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레 진수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레 진수부는 1886년 일본 해군의 5개 해군구 중 하나로 설치되어, 서부 일본의 해상 수송로 통제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했다. 1890년 개청 이후 해군 공창, 조선소, 해병단, 잠수함 기지 등 주요 시설을 갖추며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해군 관구의 핵심 기지였다. 1945년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일본 해상자위대가 일부를 사용하고 있고, 한국인 강제 징용과 관련된 역사적 장소로 한일 관계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레시의 건축물 - 구레항
구레항은 히로시마현 구레시에 위치한 항구로, 과거 해군 공창으로 발달했으나 태평양 전쟁 말기 폭격으로 기능이 정지된 후 무역항으로 재개항하여 현재는 중요 항만으로 지정되어 구레시가 관리하며 다양한 항로를 운영한다. - 구레시의 건축물 - 해상자위대 구레 사료관
해상자위대 구레 사료관은 일본 해상자위대의 역사, 활동, 장비를 전시하며, 특히 유시오급 잠수함 '아키시오' 실물 전시와 기뢰 및 소해정 관련 자료를 통해 해상 안보의 중요성을 알리는 히로시마현 구레시 소재 시설이다. - 일본 제국 해군의 기지 - 진해 경비부
진해 경비부는 일본 제국 해군이 진해 요항부를 확대 개편하여 설치한 2차 해군 기지로, 전략적 요충지를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해방 후 대한민국 해군이 기지를 인수하여 현재까지 주요 해군 기지로 사용하고 있다. - 일본 제국 해군의 기지 - 사세보 해군공창
사세보 해군공창은 사세보항을 군항으로 정비하기로 결정한 1886년에 기원을 둔 일본 제국 해군의 공창으로, 함정 수리 및 보급 기지 역할을 수행하며 경순양함, 구축함, 보조 함정 등을 건조하고 항공모함 개장 공사를 담당했으며, 현재는 주사세보 미국 해군 시설과 사세보 중공업으로 재편되어 운영되고 있다. - 일본 해군의 기지 - 마이즈루 기지
마이즈루 기지는 교토부 마이즈루시에 있는 해상자위대의 주요 기지로, 마이즈루 지방대, 제3호위대군, 제23항공대 등 여러 부대와 시설을 갖추고 일본해 방위 및 재해 대응 임무를 수행하며 환경 및 지역 안보에 대한 우려가 있다. - 일본 해군의 기지 - 사세보 해군 기지
사세보 해군 기지는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위치한 미국 해군 기지로, 과거 일본 제국 해군 기지에서 출발하여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을 거치며 유엔군과 미군의 주요 출항 기지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는 미국 제7함대와 해상자위대의 모항으로 사용되며 급유 및 탄약 보급 시설을 갖추고 있다.
구레 진수부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구레 진수부 |
로마자 표기 | Kure chinjufu |
종류 | 진수부 |
위치 | 구레시 |
역사 | |
창설 | 1889년 |
폐쇄 | 1945년 |
주요 시설 | |
조선소 | 구레 해군 공창 |
병원 | 구레 해군 병원 |
관련 인물 | |
사령 장관 | 구레 진수부 사령장관 |
2. 연혁
1886년 5월 4일 설치가 결정되어 1889년 7월 1일 개청한 일본 제국 해군의 주요 군사 기지였다.[4][5] 1945년 11월 30일 폐지될 때까지 시설 확장과 조직 개편을 거듭하며 운영되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날짜 | 주요 내용 |
---|---|---|
1886년 (메이지 19년) | 5월 4일 | 구레항에 진수부 설치 결정[4] |
1889년 (메이지 22년) | 4월 1일 | 해군 병원 설치 |
4월 17일 | 구레 진수부 해병단 설치 | |
7월 1일 | 구레 진수부 개청 고시[5] | |
1890년 (메이지 23년) | 3월 10일 | 구레 진수부 조선부 오노하마 분공장 설치 (구 오노하마 조선소 부지)[8] |
4월 21일 | 구레 진수부 개청식 거행 (메이지 천황 참석)[6] | |
