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비오는 이탈리아 움브리아주에 위치한 도시로, 청동기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었다. 고대 움브리아인들의 중요한 도시였으며, 로마 시대에는 이구비움으로 불리며 중요한 도시로 발전했다. 중세 시대에는 십자군 전쟁에 참여하고, 구엘프와 기벨린 세력 간의 갈등을 겪었으며, 몬테펠트로 가문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1631년 교황령에 편입되었고, 1870년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되었다. 구비오는 코르사 데이 체리 축제로 유명하며, 마욜리카 도자기 생산의 중심지였다. 또한, 구비오 층으로 알려진 지질학적 특징으로 인해 과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A.S. 구비오 1910 축구 클럽의 연고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움브리아주의 로마 유적 - 마사마르타나
마사마르타나는 이탈리아 움브리아주 테르니 현에 위치한 지중해성 기후의 코무네로, 고대 로마 시대 역사를 가지며, 지진 피해 복구 후 아이스크림 축제와 프레세피 디탈리아 전시회, 아름다운 마을 클럽 가입, 다양한 종교 건축물, 문화 유산, 문화 행사를 자랑합니다. - 움브리아주의 로마 유적 - 페루자
페루자는 이탈리아 움브리아 주의 주도이자 고대 에트루리아 도시 페루시아의 자리에 세워진 도시로, 로마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중세에는 코무네로서 독립을 유지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예술과 건축의 중심지로 번영했고, 현재는 초콜릿과 대학교, 문화 유적으로 유명하다. - 이탈리아의 도 - 스폴레토
스폴레토는 이탈리아 움브리아주 페루자현에 위치한 도시로, 아펜니노산맥 구릉 지대에 자리 잡았으며 고대 움브리아인의 거점이었고 로마 식민 도시로 발전, 중세 시대에는 스폴레토 공국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건축물과 문화 행사로 유명하다. - 이탈리아의 도 - 몬테로니다르비아
몬테로니 다르비아는 아시아노, 부온콘벤토 등과 인접해 있으며, 세례자 성 요한 교구 교회, 성 야고보와 성 크리스토퍼 교회 등의 명소가 있고, 화가 체사레 마카리가 킨치아노 마을에 거주했다. - 페루자도의 코무네 - 마사마르타나
마사마르타나는 이탈리아 움브리아주 테르니 현에 위치한 지중해성 기후의 코무네로, 고대 로마 시대 역사를 가지며, 지진 피해 복구 후 아이스크림 축제와 프레세피 디탈리아 전시회, 아름다운 마을 클럽 가입, 다양한 종교 건축물, 문화 유산, 문화 행사를 자랑합니다. - 페루자도의 코무네 - 스폴레토
스폴레토는 이탈리아 움브리아주 페루자현에 위치한 도시로, 아펜니노산맥 구릉 지대에 자리 잡았으며 고대 움브리아인의 거점이었고 로마 식민 도시로 발전, 중세 시대에는 스폴레토 공국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건축물과 문화 행사로 유명하다.
구비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공식 명칭 | 구비오 시 |
로마자 표기 | Citta di Gubbio |
행정 구역 | |
국가 | 이탈리아 |
주 | 움브리아주 |
도 | 페루자도 (PG) |
코무네 | 구비오 |
분리 집락 | 목록 참조 (Frazioni 참조) |
시장 | |
시장 정당 | SEL |
시장 이름 | 필리포 마리오 스티라티 |
면적 | |
총 면적 | 525 km² |
인구 | |
총 인구 | 32998명 |
인구 조사 기준 | 2010년 12월 31일 |
인구 밀도 | 63명/km² |
주민 애칭 | Eugubini (에우구비니) |
지리 | |
해발 고도 | 522m |
상징 | |
수호 성인 | 성 우발도 |
축일 | 5월 16일 |
행정 및 연락 | |
우편 번호 | 06024, 06020 |
지역 번호 | 075 |
공식 웹사이트 | 구비오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구비오는 페루자 북동쪽 인지노산 비탈에 자리 잡고 있다.[10]
1977년 구비오 인근에서 월터 알바레스가 "어점토" 지층에서 고농도 이리듐을 포함하는 점토층(K-T 경계)을 발견하여, 운석 낙하를 원인으로 하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K-T 경계 및 칙술루브 크레이터 항목을 참조하라.
