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다마소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마소 1세는 4세기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으로, 366년부터 384년까지 재임했다. 그는 아리우스주의와 같은 이단에 맞서 교회를 수호하고, 성경 번역을 지원하여 불가타 성경이 나오도록 했다. 또한 순교자 공경을 장려하고, 교회 건축에도 힘썼다. 다마소 1세는 교황의 권위를 강화하고, 삼위일체 신학을 옹호하는 등 기독교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투갈 출신 교황 - 교황 요한 21세
    교황 요한 21세는 1276년 선출되어 짧은 기간 재위했으며, 본명은 페드루 줄리앙으로, 의학, 신학 등을 공부하고 브라가 대주교와 추기경을 역임했으며, 십자군 원정 등을 시도하다가 건물 붕괴 사고로 사망했다.
  • 포르투갈의 로마 가톨릭 성인 - 안토니오 디 파도바
    안토니오 디 파도바는 13세기 포르투갈에서 태어난 프란치스코회 수사이자 가톨릭 성인, 교회학자로, 웅변과 성경 지식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잃어버린 물건을 찾는 이들의 수호성인으로 알려져 있다.
  • 포르투갈의 로마 가톨릭 성인 - 안시에타의 요셉
    안시에타의 요셉은 16세기 예수회 선교사이자 브라질에서 활동한 작가, 언어학자, 의사로, 원주민 교육에 힘쓰고 투피어 문법서를 저술했으며, 브라질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브라질과 카나리아 제도에서 숭배받는 성인이다.
교황 다마소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마소 1세
11세기 리모주 성 마르티알 성경 제2권에 묘사된 다마소 1세
이름다마소 1세
직책로마 주교
교파가톨릭교회
재임 시작366년 10월 1일
재임 종료384년 12월 11일
선임자리베리오
후임자시리치오
출생일305년경
출생지로마, 로마 제국
사망일384년 12월 11일
사망지로마, 로마 제국
공경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축일12월 11일 (가톨릭교회)
상징교황으로서의 모습, 교차 십자가와 교회 모형
수호 성인고고학자, 열병에 대항
기타다마소
발음
영어 발음/ˈdæməsəs/
로마자 표기
로마자 표기법Damasus

2. 초기 생애

다마소는 로마 또는 루시타니아(Lusitania)에서 305년경에 태어나 어린 시절 부모와 함께 로마로 이주했다.[8][9][10] 그의 부모는 로마의 산 로렌초 푸오리 레 무라 성당의 주임사제인 안토니우스와 그의 아내 로렌티아였으며, 두 부모 모두 루시타니아 출신이었다. 다마소는 아버지의 교회에서 부제로서 교회 생활을 시작했고, 나중에는 사제로 봉직했다. 이후 이 교회는 성벽 밖 성 로렌초 대성당이 되었다.[11]

그가 유년 시절을 보내고 있을 때, 콘스탄티누스 1세서로마 제국의 황제로 등극하였다. 그는 313년 밀라노 칙령을 내려 로마 제국 전역에 기독교 신앙에 대한 자유를 부여하였다. 그러나 이교 신앙에 편승한 동로마 제국의 황제 리키니우스가 기독교 신앙의 자유를 거절하면서 324년 동서 제국 간에 내전이 발발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콘스탄티누스 1세가 리키니우스와의 전투에서 그를 물리치고 재통합된 로마 제국을 다스리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기독교의 우월적 지위가 확립되었을 뿐만 아니라 점차 로마 주교좌의 권위에 맞먹고자 하는 주교좌들이 제국 내 각 도시마다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 다마소는 20대 청년이었다.