1893년 (메이지 26년) | 5월 19일 | 진수부 조례 개정 (예비함부, 조선부, 측기고, 무고, 수뢰고, 병기 공장, 병원, 감옥 설치), 오노하마에 조선 지부 설치 |
1895년 (메이지 28년) | 6월 6일 | 구레 진수부 조선 지부 (오노하마) 폐지[9] |
1896년 (메이지 29년) | 4월 1일 | 구레 해병단으로 개칭, 구레 수뢰단 및 가(假) 구레 병기 제조소 설치 |
1897년 (메이지 30년) | 5월 25일 | 가(假) 구레 병기 제조소 폐지, 구레 해군 조병창 설치 |
1903년 (메이지 36년) | 11월 10일 | 구레 해군 공창 설치 (조병창은 공창의 조병부로 편입) |
1909년 (메이지 42년) | 12월 1일 | 구레 해군 인사부 설치 |
1920년 (다이쇼 9년) | 8월 1일 | 구레 해군 공창 광(廣) 지창 설치 |
9월 | 해군 잠수 학교 개교 | |
1921년 (다이쇼 10년) | 3월 | 해군 연료창 설치 |
1923년 (다이쇼 12년) | 4월 1일 | 군수부 개설, 구레 해군 감옥을 구레 해군 형무소로 개칭 |
1931년 (쇼와 6년) | 6월 | 구레 해군 항공대 설치 |
1937년 (쇼와 12년) | 6월 1일 | 해군 통신대 설치 |
1945년 (쇼와 20년) | 10월 15일 | 구레 해군 공창 폐지 |
11월 30일 | 구레 진수부 폐지 |
2. 1. 설립 배경
일본 내륙해의 보호를 받는 히로시마현 구레는 메이지 시대 일본 정부와 초기 일본 제국 해군에게 서부 일본 주변의 해상 수송로 통제에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로 인식되었다.1886년 4월 22일 제정된 "해군 조례"에 따라 일본 전국에 다섯 개의 해군구를 지정하고 각 구의 군항에 진수부를 설치하기로 결정되었다.[3] 이 조례에 근거하여 같은 해 5월 4일, 제2해군구(관할 범위: 기이국 남무로군 경계부터 이와미국·나가토국 경계까지, 지쿠젠국 원가·무나카타군부터 규슈 동해안을 따라 휴가국·오스미국 경계에 이르는 해안 해면 및 시코쿠의 해면과 내해)를 관할하는 진수부를 구레항에 설치하기로 결정했다.[4]
이후 부지 매입과 건축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1889년 해군 행정 개편 당시 구레는 "제2 해군 구역"(第二海軍区, ''다이니 카이군쿠'')으로 공식 지정되었다. 항만이 준설되고 방파제가 건설되었으며, 군함을 위한 부두 시설이 마련되었다. 1890년 3월 말까지 건축 공사의 대부분이 완료되었고, 같은 해 구레 해군 조병창의 공사가 시작되어 이후 대형 주력함 건조를 위한 일본 최대 규모의 조선소 중 하나로 확장되었다.
구레 진수부의 개청은 1889년 7월 1일자로 고시되었으며[5], 개청식은 1890년 4월 21일 메이지 천황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되었다.[6] 또한 "진수부 관제"에 따라 진수부의 초기 조직으로 참모부, 군의부, 주계부(경리부), 조선부, 병기부(무기부), 건축부, 군법회의, 감옥서 등이 설치되었다.
2. 2. 시설 확장 및 운영
1889년 7월 1일 구레 진수부 개청이 고시되었고[5], 1890년 4월 21일 메이지 천황이 참석한 가운데 개청식이 거행되었다.[6] 개청 당시 '진수부 관제'에 따라 진수부 조직은 참모부, 군의부, 주계부(경리부), 조선부, 병기부(무기부), 건축부, 군법회의, 감옥서 등으로 구성되었다.개청 이전인 1889년 4월 1일에는 해군 병원이 먼저 설치되었고, 같은 해 4월 17일에는 구레 진수부 해병단이 설치되었다. 개청 이후 시설은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 1890년 3월 10일에는 구 오노하마 조선소 부지에 구레 진수부 조선부 오노하마 분공장이 설치되었다.[8]
1893년 5월 19일 진수부 조례 개정으로 예비함부, 조선부, 측기고, 무고(무기고), 수뢰고, 병기 공장(무기 공장), 병원, 감옥이 설치되었으며, 오노하마에는 구레 진수부 조선 지부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 오노하마 조선 지부는 1895년 6월 6일 폐지되었다.[9]
1896년 4월 1일에는 구레 진수부 해병단이 구레 해병단으로 개칭되었고, 구레 수뢰단(수뢰 부설대, 수뢰정대 포함)과 가(假) 구레 병기 제조소가 설치되었다. 이듬해인 1897년 5월 25일 가(假) 구레 병기 제조소는 폐지되고 구레 해군 조병창이 정식으로 설치되었다.