고대 구비오는 움브리아의 중심 도시였으며, 라틴어로는 이구비움(Iguvium), 중세 라틴어로는 에우구비움(Eugubium)이라고 불렸다. 중세 시대에는 중요한 도시였으며, 1387년 우르비노 공국의 몬테펠트로 가문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 시기 구비오는 마욜리카 주요 생산지로 알려졌다. 1624년부터 교황령이 되었다.
1332-1346년에 지어진 고딕 건축 건물인 콘솔리 궁전 등 수많은 역사적인 석조 건축물이 남아 있다.
매년 5월 15일에는 도시의 수호 성인인 성 우발도의 축제인 "촛불 축제"가 열린다.
겨울철, 도시를 마주한 인지노산 산비탈에 전등을 사용하여 그려지는 크리스마스 트리는 높이 약 650미터, 폭 350미터로, 2021년 기네스북에 세계 최대 크리스마스 트리로 등록되었다.[11][12]
소행성 (4860) 구비오는 구비오에서 이름을 따왔다.[13]
1631년, 구비오는 우르비노 공국의 델라 로베레 가문이 몰락하면서 교황령의 일부가 되었다. 이후 1860년에 이탈리아 왕국에 합병되었다.
2. 1. 고대
구비오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매우 오래된 도시이다.[16] ''이쿠비움''(Ikuvium)이라고 불렸던 이곳은 고대 로마 이전 시대에 움브리아인들에게 중요한 마을이었으며, 고대 움브리아어가 새겨진 청동판인 이구비네 판이 발견되어 유명해졌다.[3] 기원전 2세기에 로마인들에게 정복당한 후 ''이구비움''(Iguvium)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로마 극장이 남아있을 정도로 중요한 도시였다.2. 2. 중세
도시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언덕 위에 있던 마을은 이미 청동기 시대부터 존재했었다.[16] ''이쿠비움''(Ikuvium)이라는 이름을 지녔던 이곳은 로마 이전 시대에 고대 움브리아인들에게 중요했던 마을이었고, 고대 움브리아어가 다수 남아있는 청동판인 이구비네 판이 발견되면서 유명해졌다. 기원전 2세기에 로마인들에게 정복당한 후, 이곳은 ''이구비움''(Iguvium)이라는 명칭으로 개명됐고,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로마 극장이 있던 것이 증명되는 등 중요한 도시로서 남았다.구비오는 중세 시대가 시작하던 당시에 매우 강력해졌다. 제1차 십자군 전쟁 당시에 이곳은 지롤라모 가브리엘리 지휘하에 1000명의 기사들을 보냈고, 증명되지 않는 지역 전승에 의하면, 그들은 공성전(1099년) 당시에 성묘 교회를 처음으로 입성한 이들이라고 한다.
다음 세기에는 꽤나 격동의 시기였고, 구비오는 움브리아 지역의 마을들과 전쟁을 하느라 바빴다. 그 전쟁들 중 하나는 1151년에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고 구비오와 번영의 시대를 수호한 성 우발도 발다시니의 기적적인 개입이 있었다. 구엘프와 기벨린의 어려움 속에서 콘도티에로인 칸테 데이 가브리엘리(1260 - 1335) 같은 이들이 교황 세력을 지원하는 구엘프의 당원이었고, 피렌체의 포데스타 시절에 단테 알리기에리를 추방했다.
1350년에 구비오의 가장 중요한 귀족 가문의 일원인 보르고발레의 백작 조반니 가브리엘리는 공화국을 공격했고 구비오의 군주가 되었다. 하지만 그의 통치는 짧았고, 교회를 대표하는 힐 알바레스 데 알보르노스에게 1354년에 마을을 강제로 넘기게 되었다.
몇 년이 지나고, 구비오의 주교인 가브리엘로 가브리엘리는 그 스스로를 구비오의 군주(Signor d’Agobbioit)라고 선언했다. 그의 친척들이 포함된 귀족 무리의 배신으로 인해, 그 주교는 도시에서 추방당했고 칸티아노(Cantiano)에 있는 그의 성으로 도피했다.
