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아가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아가토는 678년부터 681년까지 재위한 교황이다. 그는 요크 대주교 윌프리드의 분쟁을 중재하고,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를 소집하여 단의설을 배척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동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4세와 교황 선출 관련 협상을 진행했으며, 교황의 세금 감면을 이끌어냈다. 아가토는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앙받고 있으며, 1월 10일(서방)과 2월 20일(동방)에 기념된다. 한편, 100세 이상으로 교황이 되었다는 기록에 대한 논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81년 사망 - 문무왕
    문무왕은 신라의 제30대 국왕으로 삼국 통일을 완수하고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통일 신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 불교 장려 등의 정책을 통해 신라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 군주이다.
  • 577년 출생 - 임성태자
    임성태자는 6세기 말 일본으로 건너가 오우치 씨의 시조로 여겨지는 백제 왕족 출신 인물로, 일본에서 린쇼 태자라고도 불리며 쇼토쿠 태자로부터 영지를 받아 정착했다는 설이 있지만 실존 여부와 백제계 후예설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577년 출생 - 선화부인
    선화부인 진씨는 남조 진나라 선제의 딸이자 수나라 문제와 양제의 후궁으로, 진나라 멸망 후 수나라에 들어가 문제의 총애를 받았고, 문제 사후 양제 즉위 후 진귀비에 책봉되었으며, 수나라 황실 권력 다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시칠리아주 출신 - 조반니 젠틸레
    조반니 젠틸레는 20세기 이탈리아 철학자이자 교육자로 실재적 관념론을 창시하고 파시즘에 참여하여 무솔리니 정권에서 교육 개혁을 단행했으나, 반파시스트 세력에 의해 암살당하며 그의 삶과 사상은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 시칠리아주 출신 - 교황 코논
    교황 코논은 존경받는 외모와 단순한 성격으로 성직자와 군인의 지지를 받아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아일랜드 선교사를 주교로 임명하여 선교를 지원하고 황제의 총애를 받아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회의록을 회복하고 교황령 재산의 세금 면제 혜택을 받았다.
교황 아가토
기본 정보
경칭교황 성인
이름아가토
직함로마 주교
재임 시작678년
재임 종료681년
이전 교황도노
다음 교황레오 2세
추기경 임명일676년 3월 5일
추기경 임명자아데오다토 2세
출생일577년
출생지아마도 동로마 제국 팔레르모
사망일681년 1월 10일 (103–104세)
사망 장소동로마 제국 라벤나 총독부 로마
이전 직책추기경 부제 (676–77)
축일1월 10일 (로마 가톨릭교회)
2월 20일 (동방 정교회 - 추가 기념일)
공경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상징긴 십자가를 들고 있음
수호 성인팔레르모
교황 아가토
교황 아가토 (바실리오스 2세의 메뉴로기온) (기원후 1000년경)
교황 정보
재위 기간 시작678년 6월 27일
재위 기간 종료681년 1월 10일

2. 생애 초기

아가토가 교황이 되기 전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교황이 된 직후 요크 대주교 윌프리드로마에 상소하였다. 윌프리드의 주장에 따르면, 캔터베리 대주교 테오도로가 자신을 주교직에서 물러나게 한 후 그의 대교구를 셋으로 분할하여 각각 교구장 주교를 새로 임명했다는 것이다. 아가토는 즉시 라테라노에서 시노드를 소집하여 이 사건을 조사한 후, 윌프리드가 다스리는 요크 대교구의 분할은 인정했으나, 새로 임명되는 세 명의 교구장 주교는 대교구장 주교인 윌프리드가 직접 선발하여 임명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다.[16]

7세기 중반 칼리파의 시칠리아 공격으로 인해 당시 로마에 있던 많은 시칠리아 성직자 중 한 명이었을 수 있다는 추측이 있다.[4] 그는 로마 교회의 재무로 여러 해 동안 봉사했으며, 도누스의 뒤를 이어 교황이 되었다.[5]

3. 주요 업적

아가토의 주요 업적은 요크 대교구 분쟁 중재,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소집, 교황 선출 관련 협상이다.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성당의 성 세바스티아노 모자이크. 아가토 교황 재위 기간에 제작되었다.


아가토는 캔터베리 대주교 테오도로에 의해 주교직에서 물러나게 된 요크 대주교 윌프리드의 상소를 받아들여 라테란에서 시노드를 소집하고 요크 대교구 분쟁을 중재하였다.

단의설 논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를 소집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동로마 제국 콘스탄티누스 4세 황제의 제안을 받아들여 서방 교회 전체의 지지를 얻고,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대규모 사절단을 파견하여 공의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되도록 이끌었다.