1903년 11월 10일에는 구레 해군 공창(구레 해군 조선소)이 설치되었고, 기존의 조병창은 공창 소속의 조병부가 되었다. 1909년 12월 1일에는 구레 해군 인사부가 설치되었다.
1920년에는 8월 1일 구레 해군 공창에 광(廣) 지창이 설치되었고, 같은 해 9월에는 해군 잠수 학교가 개교하여 구레는 일본 제국 해군의 주요 잠수함 기지 및 잠수함전 훈련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이듬해인 1921년 3월에는 해군 연료창이 설치되었고, 1923년 4월 1일에는 군수부가 개설되고 구레 해군 감옥은 구레 해군 형무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후에도 시설 확장은 계속되어 1931년 6월에는 구레 해군 항공대가, 1937년 6월 1일에는 해군 통신대가 설치되어 진수부의 기능이 더욱 강화되었다.
2. 3. 태평양 전쟁과 폐지
1941년 진주만 공격 당시 구레 해군 관구는 서부 일본의 핵심적인 해군 기지로서 다음과 같은 주요 시설과 부대를 포함했다.[1][2]- '''구레 해군 관구 본부'''
- *구레 해군 기지
- **구레 해군 경비대: 구축함 ''야카제'', 잠수함 ''I-52'', ''Ro-30'', ''Ro-31'', ''Ro-32'', 기뢰 부설함 ''가쓰리키'', 가이보칸 ''야쿠모'' 등을 두었다.
- **구레 해군 공창
- **구레 해군 병원
- **구레 해군 형무소
- **구레 해군 연료 보급소
- **구레 특별 해군 육전대
- *구레 잠수함 기지
- *오타케 해군 보병 막사
- *도쿠야마 해군 연료 보급소
- *구레 경비 전대: 특설 순양함 ''사이공 마루'', ''방콕 마루'', 특설 포함 ''홍콩 마루'' 등이 있었다.
- *구레 지방 방위 전대: 제13구축대(''와카타케'', ''구레타케'', ''사나에''), 13호급 잠수함 추적함 ''CH-19'', ''CH-20'', ''CH-21'', 특설 순양함 ''킨조산 마루'', 제31/33 기뢰 제거대, 사에키 방위대, 시모노세키 방위대 등이 있었다.
- *제12 혼성 항공대 (훈련): 오이타, 우사, 하카타, 오무라 해군 항공대를 포함했다.
- *구레 해군 항공대
- *사에키 해군 항공대
- *제6 잠수함대 (훈련): ''Ro-57'', ''Ro-58'', ''Ro-59''를 포함했다.
태평양 전쟁 말기, 구레는 미국 해군과 미국 육군 항공대의 집중적인 폭격을 받아 주요 시설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일본의 패전 이후, 1945년 10월 15일 구레 해군 공창이 먼저 폐지되었고[9], 같은 해 11월 30일 구레 진수부도 최종적으로 폐지되었다[5].
일본 점령 기간 동안 구레 지역은 호주군과 영국군으로 구성된 영국 연방 점령군에 의해 점령되었으며, 광범위한 비무장화 조치가 이루어졌다. 구 사령관 관저 등 일부 시설은 1955년까지 영국 연방 점령군의 총사령부로 사용되기도 했다. 현재는 일본 해상자위대 구레 지방대가 옛 진수부 부지의 일부를 사용하고 있으며, 1907년에 완공된 붉은 벽돌의 옛 진수부 청사(2대 청사)는 해상자위대 구레 지방 총감부 제1청사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7]. 이 건물은 지금도 "구레친"(呉鎮)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일부 건물은 기념 박물관으로 보존되어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3. 주요 시설
구레 진수부는 일본 제국 해군의 핵심 기지로서 함선 건조, 병기 생산, 부대 주둔 및 훈련, 보급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1889년 개청 당시부터 참모부, 군의부, 경리부, 조선부, 무기부, 건축부, 군법회의, 감옥서 등이 조직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시설이 확장되었다.
