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도권 전철 경의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전철 경의선은 서울역과 문산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 전철 노선이다. 일제강점기에는 만주, 중국과 연결되는 국제선이었으나, 광복과 한국 전쟁을 거치며 대륙으로의 직통 운행은 중단되었다. 1990년대 신도시 개발과 함께 광역전철화가 결정되어 2009년 서울역-문산역 구간이 개통되었고, 이후 용산선 구간 개통과 중앙선 직결 운행을 통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대체되었다. 현재는 서울역에서 문산역까지, 또는 용산선 구간을 포함하여 운행하며, 급행 열차도 운행한다. 개통 초기 부실 공사 의혹, 강매역 폐역 논란, 대곡역 환승 불편 등 비판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폐지된 철도 운행 계통 - 수도권 전철 중앙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은 경원선, 중앙선을 이용하여 용산에서 용문 구간을 운행했던 수도권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분리되어 독립 운행하다가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되면서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되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철도 운행 계통 - 포스코 통근열차
    포스코 통근열차는 포스코가 직원들의 통근 편의를 위해 1975년부터 2005년까지 포항역과 제철역 사이를 운행한 열차로, 약 30년간 657만 명이 이용했으나 협상 결렬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 통합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은 경원선, 중앙선을 이용하여 용산에서 용문 구간을 운행했던 수도권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분리되어 독립 운행하다가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되면서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되었다.
  • 통합된 철도 노선 - 동해남부선
    일제강점기에 시작된 동해남부선은 부전에서 포항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표준궤로 개궤 및 동해본선으로 편입, 복선 전철화 사업을 통해 통근 교통 개선 및 화물 운송 기능이 강화되었다.
  • 200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은 강서구 개화역에서 강동구 중앙보훈병원역을 잇는 노선으로, 2009년 1단계 개통 후 순차적인 연장을 거쳐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급행 및 일반 열차를 운영하고 수도권 전철 통합요금제를 적용하고 있다.
  • 200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인천광역시의 도시철도 노선으로, 1999년 개통하여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받으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현재 노선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명수도권 전철 경의선
노선색'#999'
수도권 전철 노선도. 에메랄드 그린으로 북서쪽으로 뻗은 것이 경의선
수도권 전철의 노선도. 에메랄드 그린으로 북서쪽에 뻗어있는 것이 경의선
국가대한민국
노선망수도권 전철
기점서울역, 용산역
종점문산역
구성 노선경의선, 용산선
개업2009년 7월 1일
폐지2014년 12월 26일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거리50.8 km
궤간1,435 mm
선로 수복선, 복복선
전철화 방식교류 25000V, 60Hz
노선도
한국어 명칭
한글수도권 전철 경의선
한자首都圈電鐵京義線
히라가나しゅとけんでんてつけいぎせん
가타카나스도쿳궝 춍쵸루 쿄우기손
영어 안내Metro Gyeongui Line

2. 역사

일제강점기경의선만주중국과 연결된 국제선이었지만, 광복으로 인한 남북 분단과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대륙으로의 직통 운행은 끊어진 채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80년대까지 북한의 위협이 커서 군사 분계선에 가까운 경의선 연선은 기피되었고, 서울과 문산을 잇는 로컬선으로 완행 열차만 운행했다. 그러나 서울특별시의 인구 증가는 끝없이 이어졌고,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전혀 손대지 않았던 연선에서 신도시 개발이 진행되어 이용객 증가를 예상할 수 있게 되면서, 광역전철화가 결정되었다. 용산역에서 뻗어 나가는 화물선용산선을 지하화하고, 경의선은 서울역에서 문산까지를 전철화·복선화(일부 복복선화) 및 승강장 개량 등 전철화 공사를 진행하여, 2009년 7월 1일서울 - 문산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9년 7월 1일 디지털미디어시티 ~ 문산복선 전철 개통과 함께 운행 개시 및 경의선 풍산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개통.[1]

2012년 12월 15일 용산선 가좌 ~ 공덕 구간 개통으로 홍대입구역, 서강역, 공덕역 영업개시.

2014년 3월 17일 용산선 서강역을 서강대역으로 역명 변경.

2014년 10월 25일 경의선 강매역 개통.

2014년 12월 27일 용산선 공덕 - 용산 구간 개통 및 수도권 전철 중앙선직결 운행 개시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대체됨.

