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라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세 라틴어는 고전 라틴어와 비교하여 어휘, 문법, 철자법 등에서 다양한 변화를 보인 언어이다. 성경의 영향으로 그리스어와 히브리어에서 유래된 단어가 유입되었고, 고전 라틴어의 문법 및 구문과는 다른 특징을 나타냈다. 중세 라틴어는 기독교 관련 단어, 게르만어 단어의 사용, 전치사의 빈번한 사용, 어순 변화 등의 특징을 보이며, 철자법에서도 'v'와 'u', 'j'와 'i'의 구분, 이중모음 축약, 'h'의 생략 또는 추가 등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다. 중세 라틴어는 기독교 라틴어, 속라틴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문학 작품으로는 설교, 찬송가, 성인전, 역사서 등이 존재한다. 주요 작가로는 보에티우스, 세비야의 이시도르, 베다 등이 있으며, 한국에서의 중세 라틴어 연구는 아직 활발하지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세기 설립 - 중세 그리스어
중세 그리스어는 비잔티움 제국에서 사용된 그리스어로, 고전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이며, 문어와 구어 간의 이중 언어 사용이 특징적이고, 주변 언어 및 여러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 4세기 설립 - 에리트레아 터와흐도 정교회
에리트레아 터와흐도 정교회는 오리엔트 정교회에 속하는 에리트레아의 기독교 종파로,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 분리되어 자율성을 획득했으나 정부의 종교 통제 시도와 내부 갈등이 지속되고 있으며, 게에즈어를 전례 언어로 사용하고 유대교 및 이슬람교와 유사한 문화적 관습을 가진다. - 라틴어 - 고전 라틴어
고전 라틴어는 후기 로마 공화정부터 초기-중기 로마 제국 시대 라틴 문학의 표준어로, 특정 작가들의 모범적인 언어로 간주되며 황금기와 은세기로 나뉘고 문체와 발음 변화를 겪으며 후대 로망스어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라틴어 - 테오도시우스 법전
테오도시우스 법전은 테오도시우스 2세가 혼란스러운 법원을 정리하고 법 적용의 통일성을 확보하고자 321년 이후의 칙령들을 모아 편찬한 최초의 관찬 칙령집으로, 동서 로마 제국에 반포되어 로마법 분열의 계기가 되고 후대 법전에 영향을 주었다. - 중세어 - 고대 프랑스어
고대 프랑스어는 서로마 제국 통속 라틴어에서 파생되어 갈리아어와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8세기부터 12세기까지 사용되다가 중세 프랑스어로 발전했다. - 중세어 - 중세 프랑스어
중세 프랑스어는 9세기부터 14세기까지 프랑스에서 사용되었으며, 11세기 잉글랜드 정복에 영향을 주고 현대 프랑스어의 기반을 형성했으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다가 14세기 왕실 방언을 중심으로 표준화의 기틀을 마련했다.
중세 라틴어 | |
---|---|
지도 정보 | |
언어 정보 | |
이름 | 중세 라틴어 |
사용 지역 | 라틴 기독교(대부분의 유럽. 또한 모사라베스와 로마 아프리카인 사이에서) |
국가 | 중세 동안 대부분의 가톨릭 및/또는 로망스어 사용 국가에서 사실상 사용됨 |
문자 체계 | 라틴 문자 |
시대 | 고대 라틴어에서 4세기와 10세기 사이에 발전; 14세기부터 르네상스 라틴어로 대체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족2 | 이탈리아어파 |
어족3 | 라틴팔리스카어파 |
어족4 | 라틴어 |
조상어 | 원시 인도유럽어 |
조상어2 | 원시 이탈리아어 |
조상어3 | 원시 라틴팔리스카어 |
조상어4 | 고대 라틴어 |
조상어5 | 고전 라틴어 |
조상어6 | 후기 라틴어 |
문서 정보 | |
![]() | |
ISO 639-3 예외 | 역사적 언어 |
linglist | lat-med |
glotto | medi1250 |
glottorefname | 중세 라틴어 |
glottofoot | no |
2. 중세 라틴어의 특징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베네딕트회 수도원을 중심으로 라틴어 교육이 이어졌지만, 주로 성서나 종교 서적을 읽기 위한 목적이었고, 일상 회화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카롤링거 르네상스' 시기에 라틴어 지식이 정확해졌으나, 여전히 소수 엘리트의 언어였다.
