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노동조합연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노동조합연맹(IFTU)은 1913년 설립된 국제 노동 단체로, 1903년 결성된 국제서기국을 계승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해산되었다가 1919년 암스테르담에서 재건되었으며, 사회민주주의적 성향을 띠었다.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1920년대에는 최대 2,400만 명의 회원을 보유했으나, 독일의 초인플레이션과 파시즘의 부상으로 인해 쇠퇴했다. 1930년대에는 나치 정권의 등장으로 본부를 파리로 이전해야 했으며, 1937년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산된 노동조합 - 국제자유노동조합총연맹
국제자유노동조합총연맹은 1949년 세계노동조합연맹에서 분리되어 창립된 국제 노동조합 조직으로, 냉전 시대 이념 차이로 내부 분쟁을 겪었지만 개발도상국에서 세력을 확장하며 노동자 권리 옹호, 강제 노동 및 아동 노동 폐지, 직장 내 차별 철폐 등을 목표로 활동하다 2006년 세계 노동 연맹과 합병하여 국제 노동조합 연합이 되었다. - 해산된 노동조합 -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는 일제강점기 말부터 해방 직후까지 존재한 좌익 계열 노동 단체로, 약칭은 전평이며 미군정 하에서 남한 노동 운동을 주도했으나 정치적 노선 차이와 탄압으로 해체되었다. - 1919년 설립 -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 운동 직후 독립운동 세력의 통합을 목표로 상하이에서 수립되어 일본 제국에 맞서 무장 투쟁과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해방 후 정치적 난관을 겪으며 정통성과 역할에 대한 논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1919년 설립 - 관동군
관동군은 일본 제국이 만주 지역 침략과 지배를 위해 설치한 군대로,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만주국을 세우는 등 중국 침략의 선봉 역할을 했으며, 731 부대를 운영하며 전쟁 범죄를 저질렀고, 1945년 소련의 만주 침공으로 패망했다. - 국제 기구 - 아시아 협력 대화
아시아 협력 대화는 2002년 아시아 국가 간 상호 의존성 증진 및 협력 강화를 목표로 태국 총리의 제안으로 설립된 정부 간 협의체로, 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지향하며 35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국제 기구 - 국제기구
국제기구는 국가들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설립한 연합으로, 정부간기구(IGO)와 국제비정부기구(INGO)로 나뉘며, 경제적 이익, 정치적 영향력 확대, 안보 강화 등을 위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국제노동조합연맹 | |
---|---|
국제노동조합연맹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국제노동조합연맹 |
다른 이름 | 암스테르담 국제 |
설립 | 1919년 7월 |
본부 | 여러 도시 |
주요 인물 | W. A. 애플턴 월터 시트린 |
이전 기관 | 국제노동조합센터 사무국 |
해산 | 1945년 |
합병 대상 | 세계노동조합연맹 |
각주 | |
각주 | 1 |
2. 역사
1903년 더블린에서 설립된 노동조합 전국센터의 한 조직인 국제서기국이 1913년 국제노동조합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Trade Unions'')으로 개칭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해산되었다가, 1919년 7월 암스테르담 국제노조대회에서 규약을 새롭게 하여 재건되었다. "암스테르담 인터내셔널"이라는 별칭은 개최 장소였던 암스테르담에서 유래했다.[1]
국제노동조합연맹은 국제업종별서기국(ITS)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유럽 각국의 사민당 계열 간부들이 지도부를 장악하고 있었다.
