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길도는 4세기 후반 로마 제국 아프리카 속주의 군사 지도자였다. 그는 로마화된 베르베르인 출신으로, 340년대에 태어나 398년에 사망했다. 길도는 형제 피르무스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황제에게 충성을 다했으며, 테오도시우스 1세에 의해 아프리카 속주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비잔틴 제국에 합류하려다 로마 원로원에 의해 적대시되었고, 형제 마스켈과의 갈등으로 인해 스틸리코의 공격을 받아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길도의 영지는 몰수되었고, 딸 살비나는 로마 황실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빌인 - 지네딘 지단
지네딘 지단은 뛰어난 볼 컨트롤과 창의적인 플레이로 명성을 떨친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감독으로,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과 레알 마드리드에서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수많은 우승을 이끌었고, 은퇴 후에는 레알 마드리드 감독으로서 UEFA 챔피언스리그 3연패라는 기록을 세웠다. - 카빌인 - 유세프 아탈
알제리 출신 축구 선수 유세프 아탈은 라이트백으로 활약하며 파라두 AC와 KV 코르트레이크를 거쳐 OGC 니스에서 프랑스 리그 1에 진출, 알제리 국가대표로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에 기여했으나 2023년 반유대주의 게시물 공유로 논란 및 처벌을 받았다. - 로마 제국의 반란자 - 부디카
부디카는 1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이케니족을 이끌고 로마에 반란을 일으킨 인물이며, 남편의 죽음 이후 로마의 부당한 처사에 분노하여 봉기했으나 와트링 가도 전투에서 패배하고 자결하거나 질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로마 제국의 반란자 - 제노비아
제노비아는 로마 제국 시대 팔미라의 여왕으로, 남편 오데나투스 사후 아들 바발라투스를 내세워 팔미라 제국의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어 이집트와 시리아를 정복하며 세력을 확장했으나 로마 제국에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평가를 받으며 시리아에서는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398년 사망 - 모용보
모용보는 후연의 2대 황제로, 모용수의 아들이었으나 우유부단한 성격과 잦은 실책, 내분으로 후연을 쇠퇴하게 만들었고 재위 2년 만에 암살당했다. - 398년 사망 - 디디모스
디디모스는 4세 때 시력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학문적 재능을 보인 알렉산드리아 출신의 기독교 신학자이자 교사로, 오리게네스의 사상을 계승하고 삼위일체론을 옹호하며 알렉산드리아 교리 학교에서 활동했으나, 사후 일부 저작이 정죄되기도 했지만 동방 정교회에서 맹인 성인으로 칭송받으며 재조명되고 있다.
길도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길도 |
출생 | 아프리카 |
사망 | 398년 |
직업 | 군인 |
군 경력 | |
복무 | 로마 제국 |
계급 | 코메스 아프리카에 (Comes Africae) |
참여 전투 | 길도의 반란 |
2. 어원
"길도"라는 이름은 고대 및 현대 베르베르어 어근 "GLD" 또는 "agellid"에서 유래했을 수 있으며, 이는 족장 또는 왕을 의미한다.[2]
길도는 마우레타니아 카이사리엔시스에서 태어난 로마화된 베르베르인 출신이다. 누벨 왕의 아들이자 피르무스의 형제였다. 375년 피르무스가 발렌티니아누스 1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을 때 황제에게 충성했고, 그 대가로 막대한 재산을 보상받았다. 386년 테오도시우스 1세는 길도를 아프리카 속주의 Comes와 ''Magister utriusque militiae per Africam''으로 임명했다.
