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오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위 오씨는 오기(吳起)의 후손인 오첨(吳瞻)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오첨은 신라로 귀화하여 함양에 정착했으며, 고려 시대에 오숙귀가 비안군에 봉해졌다. 조선 시대에는 오섬, 오정빈, 오승현 등이 문과에 급제했다. 본관은 경상북도 군위이며, 제주도 서귀포시와 제주시 일대에 집성촌이 있다. 2015년에는 약 2만 7천 명의 인구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위 오씨 - 오영훈
오영훈은 1968년생으로 제주대학교 총학생회장, 국회의원을 거쳐 현재 제주특별자치도지사로 재임 중이며, 제주 4·3 사건의 영향으로 학생 운동에 참여하고 국회의원 재임 중 제주 4·3 특별법 개정에 기여했으며, 2022년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군위 오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유형 | 씨족 |
국가 | 한국 |
민족 | 한국 |
지역 | 경상북도 군위군 |
시조 | 오숙귀 |
저명한 인물 | 오영훈 |
개요 | |
관향 | 대구광역시 군위군 |
시조 | 오숙귀(吳淑貴) |
집성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주요 인물 | 오섬 오정빈 오승현 오충남 오영훈 |
2015년 인구 | 26,949명 |
2. 역사
태백왕의 25세손인 초나라 재상 오기(吳起)의 45세손인 '''오첨'''(吳瞻)은 500년(지증왕 1)에 중국에서 신라로 입국했다가 다시 중국으로 돌아갔다. 오첨은 왕명으로 김종지(金宗之)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여 함양에서 2남 1녀를 두고 22년을 살다가 521년 다시 중국으로 들어갔는데, 둘째 아들 오응(吳膺)은 나이가 어려 중국으로 귀환하지 못하고 그대로 신라에 남아 함양에서 살게 되었다.
오첨의 24세손인 오현좌(吳賢佐)의 둘째 아들 '''오숙귀'''(吳淑貴)가 고려 때 비안군(比安君)에 봉해졌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로는 오섬(吳暹), 오정빈(吳廷賓), 오승현(吳承鉉)이 있다.
2. 1. 시조
태백왕의 25세손인 초나라 재상 오기(吳起)의 45세손인 '''오첨'''(吳瞻)은 500년(지증왕 1)에 중국에서 신라로 입국했다가 다시 중국으로 돌아갔다. 오첨은 왕명으로 김종지(金宗之)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여 함양에서 2남 1녀를 두고 22년을 살다가 521년 다시 중국으로 들어갔는데, 둘째 아들 오응(吳膺)은 나이가 어려 중국으로 귀환하지 못하고 그대로 신라에 남아 함양에서 살게 되었다.오첨의 24세손인 오현좌(吳賢佐)의 둘째 아들 '''오숙귀'''(吳淑貴)가 고려 때 비안군(比安君)에 봉해졌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로는 오섬(吳暹), 오정빈(吳廷賓), 오승현(吳承鉉)이 있다.
2. 2. 고려 시대
태백왕의 25세손인 초나라 재상 오기(吳起)의 45세손인 '''오첨'''(吳瞻)은 500년(지증왕 1)에 중국에서 신라로 입국했다가 다시 중국으로 돌아갔다. 오첨(吳瞻)은 왕명으로 김종지(金宗之)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여 함양에서 2남 1녀를 두고 22년을 살다가 521년 다시 중국으로 들어갔는데 둘째 아들 오응(吳膺)은 나이가 어려 중국으로 귀환하지 못하고 그대로 신라에 남아 함양에서 살게 되었다.오첨의 24세손인 오현좌(吳賢佐)의 둘째 아들 '''오숙귀'''(吳淑貴)가 고려 때 비안군(比安君)에 봉해졌다.
2. 3. 조선 시대
태백왕의 25세손인 초나라 재상 오기의 45세손인 '''오첨'''(吳瞻)은 500년(지증왕 1)에 중국에서 신라로 입국했다가 다시 중국으로 돌아갔다. 오첨(吳瞻)은 왕명으로 김종지(金宗之)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여 함양에서 2남 1녀를 두고 22년을 살다가 521년 다시 중국으로 들어갔는데 둘째 아들 오응(吳膺)은 나이가 어려 중국으로 귀환하지 못하고 그대로 신라에 남아 함양에서 살게 되었다.오첨의 24세손인 오현좌(吳賢佐)의 둘째 아들 '''오숙귀'''(吳淑貴)가 고려 때 비안군(比安君)에 봉해졌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로는 오섬, 오정빈, 오승현 등이 있다.
