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요한 5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요한 5세는 685년 7월에 선출되어 686년 8월 2일에 선종한 교황이다. 시리아 안티오키아 출신으로, 부제 경력을 거쳐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교황 아가토의 특사로 파견되었다. 동로마 제국 황제의 승인 없이 선출된 최초의 교황이며, 동로마 제국과의 우호 관계를 증진하기 위해 노력했다. 1년 남짓한 재위 기간 동안 로마 관구의 성직자들에게 금화를 나누어 주었으며, 사후에는 성직자와 군부 간의 갈등으로 인해 교황 코논이 선출되었다. 한국 천주교에서는 성인으로 공경하며 축일은 8월 2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86년 사망 - 덴무 천황
덴무 천황은 덴지 천황의 뒤를 이어 임신의 난으로 즉위한 일본 제40대 천황(재위: 672년~686년)으로, 중앙 집권적 통치 강화, 율령 제정 추진, 신도와 불교 진흥, 일본 고유 문화 발굴 및 정비, "천황" 칭호와 "일본" 국호 최초 사용 등의 업적을 남겼다. - 686년 사망 - 원효
원효는 신라의 승려, 학자, 저술가로서, 화쟁사상을 바탕으로 통불교를 주창하고 불교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일체유심조의 깨달음 이후 저술 활동과 요석공주와의 혼인, 그리고 그의 사상이 한국, 중국, 일본 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 635년 출생 - 의정 (승려)
당나라 승려 의정은 법현과 현장에 이어 바닷길로 서역을 탐험하며 불교와 사회상을 기록하고, 귀국 후 불경 번역과 《남해기귀내법전》, 《대당서역구법고승전》 저술을 통해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문화 및 불교 연구에 기여했다. - 635년 출생 - 교황 베네딕토 2세
교황 베네딕토 2세는 7세기 후반에 재위한 로마 교황으로, 교회 개혁과 발전, 단의설 억압에 기여했으며, 교황 선출 시 동로마 제국의 승인 간소화와 로마 교회 재건에도 힘쓴 겸손하고 상냥한 인물이다. - 시리아 출신 교황 - 베드로
베드로는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으로, 예수로부터 "케파스"라는 이름을 받았으며, 어부 출신으로 예수의 부름을 받아 제자가 되어 사역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 형성에 기여했고, 수난 과정에서 예수를 부인한 후 회개하였으며, 오순절 설교와 이방인 전도를 통해 기독교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시리아 출신 교황 - 교황 그레고리오 3세
교황 그레고리오 3세는 731년부터 741년까지 재임한 90대 교황으로, 동로마 제국의 성상 파괴 운동에 맞서고 랑고바르드족의 침입에 대응하며 교황권을 수호하고 프랑크 왕국과의 관계를 통해 랑고바르드족의 위협에 대처하는 한편 교회 내부 문제 해결과 북유럽 및 잉글랜드 교회 지원에도 힘썼다.