중세 라틴어는 살아있는 언어가 아니라 학문적인 언어였기 때문에, 고전 라틴어에 비해 변화가 적었다. 그러나 저자들은 고전 라틴어 지식을 과시하기 위해 복잡한 문장을 사용하기도 했고, 속라틴어나 모국어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중세 라틴어는 고전 라틴어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어순은 저자의 모국어 어순을 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 명확성을 위해 전치사 사용이 증가했다.
- 주어를 명시적으로 포함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 어휘에 다양한 변화가 있었고, 새로운 복합 동사가 형성되었다.
- 성경 용어의 영향으로 그리스어와 히브리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많았다.
- 불가타 성경의 영향으로 고전 라틴어와는 다른 특징들이 어휘뿐만 아니라 문법과 구문론에서도 나타났다.
- 로망스어가 사용되지 않은 지역에서도 라틴어가 학습되면서, 해당 지역의 언어가 중세 라틴어에 영향을 주었다.
- 과학이나 철학 분야에서 발전된 라틴어 어휘는 현대 언어의 전문 용어의 원천이 되었다.
- 샤를마뉴 시대의 카롤링거 르네상스는 라틴어 문학과 학문의 부흥을 가져왔다.
- 알쿠인은 샤를마뉴의 라틴어 비서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12세기경 라틴어가 점점 불순해지면서, 후기 중세 라틴어 문서는 작성자의 모국어(프랑스어, 독일어 등)와 유사성을 보이게 되었다.
- 고전 라틴어에는 없던 관사 대신 *unus*, *ille*, *quidam* 등이 사용되기도 했다.
- *habere*가 조동사로 사용되기도 했다.
- 목적격 부정사 구문 대신 *quod* 또는 *quid*가 이끄는 종속절이 사용되기도 했다.
8세기 후반 이후, 고전 라틴어에 익숙한 교양 있는 저술가들은 이러한 변화에 저항하기도 했다. 토마스 아퀴나스와 같은 신학자나 기욤 드 티르와 같은 역사가들은 고전 라틴어에 가까운 문체를 사용하려 노력했다. 그러나 *quod*를 사용한 종속절은 널리 퍼져 있었다.
;'''고전 라틴어의 장단 모음(속어 라틴어의 o와 e의 장단 모음에 해당)의 합류'''
:* (철자에는 나타나지 않는 변화)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 단모음과의 혼동'''
:* 이중 모음 ae와 oe는 단모음 로 발음되며, e 또는 ę(e caudata, 꼬리 달린 e)로 쓰인다.
- 예: puell'''ae''' → puell'''e''', p'''oe'''na → p'''e'''na
:* 반대로 e가 ae(æ), oe(œ)로 쓰임
- 예: '''e'''cclēsia → '''ae'''cclesia, c'''ē'''na → c'''oe'''na
;'''전설 모음 앞의 C, G의 구개음화'''
:* (철자에는 나타나지 않는 변화) 모음(e, ae, oe) 및 모음(i, y) 앞의 c, g가 구개음화하여 각각 , 로 발음됨
;'''TI의 파찰음화'''
:* s, t, x가 앞서지 않고 모음 앞에 있는 ti는 로 발음되고 ci로 표기됨.
- 예: dīvi'''ti'''ae → divi'''ci'''e, ter'''ti'''us → ter'''ci'''us, vi'''ti'''um → vi'''ci'''um
;'''I와 Y의 혼동'''
- 예: '''ī'''sidōrus → '''Y'''sidorus, Aeg'''y'''ptus → Eg'''i'''ptus, oc'''i'''us → oc'''y'''us, s'''i'''lva → s'''y'''lva
;'''H와 무음화의 혼동'''
:* 무음화된 h가 쓰이지 않거나, 반대로 원래 없는 위치(특히 r 근처)에 h가 쓰임
- 예: mi'''h'''i → mi, '''h'''abēre → abere, corōna → c'''h'''orona
;'''H와 CH의 혼동'''
:* 모음 사이의 h가 로 취급되어 ch로 쓰임
- 예: mi'''h'''i → mi'''ch'''i
;'''이중 자음과 단자음의 혼동'''
- 예: tranqui'''ll'''itās → tranqui'''l'''itas, Ā'''f'''rica → A'''ff'''rica
;'''삽입음의 삽입'''
:* mn, mt 등, 비음 + 치경음 사이에 파열음이 들어감
- 예: alu'''mn'''us → alu'''mpn'''us, so'''mn'''us → so'''mpn'''us
;'''V의 마찰음화'''
:* (철자에는 나타나지 않는 변화) v는 로 발음됨.

