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엘프와 기벨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엘프와 기벨린은 11세기부터 16세기까지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일어난 정치적, 군사적 분쟁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구엘프는 교황을 지지하고 기벨린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를 지지하는 세력을 의미하며, 서임권 투쟁을 거치며 이탈리아 북부 도시들을 중심으로 세력 다툼이 벌어졌다. 이들의 갈등은 도시 간의 반목과 가문 간의 동맹으로 이어졌으며, 르네상스 시대까지 문화, 문학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15세기 이탈리아 전쟁과 16세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이탈리아 지배 이후 점차 쇠퇴하였다. 19세기 이탈리아 통일 운동과 맞물려 다시 부활하기도 했다. 오늘날에는 피렌체에 기독교 단체인 "구엘프 파트"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 왕국 (신성 로마 제국) - 콘도티에로
콘도티에로는 14세기부터 16세기까지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 간 전쟁에서 용병대를 이끌던 지휘관으로, 뛰어난 군사적 역량과 정치적 수완으로 르네상스 시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변덕스러운 행태와 과도한 비용, 화약 무기의 발전으로 쇠퇴했다. - 이탈리아 왕국 (신성 로마 제국) - 카롤루스 제국
카롤루스 제국은 8세기부터 9세기까지 서유럽을 지배했던 프랑크 왕국 기반의 제국으로, 샤를마뉴 시대에 최대 영토를 확장하고 서로마 제국 황제 지위를 부활시켰으나, 그의 사후 베르됭 조약으로 분열되어 유럽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리드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 - 나폴리 페데리코 2세 대학교
나폴리 페데리코 2세 대학교는 1224년 프리드리히 2세가 설립한 나폴리의 공립 대학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유럽의 주요 학문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사회 변화와 함께 확장과 변화를 겪으며 국제적인 학술 교류와 연구 경쟁력 강화에 힘쓰고 있지만 등록금과 사회적 형평성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 프리드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 - 하인리히 6세
하인리히 6세는 프리드리히 1세의 아들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시칠리아 왕국의 왕이었으며, 콘스탄차와의 결혼을 통해 시칠리아 왕위를 계승하려 했고,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를 포로로 잡아 권력을 강화하려 했으나 급사하여 제국은 혼란에 빠졌다. - 지정학적 경쟁 - 시리아 내전
시리아 내전은 2011년 아사드 정권에 대한 반정부 시위에서 시작되어 무력 분쟁으로 확대, 다수 국가 개입과 극단주의 세력 부상으로 국제적인 대리 전쟁 양상을 띠며 수많은 인명 피해와 난민을 발생시켰으나, 2024년 반군 공세로 아사드 정권이 붕괴되며 종식되었다. - 지정학적 경쟁 - 군비 경쟁
군비 경쟁은 국가 간 군사력 증강 경쟁으로, 전쟁의 원인이 되거나 국제 관계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냉전 시대 핵무기 경쟁이나 최근 동아시아 군사적 긴장 고조와 자율 무기 시스템 개발 경쟁 등의 양상을 보인다.
구엘프와 기벨린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쟁 | |
교전 세력 | 교황파 [[File:Coat of arms Holy See.svg|16px]] 교황령 (교황) |
교전 세력 (1단계) | [[File:Milanese coat of arms.svg|16px]] 롬바르디아 동맹 |
교전 세력 (2단계) | [[File:Coat of Arms of Brunswick-Lüneburg.svg|16px]] 벨프 가문 (제국) [[File:Flag of the Kingdom of Naples.svg|16px]] 친 앙주 가문 시칠리아 왕국 [[File:Flag of the Papal States (pre 1808).svg|16px]] 교황령 [[File:Stemma della parte guelfa.svg|16px]] 친 교황파 피렌체 공화국 [[File:Coat of arms of the House of Della Torre (early).svg|16px]] 친 교황파 밀라노, 델라 토레 가문 주도 [[File:Coat of arms of the House of Della Torre (1274).svg|16px]] 델라 토레 가문 [[File:Flag of Bologna.svg|16px]] 볼로냐 코무네 [[File:Flag of Siena.svg|16px]] 시에나 공화국 [[File:Flag of Lucca.svg|16px]] 루카 공화국 [[File:Flag of Genoa.svg|16px]] 제노바 공화국 [[File:Ducado de Modena (antes de 1830).svg|16px]] 페라라 공국 [[File:Repubblica di Massa-Bandiera.svg|16px]] 마사 공화국 [[File:Flag of Montferrat.svg|16px]] 친 교황파 몬페라토 후국 [[File:Savoie flag.svg|16px]] 사보이아 백국 [[File:Ancona-Bandiera.png|16px]] 안코나 공화국 [[File:Bandiere dal Friûl.svg|16px]] 프리울리 총대주교 관할구 [[File:Flag of Lodi.svg|16px]] 로디 [[File:01 Perugia Grifo Codice Medioevo.jpg|16px]] 페루자 [[File:Coat of arms of the House of Bonacolsi.svg|16px]] 만토바 [[File:Orvieto-Stemma.svg|16px]] 오르비에토 다양한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 |
