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타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텍타이트는 표면적으로 흑요석과 유사하지만, 미정질이나 반정이 없는 완전한 유리질이며, 높은 실리카 함량과 낮은 물 함량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이다. 형태와 물리적 특성에 따라 스플래시형, 공기역학적 형태, 무옹 농형, 마이크로텍타이트의 네 그룹으로 분류되며, 오스트랄라시아, 중앙 유럽, 코트디부아르, 북아메리카의 4개 산포 지역에서 주로 발견된다. 텍타이트의 기원은 운석 충돌로 인한 지구 파편이라는 것이 현재 지배적인 이론이며, 텍타이트의 연대는 방사성 연대 측정법을 통해 측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돌사건 광물 - 이리듐
이리듐은 1803년 발견된 희귀하고 단단한 전이 금속 원소이며, 높은 융점과 내식성으로 산업적으로 활용되고, 백악기-팔레오기 경계층에서 높은 농도로 발견되어 소행성 충돌 증거로 제시되기도 한다. - 천연 재료 - 판축
판축은 흙, 모래, 자갈, 점토 혼합물을 거푸집에 다져 넣는 건축 기법으로, 높은 내구성과 열용량을 가지며 친환경적이지만, 지진에 취약하여 철근 등으로 보강하기도 한다. - 천연 재료 - 마사토
마사토는 화강암 풍화토로 석영, 장석, 운모 등 다양한 광물 입자가 섞여 있고 입자 크기가 불균일하며 약산성을 띠는 서일본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흙으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토사 재해나 액상화 현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유리 - 광섬유
광섬유는 굴절률이 다른 코어와 클래딩으로 구성되어 전반사 원리를 통해 빛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가느다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실로, 통신, 의료, 조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고속 통신의 핵심 매체로 자리 잡았다. - 유리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텍타이트 | |
---|---|
일반 정보 | |
종류 | 규산염 유리 |
색상 | 검은색 녹색 갈색 |
투명도 | 투명 또는 반투명 |
화학식 | 다양한 이산화 규소 함유 |
결정계 | 비결정질 |
굴절률 | 1.46 ~ 1.52 |
비중 | 2.2 ~ 3.0 g/cm³ |
경도 (모스 척도) | 5.5 ~ 7 |
형성 | |
기원 | 운석 충돌 시 생성된 유리 |
생성 메커니즘 | 운석 충돌 시 지표면 물질이 녹아 급속 냉각 |
분포 지역 | 특정 지역에 집중 분포 (흩뿌려진 장, strewn field) |
종류 | |
주요 종류 | 몰다바이트 (Moldavite) 리비아 유리 (Libyan Desert Glass) 오스트랄리아사이트 (Australite) 인도차이나사이트 (Indochinite) 아이보리코스트 텍타이트 (Ivorite) 조지아사이트 (Georgiaite) |
활용 | |
용도 | 보석, 장식품, 과학 연구 |
기타 | |
어원 | 그리스어 '테크토스(τηκτός)' (녹은) |
2. 특징
텍타이트는 표면적으로 일부 육상 화산암 유리(흑요석)와 유사하지만, 이와 구별되는 독특한 물리적 특성을 지닌다. 텍타이트와 육상 화산암 유리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구분 | 텍타이트 | 육상 화산암 유리 |
---|---|---|
미정질/반정 | 없음 | 있음 |
실리카 함량 | 높음 (>65 wt%)[2][3][4] | 상대적으로 낮음 |
화학/동위원소 조성 | 셰일, 퇴적암과 유사[2][3][4] | 화산암과 유사 |
물 함량 | 매우 낮음 (<0.02 wt%)[2][3][4] | 상대적으로 높음 |
르샤틀리에라이트 | 포함[2][3][4] | 미포함 |
충격받은 광물 입자 | 일부 포함 (석영, 인회석, 지르콘, 코에사이트)[2][3][4] | 미포함 |
물 함량의 차이로도 텍타이트와 육상 화산암 유리를 구별할 수 있다. 육상 화산암 유리는 녹는점까지 가열하면 거품이 이는 유리가 되지만, 텍타이트는 기포가 거의 생성되지 않는다.[5]
