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렌티니아누스 1세는 364년 2월 니케아에서 황제로 선포된 로마 황제이다. 그는 제국을 동서로 분할하여 동생 발렌스에게 동방을 맡기고 서방을 통치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알레마니족, 콰디족 등 게르만족의 침입에 맞서 갈리아와 게르마니아에서 군사 작전을 펼쳤으며, 브리타니아의 '대 음모'를 진압하고 아프리카 반란을 진압했다. 그는 군사적 능력을 인정받았지만, 폭력적이고 잔혹한 성격을 지녔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21년 출생 - 동진 성제
    동진 성제는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혼란스러운 시기를 겪었지만, 국가 체제 정비와 북방 출병을 시도한 동진의 제3대 황제이다.
  • 375년 사망 - 왕맹
    왕맹은 오호십육국 시대 전진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부견의 신임을 받아 전진의 국력 강화에 기여했으며, 동진 정벌을 유언했으나 부견이 따르지 않아 전진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
  • 375년 사망 - 근초고왕
    근초고왕은 백제의 전성기를 이끈 제13대 국왕으로, 고구려를 상대로 승리하고 마한을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며, 동진 및 왜와 외교 관계를 맺고 왕권 강화와 중앙 집권 체제를 공고히 했다.
  • 빈코브치 출신 - 미르코 필로포비치
    크로캅이라는 링네임으로 알려진 크로아티아 출신의 미르코 필로포비치는 왼발 하이킥을 주 무기로 K-1, PRIDE FC, RIZIN 등에서 그랑프리 우승을 차지하며 이름을 알린 킥복싱 및 종합격투기 선수이자, 은퇴 후 크로아티아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했다.
  • 빈코브치 출신 - 사샤 드라쿨리치
    사샤 드라쿨리치는 세르비아 출신 축구 선수로 K리그에서 "우승 청부사"라는 별명을 얻으며 부산, 수원, 성남에서 K리그 우승 6회, 리그컵 우승 5회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고 1999년 K리그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은퇴 후에는 레스토랑을 운영하고 있다.
발렌티니아누스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금화, 오른쪽을 향하고 있는 왕관을 쓴 남성의 모습
발렌티니아누스의 솔리두스. valentinianus }}라고 적혀 있음
재위 기간364년 2월 26일 – 375년 11월 17일
선임자요비아누스
후임자그라티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2세
공동 황제발렌스 (동방)
출생일321년
출생지판노니아 키발라이 (현재 크로아티아 빈코브치)
사망일375년 11월 17일 (54세)
사망지판노니아 발레리아 브리게티오 (현재 헝가리 스죄니)
배우자마리나 세베라, 유스티나
자녀그라티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2세
갈라
그라타
유스타
왕조발렌티니아누스 가문
아버지그라티아누스 푸나리우스
종교니케아 기독교
전체 이름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상세 정보
라틴어 이름Valentinianus

2. 생애

발렌티니아누스는 판노니아의 밧줄 만드는 집안 출신으로, 어려서 군대에 들어가 아버지와 함께 아프리카에서 복무했다. 그는 병사에서 시작해 높은 계급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이었다. 율리아누스 황제 밑에서 부관으로 있을 때 기독교 신앙 때문에 눈밖에 났다는 이야기가 있다. 363년 율리아누스의 페르시아 원정에 참여했고, 율리아누스가 죽은 뒤 황제가 된 요비아누스는 발렌티니아누스를 진급시켰으나 곧 세상을 떠났다.

