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의 신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긍정 신학은 '긍정'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신 또는 궁극적 실재에 대해 긍정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신학적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기독교에서는 동방 정교회, 가톨릭 등에서 나타나며, 불교의 대승 불교, 가우디야 바이슈나비즘에서도 긍정 신학적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나님 - 독력주의
독력주의는 기독교 신학에서 구원이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로만 이루어지며 인간의 의지나 협력이 필요 없다는 교리로서, 도르트 신조, 벨기에 신앙고백, 일치신조 등 다양한 신앙고백 표준에서 정의되고, 특히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통해 강조되며, 인간의 전적 타락과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선택을 강조하며, 루터교와 칼뱅주의를 포함한 일부 교파에서 옹호된다. - 하나님 - 성령론
성령론은 기독교 신학에서 성령의 인격과 역사에 관해 연구하며, 성경에서 창조, 지도자 선택, 인간의 거듭남 등에 관여하는 성령에 대한 다양한 신학적 논의를 포함한다. - 신비주의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는 14세기 독일의 도미니크 수도회 신학자이자 신비주의자로, "신성의 무(無)" 개념을 중심으로 신과 인간의 합일과 자아 초월을 강조하는 독특한 신학 사상으로 이단 논란에 휩싸였으나, 후대 다양한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며 재평가되고 있다. - 신비주의 - 독일 신비주의
독일 신비주의는 부정 신학, 평신도 자각, 범신론적 신을 강조하며 이성 중시, 자기 수양, 독일어 사용을 선호하는 사상 경향으로, 종교 개혁과 독일 철학에 영향을 미쳤다. - 종교 용어 - 섭리
섭리는 삶과 역사가 신의 깊은 배려로 일어난다는 종교적 관점으로, 세상과 인간을 향한 신의 개입과 돌보심을 강조하며, 다양한 종교에서 나타나고 특히 기독교에서는 핵심 교리로 여겨지지만, 인간의 자유 의지 및 예정론과의 관계는 신학적 논쟁의 대상이 된다. - 종교 용어 - 카리스마
카리스마는 특정 개인의 비범한 능력이나 그에 대한 숭배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막스 베버는 이를 사회학적 개념으로 정립하여 지배의 한 유형으로 제시했으며, 종교적, 정신의학적 용어로도 사용된다.
긍정의 신학 | |
---|---|
정의 | |
유형 | 신학 |
분야 | 조직신학, 실천신학 |
반대 | 부정신학 |
세부 사항 | |
설명 | 신에 대한 진술을 긍정적으로 제시함 |
관련 용어 | 비아 포지티바, 비아 아나로기아 |
관련 토론 | |
주제 | 신의 본성, 신의 속성 |
2. 용어
"카타파틱(Cataphatic)"은 "긍정"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 κατάφασις ''kataphasis''에서 유래되었으며,[1] κατά ''kata'' (강조) [2] 와 φάναι ''phanai'' ("말하다")에서 파생되었다.
기독교 신학에서 카타파틱 신학(긍정의 신학)은 사랑, 전능, 자비와 같이 신의 속성을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방식을 말한다.
3. 기독교
3. 1. 초기 기독교
위(僞) 디오니시오 아레오파기테와 같은 초기 기독교 사상가들은 신에 대한 긍정적 서술의 한계를 지적하며, 무한한 신을 유한한 언어로 표현하는 것의 어려움을 강조했다.[3] 성 아우구스티누스 역시 "만약 당신이 [신]을 파악할 수 있다면, 그것은 신이 아니다"라는 말로 비슷한 견해를 표명했다.[4]
3. 2. 동방 정교회
동방 정교회에서는 긍정 신학이 신에 대한 부분적인 지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신을 온전히 이해하는 유일한 방법은 부정 신학이라고 강조하는데, 이는 긍정 신학이 대상을 존재하는 것으로 여기는 반면, 신은 모든 존재를 초월하기 때문이다.[6]
3. 3. 가톨릭
가톨릭 신학에서도 긍정 신학적 전통이 존재한다.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만약 당신이 [신]을 파악할 수 있다면, 그것은 신이 아니다"라고 말하며 신에 대한 이해의 한계를 지적했다.[4]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역시 긍정 신학의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
4. 불교
대승 불교의 일부 경전에서는 궁극적 실재를 긍정적인 용어로 설명하려는 시도가 나타난다. 이러한 양상은 조그첸과 여래장 사상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쿤제드걀포('만물을 창조하는 왕'이라는 뜻) 같은 불교 탄트라에서는 원초불 삼만타바드라를 '순수하고 완전한 의식'– 모든 존재의 '줄기', '토대', '뿌리'로 묘사한다.[7]
4. 1. 여래장 사상