교전 세력 | 황제파 [[File:Königsbanner 14Jh.svg|16px]] 신성 로마 제국 |
교전 세력 (1단계) | [[File:Königsbanner 14Jh.svg|16px]] 신성 로마 제국 |
교전 세력 (2단계) | [[File:Or three leopards sable.svg|16px]] 호엔슈타우펜 가문 (제국) [[File:Flag of the Kingdom of Sicily (Hohenstaufen).svg|16px]] 친 호엔슈타우펜 가문 시칠리아 왕국 [[File:EzzdaRomcoa.jpg|16px]] 트레비소 변경 [[File:Coat of arms of the House of Montefeltro.svg|16px]] 우르비노 공국 [[File:Coat of Arms of Florence until 1251.svg|16px]] 친 황제파 피렌체 공화국 [[File:Arms of the House of Visconti (1277).svg|16px]] 친 황제파 밀라노, 비스콘티 가문 주도 [[File:Flag of Siena.svg|16px]] 시에나 공화국 [[File:Flag of Lucca.svg|16px]] 루카 공화국 [[File:Flag of the Republic of Pisa.svg|16px]] 피사 공화국 [[File:Ducado de Modena (antes de 1830).svg|16px]] 모데나 공국 [[File:Repubblica di Massa-Bandiera.svg|16px]] 마사 공화국 [[File:Flag of Montferrat.svg|16px]] 친 황제파 몬페라토 후국 [[File:Flag of John the Baptist.svg|16px]] 파비아 [[File:Insegne di Terni a Montaperti (1260).png|16px]] 테르니 코무네 [[File:Asti bandiera.svg|16px]] 아스티 토디 [[File:Coat of Arms of the House of Aldobrandeschi.svg|16px]] 산타피오라 다양한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 [[File:Flag of Palaeologus Dynasty.svg|18px]] 니케아 제국 |
시기 | 1125년–1186년 (1단계) |
시기 | 1216년–1392년 (2단계) |
장소 | 이탈리아 북부 - 이탈리아 중부 |
결과 | 1단계: 콘스탄츠 화약 (1186년) |
결과 | 2단계: 교착 상태 (1392년) |
사회-정치적 결과 | 자유 코무네의 쇠퇴; 시뇨리아의 부상 흑사병의 확산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절멸 샤를 1세에 의한 시칠리아 왕국 정복 대공위 시대, 프리드리히 2세 사후 이탈리아에 대한 제국의 권위 약화 |
지휘관 및 지도자 | |
교황파 (1단계) | [[File:Milanese coat of arms.svg|16px]] 귀도 다 란드리아노 |
교황파 (2단계) | [[File:Shield and Coat of Arms of the Holy Roman Emperor (c.1200-c.1300).svg|16px]] [[File:Blason duché ni Brunswick.svg|14px]] 황제 오토 4세 [[File:Coat of arms Holy See.svg|16px]] 교황 그레고리오 9세 [[File:Coat of arms Holy See.svg|16px]] 교황 첼레스티노 4세 [[File:Coat of arms Holy See.svg|16px]] 교황 요한 22세 [[File:Coat of arms Holy See.svg|16px]] 오타비아노 데글리 우발디니 [[File:Arms of Jean dAnjou.svg|16px]] 앙주 가문의 샤를 1세 [[File:Arms of Jean dAnjou.svg|16px]] 아르마냐크 백작 장 3세 [[File:Arms of the house of Este (1).svg|16px]] 페라라 후작 아초 7세 |
황제파 (1단계) | [[File:Shield and Coat of Arms of the Holy Roman Emperor (c.1200-c.1300).svg|16px]] 황제 프리드리히 1세 |
황제파 (2단계) | [[File:Shield and Coat of Arms of the Holy Roman Emperor (c.1200-c.1300).svg|15px]][[File:Flag of the Kingdom of Sicily (Hohenstaufen).svg|16px]] 황제 프리드리히 2세 [[File:Shield and Coat of Arms of the Holy Roman Emperor (c.1200-c.1300).svg|16px]] 황제 하인리히 7세 [[File:Shield and Coat of Arms of the Holy Roman Emperor (c.1200-c.1300).svg|16px]] 황제 루트비히 4세 [[File:Shield and Coat of Arms of the Holy Roman Emperor (c.1200-c.1300).svg|16px]] 에젤리노 3세 다 로마노 [[File:Shield and Coat of Arms of the Holy Roman Emperor (c.1200-c.1300).svg|16px]] 엔초 (사르데냐) [[File:Arms of Swabia-Sicily.svg|16px]] 시칠리아 왕 만프레디 [[File:Coat of arms of the House of Montefeltro.svg|16px]] 우르비노 백작 귀도 1세 |
2. 역사
11세기 서임권 투쟁에서 이미 교황과 황제의 다툼이 시작되었으며, 황제 하인리히 4세와 대립하는 벨프 5세는 교황파의 토스카나 여백작 마틸데와 결혼했기 때문에 교황파는 벨프(구엘프)라고 불리기 시작했다.[6]
잘리어 왕조가 단절되자 벨프 가문의 바이에른 공작하인리히 10세는 호엔슈타우펜 왕가의 콘라트 3세와 제위를 다투었고, 1140년 바인스베르크 전투에서 벨프파는 벨프, 호엔슈타우펜파는 기벨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7][8] 독일 국내에서는 벨프와 기벨린은 말 그대로 양 가문을 지지하는 파벌이며, 벨프 가문의 오토 4세가 황제가 되었을 때는 벨프가 황제파, 기벨린이 교황파가 되었다.
