배시킨 후 주요 세력이 된 삼니움인들은 네아폴리스를 점령하여 충성심을 확보하려 했다. 네아폴리스는 로마에 도움을 요청했고, 로마는 군대를 보내 삼니움인들을 몰아냈다.

기원전 312년, 켄술이었던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는 원로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로마와 알바노 언덕을 잇는 도로 건설을 추진했다. 이 도로는 견고한 베수비우스 산의 화산암(주로 현무암[25])으로 포장되었다.

아피아 가도의 초기 구간은 로마 세르비우스 성벽의 카페나 문(카라칼라 목욕탕 부근)에서 시작하여 아리차, 아피우스의 포룸, 텔라치나, 폰디, 폼비아, 민투르노(민투르나에), 몬드라골레(시누에사)를 거쳐 카푸아까지 이어졌다.[26]

로마 제국 멸망 후, 아피아 가도는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교황 피우스 6세의 명령으로 복구되어 다시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도 아피아 가도의 많은 부분이 원래 상태로 보존되어 있으며, 일부는 자동차 도로로 사용되고 있다(벨레트리 부근). 로마 근처의 가도 주변에는 로마 시대의 묘비와 초기 기독교 카타콤베가 많이 남아있다.

산 세바스티아노 문에서 도미네 콰 바디스 교회까지 약 10km 구간은 아피아 가도 주립 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로마 제국 시대의 돌길, 이탈리아 소나무 숲, 유적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로마 근교


베드로는 로마 전파 당시 황제 네로의 탄압을 피해 아피아 가도를 따라 도망가던 중 예수의 환영을 만났다. 베드로는 "주여, 어디로 가시나이까(Domine, quo vadis ?)"라고 물었고, 예수는 "다시 십자가에 못 박히기 위해 로마로 간다"라고 답했다. 이 말을 들은 베드로는 자신의 사명을 깨닫고 로마로 돌아가 순교했다. 베드로가 처형된 장소는 현재 바티칸이며, 그의 묘소는 산 피에트로 대성당에 있다. 이 이야기는 도미네 콰 바디스 교회에 기록되어 있다.

3. 1. 확장

아피아 가도는 처음에는 로마와 카푸아를 연결하는 도로였지만, 이후 베네벤트움과 베누시아를 거쳐 브룬디시움까지 연장되었다.[26] 기원전 2세기경, 아피아 가도는 베네벤토와 베누시아를 거쳐[26], 기원전 244년에는 타렌툼과 브룬디시움까지 연장되었다.[26]

또한, 베네벤툼에서 브룬디시움을 직선으로 잇는 (트라야누스의 아피아 가도)가 109년에 건설되었다.[26]

3. 2. 관련 기록

스타티우스는 "아피아 가도는 도로의 여왕이다"(Appia teritur regina longarum viarum|아피아 테리투르 레지나 론가룸 위아룸la)라고 기록하여, 아피아 가도의 중요성을 나타냈다.[31][32]

3. 3. 관련 사건

아피아 가도와 관련된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 '''제2차 세계 대전 안치오 전투''' : 1943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은 몬테 카시노에서의 교착 상태를 타개하기 위해 안치오-네투노 지역에 상륙했다. 연합군은 아피아 가도를 통해 로마를 점령하려 했으나, 독일군의 반격으로 인해 고전했다.

3. 3. 1. 스파르타쿠스와 그의 부하들의 처형

기원전 73년 스파르타쿠스 전쟁으로 알려진 반란이 실패로 끝난 후,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는 포로로 잡힌 노예 6천 명을 십자가형에 처했다. 이들은 로마에서 카푸아까지 아피아 가도를 따라 200km 구간에 십자가에 매달렸다. 로마인들은 노예들이 생존권을 상실했다고 판단했다.[21]

3. 3. 2. 제2차 세계 대전 안치오 전투

1943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군은 몬테 카시노의 교착 상태를 돌파하고자 이탈리아 해안의 안치오-네투노(고대 안티움) 지역에 상륙했다. 이곳은 오스티아테라치나의 중간 지점으로, 방어가 허술한 곳이었다. 연합군은 아피아 가도를 따라 몬테 카시노를 우회하여 로마를 점령하려 했으나, 신속하게 움직이지 못했다.[26]

독일군은 고대 라티나 가도를 따라 라자리 산과 레피니 산을 점령하고 안치오에 포격을 가했다. 연합군은 폼프티네 평야 전체로 확장했지만, 지형적 이점을 얻지 못했다. 독일군은 알바니 언덕에서 4마일 너비의 전선을 형성하여 아피아 가도를 따라 반격했지만, 안치오를 탈환하지는 못했다.

