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사계첩 (국보 제325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사계첩은 1719년 숙종의 기로소 입소를 기념하여 제작된 계첩으로, 1720년에 완성되었다. 18세기 궁중회화의 대표작 중 하나로, 숙종의 기로소 입소 관련 행사 기록, 참여 관료들의 초상화, 그리고 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 후기 궁중회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며,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국보 제325호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회도 - 기사계첩 (국보 제334호)
    1719년 숙종의 기로소 입소를 기념하여 제작된 기사계첩은 계회 장면 묘사 그림, 기로신 초상화, 축시, 관련 인물 명단 및 서문과 발문 등으로 구성되어 조선 시대 궁중회화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국보로 지정되었다.
  • 계회도 - 기사계첩
    《기사계첩》은 조선 숙종 때 기로소 관련 행사를 기념하여 제작된 기록화첩으로, 연회 장면, 기신들의 좌목과 초상, 축시, 숭정전진하전도, 경현당석연도, 어첩봉안도 등을 담고 있으며 국보 및 보물로 지정되어 여러 기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 18세기 회화 작품 - 순천 송광사 십육조사진영
    순천 송광사 십육조사진영은 1780년에 제작된 보조국사 지눌을 포함한 송광사 중심의 고려 후기 고승 16명의 초상화 16점으로, 조선 중기 불교 초상화 기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18세기 회화 작품 -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은 조선 후기 화가 신윤복이 당시 사회의 풍속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다양한 주제의 풍속화들을 모아 엮은 화첩으로, 〈월하정인〉, 〈단오풍정〉, 〈청금상련〉 등의 대표적인 그림이 수록되어 있다.
  • 해제된 대한민국의 보물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해제된 대한민국의 보물 - 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찬불가이자 훈민정음 창제 후 초기 한글 활자본으로, 석가모니의 공덕과 교화를 담고 있으며 국보 제320호로 지정된 조선 전기 국어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기사계첩 (국보 제325호)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기사계첩
기사계첩
이름기사계첩
한자 표기耆社契帖
영어 표기Gisa gyecheop (Album of Paintings of the Gathering of Elders)
문화재 정보
유형국보
지정 번호325
지정일2019년 3월 6일
해지일해당 사항 없음
소재지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조선시대 1719~1720년(숙종 45~숙종 46)
소유자국유
참고 사항규격: 전체 79.0×59.5cm, 화면 53.2×37.3cm
재질: 비단에 채색
제작자: 김진여(金振汝), 장태흥(張泰興), 박동보(朴東普), 장득만(張得萬), 허숙(許俶), 이이방(李義芳)
면적해당 사항 없음
수량1첩
전승지해당 사항 없음
전승자해당 사항 없음
지도대한민국
꼬리표국립중앙박물관
너비해당 사항 없음
대체 지도해당 사항 없음
설명해당 사항 없음
웹사이트해당 사항 없음
문화재청 ID11,03250000,11
이전 정보
유형 (이전)보물
지정 번호 (이전)929
지정일 (이전)1987년 12월 26일
해지일 (이전)2019년 3월 6일
문화재청 ID (이전)12,09290000,11

2. 제작 배경 및 경위

1719년(숙종 45) 숙종이 태조의 전례를 따라 기로소에 들어간 것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고, 이 행사에 참여한 관료들이 를 조직하여 기사계첩을 만들었다.[1] 기로소는 70세 이상, 정2품 이상의 벼슬을 지낸 나이 많은 문관들을 우대하던 기관이었다.[1]

계첩에는 기로신 중 한 명인 임방이 쓴 서문, 경희궁 경현당에서 열린 잔치 때 숙종이 지은 어제, 김유의 발문, 행사 장면을 그린 기록화, 기로신들의 초상화와 축시, 제작자 명단 등이 포함되었다.[1]

행사 장면을 그린 기록화는 <어첩봉안도>, <숭정전진하전도>, <경현당석연도>, <봉배귀사도>, <기사사연도> 등이 순서대로 그려져 있다.[1] 이 그림들은 도화서 화원 김진여, 장태흥 등이 그렸으며, 조선 후기 궁중회화의 최고 수준을 보여준다.[1]

기사계첩은 18세기 궁중행사도 중 하나로, 후대 궁중회화 제작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제작 당시의 모습이 잘 보존되어 있고 제작 시기와 제작자가 분명하여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될 가치가 충분하다.[1]

2. 1. 숙종의 기로소 입소

1719년(숙종 45), 숙종은 59세의 나이로 태조의 전례를 따라 기로소에 들어갔다. 이는 숙종기로소에 들어간 것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로, 참여한 관료들이 계(契)를 조직해 만든 계첩(契帖)이 바로 '기사계첩'이다. 기로소는 70세 이상, 정2품 이상 직책을 가진 노년의 문관(文官)들을 우대하던 기관이었다.[1] 하지만 숙종은 60세 이전에 기로소에 들어간 유일한 왕이다.