2. 1. 설립 배경 (1903-1919)
1903년 더블린에서 설립된 노동조합 전국센터의 한 조직인 국제서기국이 1913년 국제노동조합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Trade Unions'')으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일시 해산되었고, 1919년 7월 암스테르담 국제노조대회에서 규약을 새롭게 하여 재건되었다. "암스테르담 인터내셔널"이라는 별칭은 개최 장소였던 암스테르담에서 유래했다.[1]국제노동조합연맹은 ITS(국제업종별서기국)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유럽 각국의 사민당 계열 간부들이 지도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2. 1. 1. 암스테르담 창립 대회 (1919)

1919년 7월 암스테르담 콘체르트헤보우에서 국제노동조합연맹(IFTU) 창립 대회가 열렸다. 미국, 벨기에, 덴마크, 독일,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체코슬로바키아 등 14개국 노동 조합 대표들이 참가하여 총 1,770만 명의 조합원을 대표했다.[3][4][5]
미국노동총연맹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유럽 대표단이었다. 샘 곰퍼스는 범미노동총연맹의 위임을 받고 참가했으며, 이탈리아 대표들은 여권 문제로 불참했다.[1]
재건된 IFTU에서는 국가별로 단 하나의 전국 중앙 단체만 인정되었으나, 창립 대회에서는 예외적으로 영국 대표단은 TUC과 GFTU 대표 모두, 독일과 네덜란드에서는 사회민주당(GGWD와 NVV)과 신디칼리스트(VDGW와 NAS) 노동 조합 모두 참가했다.[6]
IFTU 회장직을 놓고 영국의 W. A. 애플턴과 네덜란드의 얀 오우더헤스트가 경쟁하여 애플턴이 31표를 얻어 18표를 얻은 오우더헤스트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애플턴은 샘 곰퍼스의 지명을, 오우더헤스트는 아르비드 토르베르그의 지명을 받았다. 제1부회장 선거에서는 독일의 칼 레기엔이 프랑스의 레옹 주오에게 패배했는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국의 많은 노동자들이 전쟁 전 국제 노동 운동을 지배했던 독일인들을 의심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될 수 있다. 레기엔의 패배 후 독일과 오스트리아 대표단은 제2부회장 후보 지명을 보이콧했고, 벨기에의 코르넬 머튼스가 그 자리에 당선되었다. 얀 오우더헤스트와 동료 네덜란드인 에도 핌멘은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다.[7]
2. 2. 정치적 갈등과 초기 활동 (1919-1920년대)
국제노동조합연맹(IFTU)은 창립 초기부터 정치적 성향을 둘러싼 갈등을 겪었다. 전쟁 이전 IFTU에는 사회주의적 노동조합과 비정치적 노동조합이 모두 존재했지만, 재건된 IFTU는 사회민주주의적 성향을 띠게 되었다. 이는 당시 유럽 대부분의 국가에서 공산주의에 대한 반대가 강했기 때문에 중요한 문제였다. 암스테르담 의회에서는 생산수단의 사회화를 옹호하는 결의안이 채택되었는데, 이는 미국노동총연맹(AFL)의 새뮤얼 곰퍼스의 반대에 부딪혀 결국 AFL은 IFTU에 가입하지 않았다.[8]IFTU는 초기에는 주로 유럽 국가들로 구성되었으며, 비유럽 국가 중에는 캐나다, 아르헨티나, 페루, 팔레스타인(히스타드루트)만이 가입했다. 히스타드루트는 1923년에 가입했지만, 대부분의 비유럽 국가들은 조직 내에서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9] 특히 영국노동총연맹(TUC)은 IFTU의 활동을 인도 및 기타 영국 식민지로 확장하는 데 소극적이었다.[10]