2. 1. 일제강점기 이전

2. 2. 일제강점기

2. 3. 해방 이후

일제강점기경의선만주중국과 연결된 국제선이었지만, 광복으로 인한 남북 분단과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대륙으로의 직통 운행은 끊어진 채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80년대까지 북한의 위협이 커서 군사 분계선에 가까운 경의선 연선은 기피되었고, 서울과 문산을 잇는 로컬선으로 완행 열차만 운행했다. 그러나 서울특별시의 인구 증가는 끝없이 이어졌고,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전혀 손대지 않았던 연선에서 신도시 개발이 진행되어 이용객 증가를 예상할 수 있게 되면서, 광역전철화가 결정되었다. 용산역에서 뻗어 나가는 화물선용산선을 지하화하고, 경의선은 서울역에서 문산역까지를 전철화·복선화(일부 복복선화) 및 승강장 개량 등 전철화 공사를 진행하여, 2009년 7월 1일에 서울 - 문산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9년 7월 1일 디지털미디어시티 ~ 문산복선 전철 개통과 함께 운행 개시 및 경의선 풍산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개통.[1] 2012년 12월 15일에는 용산선 가좌 ~ 공덕 구간 개통으로 홍대입구역, 서강역, 공덕역 영업이 개시되었고[1], 2014년 3월 17일에는 용산선 서강역을 서강대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1] 2014년 10월 25일에는 경의선 강매역이 개통되었다.[1] 2014년 12월 27일에는 용산선 공덕 - 용산 구간이 개통되고 수도권 전철 중앙선직결 운행이 개시되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대체되었다.[1]

3. 운영

3. 1. 운행

수도권 전철 경의선의 배차 간격은 용산 - 문산 전동차가 10 ~ 30분, 문산 - 서울역 전동차가 출·퇴근 시간대(RH)에 20 ~ 30분 간격이고, 평시에는 1시간 간격이었다.[2] 서울시내 구간인 서울역 - 디지털미디어시티 구간의 배차 간격이 상대적으로 길었던 이유는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KTX 열차 입·출고와 수색차량사업소의 일반 열차 입·출고로 인한 선로 용량 제한 때문이었다.[2] 이로 인해 서울역신촌역의 역번호는 공식적인 경의선으로는 본선이지만 수도권 전철의 안내 체계상으로는 지선 역번호 형태를 갖게 되었다.[2]

잔여 용산선 구간인 가좌 - 용산 구간은 2012년 12월 15일에 일괄 개통 예정이었으나, 효창공원앞역 토지보상 문제로 디지털미디어시티 - 공덕 구간이 2012년 12월 15일에 먼저 개통되었다.[2] 나머지 공덕 - 용산 구간은 2014년 12월 27일에 개통되었다.[2]

이 운행 계통의 개시와 함께 기존 경의선을 운행하던 새마을호는 폐지되었고, 통근열차문산 - 도라산 구간으로 단축 운행되다가 2014년 5월 1일부로 폐지되어 5월 4일부터 평화열차서울역 - 도라산역 구간을 반복 운행하게 되었다.[2]

전체의 약 4분의 3은 용산선 공덕역 발착이다. 서울 - 가좌 간의 운전 간격은 1시간에 1번인데, 이는 KTX경부선의 장거리 열차 등의 회송 운전이 많기 때문이다.

급행의 경우, 평일 아침저녁러시 시간대에 공덕 - 문산 간 운행하는 A급행이 각 2대씩 운행되었다. 평일 아침 러시 시간대에 문산발 서울행 B급행이 2대, 저녁 러시 시간대에 서울발 문산행 B급행이 2대 운행되었다. 평일 낮 시간대에 공덕 ~ 대곡 간 운행하는 구간 급행이 상하 10대씩, 또한 토・공휴일 낮에도 운행되었다.

3. 2. 급행

3. 2. 1. 출퇴근 급행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급행 열차를 운행했다. 공덕 - 문산 급행은 용산선 전철 운행이 시작된 2012년 12월 15일부터 운행하기 시작하였고,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각각 2회씩 운행했다. 서울역 - 문산 급행은 평일 출근 시간대에 서울역행이 2회, 퇴근 시간대에 문산행이 2회 운행했다.

2013년 3월 4일부터 서울 - 문산 급행이 신촌역에 정차했다.

