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마르첼로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마르첼로 1세는 308년에 선출되어 309년에 사망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이다. 그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기독교 박해 이후 혼란에 빠진 교회를 재건하려 노력했으며, 로마 교회 구역을 재정비하고 묘지를 건설하는 등의 업적을 남겼다. 그러나 배교자 문제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취하면서 갈등을 겪었고, 결국 막센티우스 황제에 의해 유배되어 그곳에서 사망했다. 그의 축일은 1월 16일이며, 성 프리스킬라 지하 묘지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세기 교황 - 교황 다마소 1세
    다마소 1세는 366년부터 384년까지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으로 재임하며 아리우스주의에 맞서 교회를 수호하고 불가타 성경 번역을 지원했으며, 교황의 권위를 강화했다.
  • 4세기 교황 - 교황 리베리오
    교황 리베리오는 4세기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장으로, 아리우스파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며, 황제 콘스탄티우스 2세에 의해 유배를 당하고 논란에 휩싸였지만, 동방 정교회에서는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4세기 기독교 성인 - 루치아
    루치아는 로마 제국 시대 시칠리아 시라쿠사 출신의 기독교 성인이자 순교자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박해 시기에 순교했으며, 가톨릭교회 등에서 성인으로 추앙받고, 시각 장애인과 안과 질환자들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
  • 4세기 기독교 성인 - 히에로니무스
    히에로니무스는 347년경에 태어나 불가타를 완성하고 서방 교회에 큰 영향을 미친 기독교 신학자이며, 번역가, 사서, 백과사전 편찬자의 수호 성인으로 존경받는다.
교황 마르첼로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산 마르첼로 알 코르소 성당의 성 마르첼로의 영광 프레스코 천장화
산 마르첼로 알 코르소 성당,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조반니 바티스타 치오치의 sacristy 천장 프레스코 "산 마르첼로의 영광"
이름마르첼로 1세
존칭 접두사교황 성
직책
직함로마의 주교
교회초기 기독교
임기 시작308년 5월 27일
임기 종료309년 1월 16일
선임자마르첼리노
후임자에우세비오
개인 정보
출생일255년 1월 6일
출생지로마, 로마 제국
사망일309년 1월 16일 (54세)
사망 장소로마, 로마 제국
기타마르첼로
축일1월 16일

2. 교황 선출

304년 교황 마르첼리노가 순교한 이후에도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는 계속되었다. 305년 디오클레티아누스가 퇴위하고 다음 해 10월 막센티우스가 제위를 계승하면서 로마의 기독교인들은 얼마간 평화로운 시기를 보낼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년 가까이 새로운 로마 주교가 선출되지 못하고 계속 미루어지다가, 308년에 가서야 마르첼로 1세가 선출되었다.[2] 마르첼로 1세는 교회가 큰 혼란 속에 빠져 있음을 인식하였다. 기독교인들의 모임 장소와 몇몇 교회 묘지가 몰수되었으며, 신자들의 일상 생활 및 교회의 활동이 위협받고 있었기 때문이다.[2] 여기에 더해, 오랜 기독교 박해 기간 동안 배교했었다가 다시 돌아온 많은 신자가 어떠한 속죄 절차 없이도 교회로의 복귀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교회 내의 갈등이 촉발되었다.[2]

3. 교황 재위 기간의 업적

304년 교황 마르첼리노가 순교한 후에도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는 계속되었다. 305년 디오클레티아누스가 퇴위하고 이듬해 막센티우스가 제위에 오르면서 로마의 기독교인들은 잠시 평화를 찾았지만, 새 교황은 2년 가까이 선출되지 못했다. 308년에야 마르첼로 1세가 교황으로 선출되었는데, 당시 교회는 큰 혼란 속에 있었다. 기독교인들의 모임 장소와 묘지가 몰수되고 신자들의 활동이 위협받았으며, 교회 내부적으로는 배교했다가 돌아온 신자들을 받아들이는 문제로 갈등이 있었다.

교황 연대표》에 따르면, 마르첼로 1세는 예비 신자 교육, 보속 행위 지시, 로마 교회 구역 재정비, 사제들의 역할 분담, 새 묘지 조성 등의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배교자 문제로 중단되었다. 교황 다마소 1세의 기록에 따르면, 마르첼로 1세는 배교자들에게 참회를 요구했고, 이로 인해 갈등이 발생하여 막센티우스 황제에게 유배되었다.