북이탈리아에서는 호엔슈타우펜 왕가가 이탈리아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기 때문에, 이를 지지하는 도시는 기벨린, 이에 저항하여 교황의 지지를 구한 롬바르디아 동맹 등의 도시는 구엘프라고 불렸다. 일반적으로 귀족은 황제파가 많았고, 도시 시민은 교황파가 많았다고 하지만, 단순히 대립 세력이 황제파가 되었기 때문에 교황파가 되었다는 경우도 많았다.[9]
1250년 프리드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가 사망하고, 1268년 콘라딘이 샤를 1세에 의해 처형되면서 구엘프의 승리로 일단락되는 듯 했으나, 곧 샤를에 대항하는 자들이 기벨린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후 프랑스, 나폴리, 교황 계열은 구엘프, 독일, 스페인 계열은 기벨린으로 불렸지만, 실상은 단순한 도시 간, 도시 내 파벌 싸움이었다. 황제 하인리히 7세 (신성 로마 황제)나 교황 베네딕토 12세 (로마 교황)도 구엘프 대 기벨린으로 칭하며 대립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르네상스 시기를 거치며 이 호칭은 종종 사용되었다.
구엘프와 기벨린의 항쟁에 관해 종종 단테가 언급되지만, 실제로는 구엘프 내의 백파와 흑파의 대립에 의한 것이다. 교황 보니파시오 8세의 의지로 백파의 주력이 피렌체를 추방된 후, 단테의 친구들이 기벨린에 접근했기 때문에 기벨린으로 오해받는 경우가 있다. 디노 콤파니는 황제 하인리히 7세가 피렌체에 질서를 되찾아 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베로나에서의 몬테키 가문(황제파)과 카퓰렛 가문(교황파)의 대립은 『로미오와 줄리엣』의 모티브가 되었다. 양가의 대립은 단테의 『신곡』(연옥편)에서도 언급되고 있다.
15세기 이탈리아 전쟁 시기에는 프랑스 왕을 지지하는 세력이 구엘프, 스페인 왕을 지지하는 세력이 기벨린으로 불렸지만, 16세기에 카를 5세 (신성 로마 황제)가 이탈리아 지배에 성공하면서 이러한 호칭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2. 1. 기원
독일의 귀족 가문 중 하나인 벨프의 이탈리아식 표기에서 '구엘프'라는 이름이 유래했다. '''기벨린'''이라는 이름은 벨프 가문과 대립하던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성인 바이블링겐 성(Waiblingen)에서 유래했다. 벨프 가와 호엔슈타우펜 가문은 독일 황제 자리를 놓고 12세기 치열하게 다투었는데, 이들의 투쟁이 이탈리아로 건너와 변형된 것이 바로 기벨린과 구엘프이다.[5] 프리드리히 바르바롯사 시절부터 독일에서의 이 가문 투쟁이 이탈리아로 건너오게 되었다.프리드리히는 이탈리아에 대한 황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했고, 수차례 이탈리아 원정에 나섰다. 이때 호엔슈타우펜의 프리드리히 편에 선 이탈리아인들을 '''기벨린파'''(이탈리아어:''Ghibellini'')로 불렀고, 이에 대항하는 롬바르디아 동맹 등 자유 도시들은 '''구엘프파'''(이탈리아어:''Guelfi'') 로 알려지게 되었다. 1176년 레냐노 전투에서 롬바르디아 동맹은 프리드리히를 격파하여 황제는 명목상의 종주권과 도시의 완전 자치를 허용하게 되었다.[10]