2. 1. 어휘
불가타역 성경의 영향으로 그리스어와 히브리어에서 유래한 어휘가 중세 라틴어에 많이 유입되었다.[3] 불가타역은 그리스어와 히브리어를 직역하여 고전 라틴어에는 없던 특징들이 어휘에 반영되었다. 남유럽에 침입한 게르만 부족들이 사용한 다양한 게르만어파 언어의 영향으로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지거나 기존 단어의 의미가 변화하기도 했다. 특히 게르만족 출신 지도자들이 로마 제국의 일부 지역을 통치하면서 그들의 언어에서 유래한 단어들이 법률 어휘에 자유롭게 수용되었다.[3]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지 않았던 아일랜드와 독일 등지에서도 라틴어가 학문 언어로 사용되면서, 이 지역에서 쓰인 저술들이 중세 라틴어 어휘에 영향을 주었다. 수사학과 윤리학을 포함한 과학, 철학 등 학문 분야가 라틴어로 전달되면서, 이 분야에서 발전한 라틴어 어휘는 현대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의 원천이 되었다.[3] 예를 들어 "추상적인(abstract)", "주제(subject)", "전달하다(communicate)", "물질(matter)", "가능성 있는(probable)"과 같은 영어 단어와 다른 유럽 언어의 동족어들은 중세 라틴어에서 이 단어들에 부여된 의미를 가지고 있다.
2. 2. 문법 및 구문
속라틴어의 영향은 중세 라틴어 작가들의 구문에도 나타났지만, 고전 라틴어는 여전히 높이 평가되었고 문학 작품의 모범으로 연구되었다.[4] 중세 라틴어가 문학 언어로서 발전한 정점은 카롤링거 르네상스 시대였다.[4]중세 라틴어는 살아있는 언어가 아닌, 중세 유럽의 소수 교육받은 남성들(그리고 극소수의 여성들)의 학문적 언어였으며, 일상적인 의사소통보다는 공식 문서에서 더 많이 사용되었다.[4]
- 어순은 일반적으로 저자의 모국어 어순을 따랐다. 라틴어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선호하지만, 중세 라틴어 저자들의 대부분의 모국어는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사용하거나 요구했기 때문에 중세 라틴어에서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이 더 흔하게 나타난다.
- 일반적으로 명확성을 위해 전치사가 훨씬 더 자주 사용되었다.[4]
- 간접화법에서 고전 라틴어의 목적격과 부정사 구문 대신 , , 과 같이 영어의 "that"과 같은 기능을 하는 새로운 접속사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았다.[4] 예를 들어 불가타 성경의 마태복음 2장 22절에는 "''Audiens autem quod Archelaus regnaret in Judaea pro Herode...''" (그러나 아르켈라우스가 헤로데를 대신하여 유대에서 통치한다는 것을 듣고...)와 같은 구절이 나타난다.[5]
- 의무를 표현할 때 (나는 ~해야 한다)와 (나는 ~해야 한다)가 동명사보다 더 자주 사용되었다.
- 지시대명사 사용의 혼란이 있었다. , , , 심지어 강조 용법의 조차 거의 서로 바꿔 사용되었다. 로망스어와 마찬가지로 와 는 정관사 "the"를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되었다. 는 부정관사 "a, an"으로도 사용되었다.
- 재귀대명사의 용법이 훨씬 느슨해졌다. 종속절의 재귀대명사가 주절의 주어를 가리킬 수 있었다. 재귀 소유격인 가 eiusla와 같은 소유격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었다.
- 형용사의 비교에서 비교급이 때때로 원급이나 최상급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또한 부사 가 비교급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원급 형용사와 함께 자주 사용되었고, 과 는 최상급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원급 형용사와 함께 사용될 수 있었다.
- 고전 라틴어는 탈격 절대구문을 사용했지만, 중세 라틴어에서는 주격 절대구문이나 목적격 절대구문의 예를 찾아볼 수 있다.