요비아누스가 죽은 지 10일 만에, 발렌티니아누스는 니케아(지금의 터키 이즈니크)에서 황제로 선포되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와 3월 28일에 동생 발렌스를 공동 황제로 임명하고 제국의 동부를 맡겼으며, 자신은 서부를 다스렸다. 황제가 된 후, 발렌티니아누스는 계속된 야만족의 침입에 맞서 싸워야 했다. 365년 갈리아에서 알레마니족의 침입으로 로마군이 패하자, 파리에 근거지를 두고 야만족과 싸웠다. 동생 발렌스가 프로코피우스의 반란으로 도움을 요청했을 때, 그는 알레마니족과의 싸움 때문에 병력을 뺄 수 없다고 거절하며 "프로코피우스는 우리 형제만의 적이지만, 알레마니족은 로마 세계 전체의 적이다."라고 말했다.[49]

발렌티니아누스의 장군 요비누스는 알레마니족을 상대로 여러 차례 승리하여 갈리아 지방을 안전하게 했으나, 367년 브리타니아에서 피트족과 스코트족의 침입을 받았다. 그는 갈리아에 있어야 했으므로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테오도시우스 1세의 아버지)에게 브리타니아 원정을 맡겼고, 테오도시우스는 성공적으로 원정을 마쳤다. 이후 발렌티니아누스는 아들의 왕위 계승권을 강화하기 위해 9세인 아들 그라티아누스를 공동 황제로 임명했다. 그는 트리어에서 7년 동안 머물면서 제국의 국경을 안정화시키고 373년 갈리아에서 돌아왔다.

374년 판노니아의 도나우강 건너편에 살던 콰디족이 로마의 요새 건설에 불만을 품고 국경을 침입했다. 이듬해 발렌티니아누스는 콰디족 사절을 만난 자리에서 뇌졸중으로 쓰러져 분노한 채로 죽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군 경력

판노니아의 밧줄 만드는 집안에서 태어난 발렌티니아누스는 어려서 군대에 들어가 아버지와 함께 아프리카에서 복무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일개 병사에서 시작해 혼자 힘으로 상당한 계급까지 승진한 입지전적인 인물이었다. 일설에 의하면 율리아누스 휘하에서 부관으로 있을 때 기독교 신앙을 고집해 율리아누스의 눈밖에 났다고 한다.[8] 그는 363년 율리아누스의 페르시아 원정에 참여했으며, 율리아누스의 전사 이후 황제가 된 요비아누스는 발렌티니아누스를 진급시킨 직후 세상을 떠났다.



발렌티니아누스 1세는 321년 남부 판노니아에 있는 키발라이(현재 빈코브치, 크로아티아)에서 일리리아-로마 출신 가문에서 태어났다. 발렌티니아누스와 그의 동생 발렌스는 레슬링 실력으로 유명했던 군 장교 Gratian the Elder|대 그라티아누스la(푸나리우스라는 별명)의 아들이었다.

대 그라티아누스는 320년대 후반 또는 330년대 초반에 ''코메스 아프리카에''로 승진했고, 어린 발렌티니아누스는 아버지를 따라 아프리카로 갔다. 그러나 그라티아누스는 곧 횡령 혐의를 받아 은퇴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330년대 후반에 군대에 입대했고, 이후 아마도 ''프로텍토르 도메스티쿠스''의 직위를 얻었을 것이다. 대 그라티아누스는 340년대 초에 다시 소환되어 ''코메스 브리타니아에''가 되었다. 이 직책을 맡은 후 그는 키발라이에 있는 가족 영지로 은퇴했다.