교황 요한 5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함 | 로마 주교 |
교회 | 가톨릭 교회 |
이름 | 요한 |
재임 기간 | |
임기 시작 | 685년 7월 23일 |
임기 종료 | 686년 8월 2일 |
이전 교황 | 베네딕토 2세 |
다음 교황 | 코논 |
개인 정보 | |
출생지 | 동로마 제국 안티오키아 (오늘날의 튀르키예 하타이, 안타키아) |
사망일 | 686년 8월 2일 (51세) |
사망 장소 | 동로마 제국 로마 (오늘날의 이탈리아) |
2. 생애 초기
요한은 아시리아인으로 635년경 동로마 제국의 시리아 속주였던 안티오키아 지방에서 태어났다.[18][4][5][6][16] 그는 그리스어에 능통했으며, 부제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16] 680년에는 교황 아가토가 파견한 사절단 중 한 명으로서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교황 특사로 참여하였다.[16]
교황 펠라지오 1세 이후 동로마 제국 황제의 승인 없이 주교 서임을 받은 첫 번째 교황이다.[19][7] 이는 콘스탄티누스 4세 황제가 요한 5세의 전임자인 교황 베네딕토 2세 재임 중, 새로 선출된 교황은 황제의 승인을 기다리지 않고 선출 즉시 주교 서임을 받아 교황좌에 오를 수 있도록 기존의 관례를 폐지했기 때문이다.[19][7]
요한 5세는 황제의 직접적인 승인 없이 서임된 최초의 비잔틴 교황이었다.[7] 그의 전임자인 교황 베네딕토 2세 재위 기간에 황제 콘스탄티누스 4세가 교황 선출 시 황제 승인 요구 사항을 폐지했기 때문이다. 콘스탄티누스 4세는 "사도좌에 선출된 자는 즉시 지체 없이 교황으로 서품될 수 있다"고 규정했다.[7] 이에 따라 요한 5세는 685년 7월 23일[15] 로마의 "일반 대중"에 의해 고대 관행에 따라 선출되었다.[7][8] 콘스탄티누스 4세는 로마의 주민과 성직자들이 충분히 동화되었다고 판단했으며, 실제로 이후 10명의 교황은 동방 출신이었다.[7]
교황 요한 5세는 1년 남짓한 짧은 재위 기간(1년 10일)을 마치고 686년 8월 2일 침상에서 선종했다.[16][12] 그의 선종 후 후임 교황 자리를 두고 성직자들과 군부 사이에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24][12] 성직자들은 수석사제 페트로스(Peter)를 지지했고, 군부 측은 테오도로스(Theodore)라는 다른 사제를 지지했다.[24][12] 성직자 파벌은 라테라노 대성전 밖에 모여 군인들의 접근을 막았고, 군부 파벌은 인근의 성 스테파노 성당에 모여 테오도로스를 추대하려 했다.[24][12] 양측의 대립 속에서 셔틀 외교는 효과가 없었으며, 결국 성직자들은 페트로스가 가망이 없다고 판단하고 타협안으로 그리스계 시칠리아 사람인 코논을 내세웠다.[24][12] 코논은 고령에 건강이 좋지 않았으나, 점잖고 단순하며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인물로 평가받아 만장일치로 새 교황에 선출되었다.[24]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 천주교와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1]
웹사이트
Miranda, Salvador. "Giovanni V",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5-03-12
3. 교황 선출
요한 5세는 685년 7월, 로마의 일반 시민들의 지지를 받아 초대 교회의 관례에 따라 선출되었으며,[7][8][20] 같은 해 7월 23일에 즉위하였다.[15] 그는 황제의 직접적인 승인 없이 서임된 최초의 비잔틴 교황(Byzantine Papacy)이기도 하다.[7] 콘스탄티누스 4세는 로마의 성직자들과 백성들이 충분히 동방 문화에 동화되었다고 판단했으며, 실제로 요한 5세 이후 선출된 열 명의 교황은 모두 동방 출신이었다.[19][7]
4. 교황
요한 5세는 동로마 제국과의 우호 관계 증진을 위해 노력했으며[21],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양측의 관계는 지속적으로 개선되었다. 황제는 시칠리아와 칼라브리아에 있는 교황령 재산에 부과된 세금을 크게 줄였고, 이전 몇 년간 어려움 속에서 납부되었던 곡물 부가세 등 다른 세금들도 폐지했다.[21][9]
유스티니아누스 2세 황제는 요한 5세에게 서신을 보내, 아포크리시아리우스(교황 사절)와 비잔틴 군대를 포함한 동로마 제국의 고위 문무 관료들이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문헌을 읽고 이를 반드시 지키며 어떠한 변조도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음을 알렸다.[22][10] 황제는 서신에 수신자를 ‘로마 시의 교황 요한’으로 명시했지만, 서신이 로마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요한 5세가 선종한 후였고, 후임자인 교황 코논이 대신 받았다.[23][11]