진수부의 가장 중요한 시설 중 하나는 대형 주력함 건조 능력을 갖춘 구레 해군 조선소와 각종 어뢰, 해군 기뢰, 해군 포병 무기 등을 생산하는 구레 해군 공창(조병창)이었다. 이들 시설은 일본 해군력 증강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1] (상세 내용은 구레 해군 조선소 및 구레 해군 공창 섹션 참조)
또한, 1920년대에는 주요 잠수함 기지와 잠수함전 훈련 학교가 설립되어 잠수함 작전의 중심지가 되었고, 1930년대에는 구레 해군 항공대와 해군 통신대가 설치되어 항공 및 통신 능력도 강화되었다. 이 외에도 해군 병원, 해군 형무소(교도소), 연료 보급소, 해군 훈련소, 특별 해군 육전대 등 다양한 지원 시설과 부대가 운영되었다.[1][2] (상세 내용은 군사 시설 및 부대 및 기타 시설 섹션 참조)
인근 에타지마에는 일본 해군 사관학교와 해군 참모 대학이 위치했지만, 이들 교육 기관은 구레 진수부의 직접적인 지휘 하에 있지는 않았다.
이러한 구레 진수부의 시설들은 태평양 전쟁 말기 미국 해군과 미국 육군 항공대의 폭격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으며, 전후 일본 점령 기간 동안 상당 부분 해체되었다. 현재는 일부 시설만 남아 일본 해상자위대가 사용하고 있다.
3. 1. [[구레 해군 조선소]]
1890년 3월 10일 구레 진수부의 조선부(造船部)는 오노하마 조선소가 있던 자리에 오노하마 분공장을 설치했다. 1893년 5월 19일 진수부 조례 개정에 따라 조선부가 공식 설치되고, 오노하마 조선 지부가 다시 설치되었으며, 같은 시기 무기 공장도 설치되었다. 하지만 1895년 6월 6일 오노하마 조선 지부는 폐지되었다.1897년 5월 25일에는 기존의 임시 구레 병기 제조소가 폐지되고 구레 해군 무기 제조창이 설치되었다. 1903년 11월 10일, 구레 해군 조선소가 정식으로 설치되었고, 이전에 설치된 구레 해군 무기 제조창은 조선소의 조병부(造兵部)가 되었다.
구레 해군 조선소는 일본 제국 해군의 핵심 거점 중 하나로, 대형 주력함 건조 능력을 갖춘 일본 최대 규모의 조선소 중 하나였다. 조선소 내에서는 함선 건조 외에도 어뢰, 해군 기뢰, 해군 포병용 포와 탄약 등 각종 병기의 생산도 이루어졌다. 1920년 8월 1일에는 구레 해군 조선소 내에 규모 지창(呉海軍工廠広支廠)이 설치되었다.
태평양 전쟁 패전 후 1945년 10월 15일 구레 해군 조선소는 폐지되었다.
3. 2. [[구레 해군 공창]]
1890년 메이지 시대 일본 제국 해군은 구레 진수부 내에 대형 주력함 건조를 목표로 하는 구레 해군 조병창(工廠) 건설 공사를 시작했다. 이는 향후 일본 최대 규모의 조선소 중 하나로 확장될 계획의 일부였다. 초기에는 1893년 진수부 조례 개정을 통해 무기고, 수뢰고, 무기 공장 등이 설치되었고, 1896년에는 임시 구레 병기 선반이, 1897년에는 구레 해군 무기 제조창이 설치되는 등 단계적으로 시설이 확충되었다.1903년 11월 10일, 구레 해군 조선소가 정식으로 설치되면서 기존의 구레 해군 무기 제조창은 조선소 산하의 조병부(造兵部)로 편입되었다. 이로써 구레 해군 조병창의 체계가 공식적으로 갖추어졌다. 구레 해군 조병창은 병기창으로서 어뢰, 해군 기뢰, 해군 포병 무기 및 관련 탄약 등 다양한 해군 무기를 생산하는 핵심 시설로 기능했다.
1945년 10월 15일, 태평양 전쟁 패전 후 구레 해군 조선소가 폐지되면서 구레 해군 조병창 역시 그 기능을 상실했다.