350년, 콘스탄스 1세는 찬탈자 마그넨티우스의 대리인에게 암살당했는데, 마그넨티우스는 갈리아에서 스스로를 황제로 선포한 지휘관이었다. 콘스탄스의 형이자 동방의 황제인 콘스탄티우스 2세는 대군을 이끌고 즉시 마그넨티우스를 향해 진군했다. 이듬해 두 황제는 판노니아에서 만나 무르사 마요르 전투를 벌였고, 콘스탄티우스에게 값비싼 승리로 끝났다. 2년 후 마그넨티우스는 몬스 셀레쿠스 전투에서 또 다른 패배를 겪은 후 자살했고, 콘스탄티우스는 제국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다. 이 시기에 콘스탄티우스는 그라티아누스가 판노니아에 있을 때 마그넨티우스를 환대했다는 이유로 그의 재산을 몰수했다. 아버지의 실각에도 불구하고, 발렌티니아누스는 이 시기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이는 그가 찬탈자를 위해 싸웠을 가능성을 낮춘다. 발렌티니아누스가 분쟁 중에 이 지역에 있었던 것은 알려져 있지만, 그가 전쟁에 관여했는지, 관여했다면 어느 정도였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마겐티우스와 콘스탄티우스 간의 갈등으로 인해 알레만니와 프랑크족은 혼란을 틈타 라인강을 건너 여러 중요한 정착지와 요새를 공격했다. 355년, 사촌 갈루스를 폐위시킨 후에도 제국의 위기를 한 황제가 감당하기에는 너무 크다고 느낀 콘스탄티우스는 사촌 율리아누스를 ''카이사르'' 지위로 격상시켰다. 갈리아의 상황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율리아누스는 갈리아의 두 주력 군대 중 적어도 명목상 지휘관이 되었고, 바르바티오가 다른 군대의 지휘관이 되었다. 콘스탄티우스는 율리아누스와 바르바티오가 알레만니를 상대로 핀치 작전을 펼치는 전략을 고안했다. 그러나 알레만니 무리가 율리아누스와 바르바티오를 지나 리옹 (루그두눔)을 공격했다. 율리아누스는 호민관 발렌티니아누스와 바이너보데스를 급습자들이 돌아갈 길을 감시하도록 보냈다. 그러나 그들의 노력은 바르바티오와 그의 호민관 켈라에 의해 방해받았다. 알레만니 왕 크노도마리우스는 이 상황을 이용하여 로마인을 공격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바르바티오는 콘스탄티우스에게 불만을 제기했고, 참패는 발렌티니아누스와 바이너보데스의 탓으로 돌려 그들은 군대에서 해임되었다.

경력이 망가진 발렌티니아누스는 시르미움에 있는 새로운 가족 영지로 돌아갔다. 2년 후 그의 첫 번째 아내 마리나 세베라는 아들 그라티아누스를 낳았다. 다신교도 율리아누스의 단독 통치 기간 동안 발렌티니아누스의 행적과 거처는 불확실하지만, 그는 망명했을 가능성이 높다.

2. 2. 황제 즉위와 제국 분할

발렌티니아누스는 364년 2월 26일에 황제로 추대되었다.[11] 즉위 연설을 준비하면서 군인들은 그의 충성심에 대해 확신이 없는 듯 봉기를 위협했지만, 발렌티니아누스는 군대가 그의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임을 그들에게 안심시켰다. 암미아누스에 따르면, 군인들은 발렌티니아누스의 대담한 태도와 황제의 권위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모습에 놀랐다고 한다. 그는 또한 후계 위기를 막기 위해 공동 황제(아우구스투스)를 선택했는데, 아마도 제국의 동부 지역의 민간 관료들에게 그들의 이익을 보호할 황제의 권위를 가진 사람이 있을 것이라는 안심을 주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12]

발렌티니아누스와 발렌스가 발렌스의 ''솔리두스'' 뒷면에 즉위하는 모습, (''우리 아우구스투스의 승리'')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들은 힘의 상징인 보주를 함께 들고 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364년 3월 28일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그의 동생 발렌스를 공동 황제(아우구스투스)로 선택했다.[11] 이 결정은 ''기병대장''인 다갈라이푸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다. 암미아누스는 발렌스가 그의 형제에게 종속되었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형제는 니사에서 분할을 논의하여 형 발렌티니아누스는 서방 제국(이탈리아, 일리리쿰, 히스파니아, 갈리아, 브리타니아, 아프리카)을, 동생 발렌스는 동방 제국(발칸 반도 동쪽 절반, 그리스, 이집트, 시리아, 소아시아, 페르시아)을 차지했다. 364년의 남은 기간은 행정 업무와 군사 지휘권을 위임하는 데 사용되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다갈라이푸스의 서비스를 유지하고 아에키티우스를 ''일리리쿰 백작''으로 승진시켰다. 발렌스는 오리엔스 행정관구를 받았고, 총독 살루티우스가 통치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이탈리아 관구, 갈리아 관구, 일리리쿰 관구를 장악했다. 발렌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 거주했고, 발렌티니아누스의 궁정은 밀라노 (메디올라눔)에 위치했다.

