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윤복 필 풍속도 화첩은 조선 후기 신윤복이 그린 풍속화 모음이다. 이 화첩은 유흥, 기방, 일상생활, 만남, 연인, 욕망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조선 시대 양반과 기생, 평민들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특히 남녀 간의 은밀한 만남과 사랑을 그린 그림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월하정인'의 경우 월식 장면을 묘사했다는 해석도 존재한다. 이 화첩은 조선 시대 풍속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진위 여부와 선정성을 둘러싼 논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풍속화 -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는 요하네스 페르메이르가 1665년경에 그린 유화 작품으로, 동양풍 터번과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를 묘사하며, 복원 작업을 통해 섬세한 묘사와 배경 색채가 강화되었고,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영감을 주었다. - 풍속화 -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은 김홍도가 그린 조선 시대 서민들의 다양한 생활상을 담은 그림 모음으로, 일터, 생활상, 길거리 풍경, 여가 활동과 교육 장면 등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 간송미술관 소장품 - 훈민정음
훈민정음은 1443년에 세종에 의해 창제된 한국의 고유 문자로, 한글의 창제목적, 원리, 사용법 등을 담은 훈민정음 해례본을 통해 1446년에 반포되었으며,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문자로 평가받는다. - 간송미술관 소장품 -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는 정선이 그린 가을 내금강 그림으로, 비홍교 등 주요 경물과 건축물을 통해 당시 내금강의 모습을 보여주며 금강전도와 함께 정선의 대표적인 금강산 그림으로 꼽히고, 진경산수화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계기가 된다.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국보 |
지정 번호 | 135호 |
지정일 | 1970년 12월 30일 |
소유자 | 전성우 |
관리자 | 간송미술관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 |
시대 | 조선 시대 |
수량 | 1첩 (30폭) |
명칭 | |
한국어 |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
한자 | 申潤福筆 風俗圖 畵帖 |
영어 | Album of Genre Paintings by Sin Yun-bok |
다른 명칭 | 혜원풍속도 혜원풍속도첩 혜원전신첩 蕙園傳神帖 |
2. 혜원풍속도 화첩의 구성
혜원 신윤복의 풍속도 화첩은 조선 후기 풍속화의 대표작으로, 총 30점의 그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그림은 독립적인 주제를 가지고 있으며,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과 문화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혜원풍속도는 유흥, 기방, 일상생활, 만남, 연인, 욕망의 여섯 가지 주제로 분류할 수 있다. 각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주제 | 그림 제목 |
---|---|
유흥 | 쌍검대무, 상춘야흥, 청금상련(연당야유), 주유청강, 납량만흥, 쌍륙삼매, 임하투호 |
기방 | 기방무사, 청루소일, 홍루대주, 주사거배, 유곽쟁웅 |
일상생활 | 단오풍정, 계변가화, 정변야화, 노상탁발, 표모봉심, 무녀신무 |
만남 | 연소답청, 휴기답풍, 문종심사, 이승영기, 노중상봉 |
연인 | 춘색만원, 소년전홍, 월하정인, 월야밀회, 야금모행 |
욕망 | 이부탐춘, 삼추가연 |
2. 1. 유흥 (Entertainment)





一笛晩風聽不得 피리는 늦바람에 들리지 아니 들리지만
白驅飛下浪花前 흰갈매기 꽃물결 앞으로 날아 내려온다


그림 | 제목 | 설명 |
---|---|---|
쌍검대무(雙劍對舞) | 두 기생이 검무를 추고 있다. | |
상춘야흥(賞春野興) | 후원에서 악기 연주회를 즐기는 한량을 묘사하고 있다. | |
청금상련(廳琴賞蓮) 또는 연당야유(蓮塘野遊) | 기생을 끼고 연못 구경을 하는 양반을 묘사한 그림이다. | |
주유청강(舟遊淸江) | 맑은 강 위에서 뱃놀이를 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 |
납량만흥(納凉漫興) | 산 속에서 기생과 가무를 즐기는 양반을 묘사한 그림이다. | |
쌍륙삼매(雙六三昧) | 쌍륙 놀이를 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 |
임하투호(林下投壺) | 투호놀이를 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
2. 2. 기방 (Gibang)
기방무사, 청루소일, 홍루대주, 주사거배, 유곽쟁웅은 기생들의 생활과 그들을 둘러싼 양반들의 모습을 그린 그림들이다.그림 | 제목 | 한국어 제목 |
---|---|---|
![]() | 기방에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 기방무사 (妓房無事) |
![]() | 청루에서 시간을 보내다 | 청루소일 (靑樓消日) |
![]() | 홍루에서 술이 나오기를 기다리다 | 홍루대주 (紅樓待酒) |
![]() | 술자리를 열다 | 주사거배 (酒肆擧盃) |
![]() | 유곽에서 누가 영웅이 될 것인가? | 유곽쟁웅 (遊廓爭雄) |
2. 3. 일상생활 (Daily life)
당시 사람들의 다양한 일상생활 모습을 담은 그림들이다.그림 | 제목 |
---|---|
![]() | 단오풍정 |
![]() | 계변가화 |
![]() | 정변야화 |
![]() | 노상탁발 |
![]() | 표모봉심 (표모봉욕) |
![]() | 무녀신무 |
2. 4. 만남 (Meeting)