3. 3. 군사 시설 및 부대
구레 진수부는 일본 제국 해군의 핵심 기지로서 다양한 군사 시설과 예하 부대를 갖추고 있었다. 주요 시설의 설치 및 개편 과정은 다음과 같다.연도 | 날짜 | 내용 |
---|---|---|
1889년 | 4월 1일 | 해군 병원 설치 |
1889년 | 4월 17일 | 구레 진수부 해병단 설치 |
1893년 | 5월 19일 | 진수부 조례 개정으로 예비함부, 조선부, 측기고, 무기고, 수뢰고, 무기 공장, 병원, 감옥 설치 |
1896년 | 4월 1일 | 구레 진수부 해병단을 구레 해병단으로 개칭. 구레 수뢰단 설치 (수뢰 부설대, 수뢰정대 포함) |
1897년 | 5월 25일 | 임시 구레 병기 제조소 폐지, 구레 해군 무기 제조창 설치 |
1903년 | 11월 10일 | 구레 해군 조선소 설치 (기존 무기 제조창은 조병창의 조병부로 편입) |
1909년 | 12월 1일 | 구레 해군 인사부 설치 |
1920년 | 8월 1일 | 구레 해군 조선소 규모 지창 설치 |
1920년 | 9월 | 해군잠수학교 개교 (이후 구레 잠수함 기지의 핵심 시설이 됨) |
1921년 | 3월 | 해군 연료 공장 설치 |
1923년 | 4월 1일 | 군수부 개설. 구레 해군 감옥을 구레 해군 교도소로 개칭 |
1931년 | 6월 | 구레 해군 항공대 설치 |
1937년 | 6월 1일 | 해군 통신대 설치 |
1941년 진주만 공격 당시 구레 진수부의 주요 편제는 다음과 같았다.[1]
- '''구레 해군 관구 본부'''
- '''구레 해군 기지'''
- * 구레 해군 경비대
- ** 구축함 ''야카제''
- ** 잠수함 ''I-52'', ''Ro-30'', ''Ro-31'', ''Ro-32''
- ** 기뢰 부설함 ''가쓰리키''
- ** ''야쿠모''
- * 구레 해군 조병창
- * 구레 해군 병원
- * 구레 해군 형무소
- * 구레 해군 연료 보급소
- * 구레 특별 해군 육전대
- '''구레 잠수함 기지'''
- '''오타케 해군 보병 막사'''
- 도쿠야마 해군 연료 보급소
- '''구레 경비 전대'''[2]
- * 특설 순양함 ''사이공 마루'', ''방콕 마루''
- * 특설 포함 ''홍콩 마루''
- '''구레 지방 방위 전대'''[2]
- * 구축함 제13구축대 (''와카타케'', ''구레타케'', ''사나에'')
- * 13호급 잠수함 추적함 ''CH-19'', ''CH-20'', ''CH-21''
- * 특설 순양함 ''킨조산 마루''
- * 기뢰 제거반 제31기뢰 제거대 (특설 기뢰 제거함 ''다쿠난 마루 3호'', ''다쿠난 마루 8호'', ''타마 마루'', ''타마 마루 6호'', ''타마 마루 7호'', ''오이 마루'')
- * 기뢰 제거반 제33기뢰 제거대 (특설 기뢰 제거함 ''비잔 마루'', ''메시마 마루'', ''토쿠호 마루 5호'', ''다이-2-고 아사히 마루'', ''키리 마루 5호'', ''미요 마루'')
- * 사에키 방위대
- * 시모노세키 방위대
- 제12 혼성 항공대 (훈련)[2] (오이타, 우사, 하카타, 오무라 해군 항공대)
- '''구레 해군 항공대'''
- 사에키 해군 항공대
- 제6 잠수함대 (훈련) (''Ro-57'', ''Ro-58'', ''Ro-59'')
이 외에도 오타케 해병단, 구레 해군 항무부, 도쿠야마 해군 항무부, 이와쿠니 해군 항공대 등이 구레 진수부 소속 또는 관련 부대로 존재했다.
일본 해군 사관학교와 해군 참모 대학은 히로시마현 에타지마에 위치하여 지리적으로 구레 진수부 관할 구역 내에 있었지만, 진수부의 직접적인 지휘를 받지는 않았다.
구레의 군사 시설들은 태평양 전쟁 말기 미국 해군과 미국 육군 항공대의 집중적인 폭격을 받아 대부분 파괴되었다. 전후 일본 점령 기간 동안 비무장화되었으며, 일부 시설은 현재 일본 해상자위대가 사용하고 있다.
