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증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증왕은 신라의 제22대 왕으로, 김씨이며 이름은 지철로이다. 500년에 즉위하여 514년까지 재위하며 국호를 신라로 통일하고, 순장을 금지하는 등 국가 체제를 정비했다. 또한 우산국을 복속시키고 동시전을 설치하는 등 영토 확장과 경제 발전을 이끌었다. 지증왕은 재위 15년 만에 사망했으며, 신라의 시호는 그로부터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증왕 - 천마총
천마총은 경상북도 경주에 있는 신라 시대 돌무지 덧널무덤으로, 천마도가 발견되어 이름 붙여졌으며 금관을 비롯한 많은 유물이 출토되어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 일부는 공개되고 있고, 천마도 속 동물이 기린이라는 주장도 있다. - 지증왕 - 포항 냉수리 신라비
포항 냉수리 신라비는 6세기 신라 시대에 제작된 비석으로, 촌락 간 재산 분쟁 조정과 율령 반포 내용을 담아 당시 신라의 정치, 사회, 종교적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514년 사망 - 앨레
앨레는 5세기 후반 브리튼 섬에 상륙하여 서섹스 왕국을 건설하고 험버강 남쪽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행사한 앵글로색슨족의 전쟁 지도자이며 브레트왈다로 여겨지기도 한다. - 514년 사망 - 교황 심마코
교황 심마코는 498년부터 514년까지 재임한 제51대 교황으로, 교황권 분쟁, 아리우스주의 반달족에 의한 가톨릭 주교 지원, 포로 구출 활동, 교황 수위권 강화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지증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지증왕 (智證王) |
| 휘 | 김지대로 (金智大路) 또는 김지도로 (金智度路) |
| 성 | 김 (金) |
| 즉위 | 500년 |
| 사망 | 514년 |
| 매장지 | 천마총 (추정) |
| 신상 정보 | |
| 출생 | 437년 |
| 사망 장소 | 신라 |
| 아버지 | 습보 갈문왕 (習寶 葛文王) |
| 어머니 | 김씨 부인 |
| 왕위 계승 정보 | |
| 왕국 | 신라 |
| 재위 기간 | 500년 ~ 514년 |
| 즉위 | 500년 |
| 이전 통치자 | 소지 마립간 |
| 다음 통치자 | 법흥왕 |
| 가족 관계 | |
| 배우자 | 연제부인 (延帝夫人) |
| 자녀 | 법흥왕 입종 갈문왕 (立宗 葛文王) 어사추 여랑왕 (於史鄒 餘郞王) 김진종 (?) |
| 형제자매 | 김아진종 (金阿珍宗) 누이 |
| 기타 정보 | |
| 봉호 | 지증 마립간 (智證麻立干) |
| 시대 | 신라 |
2. 생애
502년 3월, 소지 마립간 사후 남녀 5명을 순장하던 순장 풍습을 금지했다.[5] 503년 10월에는 신하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국호를 신라로, 군주 칭호를 왕으로 통일했다.[5]
506년 주·군·현 제도를 정비하고,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 이사부를 등용해 실직주 지방 군주[6] 관직을 설치했다. 509년 금성에 동시장을 열고, 시장 관리 관청인 동시전을 설치했다. 514년 1월 경상남도 함안군[7] 아시촌에 소경을 설치, 육부 및 남쪽 지방민 이주를 장려했다.
514년 7월 사망하여 지증(智證)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신라 최초의 시호이다.[8] 『삼국유사』에는 연제부인이 대변 크기로 왕비에 간택되었다는 기록이 있다.[9]
2. 1. 젊은 시절
지증왕은 내물 마립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갈문왕 김복호, 아버지는 습보 갈문왕, 어머니는 조생부인 김씨이다. 복호의 형은 눌지 마립간으로, 지증왕은 소지 마립간의 재종 아우이다.[12]부인은 연제부인 박씨이며, 소지 마립간이 아들 없이 사망하자 64세에 왕위를 이었다.[12]
영일냉수리신라비에 따르면 503년에 사탁부 소속 지도로 갈문왕(至都盧葛文王)으로 기록되었다. 왕으로 즉위하기 전에 갈문왕에 제수된 것이다. 소지 마립간은 서자 산종만이 있어 사위인 원종을 염두에 두고 자신의 사촌들을 제치고, 6촌이자 사돈인 지증왕을 차기 왕위 계승자로 내정했다.
2. 2. 치세
500년 음력 11월에 지증왕이 즉위했다고 한다. 그러나 삼국유사는 남제 영원 3년(501년)에 왕이 즉위했다는 기록을 함께 전하고 있다.[14] 지증왕은 즉위 초부터 각종 제도와 국가 내부 체제 개편을 추진하였다. 502년 순장을 금하고,[15] 신궁에서 직접 제사를 지냈다. 음력 3월에 주주(州主)와 군주(郡主)에게 각각 명하여 농사를 권장케 하였고, 처음으로 소를 부려 논밭갈이를 하였다.[15] 503년에는 국호를 신로(新盧)·사라(斯羅)·서나(徐那)·서야(徐耶)·서라(徐羅)·서벌(徐伐) 등에서 “신라”(新羅)로 통일하였다.[16] 504년 음력 4월 상복법을 제정하고, 음력 9월에 파리, 미실, 진덕, 골화 등 12성을 쌓는 등 고대 국가로서의 기반을 다졌다.[17]509년에는 시전을 관리 감독하는 관청인 동시전(東市典)을 설치하여[18] 무역과 상인들의 거래를 단속, 통제하였다.