구엘프와 기벨린의 갈등은 서임권 투쟁으로 인해 발생한 정치적 분열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세속 군주와 교황 중 누가 주교와 수도원장을 임명할 권한을 갖는지에 대한 문제였다. 잘리어 왕조의 황제 하인리히 5세가 죽자, 공작들은 그의 왕조의 반대 세력인 로타르 3세를 새 황제로 선출했다. 이는 옛 왕조와 동맹 관계에 있던 호엔슈타우펜 가문을 불쾌하게 했다. 호엔슈타우펜 가문을 두려워한 로타르 3세는 교황의 보호를 받기 위해 하인리히 5세의 보름스 협약에 따라 교황에게 모든 제국 권리를 양도했다. 이후 독일에서는 호엔슈타우펜 가문을 지지하는 세력과 로타르 및 교황에 동조하는 세력 사이에 전쟁이 발발했다. 로타르가 죽자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콘라트 3세가 선출되었고, 로타르의 상속자인 벨프 가문의 헨리 10세는 계속해서 싸웠다.[6]
''구엘프'' (''Guelf''로 표기)는 이탈리아어로 바이에른 공작 가문인 벨프 가문의 이름에서 유래한 형태이다(이 이름의 유래가 된 바이에른의 벨프 2세, 그리고 사자공 헨리 포함). 벨프 가문은 1140년 바인스베르크 포위전에서 외침으로 이 이름을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여기서 경쟁 가문인 호엔슈타우펜 가문(콘라트 3세가 이끌었음)은 "비벨링겐"(오늘날 바일링겐으로 알려진 성의 이름)을 외쳤으며, "비벨링겐"은 이후 이탈리아어로 ''기벨리노''가 되었다.[7][8] 따라서 호엔슈타우펜 가문은 기벨린으로, 벨프 가문은 결국 구엘프로 알려지게 되었다. 기벨린은 제국 당이었고, 구엘프는 교황을 지지했다. 교황령 확장에 직접적인 위협을 받는 도시들은 기벨린 파에 합류하는 경향이 있었고, 제국으로부터 더 많은 자치를 원했던 도시들은 구엘프 파에 속하는 경향이 있었다. 북부 이탈리아의 도시들과 제국 권력의 충돌은 서임권 투쟁에서 비롯되었다.[9]
11세기의 서임권 투쟁에서 이미 교황과 황제의 다툼이 시작되었으며, 황제 하인리히 4세와 대립하는 벨프 5세는 교황파의 토스카나 여백작 마틸데와 결혼했기 때문에 교황파는 벨프(구엘프)라고 불리기 시작했다.
잘리어 왕조가 단절되자 벨프 가문의 바이에른 공작하인리히 10세 (오만공, 벨프 5세의 조카)는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콘라트 3세와 제위를 다투었고, 1140년의 바인스베르크 전투의 "구호"에서 벨프파가 벨프, 호엔슈타우펜파가 기벨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독일 국내에서는 벨프와 기벨린은 말 그대로 양 가문을 지지하는 파벌이며, 벨프 가문의 오토 4세가 황제가 되었을 때는 벨프가 황제파, 기벨린이 교황파가 되었다.
2. 2. 도시간의 반목과 갈등 (13-14세기)
바르바롯사 이후 구엘프와 기벨린은 그 의미가 변화하여, 교황을 지지하는 분파는 구엘프파, 황제를 지지하는 분파는 기벨린파로 나뉘었다. 주로 부유한 신흥 상업 가문들이 구엘프파를 지지했고, 전통적인 귀족 가문의 지배를 받는 계층은 기벨린파를 지지했다. 구엘프 도시들은 황제가 교황보다 더 큰 위협이라 보았고, 기벨린 도시들은 교황령의 확대가 더 시급한 위협이라 여겼다. 작은 도시들은 주변의 큰 도시가 구엘프파이면 기벨린파가 되는 경향이 있었다. 13세기에서 14세기에 걸쳐 이들 도시 간에는 반목과 전쟁이 자주 발생했다.[9]호엔슈타우펜 가가 남부 이탈리아에서 영향력을 잃자, 구엘프와 기벨린의 갈등 양상은 변화했다. 구엘프파는 프랑스의 앙주 가문을 지지하는 세력으로 모아졌는데, 여기에는 시칠리아의 앙주 출신 군주, 교황, 피렌체, 토스카나 지방의 피렌체 동맹 도시들이 포함되었다.
13세기 초, 슈바벤의 필리프와 브라운슈바이크의 오토는 제국의 왕위를 놓고 경쟁했다. 필리프는 프리드리히 1세의 아들로서 기벨린의 지지를 받았고, 오토는 구엘프의 지지를 받았다. 구엘프는 초기에 오토를 황제로 옹립하는 데 성공했지만, 오토는 교황청에 반기를 들었고, 파문당하여 필리프의 상속자인 황제 프리드리히 2세로 교체되었다.[13] 프리드리히 2세는 오토와 교황청 모두의 적이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구엘프는 교황청과 더욱 밀접하게 연관되었고 기벨린은 제국과 특히 프리드리히의 지지자가 되었다.
