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촌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촌역은 파주시의 중심 지역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이다. 1906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역명은 지역 고유 지명인 '새말'이 일본인에 의해 잘못 인식되어 유래되었다. 2면 4선의 고가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파주시청 등 주요 관공서와 금촌시외버스정류장이 인접해 있으며, 다양한 버스 노선을 통해 교통 접근성이 높다. 경의·중앙선 급행 및 완행 열차가 정차하며, 이용객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주시의 전철역 - 문산역
문산역은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과거 경의선 남측 종착역이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단절의 상징이었으나, 현재는 수도권 전철역으로 운영되며 남북 교류의 중심 역할과 3면 6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문산역과 임진강역을 잇는 셔틀 전동열차가 운행 중이다. - 파주시의 전철역 - 도라산역
도라산역은 경의선 상의 역으로, 남북 철도 연결을 목표로 건설되었으며,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내에 위치해 셔틀 전동열차와 DMZ-TRAIN이 운행되고 주변 관광 코스와 연계되어 유동적으로 운영된다. - 경의선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경의선 - 문산역
문산역은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과거 경의선 남측 종착역이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단절의 상징이었으나, 현재는 수도권 전철역으로 운영되며 남북 교류의 중심 역할과 3면 6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문산역과 임진강역을 잇는 셔틀 전동열차가 운행 중이다. - 1906년 개업한 철도역 - 상동역 (밀양)
상동역은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에 위치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1906년 유천역으로 개업하여 2000년 역명이 변경되었고,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으며, 현재는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1906년 개업한 철도역 - 문산역
문산역은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과거 경의선 남측 종착역이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단절의 상징이었으나, 현재는 수도권 전철역으로 운영되며 남북 교류의 중심 역할과 3면 6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문산역과 임진강역을 잇는 셔틀 전동열차가 운행 중이다.
금촌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역 정보 | |
![]() | |
역명 | 금촌역 |
모국어 표기 | 금촌역 (금촌역) |
로마자 표기 | Geumchonnyeok |
역 번호 | K331 |
주소 | 경기도 파주시 새꽃로 193 (금촌동 329-355) |
좌표 | 37°45′57″N 126°46′26.1″E |
개업일 | 1906년 4월 3일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승강장 | 2면 4선 |
역 구조 | 고가역 |
역 등급 | 3급 |
노선 정보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이전 역 | 월롱역 문산역 |
다음 역 | 금릉역 운정역 |
승차 인원 (2019년) | 7,401명 |
승강 인원 (2019년) | 14,717명 |
경의선 정보 | |
영업 거리 | 서울 기점 35.6 km |
전 역 | 월롱역 |
전 역 간 거리 | 4.1 km |
후 역 | 금릉역 |
후 역 간 거리 | 2.1 km |
버스 노선 정보 | |
간선 버스 | 7101, 7700, 7701, 9709 |
일반 버스 | 9, 10, 11-2, 17, 38, 75, 75-1, 75-2, 75-3, 77, 77-1, 77-2, 90, 92, 92-1, 150, 567, 600, 799, 900 |
마을 버스 | 021, 022, 025, 030, 032, 033, 034, 034-1, 036, 062, 064, 064(쌍둥이), 064(재활용), 065, 065(봉고), 065(봉중), 065(봉중하교), 066, 068, 073, 078, 085 |
2. 역명 유래
본래 이 지역의 고유 지명은 ‘새말’이었는데, 경의선 철도 부설 당시 일본인이 ‘쇠말’로 잘못 알아들은 것에서 유래한다.[5]
3. 역사
4. 역 구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개업 당시에는 지상역이었으나, 역 주변이 저지대여서 수해에 취약하여 고가로 새로 지어졌다.[1] 출입구는 역 남동쪽의 1번 출구와 북서쪽의 2번 출구, 총 2곳이 있다.
