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은 경상북도 구미시 황상동에 위치한 높이 7.2미터의 거대한 마애불상이다. 산록의 바위면에 부조된 이 불상은 육계와 나발, 풍만한 얼굴, 얇은 옷자락 등 특징을 가지며, 아미타불의 중품하생인 변형을 묘사한 손 모양과 둔중한 하체 표현이 특징이다. 고려 시대 조각 양식을 반영하여 10세기 이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백제군에게 쫓기던 당나라 장수가 은혜를 갚기 위해 조성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2호로 지정되어 보존 및 관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미시의 문화유산 - 구미 농소리 은행나무
구미 농소리 은행나무는 경상북도 구미시 농소리에 있는 천연기념물로, 마을을 보호하는 신성한 나무로 여겨져 조상들의 보살핌을 받아왔으며 문화적, 생물학적 가치가 높아 보호받고 있다. - 구미시의 문화유산 - 구미 금오서원
구미 금오서원은 고려 충신 길재를 기리기 위해 1570년 금오산 아래 건립되어 1575년 사액을 받은 영남 지역 대표 서원으로, 임진왜란 이후 선산읍으로 이전 복원되었고 5명의 인물을 배향하며 서원 철폐에도 훼철되지 않고 존속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 경상북도의 보물 - 봉화 한수정
봉화 한수정은 조선 선조 때 권래가 옛 거연헌 터에 세운 T자형 평면과 팔작지붕의 독특한 건축 양식을 지닌 정자로, 맑은 정신으로 공부하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주변 조경과 함께 안동 권씨 가문의 건축 및 조경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서 보물로 지정되었다. - 경상북도의 보물 - 안동 임청각
안동 임청각은 조선 시대 이명이 지은 99칸 규모의 고택으로, 독립운동가를 다수 배출한 역사적인 장소이며, 현재 복원 중인 한국 전통 건축의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 마애불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은 굴불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사방불 형식 석조 조각상으로, 각 면에는 아미타불, 약사여래, 석가모니불, 미륵보살이 조각되어 있으며, 창건 설화와 함께 통일신라 시대 조각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재이다. - 마애불 -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은 고려 초기에 조성된 높이 13m의 화강암 마애불로서, 부드러운 신체 표현과 힘있는 얼굴 선이 특징이며, 과거 목조 건축물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구멍이 있고, 덕주 공주 창건 설화가 전해지나 조성 시기와 차이가 있으며, 고려 초기 지방 호족 세력의 불교 번성을 보여주는 문화재이다.
구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구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 (龜尾 凰顙洞 磨崖如來立像) |
지정 번호 | 1122 |
지정일 | 1992년 1월 15일 |
주소 | 경상북도 구미시 옥계2공단로 91-26 (황상동) |
소유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시대 | 남북국시대 신라 |
문화재청 ID | 12,11220000,37 |
추가 정보 | |
유형 | 보물 |
유형 문화재 지정 (과거) | 유형문화재 91호 (1977년 7월 15일 지정, 1992년 1월 15일 해지) |
과거 명칭 | 황상동마애아미타여래석불입상 (黃桑洞磨崖阿彌陀如來石佛立像) |
2. 특징
산록에서 툭 튀어나온 커다란 바위면을 쪼아 부조(浮彫)한 높이 7.2미터, 어깨폭 2.8미터의 거대한 입불상이다. 이런 거대성과 함께 고(高) 부조로 중후하게 조각하여 압도하는 느낌을 준다. 육계와 나발(螺髮)이 나타나 있고 귀는 어깨까지 길게 내려와 있다. 풍만한 얼굴은 양감(量感) 있는 부피감을 더해 주며, 탄력 있는 곡선, 그리고 우아한 이목구비와 함께 매력적인 장중함을 나타내고 있다. 얇은 불의(佛依)에 감싸인 체구는 터질 듯한 팽만함으로 충만하고 있는데, 당당한 어깨, 두 손을 가슴에 모아 아미타불의 중품하생인(中品下生印)변형을 묘사한 두 손, 특히 둔부까지를 강조하여 비만스럽게 보이려 한 점과 좌우로 벌린 거대한 두 발 등에서 다소 둔중스럽게까지 느끼게 하는 작품이다. 양손을 모으고 지그시 눈을 감은 듯한 이 불상의 응시방향을 연장하여 보면 정동향으로 천생산성과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2. 1. 형태
산록에서 툭 튀어나온 커다란 바위면을 쪼아 부조(浮彫)한 높이 7.2미터, 어깨폭 2.8미터의 거대한 입불상이다. 이런 거대성과 함께 고(高) 부조로 중후하게 조각하여 압도하는 느낌을 준다. 육계와 나발(螺髮)이 나타나 있고 귀는 어깨까지 길게 내려와 있다. 풍만한 얼굴은 양감(量感) 있는 부피감을 더해 주며, 탄력 있는 곡선, 그리고 우아한 이목구비와 함께 매력적인 장중함을 나타내고 있다. 얇은 불의(佛依)에 감싸인 체구는 터질 듯한 팽만함으로 충만하고 있는데, 당당한 어깨, 두 손을 가슴에 모아 아미타불의 중품하생인(中品下生印)변형을 묘사한 두 손, 특히 둔부까지를 강조하여 비만스럽게 보이려 한 점과 좌우로 벌린 거대한 두 발 등에서 다소 둔중스럽게까지 느끼게 하는 작품이다. 양손을 모으고 지그시 눈을 감은 듯한 이 불상의 응시방향을 연장하여 보면 정동향으로 천생산성과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2. 2. 얼굴