3. 4. 기타 시설
구레 진수부에는 주요 작전 시설 외에도 다양한 지원 및 부속 시설이 운영되었다.- 해군 병원: 1889년 4월 1일 설치되었다. 진수부 개청 초기부터 운영된 주요 시설 중 하나였으며, 1893년 진수부 조례 개정 시에도 명시되었다. 1941년 진주만 공격 당시에도 구레 해군 관구의 주요 시설로 포함되어 있었다.[1]
- 해군 형무소 (후일 해군 교도소): 진수부 개청 초기인 1890년 조직 구성 시 '감옥서'가 설치되었고, 1893년 조례 개정으로 '감옥'이 정식 설치되었다. 1923년 4월 1일 '구레 해군 교도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시설 역시 1941년 당시 주요 시설 목록에 포함되었다.[1]
- 해군 연료 보급소: 1921년 3월 '해군 연료 공장'으로 설치되었으며, 이후 연료 보급소로 운영되었다. 1941년 당시에도 구레 해군 관구의 주요 시설 중 하나였다.[1] 도쿠야마에도 별도의 해군 연료 보급소가 있었다.[1]
- 기타: 이 외에도 1920년 9월에는 해군잠수학교가 개교하였고,[1] 주요 잠수함 기지 및 잠수함전 훈련 학교가 설립되었다. 1937년 6월 1일에는 해군 통신대가 설치되는 등[1] 다양한 시설이 구레 진수부 내에 운영되었다. 1941년 기준으로는 구레 특별 해군 육전대 등도 존재했다.[1]
4. 역대 지휘관
구레 진수부의 주요 지휘관으로는 사령장관과 참모장이 있었다. 역대 사령장관과 참모장의 상세 목록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사령장관
번호 | 이름 | 초상화 | 계급 | 재임 기간 | |
---|---|---|---|---|---|
시작 | 종료 | ||||
1 | 마키 나가요시 | ![]() | 중장 | 1887년 9월 26일 | 1889년 3월 8일 |
2 | 나카무타 쿠라노스케 | ![]() | 중장 | 1889년 3월 8일 | 1892년 12월 12일 |
3 | 아리치 시나노조 | ![]() | 중장 | 1892년 12월 12일 | 1895년 5월 12일 |
4 | 아보 키요야스 | ![]() | 중장 | 1895년 5월 12일 | 1896년 2월 26일 |
5 | 이노우에 요시카 | ![]() | 중장 | 1896년 2월 26일 | 1900년 5월 20일 |
6 | 시바야마 야하치 | ![]() | 중장 | 1900년 5월 20일 | 1905년 2월 6일 |
7 | 아리마 신이치 | ![]() | 중장 | 1905년 2월 6일 | 1906년 2월 2일 |
8 | 야마노우치 마스지 | ![]() | 중장 | 1906년 2월 2일 | 1909년 12월 1일 |
9 | 가토 도모사부로 | ![]() | 중장 | 1909년 12월 1일 | 1913년 12월 1일 |
10 | 마쓰모토 가즈 | ![]() | 중장 | 1913년 12월 1일 | 1914년 3월 25일 |
11 | 요시마쓰 모타로 | ![]() | 중장 | 1914년 3월 25일 | 1915년 9월 23일 |
12 | 이지치 스에타카 | 중장 | 1915년 9월 23일 | 1916년 12월 1일 | |
13 | 가토 사다키치 | ![]() | 중장 | 1916년 12월 1일 | 1919년 12월 1일 |
14 | 무라카미 카쿠이치 | ![]() | 대장 | 1919년 12월 1일 | 1922년 7월 27일 |
15 | 스즈키 간타로 | ![]() | 중장 | 1922년 7월 27일 | 1924년 1월 27일 |
16 | 다케시타 이사무 | ![]() | 중장 | 1924년 1월 27일 | 1925년 4월 15일 |
17 | 아보 키요카즈 | ![]() | 중장 | 1925년 4월 15일 | 1926년 12월 10일 |
18 | 타니구치 나오미 | ![]() | 중장 | 1926년 12월 10일 | 1928년 12월 10일 |
19 | 오오타니 코시로 | 중장 | 1928년 12월 10일 | 1929년 11월 11일 | |
20 | 타니구치 나오미 | -- | 대장 | 1929년 11월 11일 | 1930년 6월 11일 |
21 | 노무라 기치사부로 | ![]() | 중장 | 1930년 6월 11일 | 1931년 12월 1일 |
22 | 야마나시 가쓰노신 | ![]() | 중장 | 1931년 12월 1일 | 1932년 12월 1일 |