- 고전 라틴어 동사는 활동태와 수동태의 두 가지 어태가 있었지만, 그리스어에는 추가적인 "중간태"(또는 재귀태)가 있었다. 라틴어에는 중간태가 없었기 때문에, 중세 라틴어는 이러한 문장을 수동태로 표현했지만 개념적인 의미는 능동적이었다.
2. 3. 철자법
카롤링거 개혁 이후 카롤링거 소문자가 널리 사용되면서, 중세 라틴어에서는 대문자와 소문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게 되었다.[6] 'v'와 'u', 'j'와 'i'의 구분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이루어졌다.이중모음 'ae'와 'oe'는 각각 단모음 'e'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았다.[6] 예를 들어 'puellae'는 'puelle'로, 'poena'는 'pena'로 표기되었다. 그러나 반대로 고전 라틴어의 'e'가 'ae'나 'oe'로 표기되기도 했는데, 'aecclesia'(←'ecclesia'), 'coena'(←'cena') 등이 그 예이다.
그리스어 지식의 감소로 인해, 그리스어에서 차용된 외래어나 외국어 이름에서 'y'와 'i'가 혼용되는 경우가 많았다.[6] 'Isidorus'와 'Aegyptus'가 'Ysidorus', 'Egiptus'로 표기되는 것이 그 예시이다. 심지어 순수 라틴어 단어에서도 'ocius'가 'ocyus'로, 'silva'가 'sylva'로 나타나기도 한다.
'h'가 생략되어 'habere'가 'abere'로, 'mihi'가 'mi'로 되거나, 반대로 'h'가 또는 로 발음되어 'mihi'가 'michi'로 표기되기도 했다.[6] 또한, 'h'의 탈락은 이전에는 없던 곳에 'h'를 추가하게 만들었는데, 특히 'r' 주변에서 'corona'가 'chorona'가 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모음 앞의 '-ti-'는 '-ci-' [tsi]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았다.[6] 'divitiae'는 'diviciae'로, 'tertius'는 'tercius'로, 'vitium'은 'vicium'으로 표기되었다.
'mn' 조합에는 다른 파열음이 삽입되어 'alumnus'가 'alumpnus'로, 'somnus'가 'sompnus'로 변하기도 했다.
단일 자음이 이중 자음으로 표기되거나, 반대로 이중 자음이 단일 자음으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었다.[6] 'tranquillitas'가 'tranquilitas'로, 'Africa'가 'Affrica'로 표기되는 것이 그 예이다.
음절 축약도 더 빈번해졌는데, 특히 완료 시제 동사에서 'vi'가 생략되어 'novisse'가 'nosse'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6]
3. 중세 라틴어의 영향
중세 라틴어는 로망스어군(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영어 어휘의 상당 부분 또한 중세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중세 라틴어는 중세 유럽의 학문, 문학, 법률,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베네딕트회 수도원은 프랑스에서 로마 문명의 전통을 지켰다. 수도원 부속 학교에서는 문법과 수사학 교재로 고전 작가의 라틴어 작품을 사용했지만, 주된 목적은 성서와 종교 서적을 읽는 데 필요한 라틴어 지식과 표현 기술을 얻는 것이었다. 수도승들은 주로 성자전과 역사 작품을 썼다.
카롤링거 르네상스 덕분에 성직자들의 라틴어 지식은 정확해졌지만, 라틴어는 일상 회화에서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이 문예 부흥은 서양 각지에서 모여든 성직자와 궁정인 등 지식인 엘리트가 주도했고, 일반 대중과는 거리가 멀었기 때문이다. 문학 연구는 여전히 문학 정신보다는 문장 기술에 중점을 두었고, 작품은 교과서적이고 반(反)여성적이며 현세 부정적인 경향이 강했다. 중세 라틴어 문학은 작가가 서양 각지 출신의 성직자여서 민족성과 지방색이 엷었지만, 수사학을 주로 하는 문장 기술은 후대 로망스어 문학 기법에 큰 영향을 주었다.
라틴어는 로망스어가 사용되지 않고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지 않은 아일랜드나 독일과 같은 지역에도 퍼져나갔다. 이 지역들에서 쓰인 저술 또한 중세 라틴어의 어휘와 구문에 영향을 주었다.
과학이나 철학과 같은 주제는 라틴어로 의견을 교환했기 때문에, 이 분야에서 발전된 라틴어 어휘는 현대 언어의 전문 용어의 상당 부분의 원천이 되고 있다.