가브리엘리 가문의 정치적 위신이 쇠퇴하고, 구비오는 그후에 몬테펠트로의 영역에 세워졌다.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는 옛 팔라초 두칼레를 재건하였고, 우르비노에 있는 그의 ''스투디올로''같은 인타르시아로 덧된 스투디올로를 세웠다.[17] 구비오에 있는 마욜리카 산업은 16세기 중반의 초창기에 금과 구리를 모방한 금속 진주 광택이 나는 도자기와 함께 절정을 이뤘다.
2. 3. 근대
구비오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매우 오래된 도시이다. 고대 로마 이전 시대에는 ''이쿠비움''(Ikuvium)이라는 이름으로 움브리아인들에게 중요한 마을이었으며, 고대 움브리아어가 새겨진 청동판인 이구비네 판이 발견되어 유명해졌다. 기원전 2세기에 로마인들에게 정복당한 후 ''이구비움''(Iguvium)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로마 극장이 남아있을 정도로 중요한 도시였다.중세 시대 초기에 구비오는 매우 강력한 도시였다. 제1차 십자군 전쟁 당시 지롤라모 가브리엘리의 지휘 아래 1000명의 기사들을 파병했는데, 지역 전승에 따르면 이들은 성묘 교회에 처음으로 입성한 이들이라고 한다.
다음 세기는 움브리아 지역의 마을들과의 전쟁으로 혼란스러웠다. 1151년에는 성 우발도 발다시니의 기적적인 개입으로 구비오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고 번영의 시대를 맞이했다. 구엘프와 기벨린의 갈등 속에서 칸테 데이 가브리엘리(1260 - 1335)와 같은 콘도티에로들은 교황 세력을 지원하는 구엘프 당원이었고, 피렌체의 포데스타 시절에 단테 알리기에리를 추방하기도 했다.
1350년, 보르고발레의 백작 조반니 가브리엘리가 구비오의 군주가 되었으나, 그의 통치는 짧았고 1354년 힐 알바레스 데 알보르노스에게 도시를 넘겨야 했다. 몇 년 후, 구비오의 주교였던 가브리엘로 가브리엘리가 스스로를 구비오의 군주(Signor d’Agobbio)라고 선언했지만, 귀족들의 배신으로 도시에서 추방당하고 칸티아노의 성으로 도피했다.
가브리엘리 가문의 정치적 위신이 쇠퇴하면서 구비오는 몬테펠트로 가문의 영토에 편입되었다.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는 옛 두칼레 궁전을 재건하고, 우르비노에 있는 그의 ''스투디올로''와 같은 인타르시아로 덧된 스투디올로를 세웠다.[17] 구비오의 마욜리카 산업은 16세기 중반에 금과 구리를 모방한 금속 진주 광택이 나는 도자기로 절정을 이루었다.
1631년, 구비오는 우르비노 공국의 델라 로베레 가문이 몰락하면서 교황령의 일부가 되었다. 이후 1860년에 이탈리아 왕국에 합병되었다.
3. 지리
구비오는 페루자에서 북동쪽으로 떨어진 인지노산 비탈에 자리 잡고 있다.[10]
1977년 구비오 인근에서 월터 알바레스가 "어점토" 지층에서 고농도 이리듐을 함유한 점토층(K-T 경계)을 발견하면서, 중생대 말 대량 절멸의 원인으로 운석 낙하 가설이 제기되었다. 자세한 경위와 이 가설에 대한 내용은 K-T 경계 및 칙술루브 크레이터 문서를 참조하라.
3. 1. 위치
구비오는 움브리아주 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르케주와의 경계 근처에 있다. 이 자치구는 페사로에우르비노도의 카글리, 칸티아노와 코스타차로, 포사토디비코, 괄도타디노, 페루자, 피에트랄룽가, 스케자에파스체루포, 시질로, 움베르티데, 발파브리카와 접한다.[5]3. 2. 인접 코무네
마르케와의 경계 근처인 움브리아 북부에 위치한 구비오는 다음과 같은 코무네와 접한다.[5] 괄호 안의 PU는 페사로 에 우르비노도 소속을 나타낸다.