2. 3. 갈리아와 게르마니아에서의 군사 작전

365년에 알레마니족이 라인강을 건너 갈리아를 침략했다. 같은 해 11월 1일, 발렌티니아누스는 파리로 가는 길에 이 소식을 들었다. 그는 다갈라이푸스를 알레마니족과의 전투에 파견했다.[15] 측근과 갈리아 주요 도시 대표단은 발렌티니아누스에게 갈리아를 보호해 달라고 요청했고, 그는 요청을 받아들여 알레마니족과 싸우기로 결정했다.[16][17]

발렌티니아누스는 두로코르토룸으로 이동하여 장군 카리에토와 세베리아누스를 침략자들에게 보냈으나, 두 장군은 패배하고 전사했다.[18][19] 366년에는 다갈라이푸스가 요비누스로 교체되었다.[20] 요비누스는 뫼즈 강을 따라 여러 차례 승리한 후, 샬론 근처에서 알레마니족과 치열한 전투를 벌여 승리하고 그들을 갈리아 밖으로 몰아냈다.[21] 요비누스는 이 공로로 이듬해 집정관직을 받았다.[22]

367년 초, 브리타니아와 북부 갈리아의 위기로 인해 발렌티니아누스는 알레마니족에 대한 원정을 연기했다. 알레마니족은 다시 라인강을 건너 모군티아쿰을 약탈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알레마니 지도자 비티카비우스의 암살을 성공적으로 주선했지만, 알레마니족을 완전히 제압하기를 원했다. 367년 겨울, 그는 봄 공세를 위해 대규모 군대를 모았다. 368년 봄, 발렌티니아누스는 여덟 살 된 아들 그라티아누스와 함께 군대를 이끌고 라인강과 마인 강을 건너 알레마니족 영토로 들어갔다. 발렌티니아누스는 솔리시니움 전투에서 알레마니족과 싸워 승리했지만[23] 로마군은 막대한 사상자를 냈다.[24] 임시 평화가 이루어졌고 발렌티니아누스는 겨울을 보내기 위해 트리어로 돌아갔다.[25] 369년, 발렌티니아누스는 라인강 서쪽 제방 전체에 새로운 방어 시설을 건설하고 오래된 구조물을 보수하도록 명령했다.[26] 그는 하이델베르크 근처 산맥에 라인강을 가로지르는 요새 건설을 명령했다.[27] 알레마니족은 항의 사절을 보냈지만 묵살당했고, 건설 중인 요새를 공격하여 파괴했다.[28]



370년에 작센족은 북부 갈리아를 다시 공격했다. ''코메스'' 난니에누스는 세베루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몇 차례 작은 성공 후 휴전이 선언되었고, 작센족은 로마 군대에 복무할 젊은이들을 고향으로 돌려보내는 대가로 넘겨주었다. 그러나 로마군은 그들을 매복하여 침략군 전체를 파괴했다.[30]

발렌티니아누스는 알레마니족의 앙숙인 부르군디족에게 알레마니 족장 마크리아누스를 공격하도록 설득하려 했다. 발렌티니아누스가 부르군디 사절을 만나 로마의 지원을 직접 약속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협상은 결렬되었다. 그러나 부르군디족과의 로마 동맹 소문은 알레마니족을 흩어지게 했다. 테오도시우스는 레티아를 통해 알레마니족을 공격했고, 포로들은 이탈리아의 포 강 계곡에 정착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372년에 테오도시우스에 의해 겨우 생포될 뻔했던 마크리아누스를 격파하기 위해 4년 더 원정을 벌였지만 실패했다. 그는 로마에 우호적인 알레마니족으로부터 계속 대규모로 징집했다. 알레마니 왕 프라오마리우스는 호민관 직위를 받았고, 372~373년에 보강 군대와 함께 브리타니아로 보내졌다. 귀족 비테리디우스와 호르타리우스는 발렌티니아누스 군대의 지휘관이 되었지만, 호르타리우스는 마크리아누스와 공모한 혐의로 처형되었다. 374년, 발렌티니아누스는 콰디족과 사르마티아족의 일리리쿰 침공을 막기 위해 마크리아누스와 평화 조약을 맺었다.