또한 처음으로 지방에 군주(軍主)를 두었다.[19] 512년 실직주(悉直州)의 군주이자 이찬 이사부로 하여금 우산국을 복속시켜 해마다 토산물을 공물로 바치게 하였다.[20]
506년에는 국내의 주·군·현 제도를 정비함과 동시에 실직주(현재의 강원특별자치도삼척시)를 설치하고, 지방 군주[6]의 관직을 두어 이사부를 등용했다. 이후 이사부를 하슬라(강원도 강릉시) 군주로 임명하고 우산국(울릉도)을 복속시켰다.
509년에는 왕도 금성에 동시장을 열게 하고, 전후하여 시장을 관리하는 시전(동시전)의 관직을 두었다. 514년 1월에는 아시촌(경상남도함안군[7])에 소경을 설치하여 육부 및 남쪽 지방에서 온 사람들의 이주를 장려하고, 소경의 충실을 도모했다.
재위 15년 만인 514년 7월에 사망하여, 지증(智證)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신라의 시호는 이 지증 마립간(지증왕) 대에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8]
한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기골이 장대하고 체구가 커서 배우자가 없었던 지증왕에게는 알맞은 배우자가 없었는데, 신하를 보내 신라 국내를 수소문하던 중 연제부인을 발견하여 배우자로 삼았다는 전설이 전한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지증 마립간의 부인인 연제부인은 대변의 크기로 왕비로 선택되었다고 한다.[9]
3. 가족 관계
| 관계 | 이름 |
|---|---|
| 조부 | 복호 갈문왕 |
| 외조부 | 눌지 마립간 |
| 외조모 | 아로부인 김씨 (실성 마립간의 딸) |
| 아버지 | 습보 갈문왕 |
| 어머니 | 조생부인 김씨 |
| 동생 | 진종 |
| 동생 | 소지왕의 왕후 |
| 왕비 | 연제부인 박씨 |
| 장남 | 법흥왕 |
| 차남 | 입종 갈문왕 |
| 삼남 | 김진종(?) |
| 장녀 | 어사추 |
| 손자 | 진흥왕 |
4. 전설
5. 무덤
왕릉은 문헌상 비정되는 곳은 없으나, 현대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천마총이 지증왕의 능으로 보고 있다.[22] 피장자의 키는 160cm 내외로 추정된다.[23]
이와 관련된 설화로는 신하들이 왕비가 될 여성을 찾으러 다니던 중 경주 남산의 연못에 큰 똥덩이가 있는 것을 보고, 그 큰 똥의 주인이 여성이라면 왕을 감당할 것이라 보고 수소문한 끝에 이찬 박등혼의 딸이라 하였다. 이에 신하들이 등혼의 딸을 간택하여 왕비로 들이니 그가 왕비인 연제부인이라는 것이다. 다만 《삼국사기》에는 이 설화가 소개되어 있지 않으며, "몸이 크고 담력이 뛰어났다"고만 밝히고 있다. 박노자 교수는 정통성이 약했던 지증왕이, 고대인의 성기 숭상 문화와 연관지어 위상을 높였다는 해석을 제기하고 있다.[21]
참조
[1]
뉴스
General Isabu of Silla Kingdom Incorporated Dokdo into Korean History
https://world.kbs.co[...]
2011-12-29
[2]
웹사이트
백55호 고분은 지증왕릉
https://www.joongang[...]
1973-09-19
[3]
웹사이트
"慶州(경주) 155號(호) 古墳(고분) 金冠(금관) 「榮華(영화)의 主人(주인)」은 누구"
https://newslibrary.[...]
1973-07-29
[4]
문서
智証麻立干の系譜について
[5]
문서
迎日冷水碑
[6]
문서
伐休尼師今
[7]
문서
阿尸村
[8]
문서
삼국유사
[9]
서적
한국문화심볼사전
平凡社
[10]
문서
마립간 또는 매금
[11]
서적
삼국사기
[12]
서적
삼국사기
[13]
서적
삼국사기
[14]
웹인용
지철로왕
https://terms.naver.[...]
2024-06-27
[15]
서적
삼국사기
[16]
서적
삼국사기
[17]
서적
삼국사기
[18]
서적
삼국사기
[19]
서적
삼국사기
[20]
서적
삼국사기
[21]
뉴스
고대는 남근석의 나라
https://h21.hani.co.[...]
한겨레21
2008-12-18
[22]
웹인용
"백55호 고분은 지증왕릉"
https://www.joongang[...]
1973-09-19
[23]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24-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