354년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가 교황 리베리오를 베레아로 유배 보냈을 당시 다마소는 수석부제였다. 다마소 역시 리베리오를 뒤따라 유배길에 올랐으나, 얼마 안 가서 로마로 되돌아 올 수 있었다. 교황 리베리오가 로마로 돌아오기 전까지 다마소는 로마 교회에서 막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42]

3. 교황 선출과 분열

초대 교회 시절, 새 로마 주교는 로마 관구의 다른 주교들이 참석한 가운데 로마 교구 성직자들과 신자들의 투표나 지명으로 선출되었다. 이는 당시 다른 교구에서도 사용하던 방식이었다. 작은 공동체였던 교회에서는 이 방법이 잘 작동했지만, 규모가 커지면서 경쟁과 파벌 대립이 발생했고, 다른 주교 선거에도 영향을 미쳤다. 4세기에는 로마 주교들이 황제에게 착좌 승인을 받는 관례가 생겨, 교회 문제에 국가가 간섭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리베리오가 366년 9월 24일에 선종하자, 로마 교회는 부제였던 우르시노를 지지하는 세력과 대립교황 펠릭스 2세를 따랐던 다마소를 지지하는 세력으로 분열되었다. 귀족층은 다마소를, 부제들과 평신도들은 우르시노를 지지하여, 두 사람은 각각 로마 주교로 선출되었다. 다마소는 산 로렌초 인 루치나 성당에서 로마 주교로 선출되었다. 366년 10월, 양측 지지자들은 로마 교외에서 충돌했고, 시신니오 성당(훗날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에서 137명이 학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43] 로마 시 장관들이 개입하여 우르시노를 지역으로 추방했지만,[43] 충돌은 계속되었다.

예로니모와 티라니우스 루피누스 같은 교회 역사학자들은 다마소 1세를 옹호했다. 378년 시노드에서 우르시노는 단죄되고 다마소 1세가 진정한 교황으로 인정되었다. 암브로시오는 우르시노와 그 일당이 아리우스파와 결속하여 다마소 1세를 괴롭혔다고 전한다.[44]

교회 내 분열로 인한 폭력 사태는 3일간 이어져 대학살로 이어졌고, 발렌티니아누스 1세 황제까지 개입하게 되었다. 로마 시 장관의 지지로 다마소 1세가 우위를 점했고, 최종 확정되자 그의 추종자들이 우르시노와 그의 지지자들을 공격하여 137명이 학살당했다. 다마소 1세는 과거 살인죄로 기소되었으나, 친구들의 도움으로 황제가 개입하여 위기를 벗어난 적이 있었다. 이러한 사건들로 인해 다마소 1세와 가톨릭교회 전체의 평판이 크게 실추되었다.

4. 교황 재임 시기의 주요 활동

다마소 1세는 교황으로 재임하면서 이교에 맞서 가톨릭교회를 수호하고, 성경 번역을 지원하는 등 교회 발전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368년과 369년 두 차례 로마 교회 회의를 소집하여 아폴리나리우스주의와 마케도니우스주의를 단죄하고,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사절단을 파견하여 아리우스주의를 단죄하고 제1차 니케아 공의회의 신앙 선서문을 공적으로 채택하는데 기여하였다.[19]

예로니모를 비서로 임명하여 성경 번역을 지원하였다. 당시 성경은 여러 역자에 의해 번역되어 통일성이 없었기 때문에, 다마소 1세는 예로니모에게 그리스어 신약성경70인역을 바탕으로 대중 라틴어로 번역하도록 장려하였다. 그 결과 불가타 성경이 탄생하였고, 382년 로마 공의회에서 공식 라틴어 성경으로 인준받았다.[45]

바르톨로메오 카바로치가 그린 '''성 예로니모와 천사들'''.


또한, 다마소 1세는 18년 2개월 동안 교황으로 재임하면서, 380년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국교로 선포되는데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교회 개혁에 따라 라틴어가 기독교의 중심적 전례 언어가 되었다.