2014년 12월 27일 이전의 급행은 평일 출근 시간대에 문산발 서울행 A급행과 B급행이 1회씩 있었다. B급행 노선은 2009년 12월 1일부터 운행을 개시했으며 2012년 12월 15일 부로 A급행이 공덕 - 문산 급행으로 전환되었다. 원래 공덕 - 문산 급행은 운정역을 통과할 예정이었으나, 공덕행 K2600 열차와 문산행 K2607 열차에 한정 정차했다.

  • A급행은 디지털미디어시티역까지는 2014년 12월 27일 이전의 공덕 - 문산 급행과 동일하고 이후 신촌역 정차 후 서울역으로 운행되었다.
  • B급행은 2012년 12월 15일부터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된 이후인 2016년까지 존속해 온 서울 - 문산 급행과 정차역이 같았다.

3. 2. 2. 대곡 ~ [[공덕역|공덕]] 셔틀 급행

2013년 3월 4일부터 일부 전동차들이 서울역에서 출발하는 시간대에 걸려 공덕 - 가좌 간의 배차 간격이 30분으로 벌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덕 - 대곡 셔틀 급행이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행하기 시작했다. 공덕 - 디지털미디어시티 구간에서는 완행열차나 다름없었으나 이후에는 행신, 대곡에만 정차했다. 2013년 10월 3일부터는 주말과 휴일에도 운행했다.[3] 2014년 12월 27일 경의·중앙선 직결 운행 이후 해당 계통이 폐지되면서 대곡 종착 열차로는 대곡 - 서울역 셔틀이 급행이 아닌 완행열차로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다.

3. 3. 차량

331000호대 전동차 27개 편성(33101 ~ 33127)이 운행 중이다. 또한 331000호대 통근형 전동차319000호대 통근형 전동차도 운행하고 있다.

4. 역 목록



수도권 전철 경의선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서울역과 경기도 파주시 문산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전철 노선이다. 통근 열차가 운행했던 시절에는 경의선 전 구간이 비전철이었기 때문에, 수도권 전철 경의선은 경의선의 일부 구간에 해당되었다.

서울역에서 문산까지 운행하는 열차는 일부 일산선 직결 열차를 제외하면 모두 용산 방면으로 직결 운행한다.

현재 수도권 전철 경의선의 서울역 ~ 가좌역 구간과 수색역 ~ 문산역 구간은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었으며, 가좌역 ~ 수색역 구간은 단선 전철 구간이다.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은 6호선 및 인천국제공항철도로 환승이 가능하다. 대곡역에서는 3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행신역에서는 KTX를 이용할 수 있다.

경의선은 다음과 같은 역들을 지난다:

역 번호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



접속 노선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P313서울역Seoul Station서울驛미운행

경부선
-0.0서울특별시중구
P314신촌Sinchon新村미운행3.13.1서대문구
K315가좌Gajwa加佐SM6/지평 방면}}2.75.8
K316디지털미디어시티Digital Media City디지털미디어시티驛1.77.5은평구
K317수색Susaek水色0.68.1
K318한국항공대Korea Aerospace Univ.韓國航空大3.411.5경기도고양시
K319강매Gangmae江梅2.514.0
K320행신Haengsin幸信0.914.9
K321능곡Neunggok陵谷1.516.4
K322대곡Daegok大谷1.818.2
K323곡산Goksan谷山1.719.9
K324백마Baengma白馬1.621.5
K325풍산Pungsan楓山1.723.2
K326일산Ilsan一山1.925.1
K327탄현Tanhyeon炭峴1.726.8
K328야당Yadang野塘2.128.9파주시
K329운정Unjeong雲井1.530.4
K330금릉Geumneung金陵3.133.5
K331금촌Geumchon金村2.135.6
K333월롱
(서영대학교)
Wollong
(Seyoung Univ.)
月籠
(瑞永大學校)
4.139.7
K334파주
(두원대학)
Paju
(Doowon Univ.)
坡州
(斗元大學)
2.241.9
K335문산Munsan汶山경의선4.446.3


4. 1. 경의선



수도권 전철 경의선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서울역과 경기도 파주시 문산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전철 노선이다. 통근 열차가 운행했던 시절에는 경의선 전 구간이 비전철이었기 때문에, 수도권 전철 경의선은 경의선의 일부 구간에 해당되었다.

서울역에서 문산까지 운행하는 열차는 일부 일산선 직결 열차를 제외하면 모두 용산 방면으로 직결 운행한다.