3. 생애
테오도시우스 1세 사후, 길도는 로마 시에 곡물 공급을 담당하는 아프리카 속주의 중요성을 이용해 비잔틴 제국에 합류하려 했다. 로마 원로원은 길도를 "국가의 적"으로 선언하고 전쟁을 시작했다. 길도는 형제 마스켈과의 불화로 인해 마스켈이 이끄는 군대에 패배했다. 이후 도망치던 중 타브라카 주민들에게 붙잡혀 398년 7월 31일 처형되거나 자살했다.[2] 그의 패배 후, 길도의 영지는 몰수되어 황실 재산이 되었고, 그 규모가 매우 커서 길도의 재산을 관리하는 직책이 만들어질 정도였다. 길도의 딸 살비나는 플라킬라의 조카 네브리디우스와 결혼하여 로마 황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5]
3. 1. 초기 생애와 배경
길도는 340년대 마우레타니아 카이사리엔시스에서 태어난 로마화된 베르베르인 출신이었다. 그는 누벨 왕(Nubel, ''regulus per nationes Mauricas'')의 아들이었으며, 피르무스의 형제였다. 그의 다른 형제들로는 마스켈, 마주카, 삼마크, 디우스가 있었고, 키리아라는 누이도 있었다.[3]
스테판 그셀의 가설에 따르면, 누벨은 로마 군대의 장교이자 기병대인 에퀴테스 아르미게리 주니어 부대의 지휘관인 플라비우스 누벨과 동일 인물로 추정된다. 이 가설은 나중에 가브리엘 캄프스에 의해 다시 제기되고 발전되었다. 플라비우스 누벨은 아내 논니카(또는 모니카)와 함께 4세기 중반경 진실한 십자가의 유물을 보관하는 바실리카를 건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375년, 피르무스가 발렌티니아누스 1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을 때, 길도는 황제에게 충성을 유지했다. 반란 진압의 대가로 그는 형제에게서 몰수한 막대한 재산을 보상받았다.
386년, 테오도시우스 1세는 길도를 ''아프리카 속주''의 Comes와 ''Magister utriusque militiae per Africam''으로 임명했다. 이는 피르무스의 반란 진압에 테오도시우스 선제를 지원한 것에 대한 보상이었다. 아프리카 속주는 길도에 의해 일종의 독립성을 가지고 통치되었다.
393년 이전, 그는 "아프리카 두 민병대의 백작이자 지휘관"이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공식적인 계급은 ''vir spectabilis''였다.[2]
길도의 가족은 로마 황실과 결혼 관계를 맺고 있었다. 길도에게는 살비나라는 딸이 있었는데, 그녀는 플라킬라의 조카인 네브리디우스와 결혼했다. 플라킬라는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의 첫 번째 부인이었다.[5]
3. 2. 아프리카 속주 사령관
386년, 테오도시우스 1세는 길도를 아프리카 속주의 Comes(총독)이자 ''Magister utriusque militiae per Africam''(아프리카 군사령관)으로 임명했다. 이는 피르무스의 반란 진압에 테오도시우스 선제를 지원한 것에 대한 보상이었다. 이후 아프리카 속주는 길도에 의해 일종의 독립성을 가지고 통치되었다.[2]
393년 이전, 그는 "아프리카 두 민병대의 백작이자 지휘관"이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공식적인 계급은 ''vir spectabilis''(존경받는 자)였다.[2]
테오도시우스 1세의 사망과 그의 아들들인 아르카디우스와 호노리우스가 왕위에 오르면서, 길도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아프리카 속주는 로마 시에 곡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했는데, 이는 제국이 동서로 분할되기 전까지 이집트가 수행했던 역할이었다. 환관 에우트로피우스의 정치적 책략에 의해 선동된 길도는 아르카디우스에게 충성을 맹세함으로써 비잔틴 제국에 합류하려는 생각을 진지하게 품었다. 로마의 곡물 창고를 잃을 가능성은 도시에 내란을 일으켰고, 스틸리코의 호소에 따라 로마 원로원은 길도를 "국가의 적"으로 선언하고 그에 대한 전쟁을 시작했다.
3. 3. 길도의 난
375년, 발렌티니아누스 1세에 대항하여 피르무스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길도는 황제에게 충성을 유지했다. 반란 진압의 대가로 길도는 그의 형제에게서 몰수한 막대한 재산을 보상받았다.[2]
386년, 테오도시우스 1세는 길도를 ''아프리카 속주''의 Comes와 ''Magister utriusque militiae per Africam''으로 임명했는데, 이는 피르무스의 반란 진압에 테오도시우스 선제를 지원한 것에 대한 보상이었다. 아프리카 속주는 길도에 의해 일종의 독립성을 가지고 통치되었다. 393년 이전, 그는 "아프리카 두 민병대의 백작이자 지휘관"이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공식적인 계급은 ''vir spectabilis''였다.[2]
테오도시우스 1세의 사망과 그의 아들들인 아르카디우스와 호노리우스가 왕위에 오르면서, 길도는 아프리카 속주가 로마 시에 곡물 공급을 담당하게 되면서 그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것을 보았다. 환관 에우트로피우스의 정치적 책략에 의해 선동된 길도는 아르카디우스에게 충성을 맹세함으로써 비잔틴 제국에 합류하려는 생각을 진지하게 품었다. 로마의 곡물 창고를 잃을 가능성은 도시에 내란을 일으켰고, 스틸리코의 호소에 따라, 로마 원로원은 길도를 "국가의 적"으로 선언하고 그에 대한 전쟁을 시작했다.