1250년 프리드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가 사망하고, 1268년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마지막 왕 콘라딘이 교황의 뜻을 받은 앙주 백작 샤를에 의해 처형되면서 구엘프의 승리로 일단락되는 듯 했으나, 곧 샤를에 대항하는 자들이 기벨린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후 프랑스, 나폴리, 교황 계열은 구엘프, 독일, 스페인 계열은 기벨린으로 불렸지만, 실상은 단순한 도시 간, 도시 내 파벌 싸움이었다. 황제 하인리히 7세 (신성 로마 황제)나 교황 베네딕토 12세 (로마 교황)도 구엘프 대 기벨린으로 칭하며 대립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르네상스 시기를 거치며 이 호칭은 종종 사용되었다.
15세기 이탈리아 전쟁 시기에는 프랑스 왕을 지지하는 세력이 구엘프, 스페인 왕을 지지하는 세력이 기벨린으로 불렸지만, 16세기에 신성 로마 황제 겸 스페인 왕 카를 5세 (신성 로마 황제)가 이탈리아 지배에 성공하면서 이러한 호칭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2. 3. 쇠퇴와 부활
14세기를 지나면서 기벨린파와 구엘프파의 반목은 그 의미를 잃게 되었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들은 더 이상 이탈리아 문제에 관여하지 않게 되었고, 교황도 아비뇽 유수를 거치면서 로마에서 프랑스로 자리를 옮겼기 때문이다. 이때부터 구엘프파와 기벨린파는 단지 지역적인 정파를 의미하게 되었고 점차 사라져 갔다.[16][17][18]19세기에 들어서면서 기벨린과 구엘프는 이탈리아 통일 운동과 맞물려 다시 부활한다. 이때 새로운 구엘프파의 대표적인 사람은 빈첸초 조베르티로, 그는 1843년 교황을 중심으로 이탈리아 도시 국가 연방을 만들려 했다. 이에 대해 기벨린파는 교황이 오히려 이탈리아 통일의 방해가 된다고 생각했다.

토스카나의 구엘프가 1289년 캄팔디노 전투와 비코피사노에서 기벨린을 최종적으로 물리친 후, 구엘프는 내부 갈등을 시작했다. 1300년경, 피렌체 구엘프는 검은 구엘프와 흰 구엘프로 나뉘었다. 검은 구엘프는 교황을 계속 지지했지만, 흰 구엘프는 교황의 영향력, 특히 교황 보니파시오 8세의 영향력에 반대했다. 단테 알리기에리는 흰 구엘프 지지자 중 한 명이었다. 1302년, 검은 구엘프가 피렌체를 장악했을 때 그는 추방되었다.[15]
어느 쪽에도 연결되지 않거나 구엘프나 기벨린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사람들은 양쪽 모두 지지할 가치가 없다고 여겼지만, 각 도시의 권력 변화에 여전히 영향을 받았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헨리 7세는 1310년 이탈리아를 방문했을 때 양쪽 지지자들에게 혐오감을 느꼈다. 1325년, 구엘프 도시 국가인 볼로냐와 기벨린 모데나는 양동이 전쟁에서 충돌했고, 자폴리노 전투에서 모데나가 승리하여 기벨린의 운세가 부활했다. 1334년, 교황 베네딕토 12세는 구엘프나 기벨린의 이름을 사용하는 사람들을 파문하겠다고 위협했다.

구엘프라는 용어는 이탈리아에서 쇠퇴하는 제국의 권위에 대한 충성을 계속 나타냈으며, 하인리히 7세 (1310)와 루이 4세 (1327) 황제의 이탈리아 원정 동안 잠시 부활했다. 교황이 프랑스 왕자 앙주의 샤를 1세에게 시칠리아 왕국 (남부 이탈리아)를 부여한 이후, 구엘프는 친 프랑스 입장을 취했다. 16세기 후반까지 콜론나 가문이나 곤차가 가문과 같은 기벨린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를 위해 싸웠고, 오르시니 가문과 에스테 가문과 같은 구엘프는 여전히 프랑스를 위해 싸웠다. 프랑스가 지배한 아비뇽 유수 동안, 프랑스와 동맹을 맺은 보헤미아 국왕 요한을 지지한 교황 요한 22세는 1324년 요한의 라이벌인 황제 루이 4세를 파문하고 기벨린에 대한 이단 혐의를 위협했다. 그러자 기벨린은 루이의 이탈리아 침공과 이탈리아 국왕 및 신성 로마 황제 대관식을 지지했다.