2. 1. 물리화학적 특징
텍타이트는 표면적으로 일부 육상 화산암 유리(흑요석)와 유사하지만, 이와 구별되는 독특한 물리적 특성을 지닌다. 첫째, 텍타이트는 육상 화산암 유리와 달리 미정질이나 반정이 전혀 없는 완전한 유리질이다. 둘째, 텍타이트는 실리카 함량(>65 wt%)이 높지만, 전체 화학 및 동위원소 조성은 셰일 및 유사한 퇴적암에 더 가깝고 육상 화산암 유리의 조성과는 상당히 다르다. 셋째, 텍타이트는 육상 화산암 유리와 달리 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다(<0.02 wt%). 넷째, 텍타이트 내의 유동 밴딩은 종종 르샤틀리에라이트 입자와 띠를 포함하는데, 이는 육상 화산암 유리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소수의 텍타이트는 부분적으로 용융된 충격을 받은 및 충격을 받지 않은 광물 입자, 즉 석영, 인회석, 지르콘, 코에사이트를 포함한다.[2][3][4]물 함량의 차이는 텍타이트와 육상 화산암 유리를 구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녹는점까지 가열하면 육상 화산암 유리는 물 및 기타 휘발성 물질의 함량으로 인해 거품이 이는 유리가 된다. 반면 텍타이트는 녹는점까지 가열해도 물 및 기타 휘발성 물질 함량이 훨씬 낮기 때문에 기포가 거의 생성되지 않는다.[5]
3. 분류
텍타이트는 크게 육상 텍타이트와 마이크로텍타이트로 분류되며, 충돌 크레이터와의 관련성에 따라 추가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충돌 크레이터와 관련된 텍타이트는 다음과 같다.
지역 | 관련 크레이터 | 낙하 시기 | 텍타이트 종류 |
---|---|---|---|
유럽 | 뇌르틀링겐 리스(독일) | 14.3 - 14.5 Ma | 몰다바이트(체코) |
오스트레일리아와 아시아 | 확인되지 않음[2] | 약 0.7 Ma | 오스트랄라이트(오스트레일리아), 인도차이나이트(동남아시아), 차이나이트(중국) |
북아메리카 | 체서피크만 크레이터 | 34 Ma | 베디어사이트(미국 텍사스주), 조지아사이트(미국 텍사스주) |
코트디부아르 | 보슴트위 호수 크레이터(가나) | 100만 년 전 | 아이보라이트(코트디부아르) |
3. 1. 육상 텍타이트
형태와 물리적 특성에 따라 텍타이트는 전통적으로 네 그룹으로 나뉜다. 육상에서 발견되는 텍타이트는 (1) 스플래시형(일반) 텍타이트, (2) 공기역학적 형태의 텍타이트, (3) 무옹농형(층상) 텍타이트의 세 그룹으로 나뉜다. 스플래시형과 공기역학적 형태의 텍타이트는 외형과 일부 물리적 특성을 기준으로만 구분된다. 스플래시형 텍타이트는 센티미터 크기의 텍타이트로, 구, 타원체, 물방울, 아령 등 고립된 용융체의 특징적인 형태로 형성된다. 이들은 대기 침식이 아니라 회전하는 액체의 응고로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2][3][4][5] 공기역학적 형태의 텍타이트는 주로 오스트랄라시아 산포 지역의 일부이며, 2차 링 또는 플랜지를 나타내는 스플래시형 텍타이트(버튼)이다. 2차 링 또는 플랜지는 고속 재진입과 대기 중의 응고된 스플래시형 텍타이트 침식 과정에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무옹농형 텍타이트는 전형적으로 크기가 더 크며, 10cm 이상이고 무게는 24kg 이상이며, 불규칙하고 층상 구조를 갖는다. 이들은 덩어리지고 블록 모양을 보이며, 풍부한 기포를 가진 층상 구조를 나타내고, 지르콘, 바델레사이트, 크롬철광, 금홍석, 강옥, 크리스토발라이트, 코에사이트와 같은 광물 내포물을 포함한다.[2][3][4][5]
3. 2. 마이크로텍타이트
마이크로텍타이트는 크기가 1mm 미만인 텍타이트이다. 구형, 아령형, 원반형, 타원형, 물방울형 등 다양한 형태를 띠며, 색상은 무색 투명에서 황색 및 옅은 갈색까지 나타낸다. 종종 기포와 르샤틀리에라이트 내포물을 포함한다.[3][4] 마이크로텍타이트는 전형적으로 네 개의 알려진 산포 지역과 같은 시대의 심해 퇴적물에서 발견된다.[3][4] 오스트랄라시아 산포 지역의 마이크로텍타이트는 중국 뢰스 퇴적물 내 육상, 그리고 남극 대륙 빅토리아 랜드 트랜스안타틱 산맥의 빙하 침식된 화강암 노두 내에 발달한 퇴적물로 채워진 절리와 데시미터 크기의 풍화 구덩이에서도 발견되었다.[6][7]4. 산포 지역