3. 1. 교회 조직 재정비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시기였던 304년, 교황 마르첼리노가 순교한 후 교회는 큰 혼란에 빠졌다.[6] 308년에 마르첼로 1세가 새 교황으로 선출되기 전까지, 2년 가까이 로마의 주교 자리는 공석이었다.[6]

마르첼로 1세는 교회 재건에 힘썼다. 당시 기독교인들의 모임 장소와 묘지가 몰수되고, 신자들의 활동이 위협받는 상황이었다.[6] 또한, 박해 기간 동안 배교했다가 돌아온 신자들을 어떻게 받아들일지에 대한 문제로 교회 내 갈등이 있었다.[6]

교황 연대표》에 따르면, 마르첼로 1세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했다.[6]

  • 예비 신자 교육을 담당하고 보속 행위를 지시할 사제를 임명했다.
  • 로마 교회 구역을 25개 본당으로 나누어 재정비했다.
  • 사제들에게 죽은 사람의 매장과 순교자 기념 의식을 주관하도록 지시했다.
  • 살라리아 가도에 새로운 교회 묘지(성 프리실라 카타콤바)를 조성했다.[6]


교황 연대표》는 마르첼루스 1세가 교회의 관할 구역을 25개의 구역(티툴리)으로 나누고 각 구역에 사제를 임명하여 세례 준비와 참회 지도를 맡겼다고 기록했다. 또한 사제는 죽은 자의 매장과 순교자 기념 행사를 책임졌다.[2] 교황은 비아 살라리아에 새로운 매장지를 마련하기도 했다.[2]

7세기 초 로마에는 25개의 "티툴루" 교회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교황 연대표》는 이 숫자를 마르첼루스 1세 시대와 연결 짓지만, 마르첼로 1세가 대박해 이후 로마 교회를 재편했다는 역사적 기록은 분명히 존재한다.[2]

그러나 마르첼로 1세의 교회 재정비 노력은 배교자들의 교회 복귀 문제로 인한 논쟁으로 중단되었다.[2] 교황 다마소 1세가 남긴 기록에 따르면, 마르첼로 1세는 배교자들에게 참회를 요구했고, 이로 인해 갈등이 발생하여 막센티우스 황제에 의해 유배되었다.[2]

3. 2. 배교자 문제에 대한 강경 대응

마르첼로 1세는 배교자들을 교회에 다시 받아들이는 문제에 대해 엄격한 입장을 취했다. 그는 배교자들이 교회로 돌아오려면 반드시 공개적으로 참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강경한 태도는 배교자들 사이에서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교황 다마소 1세가 마르첼로 1세의 묘비에 새긴 시에 따르면, 마르첼로 1세는 배교자들에게 '악한 적'으로 여겨질 정도였다.[2]

이러한 갈등은 결국 폭력 사태로 이어졌고, 당시 로마 황제였던 막센티우스는 마르첼로 1세를 체포하여 추방했다. 《교황 연대표》에 따르면 이 사건은 308년 말 또는 309년 초에 일어났으며, 마르첼로 1세는 로마를 떠난 직후 사망했다.[2]

4. 순교와 공경

304년 교황 마르첼리노 순교 이후,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속에서 308년 마르첼로 1세가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교회는 기독교인들의 모임 장소와 묘지 몰수, 신자들의 활동 위협, 배교자 처리 문제 등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마르첼로 1세는 교회 재건을 위해 노력했으나, 배교자들에게 공적인 참회를 요구하면서 막센티우스 황제의 분노를 사 유배되었고, 유배지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의 시신은 로마로 옮겨져 성 프리실라 카타콤바에 안장되었다.

4. 1. 순교에 대한 다양한 기록

교황 연대표》에 따르면, 마르첼로 1세는 예비 신자들의 신앙 교육을 담당했으며, 보속 행위를 지시할 사제들을 임명하고, 로마 교회 구역을 25개 본당으로 나누어 재정비하였다. 또한 사제들이 죽은 사람의 매장과 순교자 기념 의식을 주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살라리아 가도에 새로운 교회 묘지(성 프리실라 카타콤바)를 만들었다.[6]

그러나 마르첼로 1세의 이러한 활동은 배교했던 신자들을 교회에 다시 받아들이는 문제와 관련한 논쟁으로 곧 끝나게 되었다. 훗날 교황 다마소 1세가 마르첼로 1세를 기리며 그의 비문에 새긴 헌정시를 통해 이 논쟁의 내막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비문에는 마르첼로 1세가 배교자들에게 공적인 참회를 요구하자, 이를 계기로 문제가 일어나 평화가 깨졌고, 결국 막센티우스 황제가 마르첼로 1세를 유배 보냈다고 기록되어 있다. 유배지에서 세상을 떠난 후 그의 시신은 로마로 옮겨져 성 프리실라 카타콤바에 매장되었다.