밀라노 공국에서, 구엘프와 기벨린은 1447년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을 창설하는 데 협력했다. 그러나 그 후 몇 년 동안 격렬한 분쟁에 휘말렸다. 기벨린의 초기 지도력 이후, 구엘프는 밀라노의 자유의 지휘관과 수호자 선거에서 권력을 장악했다. 구엘프 정부는 점점 더 독재적으로 변했고, 이는 조르지오 람푸니노와 테오도로 보시가 이끄는 기벨린 음모로 이어졌다. 이 음모는 실패했고, 많은 기벨린이 1449년에 학살되었다.[19] 비탈리아노 1세 보로메오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은 도망쳤고, 그는 그의 보로메오 가문의 아로나 백작령에서 보호받았다. 여론은 구엘프에 반대하게 되었다. 다음 선거에서 기벨린은 잠시 승리했지만, 구엘프 지도자 조반니 아피아니와 조반니 오소나를 투옥한 후 축출되었다.[19]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가 1450년 밀라노 상원에 의해 공작이 된 후, 필리포 보로메오와 루이시노 보시와 같이 도망쳤던 많은 기벨린이 밀라노에서 중요한 지위로 복귀했다.[20]
15세기에는 구엘프가 이탈리아 전쟁이 시작될 때 이탈리아를 침공한 프랑스의 샤를 8세를 지지했고, 기벨린은 황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의 지지자였다. 도시와 가문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가 1529년 이탈리아에 대한 제국 권력을 통합할 때까지 이러한 명칭을 사용했다. 1494년부터 1559년까지 이탈리아 전쟁 과정에서 정치적 지형이 급격하게 바뀌었고 구엘프와 기벨린의 분열은 무의미해졌다. 이는 "기벨린" Reichsadlerde을 그의 교황 문장의 ''상단''에 처음으로 새긴 교황 바오로 5세 (1605)의 선출로 분명해졌다.
북이탈리아에서는 호엔슈타우펜 왕가가 적극적으로 이탈리아 정책을 추진했기 때문에, 이를 지지하는 도시가 기벨린, 이에 저항하여 교황의 지지를 구한 롬바르디아 동맹 등의 도시가 구엘프라고 불렸다. 일반적으로 귀족은 황제파가 많았고, 도시 시민은 교황파가 많았다고 하지만, 단순히 대립 세력이 황제파가 되었기 때문에 교황파가 되었다는 경우도 많았다.
구엘프와 기벨린의 싸움은, 1250년에 프리드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가 사망하고, 1268년에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마지막 왕 콘라딘이 교황의 뜻을 받은 앙주 백작 샤를에 의해 처형되었기 때문에 구엘프의 승리로 일단 종결되었지만, 곧 샤를에 대항하는 자들이 기벨린이라고 불리게 되었고, 이후 프랑스, 나폴리 왕국, 교황 계열을 구엘프, 독일, 스페인 계열이 기벨린이 되었지만, 실상은 단순한 도시 간, 도시 내 파벌 싸움이었다. 황제 하인리히 7세 (신성 로마 황제)나 교황 베네딕토 12세 (로마 교황)도 구엘프 대 기벨린으로 칭하며 대립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르네상스 시기를 통해, 이 호칭은 종종 사용되었다.
구엘프와 기벨린의 항쟁에 관해, 종종 단테 알리기에리가 언급되지만, 실제로는 구엘프 내의 백, 흑 파의 대립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교황 보니파시오 8세의 의지에 의해 백 파의 주력이 피렌체를 추방된 후, 단테의 친구들이 대항상 기벨린에 접근했기 때문에, 기벨린으로 오해받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백 파에 가까운 입장의 연대기 작가 디노 콤파니는, 황제 하인리히 7세가 피렌체에 질서를 되찾아 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극히 유명한 예로, 베로나에서의 몬테키 가문(황제파)과 카퓰렛 가문(교황파)의 대립이 알려져 있다. 양가의 대립은 단테의 『신곡』(연옥편)에서도 언급되고 있다. 이 대립에서 착상을 얻은 것이 『로미오와 줄리엣』이다.