텍타이트는 주로 오스트랄라시아, 중앙 유럽, 코트디부아르, 북아메리카의 네 곳의 넓은 지역에 걸쳐 발견된다.[8][9] 각 산포 지역 내 텍타이트는 석질학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 및 연령 면에서 서로 관련이 있으며, 이 중 세 곳은 충돌구와 명확하게 연결되어 있다.[2][3][4]
Povenmire 등은 중앙 아메리카 산포 지역이라는 추가적인 텍타이트 산포 지역의 존재를 제안했다. 이들은 벨리즈 서부의 Bullet Tree Falls, Santa Familia 및 Billy White 마을 지역에서 텍타이트를 발견했는데, 이 지역은 티칼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55km 떨어져 있다. 이곳에서 발견된 13개의 텍타이트 중 2개의 연대가 820,000년으로 측정되어, 기원이 알려지지 않았다. 제한된 증거를 바탕으로, 이들은 중앙 아메리카 산포 지역이 벨리즈, 온두라스, 과테말라, 니카라과 및 남부 멕시코 일부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가설상의 니카라과 북부 판타스마 충돌구가 이러한 텍타이트의 기원일 수 있다.[16][17][18]
4. 1. 주요 산포 지역
텍타이트는 주로 네 개의 넓은 지역에서 발견된다. 오스트랄라시아, 중앙 유럽, 코트디부아르, 북아메리카가 그곳이다.[8][9] 각 산포 지역 내 텍타이트는 석질학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 연령 면에서 서로 관련이 있다. 네 곳 중 세 곳은 충돌구와도 연결되어 있다.[2][3][4]알려진 산포 지역, 관련 충돌구, 연령에 따른 텍타이트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오스트랄라시아 산포 지역 (약 0.77–0.78 백만 년 전):
- 오스트랄라이트(오스트레일리아, 어두운색, 대부분 검은색)
- 인도차이나이트(동남아시아, 어두운색, 대부분 검은색)
- 필리피나이트(필리핀, 검은색)
- 중앙 유럽 산포 지역 (뇌르틀링겐 리스 충돌구, 독일, 1500만 년 전):
- 몰다바이트(체코, 녹색)
- 코트디부아르 산포 지역 (보섬트위 호수 충돌구, 가나, 100만 년 전):
- 이보라이트(코트디부아르, 검은색)
- 북아메리카 산포 지역 (체서피크만 충돌구, 미국, 3400만 년 전):
- 베디아사이트(미국 텍사스주, 검은색에서 짙은 갈색, 일부는 금속 광택)
- 조지아이트(미국 조지아주, 녹색)[2][3][10]
나탈리아 아르테미에바는 충돌구가 멀리까지 분출물을 생성하려면 특정 직경을 넘어야 하고, 비교적 최근에 발생해야 한다고 보았다.[11] 직경 10km 이상, 연대 5000만 년 미만으로 제한하여 연구한 결과, 13개의 후보 충돌구 목록이 나왔으며, 그중 가장 젊은 8개는 다음과 같다.
1970년대 후반에는 자만신 충돌구[14] 또는 엘기기트긴 호[15]가 오스트랄라시아 산포 지역의 기원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Povenmire 등은 중앙 아메리카 산포 지역의 존재를 제안했다. 벨리즈 서부에서 발견된 텍타이트들이 그 증거인데, 티칼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55k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 13개의 텍타이트 중 2개의 연대가 82만 년으로 측정되었다. 이들은 중앙 아메리카 산포 지역이 벨리즈, 온두라스, 과테말라, 니카라과, 남부 멕시코 일부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가설상의 니카라과 북부 판타스마 충돌구가 이 텍타이트들의 기원일 수 있다.[16][17][18]
충돌 크레이터와 관련된 텍타이트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유럽의 텍타이트 (뇌르틀링겐 리스, 독일, 1430만 년 ~ 1450만 년 전 낙하):
- 몰다바이트(체코)
- 오스트레일리아와 아시아에 분포하는 텍타이트 (지구의 약 10%에 달하는 가장 큰 범위에 분포하지만, 해당 크레이터는 확인되지 않음. 보라웬 고원에 위치하며, 새로운 용암 퇴적층으로 덮여있다고 생각됨. 텍타이트 연대는 약 70만 년 전.)