또한, 교황 선출에 있어서 동로마 황제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콘스탄티누스 4세와 협상을 진행하여 교황 선출 시 동로마 제국에 바치는 세금을 철폐 또는 감면하는 약속을 받아냈다.[16]

3. 1. 요크 대교구 분쟁 중재

아가토가 교황이 된 직후, 요크 대주교 윌프리드가 교황에게 자신의 권위를 인정받고자 로마에 왔다. 캔터베리 대주교 테오도로는 윌프리드를 주교직에서 물러나게 하고 그의 교구를 셋으로 분할하여 세 명의 주교를 새로 임명하였다. 아가토는 이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라테란에서 시노드를 소집하여, 요크 대교구 분할은 인정하되 새로 임명되는 세 명의 교구장 주교는 윌프리드가 직접 선발하여 임명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16]

3. 2.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소집

동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4세 황제는 단의설로 인하여 교회가 분열되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교황 도노에게 공의회를 소집하자고 제안하는 서신을 보냈다. 하지만 황제의 서신이 로마에 도착했을 무렵에는 교황 도노는 이미 선종한 후였다. 후임 교황인 아가토는 황제의 제안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는 서방 세계 전역에 교황 특사들을 파견해 향후 소집될 공의회에 대해 그들로부터 전폭적인 지지를 얻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대규모 사절단을 파견하였다.[16]

교황 특사들과 총대주교, 그리고 기타 주교들은 680년 11월 7일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있는 황궁에서 조우하였다. 만남의 주요 목적은 단의설에 대한 문제였다. 당시 모임에서 그리스도가 신성과 인성을 모두 가진 존재로서 하느님이면서 사람이라는 교회의 전통적인 믿음에 대해 설명하는 교황 아가토의 친서가 낭독되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게오르기우스를 비롯하여 그곳에 모인 주교들 대부분이 아가토 교황의 의견에 수긍하였다.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그리스도 안에 두 가지 본성이 있음을 확인하고 단의설을 단죄한다고 선언하였다. 공의회는 681년 9월에 폐회하였으며, 공의회 교령이 아가토 교황에게 보내졌으나, 아가토 교황은 이미 그해 1월에 선종하였다.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단의설을 이단으로 단죄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논쟁으로 촉발된 교회의 분열을 치유하였다.[16]

3. 3. 교황 선출 관련 협상

아가토는 교황 선출과 관련하여 동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누스 4세와 협상을 시작하였다. 콘스탄티누스 4세는 아가토에게 앞으로 새로 선출될 교황이 동로마 제국에 바치는 세금을 없애거나 줄이겠다고 약속하였다.[16][6]

4. 평가 및 시성

아가토는 로마 가톨릭교회동방 정교회 양측 모두에서 성인으로 시성되었다.[17] 로마 가톨릭교회에서의 축일은 1월 10일이며,[17] 동방 정교회에서의 축일은 2월 20일이다.[17] 아나스타시우스는 아가토의 기적이 그에게 "기적가"라는 칭호를 가져다주었다고 전해진다.[11][5]

5. 논란

교회 기록에 따르면 교황 아가토는 100세가 넘는 나이에 교황으로 재임했으며, 106세에서 107세 사이에 사망했다고 한다.[8][9] 그러나 2020년대 연구에서는 교황 아가토와 수도승 "아가톤"을 혼동하여 두 사람이 다른 인물이라고 주장하면서 그의 나이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도 많다.[10]

5. 1. 나이 논란

교회 기록에 따르면 교황 아가토는 100세가 넘는 나이에 교황으로 재임했으며, 106세에서 107세 사이에 사망했다고 한다.[8][9] 그러나 2020년대 연구에서는 교황 아가토와 수도승 "아가톤"을 혼동하여 두 사람이 다른 인물이라고 주장하면서 그의 나이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도 많다.[10]

참조

[1] 웹사이트 Pope St. Leo II.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7-09-12
[2] 서적 Dictionary of Pop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6-26
[3] 웹사이트 Aging in the See of Peter https://www.pillarca[...] 2024-08-17
[4] 서적 The Popes and the Papacy in the Early Middle Ages: 476–752 Routledge 2014-05-01
[5] 웹사이트 St. Agatho, Pope http://www.bartleby.[...] Alban Butler 1866
[6] 웹사이트 Popes Through the Ages http://www.cfpeople.[...] Joseph Brusher, S.J.
[7]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 A&C Black 2006-04-24
[8] 웹사이트 Father Richard Kunst: Why Bad Popes Have Been Good for the Church – Papal Artifacts https://www.papalart[...] 2024-03-26
[9] 웹사이트 A look at the oldest popes of history, including Francis https://aleteia.org/[...] 2024-03-26
[10] 웹사이트 A look at the oldest popes of history, including Francis https://aleteia.org/[...] Aleteia SAS 2024-02-18
[11] 서적 Encyclope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1-06-27
[12] 웹사이트 Pope St. Agatho. http://www.newadvent[...] Michael Ott 1907
[13] 웹사이트 Agatho http://www.oxfordref[...] 2018-06-27
[14] 웹사이트 The Great Synaxaristes of the Orthodox Church – February http://www.holyapost[...] Holy Apostles Convent 2018-06-27
[15] 웹사이트 Pope St. Agatho https://en.wikisourc[...] Catholic Encyclopedia 1913
[16] 웹사이트 Popes Through the Ages http://www.cfpeople.[...] Joseph Brusher, S.J.
[17] 웹인용 Orthodox Church in America http://ocafs.oca.org[...] 2013-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