5세기에 나온 《마르첼로의 수난》은 막센티우스 황제가 마르첼로 1세를 마부로 강등시킨 후 귀양지에서 실제로 그 일을 시키자 중노동으로 인해 일찍 세상을 떠났다는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354년 연대기의 ''주교들의 매장 기록''(Depositio episcoporum)을 비롯한 여러 로마 기록에 따르면 성 마르첼로 1세의 축일은 1월 16일이다.[1] 그러나 이 날짜가 그의 사망일인지, 아니면 유배지에서 돌아와 매장된 날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는 성 프리스킬라 지하 묘지에 묻혔으며, 그의 무덤은 로마 순교자들의 무덤 순례 기록에서 성 실베스터 대성전에 위치한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2]

5세기의 "마르첼루스 수난기"(Passio Marcelli)는 퀴리아쿠스의 순교에 대한 전설적인 기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교황 연대표》도 이 이야기를 따르고 있는데, 마르첼루스의 최후에 대해 다른 설명을 제공한다. 이 기록에 따르면, 교황은 교회를 재조직한 것에 분노한 막센티우스에 의해 주교직을 버리고 신들에게 제물을 바치라는 요구를 받았다. 이를 거부하자 그는 공공 도로의 역(catabulum)에서 노예로 일하도록 형을 선고받았다. 9개월 만에 성직자들에 의해 풀려났지만, 루치나라는 귀부인이 그에 의해 비아 라타에 있는 자신의 집을 "마르첼루스 성당"으로 봉헌했기 때문에 다시 역으로 끌려와 말을 돌보는 일에 종사하다가 사망했다.[2]

이러한 기록들은 대부분 전설일 가능성이 높으며, 마르첼루스가 교회 활동을 회복했다는 언급만이 역사적 근거를 가지고 있다. 다마수스의 시에 관련된 전승이 더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 앞서 언급된 전설에 등장하는 로마의 교회, 즉 오늘날까지도 그 이름을 따서 지어진 성 마르첼루스 성당의 축일은 여전히 1월 16일에 기념된다.

테오도르 몸젠은 마르첼루스가 실제 주교가 아니라, 교황직 공석 기간 후반기에 교회 행정을 위임받은 로마의 사제였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견해에 따르면 1월 16일은 실제로 마르첼루스의 사망일이며, 다음 교황은 유세비우스였다(Neues Archiv, 1896, XXI, 350–3). ''가톨릭 백과사전''은 이 가설을 근거가 없다고 일축한다.[2]

5. 테오도르 몸젠의 주장과 반박

테오도르 몸젠은 마르첼로 1세가 실제 주교가 아니라, 교황직 공석 기간 후반기에 교회 행정을 위임받은 로마의 사제였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몸젠의 견해에 따르면 1월 16일은 실제로 마르첼로 1세의 사망일이며, 다음 교황은 유세비우스였다.[2] 그러나 ''가톨릭 백과사전''은 이 가설을 근거가 없다고 일축한다.[2]

참조

[1] 서적 Marcellus (popes)
[2] 간행물 Pope St. Marcellus I
[3] 서적 The Book of the Popes (Liber Pontificalis) https://books.google[...] Arx Publishing, LLC 2015-03-10
[4] 서적 The Book of the Popes (Liber Pontificalis) https://books.google[...] Arx Publishing, LLC 2015-03-10
[5] 웹사이트 Pope St. Marcellus I https://en.wikisourc[...] Robert Appleton Company 1913
[6] 문서 Hic fecit cymiterium Novellae via Salaria et XXV titulos in urbe Roma constituit quasi diœcesis propter baptismum et pœnitentiam multorum qui convertebantur ex paganis et propter sepulturas martyrum. 《교황 연대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