동시에, 길도는 그의 형제 마스켈과 다툼이 있었고, 마스켈은 호노리우스의 궁정으로 도망가야 했다. 길도는 그의 두 아들을 죽임으로써 형제에게 복수했다. 마스켈은 스틸리코에 의해 길도와의 전쟁을 지휘하게 되었고, 최근 에우게니우스의 기치 아래 복무했던 갈리아 베테랑으로 구성된 정예 부대의 지휘를 받았다.[4] 그는 소수의 병력과 함께 아프리카에 상륙하여 대규모 무어인 진영 앞에 진을 쳤다. 우세함에도 불구하고, 길도의 군대는 마스켈 군대의 뛰어난 규율 앞에서 붕괴되었다.
패배 후, 길도는 동로마 제국의 우호적인 해안에 도달하기를 바라며 작은 배를 타고 도망가야 했다. 그러나 불리한 바람은 그 배를 타브라카 항구로 되돌렸고, 그곳의 주민들은 길도를 지하 감옥에 던져 넣음으로써 새로운 충성을 기꺼이 드러냈다. 그러나 마스켈의 군대에 점령되어 그는 체포되었고, 398년 7월 31일에 처형되거나 자살을 강요당했다.[2]
3. 4. 최후
386년, 테오도시우스 1세는 피르무스의 반란 진압에 테오도시우스 선제를 지원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길도를 아프리카 속주의 Comes와 ''Magister utriusque militiae per Africam''으로 임명했다. 이후 아프리카 속주는 길도에 의해 일종의 독립성을 가지고 통치되었다.[2]
테오도시우스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들인 아르카디우스와 호노리우스가 왕위에 오르면서, 길도는 아프리카 속주가 로마 시에 곡물 공급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자 자신의 중요성이 커졌다고 생각했다. 환관 에우트로피우스의 정치적 책략에 의해 선동된 길도는 아르카디우스에게 충성을 맹세하여 비잔틴 제국에 합류하려는 생각을 했다. 로마의 곡물 창고를 잃을 가능성은 도시에 내란을 일으켰고, 스틸리코의 호소에 따라 로마 원로원은 길도를 "국가의 적"으로 선언하고 전쟁을 시작했다.
길도는 그의 형제 마스켈과 다툼이 있었고, 마스켈은 호노리우스의 궁정으로 도망가야 했다. 길도는 그의 두 아들을 죽임으로써 형제에게 복수했다. 마스켈은 스틸리코에 의해 길도와의 전쟁을 지휘하게 되었고, 갈리아 베테랑으로 구성된 정예 부대의 지휘를 받았다.[4] 그는 소수의 병력과 함께 아프리카에 상륙하여 대규모 무어인 진영 앞에 진을 쳤으나, 길도의 군대는 마스켈 군대의 뛰어난 규율 앞에서 무너졌다.
패배 후, 길도는 동로마 제국의 우호적인 해안에 도달하기를 바라며 작은 배를 타고 도망쳤다. 그러나 불리한 바람은 그 배를 타브라카 항구로 되돌렸고, 그곳의 주민들은 길도를 지하 감옥에 던져 넣었다. 마스켈의 군대에 점령되어 그는 체포되었고, 398년 7월 31일에 처형되거나 자살을 강요당했다.[2]
참조
[1]
서적
Harbottle's Dictionary of Battles
https://archive.org/[...]
Granada
1979
[2]
간행물
Gildon. (Gildo)
http://journals.open[...]
Éditions Peeters
2019-10-04
[3]
서적
Prosopography of the Later Roman Empire, Volume I
https://archive.org/[...]
1971-03-02
[4]
Blockquote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5]
서적
Prosopography of the Later Roman Empire, Volume I
https://archive.org/[...]
1971-03-07
[6]
서적
Harbottle's Dictionary of Battles
https://archive.org/[...]
Granada
1979
[7]
서적
Prosopography of the Later Roman Empire, Volume I
1971-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