- 오스트랄라이트(오스트레일리아)
- 인도차이나이트(동남아시아)
- 차이나이트(중국)
-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는 텍타이트 (체서피크만 크레이터, 3400만 년 전 낙하):
- 베디아사이트(미국, 텍사스주)
- 조지아이트(미국, 텍사스주)
- 코트디부아르 (보슴트위 호수 크레이터, 가나, 100만 년 전 낙하):
- 이보라이트(코트디부아르)
4. 2. 기타 산포 지역
대부분의 텍타이트는 오스트랄라시아, 중앙 유럽, 코트디부아르, 북아메리카의 네 곳의 넓은 지역에 걸쳐 발견된다.[8][9] 각 산포 지역 내 텍타이트는 석질학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 및 연령 면에서 서로 관련이 있다. 또한, 네 곳 중 세 곳은 충돌구와 명확하게 연결되어 있다.[2][3][4]알려진 산포 지역, 관련 충돌구, 연령에 따라 분류된 텍타이트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오스트랄라시아 산포 지역 (추정 연령: 0.77–0.78 백만 년), 확인된 충돌구 없음:
- 오스트랄라이트(오스트레일리아, 어두운색, 대부분 검은색)
- 인도차이나이트(동남아시아, 어두운색, 대부분 검은색)
- 필리피나이트(필리핀, 검은색)
- 중앙 유럽 산포 지역 (뇌르틀링겐 리스(Nördlinger Ries) 충돌구 (24 km), 독일, 연령: 1500만 년):
- 몰다바이트(체코, 녹색)
- 코트디부아르 산포 지역 (보섬트위 호수(Lake Bosumtwi) 충돌구 (10 km), 가나, 연령: 100만 년):
- 이보라이트(코트디부아르, 검은색)
- 북아메리카 텍타이트 산포 지역 (체서피크만 충돌구(Chesapeake Bay impact crater) (40 km), 미국 – 연령: 3400만 년):
- 베디아사이트(텍사스주 – 검은색에서 짙은 갈색, 일부는 금속 광택)
- 조지아이트(조지아주 – 녹색)[2][3][10]
나탈리아 아르테미에바(Natalia Artemieva)는 충돌구가 원거리의 분출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특정 직경을 초과해야 하고, 사건이 비교적 최근에 발생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직경 10km 이상, 연대 50 Ma 미만으로 제한하여 연구한 결과, 13개의 후보 충돌구 목록을 제시했다. 그중 가장 젊은 8개는 다음과 같다.[11]
이름 | 위치 | 연령 (백만 년) | 직경 (km) | 산포 지역 |
---|---|---|---|---|
? | 인도차이나? | [12] | 32–114?[13] | 오스트랄라시아 산포 지역 |
자만신 | 카자흐스탄 | ? | ||
보섬트위 | 가나 | 코트디부아르 산포 지역 | ||
엘기기트긴 | 러시아, 시베리아 | ? | ||
카라쿨 | 타지키스탄 | ? | ||
카를라 | 러시아 | ? | ||
리스 | 독일 | 중앙 유럽 산포 지역 | ||
체서피크만 | 미국 | 북아메리카 산포 지역 | ||
포피가이 | 러시아, 시베리아 | ? |
1970년대 후반의 예비 논문에서는 자만신[14] 또는 엘기기트긴[15]을 오스트랄라시아 산포 지역의 기원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Povenmire 등은 중앙 아메리카 산포 지역이라는 추가적인 텍타이트 산포 지역의 존재를 제안했다. 이 텍타이트 산포 지역에 대한 증거는 벨리즈 서부의 Bullet Tree Falls, Santa Familia 및 Billy White 마을 지역에서 회수된 텍타이트로 구성된다. 이 지역은 티칼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55km 떨어져 있으며, 이곳에서 발견된 13개의 텍타이트 중 2개의 연대가 820,000년으로 알려지지 않은 기원을 가지고 있다. 제한된 양의 증거는 제안된 중앙 아메리카 산포 지역이 벨리즈, 온두라스, 과테말라, 니카라과 및 아마도 남부 멕시코의 일부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가설적인 니카라과 북부의 판타스마 충돌구는 이러한 텍타이트의 기원일 수 있다.[16][17][18]