전투는 4개월 동안 지속되었으며, 양측은 각각 바다와 로마를 통해 육로로 보급을 받았다. 1944년 5월, 연합군은 안치오에서 돌파하여 로마를 점령했고, 독일군은 피렌체 북쪽으로 퇴각했다.[26]

3. 3. 3. 1960년 하계 올림픽

1960년 하계 올림픽에서 아피아 가도는 남자 마라톤 코스의 일부로 사용되었으며, 에티오피아아베베 비킬라가 금메달을 차지했다.[22][23][33][34]

4. 기술적인 특징

로마 가도는 이전의 길과는 다른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30]

아피아 가도와 아피아 트라이아나 가도
기원전 312년에 아피아 가도의 주요 구간이 착공되어 완공되었다.

도로는 처음에 평평하게 다진 흙길로 시작되었으며, 그 위에 작은 돌과 회반죽을 깔았다. 그 위에 자갈을 깔고, 마지막으로 딱 맞게 맞물리는 돌을 깔아 평평한 표면을 만들었다. 역사가 프로코피우스는 돌들이 매우 단단하고 밀착되어 마치 함께 자란 것처럼 보였다고 말했다.[10] 도로는 중앙이 볼록하게 만들어져 빗물 배수를 위해 도로 양쪽에 보호벽으로 둘러싸인 배수로가 있었다.

4. 1. 직선적

군대의 수송을 목적으로 아피아 가도가 건설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한 평탄한 직선으로 건설되었다. 예를 들어, 길을 평탄하게 유지하기 위해 지반이 약한 습지대에서는 말뚝을 많이 박아 토대를 쌓고 그 위에 도로를 건설했다. 또한 강이나 계곡에서는 길과 같은 높이로 다리를 만들어 도로가 지나가도록 했다.

4. 2. 인도와 차도의 구분

군대의 신속한 이동을 위해서 일반인과 수송 병력이 도로에서 뒤섞이지 않도록 너비 1~3미터 정도의 인도를 차도의 양 옆에 따로 만들었다.

4. 3. 포장

중요한 로마 가도의 대부분은 포석으로 포장되었다. 놀랍게도 그 포장 구조는 현대의 도로와 거의 비슷하다. 포장 전체 두께는 1m에서 1.5m 정도이며, 최상층에는 접합면이 맞물리도록 자른 한 변 70cm 정도의 큰 돌을 빈틈없이 깔았다.

도로는 처음에 평평하게 다진 흙길로 시작되었으며, 그 위에 작은 돌과 회반죽을 깔았다. 그 위에 자갈을 깔고, 마지막으로 딱 맞게 맞물리는 돌을 깔아 평평한 표면을 만들었다. 역사가 프로코피우스는 돌들이 매우 단단하고 밀착되어 마치 함께 자란 것처럼 보였다고 말했다.[10] 도로는 중앙이 볼록하게 만들어져 빗물 배수를 위해 도로 양쪽에 보호벽으로 둘러싸인 배수로가 있었다.

4. 4. 배수

도로 중앙부를 높이고 가장자리는 낮게 아치형으로 만들어 비가 오면 빗물이 가장자리로 고이도록 만들었다. 이는 현대의 도로 구조와 유사하다. 도로 가장자리에는 움푹 패인 배수구를 만들기도 하였다. 또한 포장의 최하층에는 자갈을 깔아 침입한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했다.[10]

4. 5. 수목 관리

지하로 뻗는 수목의 뿌리는 가도의 차도 부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도로 포석 포장의 바로 바깥쪽에 나무를 심는 것을 엄격하게 금지했다.[10] 현재 인도 부분에 있는 나무들은 당시에 없던 것들이다.

5. 재발견

라치오주캄파니아주를 지나는 아피아 가도의 경로는 항상 잘 알려져 있었지만, 아풀리아 지역 구간은 오랫동안 그 위치가 알려지지 않았다. 이 지역에는 아피아 가도의 흔적이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14][15]

20세기 전반, 주세페 루글리는 사진측량 기술을 이용하여 그라비나 인 풀리아에서 타란토까지의 아피아 가도 경로를 추정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항공사진을 분석하여 ''라 타란티나''(tratturoit)라는 길을 발견했는데, 이 길은 중세까지 사용되었으며, 루글리는 이 길이 아피아 가도의 경로라고 추정했다. 이 지역에는 예스체라는 고대 정착지를 포함한 여러 고고학적 유적이 있어 루글리의 주장을 뒷받침한다.[16][17]