기사계첩은 행사가 진행된 1719년이 아닌, 초상화를 그리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 1720년(숙종 46)에 완성되었다.[1]

2. 2. 기로연 및 행사

1719년(숙종 45) 숙종이 기로소에 들어간 것을 기념하여 경희궁 경현당 등에서 여러 행사가 열렸다.[1]

  • '''어첩봉안''' : 경희궁 흥정당(興政堂)에서 기로소로 어첩을 봉안하러 가는 행렬[1]
  • '''숭정전 진하례''' : 1719년 2월 12일 기로신들이 경희궁 숭정전에서 진하례를 올림[1]
  • '''경현당 석연''' : 1719년 4월 18일 경현당에서 기로신들에게 내린 친림사연[1]
  • '''봉배귀사''' : 경현당 석연에서 하사받은 은배(銀盃)를 받들고 기로소로 돌아가는 기로신들의 행렬[1]
  • '''기사사연''' : 기로신들이 기로소에서 연회를 행함[1]

2. 3. 계첩 제작

기사계첩은 1719년(숙종 45) 59세가 된 숙종이 태조 이성계의 전례를 따라 기로소에 들어간 것을 기념한 행사에 참여한 관료들이 를 조직해 만든 계첩이다. 기로소는 70세 이상, 정2품 이상 직책을 가진 노년의 문관(文官)들을 우대하던 기관이다.[1] 행사는 1719년에 실시되었으나, 계첩은 초상화를 그리는데 오랜 시간이 걸려 1720년(숙종 46)에 완성되었다.

계첩은 기로신 중 한 명인 좌참찬 임방(1640~1724)이 쓴 계첩의 서문과 경희궁 경현당 사연(賜宴) 때 숙종이 지은 어제(御製), 대제학 김유(1653~1719)의 발문, 각 의식에 참여한 기로신들의 명단, 행사 장면을 그린 기록화, 기로신 11명의 명단과 이들의 반신상 초상화, 기로신들이 쓴 축시(祝詩), 계첩을 제작한 실무자 명단으로 구성되었다.[1]

행사 장면은 경희궁 흥정당에서 기로소로 어첩을 봉안하러 가는 행렬을 그린 <어첩봉안도>, 이튿날인 2월 12일 기로신들이 경희궁 숭정전에서 진하례를 올리는 장면을 그린 <숭정전진하전도>, 4월 18일 경현당에서 기로신들에게 내린 친림사연의 광경을 그린 <경현당석연도>, 경현당 석연에서 하사받은 은배(銀盃)를 받들고 기로소로 돌아가는 기로신들의 행렬을 묘사한 <봉배귀사도>, 기로신들이 기로소에서 연회를 행하는 모습을 그린 <기사사연도> 가 순서대로 그려졌다. 계첩에 수록된 그림과 기로신들의 초상화는 당대 뛰어난 기량을 인정받았던 도화서 화원 김진여, 장태흥 등이 그린 것으로, 화려한 채색과 섬세하고 절제된 묘사, 명암법을 적절하게 사용해 사실성이 뛰어난 얼굴 표현 등 조선 후기 궁중회화의 최고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1]

18세기를 대표하는 궁중행사도 중 하나로, 후대 궁중회화 제작에 많은 영향을 끼친 작품으로 평가된다. 제작 당시의 원형을 거의 상실하지 않았고 제작 시기와 제작자가 분명하며 그림의 완성도나 기법이 매우 높아 대한민국의 국보로 승격하여 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1]

3. 구성 및 내용

기사계첩은 1719년(숙종 45) 숙종이 59세에 태조 이성계의 전례를 따라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간 것을 기념한 행사에 참여한 관료들이 계(契)를 조직해 만든 계첩(契帖)이다. 기로소는 70세 이상, 정2품 이상 직책을 가진 노년의 문관(文官)들을 우대하던 기관이었다.[1]

계첩은 기로신 중 한 명인 좌참찬 임방(任埅, 1640~1724)이 쓴 서문, 경희궁 경현당(景賢堂) 사연(賜宴) 때 숙종이 지은 어제(御製), 대제학 김유(金楺, 1653~1719)의 발문, 각 의식에 참여한 기로신들의 명단, 행사 장면을 그린 기록화, 기로신 11명의 명단과 반신상 초상화, 기로신들의 축시(祝詩), 계첩 제작 실무자 명단으로 구성되었다.[1]

행사는 1719년에 실시되었으나, 초상화를 그리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려 계첩은 1720년(숙종 46)에 완성되었다. 숙종 때 12부를 만들었으나 현재는 3부만 전해진다.