3. 3. 기후 및 지진 분류
구비오의 이탈리아 기후 분류Classificazione climatica dei comuni italiani|이탈리아어it 일도일은 2357이다.[14]또한, 이탈리아의 지진 위험 등급Classificazione sismica dell'Italia|이탈리아어it에서는 2등급으로 분류된다.[15]
4. 문화
구비오는 다양한 문화 행사와 역사적 배경을 가진 도시이다. 특히 매년 5월 15일에 열리는 체리 경주는 구비오의 대표적인 축제이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도자기 생산의 중심지로도 유명했다. 또한,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와 관련된 구비오의 늑대 이야기는 구비오의 유명한 전설 중 하나이다. 겨울철 인지노 산에 설치되는 크리스마스 트리는 기네스북에 등재될 정도로 유명하다.
4. 1. 코르사 데이 체리 (Corsa dei Ceri)

구비오는 매년 5월 15일 성 우발도 축일마다 코르사 데이 체리가 열리는 곳이다. 코르사 데이 체리는 구비오의 수호성인인 성 우발도, 성 조르조, 성 안토니오에게 헌정된 세 개의 팀이 각각 모래시계 모양을 하고 280kg이 나가는 4m 높이의 팔각기둥 위에 조각된 목제 조각상을 들고, 응원단의 인파들 사이로 성 우발도 바실리카에 있는 팔라초 데이 콘솔리 앞 광장에서부터 산 위로 달리는 축제이다.
이 레이스는 종교성, 시민성, 역사성의 색채가 강하며, 이탈리아에서 가장 잘 알려진 민속 축제 중 하나이다. 체리는 오늘날의 움브리아 주의 문장의 상징으로 채택되었다.
코르사 데이 체리와 같은 축제는 펜실베이니아주 제섭에서도 열린다. 이 작은 마을 사람들은 구비오 사람들과 같은 축제 행사를 가져왔다. 이들은 메모리얼 데이 휴일에 거리를 따라 세 개의 조각상을 들고 달린다.
4. 2. 마욜리카 (Majolica)
구비오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도자기(마욜리카) 생산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그 시대의 가장 중요한 이탈리아 도공인 조르조 안드레올리는 16세기 초에 구비오에서 활동했다.4. 3. 구비오의 늑대 (Wolf of Gubbio)

이 마을에서 가장 유명한 이야기는 "구비오의 늑대" 이야기이다. 구비오의 늑대는 사람을 잡아먹는 늑대였지만,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에 의해 길들여졌고, 그 후 도시의 순한 거주자가 되었다. 이 전설은 14세기 ''성 프란치스코의 작은 꽃들''과 관련이 있다.[1]
4. 4. 크리스마스 트리
겨울철, 도시를 마주한 인지노산의 산비탈에 전등을 사용하여 그려지는 크리스마스 트리는 높이가 650m, 폭이 350m 크기로, 2021년 현재 기네스북에 세계 최대의 크리스마스 트리로 등록되어 있다.[11][12]5. 명소
구비오의 역사적 중심지는 중세 시대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짙은 회색 돌, 좁은 거리, 고딕 양식 건물들은 도시의 엄숙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 '''로마 원형극장''': 기원전 1세기에 지어진 야외 극장으로, 현지 석회암을 사용하였다. 최대 6,000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었다.[1]
- '''로마 영묘''': 가이우스 폼포니우스 그라이키누스의 무덤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한 근거는 없다.[1]
- '''콘솔리 궁전''': 14세기 전반에 건축된 거대한 궁전으로, 현재는 이구비나 토판을 소장한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1]
- '''가브리엘리 가문 궁전 및 탑'''[1]
- '''두칼레 궁전''': 1470년부터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를 위해 건축된 궁전으로, 우르비노 두칼레 궁전을 연상시키는 내부 정원이 유명하다.[1]
- '''칸테 가브리엘리 박물관''': 가브리엘리 가문 소유였던 구비오 포폴로 캡피타노 궁전에 위치한 박물관이다.[1]
- '''비비안 가브리엘 동양 컬렉션''': 티베트, 네팔, 중국 및 인도 미술 박물관으로, 에드먼드 비비안 가브리엘이 기증한 소장품을 전시하고 있다.[1]
14세기와 15세기에 지어진 구비오 중심부의 많은 집들은 부유한 상인들의 거주지였으며, '포르타 데이 모르티'(죽음의 문)라고 불리는 독특한 보조 출입구가 있다. 이 문은 주 출입구보다 좁고 30cm 정도 높게 위치해 있는데, 그 용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주인이 외부인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한 방어 목적으로 사용했다는 설이 유력하다.[1]




5. 1. 종교 건축물
- '''두오모''': 12세기 말에 지어진 대성당이다.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정면에 있는 장미 창으로, 그 옆에는 요한 복음사가를 상징하는 독수리, 마르코 복음사가를 상징하는 사자, 사도 마태오를 상징하는 천사, 루카 복음사가를 상징하는 황소 등 복음사가의 상징이 있다. 내부는 단일 선으로 된 라틴 십자형 평면을 가지고 있다. 가장 귀중한 예술 작품은 움브리아 학파의 제단 위에 있는 나무로 된 그리스도상이다.