그림 | 제목 | 한국어 제목 | 설명 |
---|---|---|---|
젊은이들의 외출 | 연소답청(年少踏靑) | 그림은 봄날 거리에서 한량이 기생과 바람을 피우는 장면을 묘사한다. | |
기생을 이끌고, 붉은 잎을 지나다 | 휴기답풍(携妓踏楓) | ||
종소리를 듣고 절을 찾다 | 문종심사(聞鍾尋寺) | ||
비구니가 기생을 맞이하다 | 이승영기(尼僧迎妓) | ||
길에서 서로 마주치다 | 노중상봉(路中相逢) |
2. 5. 연인 (Lovers)

'''소년전홍'''(少年剪紅, 젊은이가 붉은 꽃을 꺾다)은 신윤복의 풍속화로, 젊은이가 붉은 꽃을 꺾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춘색만원'''(春色滿園, 봄기운이 뜰에 만연하다)은 신윤복의 풍속화로, 봄기운이 가득한 정원의 풍경을 담고 있다.

'''월야밀회'''(月夜密會, 달 뜬 밤의 밀회)는 신윤복의 풍속화로, 달 밝은 밤에 은밀하게 만나는 남녀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야금모행'''(夜禁冒行, 심야에 금지를 무릅쓴 나들이)은 신윤복의 풍속화로, 밤늦은 시간에 금지된 외출을 감행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월하정인'''(月下情人, 달 아래의 연인)은 신윤복의 풍속화로, 달빛 아래에서 사랑을 나누는 연인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그림 속 화제(畫題)는 다음과 같다.
: 月沈々夜三更 달 흐릿한 밤 삼경
: 兩人心事兩人知 두 사람의 마음은 두 사람만 알리라
두 번째 글귀는 김명원의 시 월하정인에서 인용한 것이다.
2011년 천문학자 이태형은 초승달 모양의 달이 위를 향하여 볼록할 수 없다는 점을 들어 이 그림이 월식을 그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신윤복의 활동 시기, ‘삼경’이라는 글귀, 달의 고도, 당시 날씨 기록 등을 근거로 이 그림이 1793년 8월 21일에 일어난 부분월식을 묘사한 것이라고 추정했다.[4]
그림 | 제목 |
---|---|
춘색만원(春色滿園) | |
소년전홍(少年剪紅) | |
월하정인(月下情人) | |
월야밀회(月夜密會) | |
야금모행(夜禁冒行) |
2. 6. 욕망 (Lust)


그림 | 제목 | 한국어 제목 | 설명 |
---|---|---|---|
과부의 봄의 욕망 | 이부탐춘 (嫠婦耽春) | ||
가을 나무 사이의 아름다운 인연 | 삼추가연 (三秋佳緣) |
위 표는 신윤복의 풍속도 화첩에 수록된 그림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부탐춘은 과부의 봄날의 욕망을, 삼추가연은 가을 나무 사이에서 맺어지는 아름다운 인연을 묘사한다.
3. 각 그림에 대한 상세 설명
그림 한자 제목 제목 쌍검대무(雙劍對舞) 쌍검대무 상춘야흥(賞春野興) 상춘야흥 청금상련(廳琴賞蓮) 청금상련 주유청강(舟遊淸江) 주유청강 납량만흥(納凉漫興) 납량만흥 쌍륙삼매(雙六三昧) 쌍륙삼매 임하투호(林下投壺) 임하투호 기방무사(妓房無事) 기방무사 청루소일(靑樓消日) 청루소일 홍루대주(紅樓待酒) 홍루대주 주사거배(酒肆擧盃) 주사거배 유곽쟁웅(遊廓爭雄) 유곽쟁웅 단오풍정 계변가화 정변야화 노상탁발 표모봉심 무녀신무 연소답청(年少踏靑) 연소답청 휴기답풍(携妓踏楓) 휴기답풍 문종심사(聞鍾尋寺) 문종심사 니승영기(尼僧迎妓) 니승영기 노중상봉(路中相逢) 노중상봉 월야밀회(月夜密會) 월야밀회 계집의 봄 단풍 구경
3. 1. 소년전홍 (少年剪紅)
'''소년전홍'''(少年剪紅)은 신윤복이 그린 조선 시대 풍속화로, 젊은이가 붉은 꽃을 꺾는 모습을 담고 있다.
3. 2. 춘색만원 (春色滿園)
'''춘색만원'''(春色滿園)은 봄기운이 뜰에 가득한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3. 3. 월하정인 (月下情人)
'''월하정인'''(月下情人)은 달빛 아래 연인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화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月沈々夜三更 달 흐릿한 밤 삼경
: 兩人心事兩人知 두 사람의 마음은 두 사람만 알리라
두 번째 글귀는 김명원의 시 월하정인에서 가져온 것이다.
2011년 천문학자 이태형은 초승달 모양의 달이 위를 향하여 볼록할 수가 없다는 점을 들어 이 그림이 월식을 그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신윤복의 활동 시기, ‘삼경’이라는 글귀, 달의 고도, 당시 날씨 기록 등을 근거로 이 그림이 1793년 8월 21일에 일어난 부분월식을 배경으로 그려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4]
3. 4. 야금모행 (夜禁冒行)
'''야금모행'''(夜禁冒行)은 신윤복이 그린 풍속화로, 밤에 몰래 외출하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이다.
4. 혜원풍속도 화첩에 대한 논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단계의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kansong.org/c[...]
[2]
웹사이트
http://kansong.org/c[...]
[3]
웹사이트
http://kansong.org/c[...]
[4]
뉴스
천문학이 밝힌 '월하정인' 제작시점은?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1-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