4. 1. 이단과의 투쟁

다마소 1세는 교황으로 즉위하면서 이교의 위협에 맞서 가톨릭교회를 수호하는 데 힘을 쏟았다. 368년과 369년, 두 차례에 걸쳐 로마에서 교회 회의를 소집하여 아폴리나리우스주의와 마케도니우스주의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사절단을 파견하여 이단 문제를 다루도록 하였다.[19] 이 공의회에서는 아리우스주의가 배척되고 제1차 니케아 공의회의 신앙 고백문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다마소 1세는 382년 로마 공의회를 주재하여 성경의 정경, 즉 공식적인 성경 목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20]

4. 2. 불가타 성경 번역 지원

예로니모가 다마소 교황에게 불가타 성경을 증정하는 모습; 룬드 대성당(Cod. Ups. 83)의 약 1150년경 복음서(Gospel Book) 미니어처


다마소 1세는 예로니모를 자신의 비서로 임명하였다. 예로니모는 409년에 “여러 해 동안 나는 로마의 주교 다마소를 도와 동·서 공의회에서 그에게 문의된 질문들에 대한 그의 답변을 적는 것과 같은 서신 작성을 하였다.”고 기록하였다.[45]

당시 성경은 여러 역자에 의해 번역되어 통일성이 없이 난잡하고 정리가 안 되어 있었기 때문에, 통일성 있는 새로운 공용 성경 본문이 필요했다. 이에 다마소 1세는 예로니모에게 그리스어 신약성경70인역 등을 바탕으로 옛 상고 라틴어 성경을 대중 라틴어로 번역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불가타 성경이 나왔으며, 382년 로마 공의회를 통해 공식 라틴어 성경으로 인준받았다.

예로니모는 다마소 1세 사후 《위인전》(De Viris Illustribus)에서 "그는 시를 쓰는 데 탁월한 재능을 지녔던 그는 아름다운 운율을 지닌 많은 시를 썼다. 그는 80세에 가까운 나이에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의 치세 때 선종하였다."라고 간략하게 기술했다.

4. 3. 동방 교회와의 관계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오를 필두로 동방 교회는 아리우스주의와의 싸움에서 다마소 1세의 지지와 도움을 받고자 하였다. 그러나 다마소 1세는 이 위대한 카파도키아 교회박사에 대해 의구심을 갖고 있었다.[46] 안티오키아의 멜레티우스 이교 문제에 있어서 다마소는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오 및 그의 후임자인 페트로스 2세와 함께 바울리누스를 지지하였다. 왜냐하면 그가 니케아에서 고백한 정통 신앙을 진실되게 따른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멜레티우스가 선종하자 다마소 1세는 후임 주교를 물색하였으나, 플라비아누스는 후보 명단에서 제외하였다.[46][32]

다마소 1세 재임 기간 동안, 알렉산드리아의 페트로스 2세는 아리우스주의자들의 공격을 피해 로마로 피신하였다. 다마소 1세는 페트로스 2세를 환대하고 아리우스주의자들에 맞서 그를 지지하였다.[35] 알렉산드리아 교회를 돕기 위해 로마 교회와 안티오키아 교회는 서로 화해하여 친교를 회복하였다.

4. 4. 순교자 공경과 유산 보존

다마소 1세는 산 로렌초 푸오리 레 무라 성당을 재건축 및 보수하였으며, 초기 기독교 순교자들의 무덤으로 가는 길을 정돈하였다. 성 라우렌시오에 대한 그의 깊은 공경심은 과거 자신이 살았던 집을 성당으로 개조하고 수호성인을 성 라우렌시오로 지정하여 산 로렌초 인 다마소 성당으로 탈바꿈하도록 한 행적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36]

다마소는 또한 순교자들에 대한 존경을 크게 장려하였는데, 로마 카타콤 등지에 있는 그들의 무덤을 복원하고 접근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자신이 지은 시구가 새겨진 비석을 세웠다. 그중 여러 개가 남아 있거나 그의 ''에피그램마타''에 기록되어 있다.[37]