4. 1. 승강장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고가역이다.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과거에는 지상역이었으나, 역 주변이 저지대여서 수해에 취약했기 때문에[1] 철도 시설 입체 교차 사업의 일환으로 고가역으로 개축되었다.
5. 역 주변
금촌역은 파주시의 중심 지역 역할을 하는 역으로, 역 남쪽에 시가지가 펼쳐져 있다. 역 인근에는 다양한 주요 시설이 밀집해 있다.
- 주요 시설:
- 파주시청
- 의정부지방법원 파주시법원
- 파주세관
- 의정부세무서 파주지서
- 파주경찰서 금촌지구대
- 금촌1동 행정복지센터
- 문산제일고등학교
- 금촌초등학교
- 금신초등학교
- 금촌시외버스정류장
- 금촌체육공원
- 메가박스 파주금촌점
역에서 직접 연결되지는 않지만, 버스나 택시를 이용하면 다음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 오두산 통일전망대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트레이닝 센터 (NFC)
5. 1. 교통
금촌역은 파주시의 주요 교통 거점 중 하나로, 다양한 버스 노선이 경유하여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파주시 소속 버스와 서울특별시 소속 광역버스가 운행되고 있다.버스 종류 | 노선 번호 |
---|---|
도시형 버스 | 9번·13번(금촌 방면만 정차)·15번(금촌 방면만 정차)·16번·17번·30-1번·60번·90번·92번·150번·333번·340번·600번·900번 |
좌석버스 | 773번 |
직행좌석버스 | 909번·8800번·9000번 |
시외직행버스 | 3000번·5000번·5500번·5600번·6000번 |
마을버스 | 011번·021번·022번·023번·030번·031번·032번·033번·034번·035번·036번·037번·061번·062번·063번·064번·065번·066번·067번(금촌 방면만 정차)·068번·071번·073번·077번·078번·079번·088번 |
버스 종류 | 노선 번호 |
---|---|
광역버스 | 9709번 |
6. 이용객 변동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4일간의 통계만 반영된 것이다.[2] 경의·중앙선의 최근 1일 평균 이용객 변동 추이는 다음과 같다.
노선 | 구분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경의·중앙선 | 승차 | 2,956 | 2,790 | 3,345 | 3,552 | 4,119 | 4,505 | 4,710 | 4,860 | 7,450 | 7,369 | 7,401 | 5,289 | 5,442 | 6,109 | 6,468 | [2] |
하차 | 2,840 | 2,641 | 3,178 | 3,382 | 3,986 | 4,386 | 4,609 | 4,820 | 7,268 | 7,307 | 7,316 | 5,261 | 5,449 | 6,060 | 6,363 | ||
승하차 | 5,796 | 5,431 | 6,523 | 6,934 | 8,105 | 8,891 | 9,319 | 9,680 | 14,718 | 14,676 | 14,717 | 10,550 | 10,891 | 12,169 | 12,831 |
7. 사진
8. 인접한 역
노선 | 등급 | 전역 | 금촌역 | 후역 |
---|---|---|---|---|
-- 경의·중앙선 | 완행 | 금릉 (K330) | 금촌 (K331) | 월롱 (K333) |
A급행 | 금릉 (K330) | 금촌 (K331) | 문산 (K335) | |
B급행 | 운정 (K329) | 금촌 (K331) | 문산 (K335) |
참조
[1]
뉴스
구멍뚫린 하늘…25일도 최고 120㎜ 더 내릴듯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3]
문서
도라산 기점 20.5 km
[4]
뉴스
구멍뚫린 하늘…25일도 최고 120mm 더 내릴듯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4-03-29
[5]
웹사이트
코레일 기차역 검색 상세정보 참고
[6]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971-37호
대한민국관보
[7]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993-63, 64호
대한민국관보
[8]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000-13호
대한민국관보
[9]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001-3호
대한민국관보
[10]
간행물
국토해양 부고시 제2008-147호
대한민국관보
2008-05-13
[11]
간행물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383호
대한민국관보
2009-06-18
[12]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