15세기의 이탈리아 전쟁 시기에는 프랑스 왕을 지지한 것이 구엘프, 스페인 왕을 지지한 것이 기벨린이라고 불렸지만, 16세기에 신성 로마 황제 겸 스페인 왕 카를 5세 (신성 로마 황제)가 이탈리아 지배에 성공하고, 이러한 호칭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3. 주요 도시들의 동맹 관계
주요 기벨린파 도시 | 주요 구엘프파 도시 | 유동적인 도시 |
---|---|---|
아레초, 크레모나, 포를리, 모데나, 오시모, 피사, 피스토이아, 시에나, 스폴레토, 토디, 키에티, 루카 | 볼로냐, 브레시아, 크레마, 제노바, 로디, 만토바, 오르비에토, 알레산드리아, 페루자, 페라라, 피렌체, 안코나 | 베르가모, 밀라노, 아스티, 파도바, 파르마, 피아첸차, 트레비소, 베로나, 비첸차 |
4. 주요 가문들의 동맹 관계
wikitext
주요 기벨린 가문 | 주요 구엘프 가문 | 변동적인 충성을 보이는 가문 |
---|---|---|
5. 문화적 영향
구엘프와 기벨린이라는 용어는 이탈리아에서 쇠퇴하는 제국의 권위에 대한 충성을 나타냈으며, 하인리히 7세(1310)와 루이 4세(1327) 황제의 이탈리아 원정 동안 잠시 부활했다.[16] 교황이 프랑스 왕자 앙주의 샤를 1세에게 시칠리아 왕국(남부 이탈리아)를 부여한 이후, 구엘프는 친 프랑스 입장을 취했다. 16세기 후반까지 콜론나 가문이나 곤차가 가문과 같은 기벨린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를 위해 싸웠고, 오르시니 가문과 에스테 가문과 같은 구엘프는 여전히 프랑스를 위해 싸웠다.[17]
밀라노 공국에서 구엘프와 기벨린은 1447년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을 창설하는 데 협력했지만, 그 후 몇 년 동안 격렬한 분쟁에 휘말렸다. 기벨린의 초기 지도력 이후, 구엘프는 밀라노의 자유의 지휘관과 수호자 선거에서 권력을 장악했다. 구엘프 정부는 점점 더 독재적으로 변했고, 이는 조르지오 람푸니노와 테오도로 보시가 이끄는 기벨린 음모로 이어졌으나 실패했고, 많은 기벨린이 1449년에 학살되었다.[19] 비탈리아노 1세 보로메오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은 도망쳤다. 여론은 구엘프에 반대하게 되었고, 다음 선거에서 기벨린은 잠시 승리했지만, 구엘프 지도자를 투옥한 후 축출되었다.[19]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가 1450년 밀라노 공작이 된 후, 도망쳤던 많은 기벨린이 밀라노에서 중요한 지위로 복귀했다.[20]
15세기에는 구엘프가 이탈리아 전쟁이 시작될 때 이탈리아를 침공한 프랑스의 샤를 8세를 지지했고, 기벨린은 황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의 지지자였다. 도시와 가문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가 1529년 이탈리아에 대한 제국 권력을 통합할 때까지 이러한 명칭을 사용했다. 1494년부터 1559년까지 이탈리아 전쟁 과정에서 정치적 지형이 급격하게 바뀌었고 구엘프와 기벨린의 분열은 무의미해졌다.
일부 개인과 가문은 문장에 당파 소속을 나타내는 부위를 포함시켰다. 구엘프는 파란 바탕에 노란 백합 문양이 있고, 빨간 헤럴드 "레이블"이 있는 ''capo d'Angiò'' 또는 "앙주 가문 수장"을 사용했고, 기벨린은 금색 바탕에 검은색 독일 제국 독수리 형태의 ''capo dell'impero'' 또는 "제국 수장"을 사용했다.[22] 가문들은 또한 궁전, 탑, 요새의 건축 양식으로 자신들의 당파적 충성을 구별했다. 기벨린 구조물에는 "제비 꼬리" 형태의 치상이 있었고, 구엘프의 구조물은 사각형이었다.[23]
12세기와 13세기 동안, 기벨린 코뮌의 군대는 보통 신성 로마 제국의 전쟁 깃발인 적색 바탕에 흰색 십자가를 사용했다. 구엘프 군대는 보통 색상을 반전시켜 흰색 바탕에 적색 십자가를 사용했다.
- 단테 알리기에리의 ''지옥편''(1300년대)에는 이 분쟁의 참가자들이 두드러지게 등장한다.[24]
- 조반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1350년대)에서, 한 여성은 기벨린의 확고한 지지자이다.
-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카스트루초 카스트라카니의 생애''(1520)는 토스카나의 용병 대장 카스트루초 카스트라카니의 통치 기간 동안 루카 시에서 구엘프와 기벨린 간의 투쟁을 이야기한다.
- 메리 셸리의 역사 소설 ''발페르가''(1823)는 구엘프와 기벨린 간의 갈등을 직접적으로 다룬다.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그의 에세이 "여성에 관하여"[25]에서 여성들은 서로에게 일반적으로 우호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26] 쇼펜하우어는 "심지어 길에서 만날 때에도 여성들은 서로를 구엘프와 기벨린처럼 바라본다."라고 단언했다.[27]
- 에즈라 파운드는 ''칸토스''(1915–1962)에서 구엘프와 기벨린을 반복적으로 언급한다.
- 카를로 레비는 ''그리스도는 에볼리에서 멈추었다''(1945)에서 알리아노의 농민과 지주를 각각 구엘프와 기벨린에 비유했다.
- 알레호 카르펜티에르의 ''잃어버린 발자취''(1953)에서, 화자는 라틴 아메리카 도시의 거리에서 갑자기 발생하는 게릴라 전투의 본질을 설명하기 위해 구엘프와 기벨린을 언급한다.
- 판타지 소설 시리즈인 ''켄타리스 연대기''(2003–2009)에서 듀엘프와 니벨린은 구엘프와 기벨린을 기반으로 한 가문 간의 갈등을 다룬다.