3. 1. 기독교 라틴어
불가타 성경의 언어는 그리스어와 히브리어에서 거의 직역하다시피 하여 생겨난, 고전 라틴어에는 없는 많은 특징들을 담고 있었는데, 중세 라틴어는 이 언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러한 특징들은 어휘뿐만 아니라 문법과 구문에도 원어를 반영했다. 그리스어는 기독교의 많은 전문 용어를 제공했다.[3] 예를 들어 'abstract', 'subject', 'communicate', 'matter', 'probable'과 같은 영어 단어와 다른 유럽 언어의 동족어들은 대체로 중세 라틴어에서 이 단어들에 주어진 의미를 가지고 있다.[9]3. 2. 속라틴어의 영향
속라틴어의 영향은 중세 라틴어 작가들의 구문에도 나타났지만, 고전 라틴어는 여전히 높이 평가받았고 문학 작품의 모범으로 연구되었다. 중세 라틴어가 문학 언어로 발전한 정점은 카롤링거 르네상스 시대였는데, 이는 프랑크 왕 샤를마뉴의 후원 아래 일어난 학문의 부흥이었다. 알쿠인은 샤를마뉴의 라틴어 비서였고 그 자체로 중요한 작가였으며, 그의 영향으로 서로마 제국의 몰락 이후 침체되었던 라틴 문학과 학문이 부흥하였다.[4]로망스어로 발전하는 동시에 라틴어 자체는 매우 보수적으로 남아 있었는데, 더 이상 모국어가 아니었고 표준 형태를 제시하는 많은 고대 및 중세 문법 책이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엄밀히 말하면 "중세 라틴어"의 단일 형태는 없었다. 중세 시대의 모든 라틴어 작가들은 라틴어를 제2언어로 사용했으며, 유창성과 구문의 정도는 각기 달랐다. 그러나 문법과 어휘는 종종 작가의 모국어의 영향을 받았다. 이는 특히 12세기경부터 두드러졌는데, 이후 언어는 점점 더 혼합되었다. 프랑스어 사용자가 쓴 후기 중세 라틴어 문서는 중세 프랑스어 문법과 어휘와 유사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고, 독일어 사용자가 쓴 문서는 독일어와 유사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동사를 문장 끝에 배치하는 고전 라틴어 관례를 따르는 대신, 중세 작가들은 종종 자신의 모국어 관례를 따랐다.[4]
라틴어에는 정관사나 부정관사가 없었지만, 중세 작가들은 때때로 ''unus''의 형태를 부정관사로, 그리고 ''ille''의 형태(로망스어의 용법을 반영)를 정관사로 사용하거나 심지어 ''quidam''(고전 라틴어에서 "어떤 것"이라는 의미)을 관사와 비슷한 것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고전 라틴어에서는 ''esse''("be")가 유일한 조동사였지만, 중세 라틴어 작가들은 게르만어와 로망스어의 구문과 유사하게 ''habere''("have")를 조동사로 사용할 수 있었다. 고전 라틴어의 목적격과 부정사 구문은 종종 ''quod'' 또는 ''quia''로 시작하는 종속절로 대체되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 유사한 구문에서 ''que''의 사용과 거의 동일하다.[4]
8세기 후반부터 모든 시대에 걸쳐, 고전 구문에 익숙하여 이러한 형태와 용법이 "잘못된 것"임을 알고 사용을 거부한 학자들(특히 교회 내)이 있었다. 따라서 성 토마스 아퀴나스와 같은 신학자나 티레의 윌리엄과 같은 박식한 성직자 역사가의 라틴어는 위에서 설명한 특징 대부분을 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어휘와 철자만으로 시대를 보여준다. 위에 나열된 특징은 변호사(예: 11세기 영국의 대토지조사서), 의사, 기술 작가 및 세속 연대기 작가들의 언어에서 훨씬 더 두드러진다. 그러나 종속절을 도입하기 위한 ''quod''의 사용은 특히 만연하여 모든 수준에서 발견된다.[4]
중세 라틴어는 다른 언어에서 자유롭게 차용하여 어휘를 확장했다. 불가타 성경의 언어로부터 중대한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그리스어와 히브리어의 다소 직접적인 번역에 기인하는 고전 라틴어와는 다른 많은 특징을 어휘뿐만 아니라 문법과 구문론에서도 가지고 있었다. 그리스어는 기독교의 전문적인 어휘의 상당 부분을 제공했다. 남유럽에 침입한 게르만 민족이 사용하던 다양한 게르만어 또한 신어의 큰 원천이었다. 게르만 지도자들은 정복한 로마 제국의 일부를 지배하게 되었고, 그들의 언어에서 유래한 단어를 법률 용어에 자유롭게 도입했다. 고전어 단어는 사용되지 않게 되어, 다른 많은 일반적인 단어가 속라틴어 또는 게르만어 기원의 신조어로 대체되었다.[9]
4. 중세 라틴어 문학
중세 라틴어 문학은 설교, 찬송가, 성인전(전기), 기행문, 역사서, 서사시, 서정시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한다.