대승 불교 내에는 궁극적 실재에 관해 이야기할 때 긍정적 용어를 사용하여 이를 설명하려는 경전들이 있다. 이러한 불교의 양상은 조그첸과 여래장 형태의 종교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일부 여래장 경전에서는 열반이 부처의 참된 자아(순수하고, 창조되지 않고, 죽지 않음)와 동일시된다.[7]4. 2. 탄트라 불교
대승 불교에는 궁극적 실재를 설명할 때 긍정적인 용어를 사용하는 경전들이 있다. 이러한 불교의 양상은 조그첸과 여래장 사상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일부 여래장 경전에서는 열반을 부처의 참된 자아(순수하고, 창조되지 않고, 죽지 않음)와 동일시한다. 쿤제드걀포('만물을 창조하는 왕'이라는 뜻)와 같은 불교 탄트라에서는 원초불 삼만타바드라를 '순수하고 완전한 의식'– 모든 존재의 '줄기', '토대', '뿌리'로 묘사한다.[7]5. 가우디야 바이슈나비즘
가우디야 바이슈나비즘은 크리슈나의 초월적인 자질에 대해 긍정적으로 이야기한다. 그는 최고 인격신으로서 64가지 초월적 자질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자질은 비물질적이고 이원성을 초월한 것으로 설명된다.[8] 절대자인 크리슈나가 묘사할 수 없음과 동시에 자질을 가지고 있다는 역설적인 본성은 가우디야 바이슈나비즘 문헌 전반에 걸쳐 논의된다.[9]
크리슈나의 64가지 자질 중 오직 크리슈나만이 가지고 있는 4가지 독특한 자질은 다음과 같다.
- 그는 경이로운 종류의 유희(특히 어린 시절의 유희)를 행한다.
- 그는 놀라운 신애를 지닌 헌신자들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 그는 피리를 불어 온 우주의 모든 생명체를 매료시킬 수 있다.
- 그는 창조물 어디에서도 견줄 수 없는 경이로운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
크리슈나에게는 다른 60가지 자질이 있지만, 나라야나도 또한 이를 가지고 있다. 이 중 5가지 자질은 특별하며, 지바-아트만이나 (바이슈나바 관점에 따르면) 다른 힌두교 신들, 심지어 브라흐마나 시바에게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 그는 헤아릴 수 없는 힘을 가지고 있다.
- 그의 몸에서 무수한 우주가 생성된다.
- 그는 모든 화신의 근원이다.
- 그는 그가 죽인 적들에게 구원을 베푼다.
- 그는 해탈한 영혼들을 매료시킨다.
다른 55가지 초월적 자질은 브라흐마와 시바에게서 발견되지만, 나라야나와 크리슈나에게는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지바-아트만에게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신의 수준에 이르지 못한 지바-아트만에게서 단 50가지 초월적 자질을 발견할 수 있는데, 크리슈나와 나라야나 또한 이러한 자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자질은 지바-아트만이 크리슈나-차이타냐의 순수한 헌신자가 될 경우에만 극미한 자질로 나타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반면에 크리슈나는 이러한 64가지 자질을 완전하게 갖추고 있다.[10]
6. 관련 문헌
- 블라디미르 로스키 저, 『동방교회의 신비 신학』 (1957 [1944]), 재판: SVS Press, 1997 (ISBN 0-913836-31-1), James Clarke & Co Ltd, 1991 (ISBN 0-227-67919-9).
- 디오니시오스 아레오파기테 저, 클래런스 에드윈 롤트 역, 『신적 명칭과 신비 신학에 관하여』 (1920).
참조
[1]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κατάφα^σις
https://www.perseus.[...]
[2]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κατά
https://www.perseus.[...]
[3]
서적
Summa Theologica
http://www.freecatho[...]
2024-08-13
[4]
간행물
Sermon #117, Section 5
New York City Press
1992
[5]
Citation
Pseudo-Dionysius the Areopagite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08-18
[6]
서적
The Mystical Theology of the Orthodox Church
1957
[7]
서적
The Supreme Source: The Fundamental Tantra of the Dzogchen Semde Kunjed Gyalpo
Snow Lion, Ithaca
1999
[8]
웹사이트
Śrī Caitanya-caritāmṛta, Madhya-līlā 25.54
http://www.iskconpre[...]
2021-07-13
[9]
웹사이트
KṚṢṆA,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Chapter 87
http://www.iskconpre[...]
2021-07-13
[10]
웹사이트
64 Qualities of Lord Krishna Shrila Rupa Gosvami
http://nitaaiveda.co[...]
[11]
URL
http://www.perseu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