- E. M. 포스터가 1908년에 쓴 책인 ''전망 좋은 방''의 첫 번째 장에서 구엘프와 기벨린의 갈등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 버트 랭카스터 주연의 영화 ''불꽃과 화살''(1950)은 12세기 롬바르디아의 구엘프와 기벨린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 룻거 하우어 주연의 영화 ''바르바롯사''(2009)는 구엘프와 기벨린 간의 투쟁, 특히 레냐노 전투를 배경으로 한다.
- 제프 바에나의 영화 ''리틀 아워스''(2017)는 데카메론을 원작으로 하며, 닉 오퍼먼은 구엘프가 자신을 노리고 있다는 장황한 음모론을 펼치는 작은 영주 역을 맡았다.
- 리하르도 잔도나이의 20세기 초 오페라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는 단테의 ''지옥''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의 줄거리를 따르는데, 여기에는 구엘프와 기벨린의 전투가 포함되어 있다.
북이탈리아에서는 호엔슈타우펜 왕가가 적극적으로 이탈리아 정책을 추진했기 때문에, 이를 지지하는 도시가 기벨린, 이에 저항하여 교황의 지지를 구한 롬바르디아 동맹 등의 도시가 구엘프라고 불렸다. 일반적으로 귀족은 황제파가 많았고, 도시 시민은 교황파가 많았다고 하지만, 단순히 대립 세력이 황제파가 되었기 때문에 교황파가 되었다는 경우도 많았다.
구엘프와 기벨린의 싸움은, 1250년에 프리드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가 사망하고, 1268년에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마지막 왕 콘라딘이 교황의 뜻을 받은 앙주 백작 샤를에 의해 처형되었기 때문에 구엘프의 승리로 일단 종결되었지만, 곧 샤를에 대항하는 자들이 기벨린이라고 불리게 되었고, 이후 프랑스, 나폴리, 교황 계열을 구엘프, 독일, 스페인 계열이 기벨린이 되었지만, 실상은 단순한 도시 간, 도시 내 파벌 싸움이었다.
15세기의 이탈리아 전쟁 시기에는 프랑스 왕을 지지한 것이 구엘프, 스페인 왕을 지지한 것이 기벨린이라고 불렸지만, 16세기에 신성 로마 황제 겸 스페인 왕 카를 5세 (신성 로마 황제)가 이탈리아 지배에 성공하고, 이러한 호칭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6. 현대의 구엘프 파트
2015년 3월 25일, "구엘프 파트"(Parte Guelfa)는 가톨릭 교회와 피렌체 가톨릭 대교구를 섬기기 위해 기독교 단체이자 대교구 형제단으로 재건되었으며, 콘술 루치아노 아르투시의 감독하에 대장 안드레아 클라우디오 갈루초가 이끌었다.[1] 피렌체 시장은 부활한 구엘프 파트의 본부를 도시의 역사적인 구엘프 파트 궁전에 설립했다.[1]
참조
[1]
서적
Guelfi e Ghibellini
http://www.treccani.[...]
2005
[2]
간행물
[3]
서적
Dictionary of Battles and Sieges: A–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07
[4]
서적
The Byzantine Hellene: The Life of Emperor Theodore Laskaris and Byzantium in the Thir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Routledge Encyclopedias of the Middle Ages
Routledge
2004
[6]
서적
A History of Germany, from Its Invasion by Marius Down to the Year 1867: On the Plan of Mrs. Markham's Histories. For the Use of Young Persons
J. Murray
1872
[7]
간행물
Guelphs and Ghibellines
[8]
서적
The Story of Civilization
https://babel.hathit[...]
Simon & Schuster
[9]
서적
Legnano e la battaglia
Edizioni Landoni
[10]
서적
Legnano e la battaglia
Edizioni Landoni
[11]
웹사이트
Montaperti
https://www.treccani[...]
2023-08-30
[12]
웹사이트
Guelfi e Ghibellini
https://www.treccani[...]
2023-08-30
[13]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 V: c. 1198 – c. 13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La liguria e la sua anima
Sabatelli
[15]
서적
Art & Architecture: Tuscany
H.F. Ullmann Publishing
2013
[16]
웹사이트
Guelf and Ghibelline European History
https://www.britanni[...]
[17]
서적
Emperor Charles V, Impresario of War: Campaign Strategy, International Finance, and Domestic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8]
웹사이트
Louis IV Holy Roman emperor
https://www.britanni[...]
2023-10-07
[19]
문서
A History of Milan under the Sforza
Methuen & Co.
[20]
웹사이트
Storia di Milano ::: dal 1426 al 1450
http://www.storiadim[...]
Storiadimilano
2009-01-23
[21]
웹사이트
Statuto – Parte Guelfa – Ordo Partis Guelfae
https://www.partegue[...]
2015-05-16
[22]
서적
The Complete Book of Heraldry
[23]
문서
The Lombard Communes
[24]
인용
[25]
문서
Parerga and Paralipomena
[26]
인용
[27]
인용
[28]
문서
로미오와 줄리엣의 전설도 구엘프-기벨린의 대결 국면과 관련이 없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