안토니누스 여정기에 기록된 거리를 바탕으로, 루글리는 아피아 가도의 역참인 ''블레라''와 ''수블루파티아''를 각각 ''무르지아 카테나''와 ''타베르나''(마세리아 산 필리포와 마세리아 산 피에트로 사이) 지역으로 비정했다. 그러나 ''무르지아 카테나''는 너무 넓은 지역을 가리키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를 특정하기는 어려웠다. 최근 루치아노 피에폴리는 안토니누스 여정기의 거리와 새로운 고고학적 발견을 토대로 ''실비움''은 그라비나 인 풀리아 근처의 ''산토 스타소''여야 하고, ''블레라''는 ''마세리아 카스텔로'', ''수블루파티아''는 ''마세리아 카이오네''여야 한다고 제안했다.[18][19]

6. 주요 분기점

아피아 가도의 후반 구간 통행이 어려워지면서 여러 분기점이 만들어졌다. 먼저 Via Aemilia in Hirpinis|Via Aemiliait가 건설되었고, 그 다음 Via Minucia|Via Minuciait가 건설되었다. 마침내 트라야누스 황제는 베네벤툼에서 출발하여 타렌툼이 아닌 카누시움(칸노사 디 풀리아)과 바리움(바리)을 거쳐 브룬디시움에 이르는 아피아 가도의 지선인 트라야나 가도를 건설했다. 베네벤툼에는 이를 기념하는 개선문이 세워졌다.[20]

7. 관광 자원화

현재 아피아 가도는 원래의 목적을 상실하고 관광을 위한 산책로로 이용되고 있다. 로마 시대에는 황제 이외에 성벽 안쪽에 묘를 만드는 것이 금지되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접근하기 편리한 가도 주변에 묘를 만들었는데, 이 묘들은 현재 관광의 대상이 되고 있다.[30] 로마 주변의 아피아 가도는 지역 주민을 제외하고는 자동차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30]

아피아 가도(Via Appia Antica)는 산 세바스티아노 문에서 남동쪽으로 4.1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7. 1. 주요 볼거리

로마 근처의 아피아 가도에는 다양한 유적들이 남아 있어 볼거리가 풍부하다. 로마 시대에는 황제 이외에는 성벽 안쪽에 묘를 만들 수 없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접근하기 쉬운 가도 주변에 묘를 만들었다. 이러한 묘들은 현재 중요한 관광 자원이 되었다.[30]
주요 유적지

  • 아피아 문: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의 문이다.
  • 도미네 쿼 바디스 교회: 성 베드로가 예수의 환영을 만난 곳으로 알려져 있다.
  • 프리스실라 묘지: 로마 시대의 묘지이다.
  • 칼릭스투스 지하묘지(Catacomb of Callixtus): 초기 기독교 시대의 지하 묘지이다.
  • 성벽 밖 산 세바스티아노 교회(San Sebastiano fuori le mura): 산 세바스티아노 지하묘지 위에 세워진 교회이다.
  • 막센티우스 서커스(Circus of Maxentius): 막센티우스 황제가 건설한 경기장이다.

막센티우스 서커스

  • 카이킬리아 메텔라 묘(Tomb of Caecilia Metella): 로마 공화정 시대의 귀족 여성 카이킬리아 메텔라의 무덤이다.
  • 카포 디 보베(Capo di Bove): 로마 시대의 목욕탕 유적이다.
  • 힐라루스 푸스쿠스 묘(Tomb of Hilarus Fuscus): 로마 시대의 묘지이다.

쿠리아지의 묘는 공화정 말기와 제국 초기 사이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 호라티우스와 쿠리아티우스의 묘: 전설적인 영웅들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 퀸틸리우스의 빌라: 퀸틸리우스 가문의 별장 유적으로, 님페이움, 극장, 목욕탕 등이 남아 있다.
  • 카살 로톤도: 로마 시대의 원형 무덤이다.

훨씬 오래된 묘 위에 세워진 12세기 탑, 토레 셀체

  • 토레 셀체: 오래된 묘지 위에 세워진 12세기 탑이다.


이 외에도 미누시아 묘, 헤르쿨레스 신전, 베레티아 디 프레테, 갈리에누스 묘 등 다양한 유적들이 아피아 가도 주변에 흩어져 있다.

8. 세계유산

아피아 가도는 202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될 예정이다.[26] 등재 기준은 (3), (4), (6)이다.