5. 연대 측정
방사성 연대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4개의 산포 지역에서 채취된 텍타이트의 연대가 결정되었다. 체코에서 발견되는 텍타이트의 일종인 몰다바이트는 그 연대가 1400만 년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독일의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뇌르틀링겐 리스 분화구의 퇴적 브레시아의 수베이트의 방사성 연대 측정으로 얻은 연대와 잘 일치한다.[2][3][4] 북아메리카 산포 지역의 텍타이트와 체서피크만 충돌구, 코트디부아르 산포 지역의 텍타이트와 보숨트위 호수 분화구 사이에서도 유사한 일치가 존재한다. 텍타이트의 연대는 일반적으로 K-Ar 방법, 핵분열 트랙 연대 측정, Ar-Ar 기법 또는 이러한 기법의 조합으로 결정되었다.[2][3][4] 지질학적 및 고고학적 퇴적물 내의 텍타이트는 층상 퇴적물의 연대 지표로 사용되어 왔지만, 이러한 관행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19]
6. 기원
텍타이트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제기되어 왔지만, 현재는 운석 충돌로 인해 지구의 암석이 녹아 만들어졌다는 지구 기원설(운석 충돌설)이 가장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과거에는 텍타이트가 달에서 왔다는 비지구 기원설(달 기원설)도 제기되었으나, 현재는 그 근거가 약해져 학계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1970년대 후반의 예비 논문에서는 자만신[14] 또는 엘기기트긴[15]을 오스트랄라시아 산포 지역의 기원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포벤마이어(Povenmire) 등은 중앙 아메리카 산포 지역이라는 추가적인 텍타이트 산포 지역의 존재를 제안했다. 이 지역은 벨리즈 서부의 Bullet Tree Falls, Santa Familia 및 Billy White 마을 지역에서 회수된 텍타이트로 구성되며, 티칼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55km 떨어져 있다. 이곳에서 발견된 13개의 텍타이트 중 2개는 820,000년의 연대를 가지고 있어 기원이 불분명하다. 제한된 증거에 따르면, 중앙 아메리카 산포 지역은 벨리즈, 온두라스, 과테말라, 니카라과 및 남부 멕시코의 일부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으며, 가설상의 니카라과 북부 판타스마 충돌구가 이 텍타이트들의 기원일 수 있다.[16][17][18]
텍타이트가 생성되는 과정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운석 충돌 시 발생하는 엄청난 에너지로 인해 지표면 근처의 암석과 퇴적물이 녹고, 이 녹은 물질이 빠른 속도로 분출되면서 텍타이트가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가능한 메커니즘으로는 충돌 초기 단계에서 고도로 충격을 받은 용융물의 분사, 또는 충돌로 생성된 증기 기둥에 의한 용융 물질의 분산 등이 제시되고 있다. 텍타이트 생성에는 매우 특별한 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에, 텍타이트 산포 지역은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2][3][21][22]
나탈리아 아르테미에바(Natalia Artemieva)는 충돌구가 원거리 분출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특정 직경을 초과해야 하고, 사건이 비교적 최근에 발생해야 한다는 필수적인 요소를 고려했다.[11] 직경 10km 이상, 연대 5000만 년 미만으로 제한하여 연구한 결과, 13개의 후보 충돌구 목록이 생성되었으며, 그중 가장 젊은 8개는 다음과 같다.