요한 5세는 전임자들과 마찬가지로 너그러운 성품을 지녔으며, 가난한 이들을 위해 로마 관구에 속한 모든 교구와 자치 수도원구의 성직자들, 수도원 디아코니, 그리고 '맨시오나리'(자선 시설 담당자)에게 금화 1,900솔리두스를 골고루 나누어 주었다.[18][3]
그는 동로마 제국 영토였던 시리아의 안티오키아 지방 출신이다.[16] 부제로서 680년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교황 아가토가 파견한 사절단 중 한 명으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16] 교황으로 즉위한 685년 7월 23일[15]은 동로마 제국에서 새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2세가 즉위한 직후였다.[16] 그러나 재위 기간 대부분을 병상에서 보냈으며, 재위 1년 10일 만인 686년 8월 2일에 선종했다.[16]
5. 사망과 유산
요한 5세는 사후 옛 성 베드로 대성전 안에 있는 교황들의 묘지에 안장되었다.[25][13] 그의 비문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제3차 공의회에서 단의설에 맞서 싸운 그의 업적을 기리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당신(요한 5세)은 신앙의 이름 아래 매사에 경계하고, 사악한 늑대들이 우리 안에 들어와 양들을 잡아먹지 못하도록, 힘 있는 이들이 힘 없는 이들을 짓밟지 못하도록 사람들의 마음을 단결시키셨습니다."[26][14] 요한 5세의 무덤은 846년 사라센족의 로마 약탈 때 파괴되었으며,[25][13] 16세기와 17세기에 옛 성 베드로 대성전이 붕괴되면서 완전히 사라졌다.[25]
6. 한국 천주교와의 관계
참조
[2]
간행물
Pope John V
Catholic Encyclopedia
[3]
문서
Ekonomou, 2007, p. 210.
[4]
서적
Rome and the Invention of the Papacy: The Liber Pontificali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6-25
[5]
서적
The Pocket Date Book of Universal History, Containing, Classified Tables of the Principal Facts, Historical, Biographical, and Scientific from the Beginning of the World to Present Time by William L. R. Cates
https://books.google[...]
Frederick AìWarne and Company
1866
[6]
서적
The Frescoes of Mar Musa Al-Habashi: A Study in Medieval Painting in Syria
https://books.google[...]
Pontifical Institute of Mediaeval Studies
2001
[7]
문서
Ekonomou, 2007, p. 215.
[8]
문서
Ekonomou, 2007, p. 247.
[9]
문서
Ekonomou, 2007, p. 217.
[10]
문서
Ekonomou, 2007, p. 219.
[11]
문서
Ekonomou, 2007, p. 239.
[12]
문서
Ekonomou, 2007, p. 216.
[13]
문서
Reardon, Wendy J. 2004. The Deaths of the Popes. Macfarland & Company, Inc. {{ISBN|0-7864-1527-4}}. pp. 55–56.
[14]
문서
Ekonomou, 2007, p. 243.
[15]
문서
[[#小林|小林(1966)巻末「歴代法王表」p.6]]
[16]
문서
[[#PGMS|マックスウェル・スチュアート(1999)p.73]]
[17]
웹사이트
Pope John V
https://en.wikisourc[...]
Catholic Encyclopedia
1913
[18]
문서
Ekonomou, 2007, p. 210.
[19]
문서
Ekonomou, 2007, p. 215.
[20]
문서
Ekonomou, 2007, p. 247.
[21]
문서
Ekonomou, 2007, p. 217.
[22]
문서
Ekonomou, 2007, p. 219.
[23]
문서
Ekonomou, 2007, p. 239.
[24]
문서
Ekonomou, 2007, p. 216.
[25]
문서
Reardon, Wendy J. 2004. The Deaths of the Popes. Macfarland & Company, Inc. {{ISBN|0-7864-1527-4}}. pp. 55–56.
[26]
문서
Ekonomou, 2007, p. 24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