5세기 전반, 히에로니무스(c. 347–420)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354–430)는 중세 신학 사상에 큰 영향을 준 저술을 남겼으며, 아우구스티누스의 제자 아키텐의 프로스페르(c. 390-455)도 그러했다. 5세기 후반과 6세기 초, 시도니우스 아폴리나리스(c. 430 – 489), 마그누스 펠릭스 엔노디우스(474–521), 베난티우스 포르투나투스(c. 530–600)는 시로 명성을 얻었다. 이 시기는 보에티우스(c. 480–524)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저술 일부를 번역하고 『철학의 위안』을 저술했으며, 카시오도루스(c. 485–585)는 비바리움 수도원에 도서관을 설립하여 고대 문헌을 보존하고, 세비야의 이시도르(c. 560-636)가 『어원학』을 편찬하는 등 지식 전승의 시대였다.
투르의 그레고리우스(c. 538–594)는 프랑크 왕국의 역사를 저술했는데, 그의 라틴어는 고전 형태에서 벗어나 갈리아 지역의 고전 교육 쇠퇴를 보여준다. 동시대 아일랜드 수도원에서는 라틴어와 그리스어 지식이 보존되어 콜룸바누스(543–615) 등의 선교 활동을 통해 유럽 본토로 전파되었다. 아일랜드는 히스페릭 라틴어라는 독특한 시적 스타일의 발상지이기도 했다. 길다스(c. 500–570), 알드헬름(c. 640–709) 등의 작가와 베네딕트 비스코프(c. 628–690)가 설립한 웨어머스-자로우 수도원, 그리고 베다(c. 672–735)의 『앵글로색슨인의 교회사』도 이 시기 중요한 유산이다.
대표적인 중세 라틴어 문학 작품으로는 카르미나 부라나(11~12세기), 팡게 린구아(약 1250년), 신학대전(약 1270년), 어원학(약 600년), 진노의 날(약 1260년), 그라티아누스의 법령집(약 1150년), 아더왕의 손자 발루안의 탄생에 관하여(약 1180년), 대헌장(약 1215년) 등이 있다.[1]
4. 1. 주요 작가
6세기~8세기 | |
---|---|
9세기 | |
10세기 | |
11세기 | |
12세기 | |
13세기 | |
14세기 |
5. 한국과 중세 라틴어
한국은 중세 유럽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개화기 이후 서구 학문과 기독교(특히 가톨릭)가 유입되면서 중세 라틴어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받게 되었다. 특히 가톨릭 교회에서는 라틴어가 전례 언어로 사용되었고, 신학, 철학 등 학문 분야에서도 중세 라틴어 문헌이 연구되었다. 오늘날 한국에서 중세 라틴어는 주로 가톨릭 신학교나 일부 대학의 서양고전학, 중세사, 철학, 신학 관련 학과에서 연구되고 있다. 일부 가톨릭 성직자나 학자들은 중세 라틴어로 저술 활동을 하기도 한다.
참조
[1]
논문
Medieval Latin: An Introduction and Bibliographical Guide
[2]
웹사이트
Romance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18-11-27
[3]
저널
Mental furniture from the philosophers
http://www.maths.uns[...]
2021-06-29
[4]
서적
Medieval Latin: An Introduction and Bibliographical Guide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5]
사전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A Primer of Medieval Latin: an anthology of prose and poetry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7]
서적
De recta Latini Graecique sermonis pronunciatione dialogus
Frobenius
[8]
서적
Medieval Latin: An Introduction and Bibliographical Guide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9]
저널
Mental furniture from the philosophers
http://www.maths.u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