5. 그라티아누스 황제와의 관계

그라티아누스는 다마소 1세가 교황으로 재임하는 동안 로마 황제로서 제국을 통치하고 있었다. 이 시기(359년~383년)는 교회 역사에 있어서 중요한 기점이 되는데, 이 시기 이후 기독교는 처음으로 로마 제국 전역에 걸쳐 지배적인 종교가 되었다.[7] 암브로시오의 압력을 받은 그라티아누스는 로마에서 이교 예식을 거행하는 것을 전면 금지시켰다. 또한 기독교 신자인 황제와는 전혀 맞지 않는 칭호인 최고 대제사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기로 하였다.[7] 이교도로 남아 있던 의원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원로원에 있는 승리의 제단을 로마에서 철거하고,[7] 그들의 수입을 전면 몰수하였다. 베스타 여사제들의 토지 소유도 금지하였으며, 그밖에도 여러 이교 사제들의 다른 많은 특권들도 철폐하였다.[7]

6. 죽음과 유산

다마소 1세는 384년 12월 11일에 사망했다.[1] 그는 순교자들의 무덤을 복원하고 장식하는 데 큰 노력을 기울였으며, 그들의 업적을 기리는 아름다운 비문을 새겨 넣었다.[1] 이러한 노력은 로마의 기독교 유산을 보존하고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1]

참조

[1] 서적 Damasus of Rome: The Epigraphic Poetry Oxford University Press
[2] 문서 Cameron
[3] 문서 Cameron
[4] 문서 Cameron
[5] 문서 DAMAS
[6] 웹사이트 Saint Damasus I | Biography, Pope, Legacy, & Facts https://www.britanni[...]
[7] 논문 A new study on the political role of St. Ambrose
[8]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Popes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Pope Saint Damasus I https://www.newmanmi[...] 2024-09-05
[10] 웹사이트 Saint of the Week: Pope St Damasus I https://catholichera[...] 2024-09-05
[11] 웹사이트 St. Damasus I http://www.americanc[...]
[12] 웹사이트 ST DAMASUS, POPE, CONFESSOR (A.D. 305–384) http://www.ewtn.com/[...]
[1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Pop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Ammianus Marcellinus Loeb Classical Library
[15] 서적 The Emergence of Christianity: Classical Traditions in Contemporary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16] 서적 The First Pontiff: Pope Damasus I and the Expansion of the Roman Primacy https://digitalcommo[...] Electronic Theses & Dissertations 2018-11-13
[17] 서적 Epistles
[18]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HarperCollins Publishers
[19] 웹사이트 St Damasus I Constantinople-1 https://www.ewtn.com[...] 2017-01-20
[20] 서적 The Faith of the Early Fathers: Pre-Nicene and Nicene Eras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22-03-24
[21] 웹사이트 Epistle cxx.10 http://www.ccel.org/[...]
[22] 서적 The Canon of Scripture http://media.sabda.o[...] InterVarsity Press
[23] 웹사이트 Canon of the Old Testament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2015-11-26
[24] 서적 Papal Legate At The Council Of Trent B. Herder Book Co
[25] 서적 Cajetan Responds: A Reader in Reformation Controversy The Catholic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6]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Apocrypha Oxford
[27] 서적 Canon of the Old Testament Robert Appleton Company
[28] 서적 Holy Writ or Holy Church Burns & Oates
[29] 서적 De Viris Illustribus
[30] 서적 Carmen Contra Paganos
[31] 서신 Letter of Jerome to Pope Damasus
[32] 서적 Historia Ecclesiastica
[33] 서적 Epistles
[34] 법전 Codex Theodosianus
[35] 웹사이트 Pope St. Damasus I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2017-09-29
[36] 서적 Butler's Lives
[37] 웹사이트 Epigrammata texts in Latin http://www.documenta[...]
[38] 서적
[39] 서적 The Liturgy of the Hours 11 December
[40]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HarperCollins Publishers
[41] 서적 Butler's Lives
[42] 웹사이트 ST DAMASUS, POPE, CONFESSOR (A.D. 305–384) http://www.ewtn.com/[...] Eternal Word Television Network 2007-09-25
[43] 서적 Ammianus Marcellinus Loeb Classical Library
[44] 서적 Epistles
[45] 웹사이트 Epistle cxx.10 http://www.ccel.org/[...]
[46] 서적 Historia Ecclesiast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