3. 1. 기록화

기사계첩에는 1719년(숙종 45) 행사 장면을 그린 다섯 점의 기록화가 실려 있다. 이 그림들은 당대 최고의 화원이었던 김진여(金振汝), 장태흥(張泰興) 등이 그린 것으로, 화려한 채색, 섬세하고 절제된 묘사, 명암법을 적절히 사용하여 사실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1]

  • 어첩봉안도 (御帖奉安圖): 경희궁 흥정당(興政堂)에서 기로소로 어첩을 봉안하는 행렬을 그린 그림이다.
  • 숭정전진하전도(崇政殿進賀箋圖): 다음 날인 2월 12일, 기로신들이 경희궁 숭정전에서 진하례를 올리는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 경현당석연도(景賢堂錫宴圖): 4월 18일 경현당에서 기로신들에게 내린 친림사연(親臨賜宴)의 광경을 그린 그림이다.
  • 봉배귀사도(奉盃歸社圖): 경현당 석연에서 하사받은 은배(銀盃)를 받들고 기로소로 돌아가는 기로신들의 행렬을 묘사한 그림이다.
  • 기사사연도(耆社私宴圖): 기로신들이 기로소에서 연회를 행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1]


이 기록화들은 순서대로 그려져 있으며, 조선 후기 궁중회화의 최고 수준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18세기 궁중행사도의 대표작으로서, 후대 궁중회화 제작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1]

3. 2. 초상화

이 계첩에 실린 초상화는 기로신 11명의 반신상으로, 18세기 초의 전형적인 정장관복 차림을 하고 있다. 당대 최고의 화원이었던 김진여, 장태흥 등이 참여하여 화려한 채색과 섬세하고 절제된 묘사, 명암법을 적절하게 사용해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1]

3. 3. 글

이 계첩에는 임방의 서문, 숙종의 어제, 김유의 발문, 기로신들의 축시 등이 수록되어 있다. 가로 36cm, 세로 5cm로 장태흥·허숙 등이 그림을 그리고, 이의방이 글씨를 썼다.

4. 미술사적 의의

耆社契帖중국어은 18세기 궁중회화의 대표작 중 하나로, 이후 궁중회화 제작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제작 당시의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제작 시기와 제작자가 명확하고 그림의 완성도가 높아 국보로 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1]

4. 1. 조선 후기 궁중회화의 대표작

耆社契帖중국어은 화려한 채색, 섬세하고 절제된 묘사, 뛰어난 사실성 등 조선 후기 궁중회화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18세기 궁중행사도 중 하나로, 후대 궁중회화 제작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1]

계첩에 수록된 그림과 기로신들의 초상화는 당대 뛰어난 기량을 인정받았던 도화서 화원 김진여, 장태흥 등이 그린 것으로, 화려한 채색과 섬세하고 절제된 묘사, 명암법을 적절하게 사용해 사실성이 뛰어난 얼굴 표현 등 조선 후기 궁중회화의 최고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1]

제작 당시의 원형을 거의 상실하지 않았고 제작 시기와 제작자가 분명하며 그림의 완성도나 기법이 매우 높아 국보로 승격하여 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1]

4. 2. 초상화 기법

계첩에 수록된 그림과 기로신들의 초상화는 당대 뛰어난 기량을 인정받았던 도화서 화원 김진여, 장태흥 등이 그린 것으로, 화려한 채색과 섬세하고 절제된 묘사, 명암법을 적절하게 사용해 사실성이 뛰어난 얼굴 표현 등 조선 후기 궁중회화의 최고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1]

5. 역사적, 문화적 가치

기사계첩은 18세기를 대표하는 궁중행사도 중 하나로, 후대 궁중회화 제작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1] 계첩에 수록된 그림과 기로신들의 초상화는 도화서 화원 김진여, 장태흥 등 당대 뛰어난 기량을 인정받았던 화가들이 그렸으며, 화려한 채색, 섬세하고 절제된 묘사, 명암법을 적절하게 사용한 사실적인 얼굴 표현 등에서 조선 후기 궁중회화의 최고 수준을 보여준다.[1]

5. 1. 국보 지정

제작 당시의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고, 제작 시기와 제작자가 분명하며, 그림의 완성도나 기법이 매우 높아 국보로 승격하여 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평가되어 국보 제325호로 지정되었다.[1] 18세기를 대표하는 궁중행사도 중 하나로, 후대 궁중회화 제작에 많은 영향을 끼친 작품으로 평가된다.[1]

5. 2. 사료적 가치

1719년(숙종 45) 숙종이 태조의 전례를 따라 기로소에 들어간 것을 기념한 행사와 관련된 '기사계첩'은 당시의 제도, 궁중 행사, 복식, 회화 양식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숙종 대의 정치, 사회,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1]

계첩에는 경희궁 경현당 사연(賜宴) 때 숙종이 지은 어제(御製), 김유의 발문, 행사 장면을 그린 기록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들은 18세기 궁중회화의 수준과 제작 방식, 그리고 후대에 미친 영향 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사료로 활용된다.[1]

6. 갤러리

국보 제325호 기사계첩


국보 제325호 기사계첩


국보 제325호 기사계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