IFTU의 사회주의적 성향은 회장인 윌리엄 애플턴이 비정치적 진영 출신이고 곰퍼스의 동맹이었다는 점에서 복잡했다. 게다가 IFTU는 영국노동총연맹(TUC)과 일반노동조합연맹(GFTU)의 통합을 요구했고, 그 결과 TUC가 IFTU의 유일한 영국 대표가 되면서 애플턴은 회장직에서 사임해야 했다. 후임으로는 J. H. 토머스(J. H. Thomas)가 선출되었다.[1]
2. 2. 1. 런던 및 로마 회의 (1920-1922)
1920년 런던에서 국제노동조합연맹(IFTU) 총회가 열렸다.[1]1922년에는 로마에서 두 번째 IFTU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에서 그리스, 불가리아,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헝가리, 라트비아가 IFTU의 새 회원으로 가입했다. 이러한 확장을 통해 IFTU 회원 수는 2,400만 명으로 최고점에 달했다. 그러나 노르웨이 LO는 소비에트 연방에 대한 IFTU의 정책에 항의하며 IFTU에서 탈퇴했다. 로마 회의 직후,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정권은 이탈리아 노조를 탄압했다.[11]
로마 총회에서는 테오도르 라이파르트를 부회장으로 선출했으며, 다음 IFTU 총회 개최지로 빈을 선택했다. 당시 분석가들은 이러한 두 가지 결정을 IFTU 내 독일인들의 부분적인 재활로 평가했다.[1]
2. 2. 2. 헤이그 평화 회의 (1922)
1922년 12월 10일부터 12월 15일까지, 국제노동조합연맹(IFTU)은 헤이그에서 내부 평화 회의를 조직했다. 이 회의는 루르 지역을 둘러싼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열렸으며, IFTU의 영향력이 정점에 달했던 시기를 보여준다. 회의 개최 제안은 급진적이고 반전주의적 입장을 대표했던 에도 피멘(Edo Fimmen)으로부터 나왔다. 700명의 대표가 회의에 참석했으며, 다른 IFTU 행사와 달리 소비에트 연방의 대표들도 초청되었다. 피멘은 개회사에서 새로운 세계 대전이 발생하면 전 세계적인 총파업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1]그러나 한 달 후 프랑스군이 루르 지역을 점령했을 때, 약속했던 총파업은 발생하지 않았다. 독일의 ADGB는 총파업을 시작하는 데 반대했다. IFTU는 국제연맹을 통한 평화와 중재에 대한 일반적인 호소를 넘어서지 못했다. 피멘은 이러한 발전에 대해 점점 환멸을 느꼈고, 1923년 11월 IFTU 사무총장직에서 사퇴했다.[12]
헤이그 평화 회의에서 요하네스 사센바흐(Johannes Sassenbach)가 IFTU의 세 번째 사무총장으로, 존 W. 브라운이 보좌관으로 임명되었다. 영국노동조합총연맹(TUC)의 항의 후, 브라운은 1923년 8월 사무총장으로 승진하여 IFTU 사무총장의 수가 네 명이 되었다.[1]
2. 2. 3. 독일 위기와 IFTU의 쇠퇴 (1923-1920년대 후반)
1923년까지 국제노동조합연맹(IFTU)의 영향력은 이미 정점을 지났다. 독일에서 초인플레이션이 급증하면서 IFTU의 경제는 타격을 입었다. 독일노동조합연맹(ADGB)은 150만 명, 영국노동조합회의(TUC)는 230만 명, 프랑스노동총연맹(CGT)은 공산주의자들이 분열하여 별도의 ''Confédération générale du travail unitaire''(CGTU, 통일노동총연맹)을 결성하면서 75만 명의 회원을 잃었다. 그리스, 페루, 아르헨티나의 노동조합 중심부는 IFTU에서 탈퇴했다. IFTU의 경제 상황은 심각했고, 사무국은 감원해야 했다. 연맹은 TUC의 재정적 기여 덕분에 간신히 살아남았다.[13]1924년 6월 2일부터 6일까지 비엔나에서 IFTU 의회가 열렸다. 당시 유럽의 상황은 다소 안정되었다. 비엔나 의회는 TUC의 A. A. 퍼셀을 새로운 IFTU 회장으로 선출했다.[14]