6. 1. 지구 기원설 (운석 충돌설)
텍타이트는 대부분 오스트랄라시아, 중앙 유럽, 코트디부아르, 북아메리카의 네 곳의 넓은 지리적 산포 지역에서 발견된다.[8][9] 각 산포 지역 내의 텍타이트는 석질학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 및 연령 면에서 서로 관련이 있다. 또한, 네 곳 중 세 곳은 충돌구와 명확하게 연결되어 있다.[2][3][4]알려진 산포 지역, 관련 충돌구, 연령에 따라 분류된 텍타이트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오스트랄라시아 산포 지역 (추정 연령: 0.77–0.78 백만 년), 확인된 충돌구 없음:
- 오스트랄라이트(오스트레일리아, 어두운색, 대부분 검은색)
- 인도차이나이트(동남아시아, 어두운색, 대부분 검은색)
- 필리피나이트(필리핀, 검은색)
- 중앙 유럽 산포 지역 (뇌르틀링겐 리스(Nördlinger Ries) 충돌구 (24km), 독일, 연령: 1500만 년):
- 몰다바이트(체코, 녹색)
- 코트디부아르 산포 지역 (보섬트위 호수(Lake Bosumtwi) 충돌구 (10km), 가나, 연령: 100만 년):
- 이보라이트(코트디부아르, 검은색)
- 북아메리카 텍타이트 산포 지역 (체서피크만 충돌구(Chesapeake Bay impact crater) (40km), 미국 – 연령: 3400만 년):
- 베디아사이트(텍사스 – 검은색에서 짙은 갈색, 일부는 금속 광택)
- 조지아이트(조지아 – 녹색)[2][3][10]


지구 및 행성 과학자들은 텍타이트가 초고속 운석 충돌로 인해 극한 조건에서 지표면 근처의 지구 퇴적물과 암석이 용융, 기화되거나 이 둘의 조합을 거쳐 충돌구에서 분출되어 생성된다고 보고 있다. 분출된 물질은 대기 재진입 과정에서 빠르게 냉각되어 텍타이트를 형성하며, 충돌 지점에서 수백 또는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원거리 분출층을 만든다.[2][3][4][20][21][22]
텍타이트의 지구 기원은 잘 문서화된 증거로 뒷받침된다. 텍타이트의 화학적 및 동위원소 조성은 텍타이트가 이산화 규소가 풍부한 지각 및 퇴적암의 용융에서 파생되었음을 나타낸다. 또한, 일부 텍타이트는 지구 퇴적물, 지각 및 퇴적 기원암의 특징인 잔류물 광물 내포물 (석영, 지르콘, 금홍석, 크롬철광, 모나자이트)을 포함한다. 4개의 텍타이트 분산 지역 중 3개는 연령, 화학적 및 동위원소 조성을 통해 알려진 충돌구와 연결되었다. 오스트랄라시아 분산 지역의 텍타이트에 대한 여러 지구화학 연구는 이 텍타이트가 약 1억 6700만 년 전에 풍화되고 퇴적된 쥐라기 퇴적물 또는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결론지었다.[2][3][4][21][22]
6. 2. 비지구 기원설 (달 기원설)
1897년, 네덜란드 지질학자 로히어 디에데릭 마리우스 베르베크는 텍타이트가 달에서 지구로 떨어졌다고 주장했다.[23][24] 베르베크의 주장은 오스트리아 지질학자 프란츠 E. 수에스에 의해 곧 지지되었다.[25] 이후, 텍타이트가 대규모 수소 구동 달 화산 폭발로 달에서 분출되어 우주를 떠돌다가 지구에 떨어졌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텍타이트의 달 기원을 주장하는 주요 인물로는 NASA 과학자 존 A. O'Keefe, NASA 공기역학자 딘 R. 채프먼, 운석 및 텍타이트 수집가 대릴 퓨트렐, 그리고 오랜 텍타이트 연구자 할 포벤마이어가 있었다.[26]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O'Keefe는 텍타이트의 화학적 조성(희토류, 동위원소 및 벌크 조성)과 물리적 특성을 근거로 텍타이트의 달 기원을 주장했다.[5][26] 채프먼은 복잡한 궤도 컴퓨터 모델과 광범위한 풍동 실험을 사용하여 소위 오스트레일리아 텍타이트가 달 앞면의 대형 크레이터 티코의 로스 분출 광선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27] O'Keefe, 포벤마이어, 퓨트렐은 텍타이트를 특징짓는 실리카 용융물의 균질화(이것을 "정련"이라고 함)는 지상 충돌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고 유리 용융물의 거동을 근거로 주장했다. 그들은 또한 지상 충돌 이론이 텍타이트의 소포와 극도로 낮은 물 및 기타 휘발성 물질 함량을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5][26] 퓨트렐은 텍타이트 내부에 화산 기원을 주장하는 미세한 내부 특징의 존재를 보고했다.[28][29]
한때 텍타이트의 달 기원을 옹호하는 이론들은 1960년대 텍타이트 기원에 대한 격렬한 논쟁의 일부로서 상당한 지지를 받았다. 달 샘플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면서, 지구 및 행성 과학자들의 컨센서스는 달 화산 기원과 비교하여 지상 충돌을 옹호하는 이론으로 바뀌었다. 달 기원 이론의 한 가지 문제는 유리 용융물의 거동을 기반으로 하는 주장이 초고속 충돌의 극단적인 조건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압력과 온도 데이터를 사용한다는 것이다.[30][31] 또한, 다양한 연구에서 초고속 충돌이 극도로 낮은 휘발성 물질 용융물을 매우 낮은 물 함량으로 생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0]
참조
[1]
간행물
Die Herkunft der Moldavite und verwandter Gläser
https://babel.hathit[...]