현재 수도권 전철 경의선의 서울역 ~ 가좌역 구간과 수색역 ~ 문산역 구간은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었으며, 가좌역 ~ 수색역 구간은 단선 전철 구간이다.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은 6호선 및 인천국제공항철도로 환승이 가능하다. 대곡역에서는 3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행신역에서는 KTX를 이용할 수 있다.

경의선은 다음과 같은 역들을 지난다:

역 번호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



접속 노선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P313서울역Seoul Station서울驛미운행

경부선
-0.0서울특별시중구
P314신촌Sinchon新村미운행3.13.1서대문구
K315가좌Gajwa加佐SM6/지평 방면}}2.75.8
K316디지털미디어시티Digital Media City디지털미디어시티驛1.77.5은평구
K317수색Susaek水色0.68.1
K318한국항공대Korea Aerospace Univ.韓國航空大3.411.5경기도고양시
K319강매Gangmae江梅2.514.0
K320행신Haengsin幸信0.914.9
K321능곡Neunggok陵谷1.516.4
K322대곡Daegok大谷1.818.2
K323곡산Goksan谷山1.719.9
K324백마Baengma白馬1.621.5
K325풍산Pungsan楓山1.723.2
K326일산Ilsan一山1.925.1
K327탄현Tanhyeon炭峴1.726.8
K328야당Yadang野塘2.128.9파주시
K329운정Unjeong雲井1.530.4
K330금릉Geumneung金陵3.133.5
K331금촌Geumchon金村2.135.6
K333월롱
(서영대학교)
Wollong
(Seyoung Univ.)
月籠
(瑞永大學校)
4.139.7
K334파주
(두원대학)
Paju
(Doowon Univ.)
坡州
(斗元大學)
2.241.9
K335문산Munsan汶山경의선4.446.3


4. 2. 용산선

2012년 12월 15일가좌역에서 공덕역까지, 2014년 12월 27일공덕역-용산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 직결되었고, 2016년 4월 30일효창공원앞역이 개통되었다.

역 번호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A




접속 노선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 직결 운행
K110용산Yongsan龍山
경부선
0.00.0서울특별시용산구
K311효창공원앞Hyochang Park孝昌公園1.81.8
K312공덕Gongdeok孔德

0.72.5마포구
K313서강대Sogang Univ.西江大1.94.4
K314홍대입구Hongik Univ.弘大入口
0.95.3
K315가좌Gajwa加佐서울역 방면1.77.0서대문구


5. 비판

경의선 복선 전철 개통 당시 일부 전철역들이 완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통을 서두른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었다.[4]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시공사들의 부실 공사 의혹이 제기되었으나, 공단은 이를 무시하였다.[5][6]

경의선 전철 개통과 함께 한국철도공사행신역과의 거리를 이유로 강매역을 폐역한 것에 대해 행신2지구 주민들이 반발하였다. 이후 강매역을 신축하여 영업을 재개하기로 합의, 2014년 10월 25일에 재개통되었다.

대곡역의 환승 통로는 승객들을 지나치게 우회시켜 환승객들의 불편을 초래하며,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조차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7]

일부 서울역행 전동열차 편성으로 인해 용산선 가좌역(지하) 이남의 역들은 일부 시간대에 30분 배차간격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공덕역 출발 대곡행 급행 열차가 신설되었고, 평일에만 운행하는 공덕발 대곡행 완행열차도 1편성 있었으나, 직결 운행 이후 대곡역 착발 열차는 서울역 착발의 완행열차 운행으로 일원화되었다.

참조

[1] 뉴스 경의선 전철 개통…수도권 교통난 숨통 https://news.kbs.co.[...] 2009-07-01
[2] 뉴스 "경의선 효창정거장 부지 220m 때문에" http://news.chosun.c[...] 2011-08-25
[3] 문서 평일에는 19회 운행하며 주말과 휴일에는 14회 운행했다.
[4] 뉴스 경의선 전철 개통 한달…아직도 공사중? https://news.sbs.co.[...] 2009-07-22
[5] 뉴스 철도노조, 29일 '경의선 부실개통' 기자회견 http://www.mt.co.kr/[...] 2009-06-28
[6] 뉴스 경의선 복선전철 부실공사 논란 앞과 뒤 https://ilyo.co.kr/?[...] 2009-07-05
[7] 뉴스 경의선 환승역사, 장애인은 이용하지 말라? http://www.ablenews.[...] 2009-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