3. 본관
군위(軍威)는 경상북도 중앙부에 위치한 지명이다. 본래 신라의 노동멱현(奴同覓縣)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적라현(赤羅縣)으로 개칭하여 효령현(孝靈縣)‧부림현(富林縣)과 함께 숭선군(崇善郡)의 관할이 되었다.[5] 1018년(현종 9)에는 군위현이 상주목(尙州牧)에 속하였으며, 1143년(인종 21) 일선군(一善郡) 소속으로 개편되었다.[5]
《세종실록지리지》에 경상도 상주목 군위현의 토성(土姓)으로 박(朴)·나(羅)·방(方)·오(吳)·서(徐) 5성이 기록되어 있다.[5]
1896년(고종 33) 군위군으로 개편되었으며, 1914년 의흥군과 의성군의 일부가 군위군으로 병합되었다.[5]
4. 인물
오섬(吳暹, 1585년 ~ ?)은 1615년(광해군 7) 식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24년(인조 2)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척후장으로서 이괄의 난을 진압하는 데 전공을 세웠다. 선산부사와 장흥부사를 역임하였고, 춘추관수찬관‧상의원정‧강원도감사를 역임하였다.
오정빈(吳廷賓, 1663년 ~ 1710년)은 1687년(숙종 13)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707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승의랑에 오르고 예조좌랑과 춘추관기사관을 겸임하였다.
오승현(吳承鉉, 1807년 ~ 1864년)은 1854년(철종 5)에 별시 문과에 급제하고, 1857년(철종 8) 사헌부장령, 5월 헌납, 9월에 사간원정언, 1858년(철종 9) 병조좌랑을 지냈으며, 1864년(고종 1) 1월 보안찰방을 지냈다. 1864년(고종 1) 춘추관기사관으로 재직 중 별세하였다.
오충남(1949년 ~ )은 제5·6대 제주도의회 의원 및 제6대 제주도의회 의장을 역임하였다.
오관석(1962년 ~ )은 前 서울고등법원 판사이다.
오영훈(1969년 ~ )은 제20·21대 국회의원이다.
4. 1. 조선
오섬(吳暹, 1585년 ~ ?)은 1615년(광해군 7) 식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24년(인조 2)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척후장으로서 이괄의 난을 진압하는 데 전공을 세웠다. 선산부사와 장흥부사를 역임하였고, 춘추관수찬관‧상의원정‧강원도감사를 역임하였다.오정빈(吳廷賓, 1663년 ~ 1710년)은 1687년(숙종 13)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707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승의랑에 오르고 예조좌랑과 춘추관기사관을 겸임하였다.
오승현(吳承鉉, 1807년 ~ 1864년)은 1854년(철종 5)에 별시 문과에 급제하고, 1857년(철종 8) 사헌부장령, 5월 헌납, 9월에 사간원정언, 1858년(철종 9) 병조좌랑을 지냈으며, 1864년(고종 1) 1월 보안찰방을 지냈다. 1864년(고종 1) 춘추관기사관으로 재직 중 별세하였다.
4. 2. 현대
오충남(1949년 ~ )은 제5·6대 제주도의회 의원 및 제6대 제주도의회 의장을 역임하였다.오관석(1962년 ~ )은 前 서울고등법원 판사이다.
오영훈(1969년 ~ )은 제20·21대 국회의원이다.
5. 문화재
- 오정빈묘역
- 의사오흥태지려
6. 집성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와 제주시에 군위 오씨 집성촌이 있다.[4] 서귀포시 안덕면 창천리, 성산읍 난산리, 성산읍 신풍리, 제주시 구좌읍 세화리, 구좌읍 하도리, 구좌읍 함동리 등이 그 예이다.[4]
7. 인구
군위 오씨는 1985년에는 5,069가구, 21,724명이었다. 2000년에는 7,025가구, 22,408명으로 조사되었다. 2015년에는 26,949명으로 조사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군위 오씨
https://terms.naver.[...]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3]
웹사이트
KOSIS - 성씨ㆍ본관별 인구 - 시군구 2015
https://kosis.kr/sta[...]
2023-08-18
[4]
웹사이트
오씨(吳氏) 본관(本貫) 군위(軍威)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18
[5]
간행물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상주목 군위현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