- '''산 프란체스코''': 13세기 후반에 지어진 이 교회는 도시에서 두 개의 통로가 있는 본당을 가진 유일한 종교 건물이다. 아치형 천장은 팔각형 기둥으로 지탱된다. 왼쪽 벽의 프레스코는 15세기에 제작되었다.
- '''산타 마리아 누오바''': 13세기의 전형적인 시토회 교회이다. 내부에는 오타비아노 넬리가 그린 소위 ''벨베데레의 마돈나''(1413)를 묘사한 14세기의 프레스코가 있다. 또한 귀도 팔메루치오의 작품도 있다. 또한 시토회에서 넬리의 프레스코가 있는 ''성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원''이 있다.
- '''산트우발도 대성당''': 본당과 네 개의 통로가 있으며, 도시 외곽의 성역이다. 주목할 만한 점은 대리석 제단과 구비오의 수호성인 우발드의 생애를 그린 에피소드가 있는 커다란 창문이다. 정교하게 조각된 문과 단편적인 프레스코는 한때 대성당이 자랑했던 15세기 장식의 힌트를 제공한다.
- '''산 조반니 바티스타''': 13세기 교회로, 경사진 지붕을 지탱하는 4개의 가로 아치만 있는 단일 본당으로, 후기 구비오 교회의 모델이다.
- '''산 도메니코''': 한때 산 마르티노로 알려졌었다.
- '''산트아고스티노'''
- '''산타 크로체 델라 포체'''
5. 2. 세속 건축물
구비오의 역사적 중심지는 짙은 회색 돌, 좁은 거리, 고딕 양식의 건축물로 인해 중세적인 모습을 띠고 있다. 구비오 중심부의 많은 집들은 14세기와 15세기에 부유한 상인들의 거주지로 지어졌으며, 종종 거리로 향하는 두 번째 문이 있다. 이 문은 주 출입구에서 몇 센티미터 떨어져 있고, 더 좁으며, 실제 거리 높이보다 30cm 정도 높다. 이러한 유형의 문은 '포르타 데이 모르티'(죽음의 문)라고 불리는데, 이는 집 안에서 사망한 사람의 시신을 옮기는 데 사용되었다는 설이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 보조 문이 사용된 목적에 대해서는 합의가 없지만, 주인이 불특정 인물에게 문을 열 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로마 원형극장''': 기원전 1세기에 현지 석회암 사각 블록을 사용하여 지어진 고대 야외 극장이다. 모자이크 장식의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원래 객석의 지름은 70m였으며 최대 6,000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었다.
- '''로마 영묘''': 가이우스 폼포니우스 그라이키누스의 것이라고도 하지만, 확실한 근거는 없다.
- '''콘솔리 궁전''': 14세기 전반에 건축된 거대한 궁전으로, 현재 이구비나 토판을 소장한 박물관이다.
- '''가브리엘리 가문 궁전 및 탑'''
- '''두칼레 궁전''':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를 위해 루치아노 라우라나 또는 프란체스코 디 조르조 마르티니가 1470년부터 건축한 궁전이다. 우르비노 두칼레 궁전을 연상시키는 내부 정원이 유명하다.
- '''칸테 가브리엘리 박물관''': 한때 가브리엘리 가문 소유였던 ''구비오 포폴로 캡피타노 궁전''에 있다.
- '''비비안 가브리엘 동양 컬렉션''': 티베트, 네팔, 중국 및 인도 미술 박물관이다. 구비오의 영주였던 가브리엘리의 방계 후손인 영국의 식민지 장교이자 모험가인 에드먼드 비비안 가브리엘(1875–1950)이 시에 기증했다.