1900
[2]
서적
Traces of Catastrophe: A Handbook of Shock-Metamorphic Effects in Terrestrial Meteorite Impact Structures.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Houston, Texas
1998
[3]
서적
Tektites in the Geological Record: Showers of Glass from the Sky.
The Geological Society Publishing House, Bath, United Kingdom
2001
[4]
서적
Impact Stratigraphy. The Italian Record.
Springer-Verlag, New York, New York
2000
[5]
서적
Tektites and Their Origin.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New York, New York
1978
[6]
논문
Microtektites and glassy microspherules in loess: Their discoveries and implications.
1993
[7]
논문
Transantarctic Mountain microtektites: Geochemical affinity with Australasian microtektites.
2009
[8]
간행물
Tektite Strewn Field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3
[9]
웹사이트
Distal Impactites
http://www.meteorimp[...]
[10]
간행물
Tektite origin by hypervelocity asteroidal or cometary impact: Target rocks, source craters, and mechanism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oulder, Colorado
1994
[11]
간행물
Tektite Origin in Oblique Impact: Numerical Modeling of the Initial Stage
[12]
논문
Ultraprecise age and formation temperature of the Australasian tektites constrained by 40Ar/39Ar analyses.
2019
[13]
논문
Geographic variation in Australasian microtektite concentrations: Implications concerning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source crater,
http://adsabs.harvar[...]
1994-09
[14]
논문
Zhamanshin crater, a possible source of Australasian tektites?
1979-07
[15]
논문
Elgygytgyn Crater, Siberia: Probable Source Of Australasian Tektite Field
1977-06
[16]
간행물
The New Central American Tektite and Strewn Field.
http://www.lpi.usra.[...]
2011
[17]
간행물
The New Central American Tektite Strewn Field Update.
http://www.lpi.usra.[...]
2012
[18]
논문
Magnetic measurements of glass from Tikal, Guatemala: Possible tektites.
2000
[19]
간행물
Tektite geoarchaeology in mainland Southeast Asia
2021-08-14
[20]
논문
Tektites are terrestrial.
1966
[21]
논문
Geochemistry of tektites and impact glasses.
1986
[22]
논문
The geochemistry of tektites: An overview.
1990
[23]
간행물
Over glaskogels van Billiton
https://books.google[...]
1897
[24]
논문
Ueber eigenthümliche Obsidian-Bomben aus Australien
https://babel.hathit[...]
1893
[25]
논문
Ueber den kosmischen Ursprung der Moldavite
https://babel.hathit[...]
1898-12-06
[26]
서적
Tektites: A Cosmic Enigma.
Florida Fireball Network, Indian Harbour Beach, Florida
2000
[27]
논문
Australasian tektite geographic pattern, crater and ray of origin, and theory of tektite events.
1971
[28]
간행물
The lunar origin of tektites; space science sheds new light on an old controversy.
1999
[29]
간행물
An argument against the terrestrial origin of tektites. Meteorite.
2002
[30]
간행물
Tektite origin in oblique impact: Numerical modeling.
Springer-Verlag, Berlin
2002
[31]
논문
Numerical modeling of tektite origin in oblique impacts: Implication to Ries-Moldavites strewn field.
2002
[32]
논문
Vitreous state in nature—Origin and propertie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