아피아 가도
--
이탈리아어Via Appia. Regina Viarum
영어Via Appia. Regina Viarum
프랑스어Via Appia. Regina Viarum
등재유형문화유산
등재기준(3), (4), (6)
등재연도2024년 (제46차 세계유산위원회)
면적4639.92ha
(완충지대 40205.79ha)



8. 1. 마일스톤

기원전 123년경 로마 공화정 시대의 Leges Semproniae|셈프로니우스 법률de 중 도로 관련 법에 따라 주요 로마의 도로에 1로마 마일(약 1.48km)마다 마일석이 설치되기 시작했으며, 아피아 가도에도 현재까지 남아 있다. 마일석의 기점은 로마 포럼이다.

산 세바스티아노 문(아피아 문)에서 조금 떨어진 트레니탈리아 철로 앞에 제1마일석이 있다. 이것은 76년에 세워진 것의 복제품이며, 진품은 카피톨리노 광장에 있다. 제1마일석의 설치 장소는 현재 위치가 아니라 아피아 문 부근이었다는 설도 있다.[27] 비문은 다음과 같다.

원문해석
I. / IMP(ERATOR) CAESAR / VESPASIANUS AUG(USTUS) / PONTIF(EX) MAXIM(US) / TRIB(UNICIA) POTESTAT(E) VII / IMP(ERATOR) XVII P(ATER) P(ATRIAE) CENSOR / CO(N)S(UL) VII DESIGN(ATUS) VIII[28]여기가 1마일 / 인페라토르 카이사르 / 베스파시아누스 아우구스투스(=베스파시아누스 황제) / 최고대제사 / 호민관 7회 / 임페라토르 환호 17회 국가의 아버지 검열관 / 집정관 7회 다음해 집정관 8회
IMP(ERATOR) NERVA CAE(SAR) / AUGUSTUS PONTIFEX / MAXIMUS TRIBUNICIA / POTESTATE CO(N)S(ULE) III PAT(ER) / PATRIAE RIFECIT[29]인페라토르 네르바 카이사르 / 아우구스투스(=네르바 황제) 최고대제사 / 호민관 집정관 3회 / 국가의 아버지 가 (이 석표를) 재건했다


참조

[1] 웹사이트 Places: 356966898 (Via Appia) http://pleiades.stoa[...] 2013-03-14
[2] 서적 Silvae https://archive.org/[...]
[3] 뉴스 Past Catches Up With the Queen of Roads https://www.nytimes.[...] 2008-04-05
[4] 뉴스 The Appian Way is still a good military road https://news.google.[...] 1944-06-04
[5] 서적 Appian Way George Newnes 1961
[6] 뉴스 Italy's Ancient Roman Appian Way included in UNESCO World Heritage List https://apnews.com/a[...] AP News 2024-07-27
[7]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https://www.perseus.[...] 1854
[8] 서적 Roman Empire Metro Books 2008
[9] 학술지 Hegemony and Rivalry: The Revolt of Capua Revisited https://www.jstor.or[...] 2007
[10] 서적 These Were The Roman's Dufour Editions, Inc. 1989
[11]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https://www.perseus.[...] 1854
[12]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https://www.perseus.[...] 1854
[13] 서적 The Harper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14] 문서 lugli-orientate
[15] 문서 piepoli-2014
[16] 문서 lugli-orientate
[17] 문서 piepoli-2014
[18] 문서 lugli-orientate
[19] 문서 piepoli-2014
[2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lba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
[21] 서적 Civil Wars https://penelope.uch[...]
[22] 웹사이트 1960 Summer Olympics official report. http://www.la84found[...] 2008-10-31
[23] 웹사이트 1960 Summer Olympics official report. http://www.la84found[...] 2008-05-27
[24] arXiv Astronomical references in the planning of ancient roads https://arxiv.org/ab[...] 2007
[25] 웹사이트 第1回サンピエトリーニ(ローマ石畳考)- Japan-Italy Travel On-Line http://www.japanital[...]
[26] 서적 文明の誕生 メソポタミア、ローマ、そして日本へ 中央公論新社 2015
[27] 웹사이트 Samuel Ball Platner, Via Appia https://penelope.uch[...] Oxford University Press 1929
[28] 웹사이트 CIL 10, 06812 (p 991) = D 05819a http://db.edcs.eu/ep[...]
[29] 웹사이트 CIL 10, 06813 (p 991) = D 05819b = AE 2005, +00026 http://db.edcs.eu/ep[...]
[30] 서적 사진과 함께하는 세계의 토목유산 시그마 북스 2012
[31] 서적 Silvae
[32] 뉴스 Past Catches Up With the Queen of Roads http://www.nytimes.c[...] 2008-04-05
[33] 웹사이트 1960 Summer Olympics official report. http://www.la84found[...] 2008-10-31
[34] 웹사이트 1960 Summer Olympics official report. http://www.la84found[...] 2008-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