1926년 IFTU는 재정 위기에 처했다. 9개의 국가 가맹 단체가 IFTU에 대한 재정적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다. 암스테르담 사무실은 담보로 제공되었고, 독일의 IFTU 인쇄소는 매각해야 했다. TUC는 IFTU 지출 감사를 요구하며 IFTU에 대한 기여금을 동결하기로 결정했다.[15]
1927년 파리에서 IFTU 의회가 열렸다. 이 의회에서 영국노동조합총연맹(TUC)은 대륙 노조들과 대립했다. TUC는 본부를 암스테르담에서 이전하고, 퍼셀의 임기를 연장하며, 동료 영국인 브라운을 유일한 사무총장으로 선출할 것을 요구했다. 퍼셀은 의회 연설에서 소비에트 노동조합 운동을 IFTU에 포함시킬 것을 촉구했지만, 대륙 노조 지도자들의 반대로 거부되었다.[16]
의회는 TUC와 유럽 대륙 노조 간의 음모 혐의로 이어졌다. 브라운과 오이데게스트는 사임하기로 결정했다. 퍼셀은 단 한 표 차이로 의장직에 재선되었지만, 요하네스 사센바흐는 사무총장직에 재선되었다.[17] 덴마크의 칼 매드센과 체코슬로바키아의 루돌프 타이어레가 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18]
TUC는 소비에트 노동조합과의 관계를 끊으면서 1927년 후반 IFTU와 화해했다. 그러나 대륙 노조들은 퍼셀에 대한 신뢰를 전혀 갖지 못했다. 결국 퍼셀은 스스로 사임했고, 1928년 TUC 사무총장 월터 시트린이 그를 대체했다.[1][19]
1927년 IFTU는 약 1,35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회원 감소는 주로 독일 노동조합 운동의 회원 감소 때문이었다. 그러나 IFTU는 리투아니아, 메멜 지역, 아르헨티나(CORA), 남아프리카공화국(산업 및 상업 노동자 연합(Industrial and Commercial Workers Union))에서 새로운 가맹 조직을 유치했다.[1]
1928년 덴마크 부의장 매드센이 사임하자, 동료 덴마크인 한스 야콥센(Hans Jacobsen)이 그를 대체했다.[1]
2. 3. 유럽 외 지역으로의 확장 (1928-1934)
1928년부터 1929년까지, 국제노동조합연맹(IFTU)은 중동, 아시아, 호주로 연락망을 확대했다. 시트린은 그의 전임자 퍼셀처럼 IFTU의 지리적 한계를 조직의 주요 약점으로 인식했다.[20] 1928년, IFTU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회의를 조직하여 단명했던 이베로아메리카 노동자 연맹(''Confederación Obrera Ibero Americana'')을 결성했다. 이 회의에는 아르헨티나 노동자 연맹(''Confederación Obrera Argentina'')과 베네수엘라, 우루과이, 쿠바, 스페인의 친정부 노동조합원들이 참가했다.[21]1928년 남서아프리카 노동자 연맹(Arbeiterverband für Südwestafrika)이 IFTU에 가입했다. 초기 IFTU는 아프리카인 회원 자격 금지를 철회할 것을 요구했지만, 나중에 요구를 철회했다. 아르헨티나 노동자 연맹(Confederación Obrera de Argentina)이 IFTU에 재가입했지만, 얼마 후 다시 연락이 끊겼다.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Persatoean Vabonden Pegawai Negeri가 IFTU에 가입했다.