산록에서 툭 튀어나온 커다란 바위면을 쪼아 부조(浮彫)한 높이 7.2미터, 어깨폭 2.8미터의 거대한 입불상이다. 고(高) 부조로 중후하게 조각하여 압도하는 느낌을 준다. 육계와 나발(螺髮)이 나타나 있고 귀는 어깨까지 길게 내려와 있다. 풍만한 얼굴은 양감(量感) 있는 부피감을 더해 주며, 탄력 있는 곡선, 그리고 우아한 이목구비와 함께 매력적인 장중함을 나타내고 있다.2. 3. 옷차림과 자세
산록에서 툭 튀어나온 커다란 바위면을 쪼아 부조(浮彫)한 높이 7.2미터, 어깨폭 2.8미터의 거대한 입불상이다. 이런 거대성과 함께 고(高) 부조로 중후하게 조각하여 압도하는 느낌을 준다. 육계와 나발(螺髮)이 나타나 있고 귀는 어깨까지 길게 내려와 있다. 풍만한 얼굴은 양감(量感) 있는 부피감을 더해 주며, 탄력 있는 곡선, 그리고 우아한 이목구비와 함께 매력적인 장중함을 나타내고 있다. 얇은 불의(佛依)에 감싸인 체구는 터질 듯한 팽만함으로 충만하고 있는데, 당당한 어깨, 두 손을 가슴에 모아 아미타불의 중품하생인(中品下生印)변형을 묘사한 두 손, 특히 둔부까지를 강조하여 비만스럽게 보이려 한 점과 좌우로 벌린 거대한 두 발 등에서 다소 둔중스럽게까지 느끼게 하는 작품이다. 양손을 모으고 지그시 눈을 감은 듯한 이 불상의 응시방향을 연장하여 보면 정동향으로 천생산성과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2. 4. 시선
산록에서 툭 튀어나온 커다란 바위면을 쪼아 부조(浮彫)한 높이 7.2미터, 어깨폭 2.8미터의 거대한 입불상이다. 고(高) 부조로 중후하게 조각하여 압도하는 느낌을 준다. 육계와 나발(螺髮)이 나타나 있고 귀는 어깨까지 길게 내려와 있다. 풍만한 얼굴은 양감(量感) 있는 부피감을 더해 주며, 탄력 있는 곡선, 그리고 우아한 이목구비와 함께 매력적인 장중함을 나타내고 있다. 얇은 불의(佛依)에 감싸인 체구는 터질 듯한 팽만함으로 충만하고 있는데, 당당한 어깨, 두 손을 가슴에 모아 아미타불의 중품하생인(中品下生印)변형을 묘사한 두 손, 특히 둔부까지를 강조하여 비만스럽게 보이려 한 점과 좌우로 벌린 거대한 두 발 등에서 다소 둔중스럽게까지 느끼게 하는 작품이다. 양손을 모으고 지그시 눈을 감은 듯한 이 불상의 응시방향을 연장하여 보면 정동향으로 천생산성과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3. 조성 배경 및 역사
이 불상은 속칭 석현(石峴)이라 불리는 고갯길 좌측으로 솟아 있는 암벽 전면에 걸쳐 조각된 높이 7.3m의 여래입상이다.[3]
암벽 위에는 별도의 판석을 얹어 불상의 머리 부분을 덮고 있는데, 이는 고려 시대 야외에 노출된 불상에서 흔히 나타나는 형태이다.[3] 불상은 바위의 굴곡을 따라 자연스럽게 조각하여 전체적으로 율동감을 준다.[3] 전체적인 조각 수법으로 볼 때 이 불상은 고려 시대의 조각 양식이 잘 반영되어 있어 10세기 이후의 작품으로 추정된다.[3]
전설에 의하면 백제군에 쫓기던 당나라의 장수가 어느 여인의 도움으로 이 바위 뒤에 숨어 목숨을 구하였는데, 이곳에 있던 여인은 간 곳이 없었다고 한다.[3] 그 여인이 부처님이라고 생각한 장수가 이 바위에 불상을 조각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3]
3. 1. 통일신라-고려 초기
이 불상은 속칭 석현(石峴)이라 불리는 고갯길 좌측으로 솟아 있는 암벽 전면에 걸쳐 조각된 높이 7.3m의 여래입상이다.[3]암벽 위에는 별도의 판석을 얹어 불상의 머리 부분을 덮고 있는데, 이는 고려 시대 야외에 노출된 불상에서 흔히 나타나는 형태이다.[3] 불상은 바위의 굴곡을 따라 자연스럽게 조각하여 전체적으로 율동감을 준다.[3] 전체적인 조각 수법으로 볼 때 이 불상은 고려 시대의 조각 양식이 잘 반영되어 있어 10세기 이후의 작품으로 추정된다.[3]
전설에 의하면 백제군에 쫓기던 당나라의 장수가 어느 여인의 도움으로 이 바위 뒤에 숨어 목숨을 구하였는데, 이곳에 있던 여인은 간 곳이 없었다고 한다.[3] 그 여인이 부처님이라고 생각한 장수가 이 바위에 불상을 조각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3]
3. 2. 전설
백제군에 쫓기던 당나라 장수가 어느 여인의 도움으로 이 바위 뒤에 숨어 목숨을 구했는데, 이곳에 있던 여인은 간 곳이 없었다고 한다. 그 여인이 부처님이라고 생각한 장수가 이 바위에 불상을 조각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3]4. 보존 및 관리
wikitext
1979년 12월 18일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2호로 지정되었다.
4. 1. 문화재 지정
1979년 12월 18일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2호로 지정되었다.4. 2. 관리 현황
wikitext참조
[1]
간행물
관보제12023호
http://theme.archive[...]
문화부
1992-01-20
[2]
간행물
「구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 지정명칭(한자) 변경
문화재청
2015-01-30
[3]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