6. 구비오 층 (Gubbio Layer)
구비오는 지질학자들과 고생물학자에게 도시 바깥 길에 의해 노출되어 이리듐이 풍부한 퇴적층인 "구비오 층"의 발견 장소로 알려져 있다.[10] 이 얇고 어두운 퇴적물 띠는 백악기와 고생대 지질 시대 사이의 백악기-고생대 경계(K-T 경계 또는 K-Pg 경계)를 나타낸다. 이 층은 공룡의 대량 멸종을 야기한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운석 충돌로 인해 떨어진 잔해로 형성되었다. 지구 표면에서는 희귀한 중금속인 이리듐은 혜성과 소행성과 같은 외계 물질에 풍부하며, 초기 충돌로 형성된 텍타이트라고 불리는 작은 유리질 물질도 포함되어 있다. 구비오에서 발견된 백악기-고생대 경계는 전 세계 여러 곳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이 경계층의 특징은 생태학적 및 기후적 교란을 동반한 파괴적인 운석 충돌이 백악기-고생대 대멸종 사건의 직접적인 원인이었다는 이론을 뒷받침한다.
1977년 이 지역 근처에서 발견된 "어점토"라는 지층에서 고농도의 이리듐을 포함하는 점토층(K-T 경계)이 월터 알바레스에 의해 발견되어, 운석 낙하를 원인으로 하는 가설이 제기되는 계기가 되었다.
7. 스포츠
A.S. 구비오 1910 축구 클럽은 피에트로 바르베티 경기장에서 세리에 C에 참가한다.[1] AS 구비오 1910은 피에트로 바르베티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2017-18 시즌에는 세리에 C(3부 리그)에 소속되어 있었다.[2]
8. 교통
구비오는 포사토 디 비코에 위치한 포사토 디 비코–구비오 기차역을 통해 운송 서비스를 제공받는다.[1] 1945년까지는 아레초 기차역에서 포사토 디 비코까지 운행하는 협궤 철도인 중앙 아펜니노 철도(약칭 ''FAC'')도 운영되었다.[1] 구비오에는 현재 완전히 철거된 비아 베니아미노 우발디 2에 자체 구비오 기차역이 있었다.[1]
9. 자매 도시
참조
[1]
간행물
Population data from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Italy)
Istat
[2]
서적
Territory, Time and State. The archaeological development of the Gubbio bas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문서
Bronze Tables of Iguvium
[4]
문서
The Studiolo from the Ducal Palace in Gubbio is reassembled in its entirety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Federico's father, Guidobaldo da Montefeltro, and his daughter Agnese di Montefeltro were born in Gubbio.
[5]
OSM
Gubbio
[6]
문서
Steppenwolf
[7]
웹사이트
Tavola: Popolazione residente - Perugia (dettaglio loc. abitat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3-09-20
[8]
웹사이트
Tavola: Superficie territoriale (Kmq) - Perugia (dettaglio comunal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3-09-20
[9]
웹사이트
Popolazione residente per sesso, età e stato civile al 1° gennaio 2024
https://demo.istat.i[...]
国立統計研究所(ISTAT)
2024-05-25
[10]
서적
Gubbio
http://www.italia.gr[...]
Porto d'Italia
[11]
웹사이트
ウンブリア州の冬の愉しみ・イベント
https://prtimes.jp/m[...]
イタリア政府観光局
2022-11-24
[12]
서적
【グッビオ(GUBBIO)】陶器と世界一大きなクリスマスツリーの街
https://italia.viver[...]
イタリアで暮らそう
2023-08-23
[13]
웹사이트
(4860) Gubbio = 1980 RB4 = 1980 RG5 = 1987 EP
https://www.minorpla[...]
2022-07-11
[14]
웹사이트
Tabella dei gradi/giorno dei Comuni italiani raggruppati per Regione e Provincia
http://efficienzaene[...]
新技術エネルギー環境局(ENEA)
2011-03-01
[15]
웹사이트
classificazione sismica aggiornata al aprile 2023
https://rischi.prote[...]
イタリア市民保護局
2023-12-16
[16]
서적
Territory, Time and State. The archaeological development of the Gubbio bas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문서
The Gubbio studiolo is reassembled in its entirety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Federico's father, Guidobaldo da Montefeltro, and his daughter Agnese da Montefeltro were born in Gubbi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