1934년 아르헨티나 일반노동조합(General Confederation of Labour (Argentina)|아르헨티나 CGT)과 인도의 전국노동조합연맹(National Trades Union Federation)이 IFTU 회원이 되었다.[22]
2. 4. 국제 금융 위기와 파시즘의 부상 (1930년대)
1929년 대공황과 파시즘의 부상으로 국제노동조합연맹(IFTU)과 노동자 사회주의 인터내셔널(LSI) 간의 유대가 강화되었다. 사실상 정치적 상황은 IFTU를 과격화시켰다. 1931년 4월 마드리드에서 열린 IFTU 총회는 주당 44시간 근무 주장을 주당 40시간 근무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국제연맹의 1932년 군축 회의를 앞두고 IFTU 회장 월터 시트린과 LSI 회장 에밀 뱅데르벨데(Emile Vandervelde)는 전쟁과 파시즘에 반대하는 호소문을 작성했고, 이 호소문은 1400만 명의 서명을 받았다.[26]나치당(NSDAP)이 독일에서 집권하자 IFTU 본부는 베를린에서 이전해야 했다. 파리가 IFTU 사무국의 새로운 장소로 선정되었고, 오르세 가(Avenue d'Orsay)에 있는 CGT 사무실에 설치되었다. 본부 이전 직후 독일 노동조합은 금지되었다. ADGB의 사라짐은 IFTU에 큰 공백을 만들었다.[27] 독일과 오스트리아 노동조합의 기여가 중단되면서 IFTU의 재정 상황은 악화되었다.[28]
1933년 브뤼셀에서 열린 IFTU 총회에서는 나치즘의 확산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논의했다. 총회는 기존의 독일 상품 불매 운동을 전면적인 봉쇄로 전환하기로 결정했지만, 그 결정은 결코 실행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IFTU는 나치즘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대해 분열되었고, 망명한 독일 노동조합 지도자들을 크게 실망시켰다.[29]
3. 국제업종별서기국(ITS)
1932년 기준, 국제노동조합연맹(IFTU) 산하에는 다음과 같은 국제사무국(ITS)이 있었다.[31]
명칭 |
---|
국제 제본 노동 조합(International Bookbinders' Union) |
국제 신발 및 가죽 노동자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Boot and Shoe Operatives and Leather Workers) |
국제 건설 노동자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Building Workers) |
국제 의류 노동자 연맹(International Clothing Workers' Federation) |
국제 상업, 사무 및 기술직원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Commercial, Clerical and Technical Employees) |
세계 다이아몬드 노동자 연맹(Universal Alliance of Diamond Workers) |
국제 기관사 및 화부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Enginemen and Firemen) |
국제 식품 및 음료 노동자 연맹(International Union of Food and Drink Workers) |
국제 일반 공장 노동자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General Factory Workers) |
국제 유리 노동자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Glassworkers) |
국제 미용사 연맹(International Union of Hairdressers) |
국제 모자 제작자 연맹(International Union of Hatters) |
국제 호텔, 레스토랑 및 바 노동자 연맹(International Union of Hotel, Restaurant and Bar Workers) |
국제 농업 노동자 연맹(International Landworkers' Federation) |
국제 석판 인쇄공 및 관련 직종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thographers, Lithographic Printers and Kindred Trades) |
국제 금속 노동자 연맹(International Metalworkers' Federation) |
국제 광부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Miners) |
국제 화가 및 관련 직종 사무국(International Secretariat of Painters and Allied Trades) |
우정, 전신 및 전화 국제 연맹(Postal, Telegraph and Telephone International) |
국제 도자기 노동자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Pottery Workers) |
국제 인쇄 노동자 사무국(International Printers' Secretariat) |
국제 공공 서비스 종사자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Employees in Public Services) |
국제 석공 사무국(International Secretariat of Stone Workers) |
교사 국제 산업별 연맹(Teachers' International Trade Secretariat) |
국제 섬유 노동자 연합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Textile Workers' Associations) |
국제 담배 노동자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Tobacco Workers) |
국제 운수 노동자 연맹(International Transport Workers' Federation) |
국제 목재 노동자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Woodworkers) |
국제노동조합연맹은 이들 국제업종별서기국(ITS)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유럽 각국의 사민당 계열 간부들이 지도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4. 발행물
국제노동조합연맹(IFTU)은 정기 간행물인 "국제노동조합운동(The International Trade Union Movement)"을 발행했다.[32]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간행물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rade Unions - Development and Aims
http://library.fes.d[...]
[6]
논문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논문
[31]
서적
Labour Year Book
Labour Publications Department
1932-01-01
[32]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