23 | 나카무라 료조 | ![]() | 중장 | 1932년 12월 1일 | 1934년 5월 10일 |
24 | 후지타 히사노리 | ![]() | 중장 | 1934년 5월 10일 | 1936년 12월 1일 |
25 | 가토 다카요시 | 중장 | 1936년 12월 1일 | 1938년 11월 15일 | |
26 | 시마다 시게타로 | 중장 | 1938년 11월 15일 | 1940년 4월 15일 | |
27 | 히비노 마사하루 | 중장 | 1940년 4월 15일 | 1941년 9월 18일 | |
28 | 도요다 소에무 | 대장 | 1941년 9월 18일 | 1942년 11월 10일 | |
29 | 다카하시 이보 | ![]() | 중장 | 1942년 11월 10일 | 1943년 6월 21일 |
30 | 나구모 주이치 | ![]() | 중장 | 1943년 6월 21일 | 1943년 10월 20일 |
31 | 노무라 나오쿠니 | ![]() | 중장 | 1943년 10월 20일 | 1944년 7월 17일 |
32 | 사와모토 요리오 | ![]() | 대장 | 1944년 7월 17일 | 1945년 5월 1일 |
33 | 가나자와 마사오 | ![]() | 중장 | 1945년 5월 1일 | 1945년 11월 15일 |
- | 오카다 다메쓰구 (대리) | 소장 | 1945년 11월 15일 | 1945년 11월 30일 |
4. 2. 참모장
계급 | 이름 | 재임 기간 |
---|---|---|
소장 | 사토 시즈오 | 1889년 4월 1일 – 1890년 5월 13일 |
원수 | 도고 헤이하치로 | 1890년 5월 13일 – 1891년 12월 14일 |
소장 | 요시지마 도키야스 | 1891년 12월 14일 – 1893년 5월 20일 |
소장 | 히라오 후쿠사부로 | 1893년 5월 20일 – 1895년 5월 11일 |
소장 | 미요시 가쓰미 | 1895년 5월 11일 – 1897년 12월 27일 |
중장 | 남작 도고 마사미치 | 1897년 12월 27일 – 1899년 3월 23일 |
대좌 | 야지마 이사무 | 1899년 3월 23일 – 1900년 12월 6일 |
소장 | 오이노우에 히사마로 | 1900년 12월 6일 – 1904년 2월 3일 |
중장 | 남작 나카미조 도쿠타로 | 1904년 2월 3일 – 1905년 5월 10일 |
소장 | 니지마 이치로 | 1905년 5월 10일 – 1906년 2월 2일 |
대장 | 요시마쓰 모타로 | 1906년 2월 2일 – 1906년 11월 22일 |
소장 | 우에하라 신지로 | 1906년 11월 22일 – 1907년 12월 27일 |
소장 | 다케우치 헤이타로 | 1907년 12월 27일 – 1910년 5월 22일 |
대장 | 나와 마타히치로 | 1910년 5월 22일 – 1912년 4월 20일 |
대장 | 노마구치 가네오 | 1912년 4월 20일 – 1913년 1월 10일 |
소장 | 오사와 기시키치로 | 1913년 1월 10일 – 1913년 12월 1일 |
중장 | 나카노 나오에 | 1913년 12월 1일 – 1914년 4월 17일 |
대장 | 이데 겐지 | 1914년 4월 17일 – 1915년 12월 13일 |
중장 | 야마나카 시바키치 | 1915년 12월 13일 – 1917년 7월 13일 |
중장 | 마쓰무라 준이치 | 1917년 7월 18일 – 1918년 12월 1일 |
중장 | 사이토 시치고로 | 1918년 12월 1일 – 1920년 12월 1일 |
중장 | 마사키 요시모토 | 1920년 12월 1일 – 1922년 12월 1일 |
중장 | 고마쓰 나오모토 | 1922년 12월 1일 – 1923년 11월 6일 |
중장 | 나가사와 나오타로 | 1923년 11월 6일 – 1924년 12월 1일 |
소장 | 가바야마 베키나리 | 1924년 12월 1일 – 1924년 12월 16일 |
중장 | 다테노 도쿠지로 | 1924년 12월 16일 – 1926년 12월 1일 |
중장 | 이지치 기요히로 | 1926년 12월 1일 – 1928년 12월 10일 |
대장 | 오이카와 고시로 | 1928년 12월 10일 – 1930년 6월 10일 |
중장 | 스즈키 기이치 | 1930년 6월 10일 – 1931년 12월 1일 |
중장 | 이노우에 초지 | 1931년 12월 1일 – 1932년 11월 15일 |
중장 | 스미야마 도쿠타로 | 1932년 11월 15일 – 1934년 11월 15일 |
중장 | 타니모토 우마타로 | 1934년 11월 15일 – 1935년 11월 15일 |
중장 | 니이미 마사이치 | 1935년 11월 15일 – 1936년 4월 1일 |
중장 | 사토 이치로 | 1936년 4월 1일 – 1936년 12월 1일 |
중장 | 토가리 타카모토 | 1936년 12월 1일 – 1938년 12월 15일 |
중장 | 나카무라 도시히사 | 1938년 12월 15일 – 1939년 10월 10일 |
중장 | 우가키 마토메 | 1939년 10월 10일 – 1941년 8월 20일 |
중장 | 나카지마 토라히코 | 1941년 8월 20일 – 1943년 1월 6일 |
중장 | 고바야시 겐고 | 1943년 1월 6일 – 1943년 6월 11일 |
중장 | 오니시 신조 | 1943년 6월 11일 – 1944년 9월 9일 |
중장 | 하시모토 쇼조 | 1944년 9월 10일 – 1945년 10월 15일 |
소장 | 오카다 타메츠구 | 1945년 10월 15일 – 1945년 11월 30일 |
5. 소속 부대 (1941년-1945년)
1941년 진주만 공격 당시 구레 진수부의 편성은 다음과 같다.[1]
- '''구레 진수부 본부'''
- * 구레 해군기지
- ** 구레 해군 경비대
구축함 ''야카제''
잠수함: ''I-52'', ''Ro-30'', ''Ro-31'', ''Ro-32''
기뢰부설함 ''가쓰리키''
가이보칸 ''야쿠모''
- ** 구레 해군 조병창
- ** 구레 해군병원
- ** 구레 해군형무소
- ** 구레 해군 연료창
- ** 구레 특별 해군 육전대
- * 구레 잠수함 기지
- * 오타케 해병단
- * 도쿠야마 해군 연료창
- * 구레 경비전대[2]
- ** 특설순양함 ''사이공 마루'', 특설순양함 ''방콕 마루''
- ** 특설포함 ''홍콩 마루''
- * 구레 방비전대[2]
- ** 제13구축대
구축함 ''와카타케'', ''구레타케'', ''사나에''
- ** 구잠정 ''CH-19'', ''CH-20'', ''CH-21''
- ** 특설순양함 ''킨조산 마루''
- ** 제31소해대
특설소해정 ''다쿠난 마루 3호'', ''다쿠난 마루 8호'', ''타마 마루'', ''타마 마루 6호'', ''타마 마루 7호'', ''오이 마루''
- ** 제33소해대
특설소해정 ''비잔 마루'', ''메시마 마루'', ''토쿠호 마루 5호'', ''다이-2-고 아사히 마루'', ''키리 마루 5호'', ''미요 마루''
6. 한국과의 관계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과의 관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2nd (Kure) Naval District, Imperial Japanese Navy, 7.12.1941
http://niehorster.or[...]
[2]
서적
Senshi Sōsho Vol. 80, Combined Fleet #2, "Until June 1942"
Asagumo Shimbun (Tokyo, Japan)
1975
[3]
간행물
明治19年4月26日官報第842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4]
간행물
明治19年5月5日官報第850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5]
간행물
明治22年7月1日官報第1800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6]
간행물
明治23年4月29日官報第2046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7]
웹사이트
映画「アルキメデスの大戦」で注目の広島・呉
https://www.jiji.com[...]
時事通信
2019-08-15
[8]
간행물
明治23年3月10日官報第2005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9]
간행물
明治28年6月7日官報第3580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