2. 4. 브리타니아의 "대음모" 진압

367년, 대 음모(The Great Conspiracy)로 알려진 사건들이 로마의 브리타니아 지배를 위협했다. 픽트족, 아타코티족, 스코트족 연합군이 지역을 공격하여 ''작센 해안 사령관''(Comes litoris Saxonici) 넥타리두스(Nectaridus)와 ''브리타니아 공작''(Dux Britanniarum) 풀로파우데스(Fullofaudes)를 살해했다.[49] 동시에 프랑크족과 작센족 군대가 북부 갈리아의 해안 지역을 습격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브리타니아로 출발하여, 조사하기 위해 ''친위대 사령관''(Comes domesticorum) 세베루스를 먼저 보냈다. 세베루스는 상황을 바로잡지 못하고 갈리아로 돌아와 사마로브리바(Samarobriva)에서 발렌티니아누스를 만났다. 발렌티니아누스는 이후 요비누스를 브리타니아로 보냈고, 세베루스를 ''보병대장''(magister peditum)으로 승진시켰다. 이때 발렌티니아누스가 병에 걸려 세베루스(군대의 대표)와 루스티쿠스 율리아누스(''기억대장''(magister memoriae)이자 갈리아 귀족의 대표) 사이에 계승을 위한 다툼이 벌어졌다. 발렌티니아누스가 회복하고 아들 그라티아누스를 서부의 공동 아우구스투스로 임명하면서 갈등은 사라졌다. 암미아누스는 이러한 행동이 전례가 없다고 언급했다. 요비누스는 더 많은 병력이 상황을 처리하는 데 필요하다고 말하며 빠르게 돌아왔다. 368년, 발렌티니아누스는 테오도시우스를 새로운 ''브리타니아 사령관''(Comes Britanniarum)으로 임명하고 브리타니아를 로마의 지배로 되돌리라는 지시를 내렸다. 한편, 세베루스와 요비누스는 알라마니에 대한 황제의 원정에 동행하게 되었다.

테오도시우스는 368년에 바타비족(Batavi), 헤룰리, 요비족 및 빅토레스 군단과 함께 도착했다. 루투피아(Rutupiæ)에 상륙하여 런던(Londinium)으로 진격하여 남부 브리타니아에 질서를 회복했다. 이후 그는 원래 브리타니아에 주둔했던 나머지 수비대를 소집했는데, 풀로파우데스와 넥타리두스가 패배했을 때 부대들이 결속력을 잃은 것이 분명했다. 테오도시우스는 새로운 교구장(vicarius)으로 시빌리스(Civilis)를 임명하고 추가 장군으로 둘키티우스(Dulcitius)를 임명하기 위해 소환했다.

369년, 테오도시우스는 런던 북쪽 지역을 재정복하기 시작하여 발렌티누스 (교구장(vicarius)인 막시미누스의 매형)의 반란을 진압했다. 그 후 테오도시우스는 브리타니아의 나머지 지역을 제국에 반환하고 많은 요새를 재건했으며, 북부 브리타니아의 이름을 '발렌티아(Valentia)'로 변경했다. 369년에 돌아온 후 발렌티니아누스는 테오도시우스를 요비누스 대신 ''기병대장''(magister equitum)으로 승진시켰다.

2. 5. 아프리카 반란 진압과 다뉴브 강 방어

372년, 아직 황폐했던 아프리카 속주에서 피르무스의 반란이 발발했다.[31] 이 반란은 ''코메스'' 로마누스의 부패로 인해 촉발되었다. 로마누스는 아프리카의 모리족 공작이자 로마의 주요 고객인 누벨의 적자와 서자 사이의 살인적인 분쟁에서 어느 한쪽 편을 들었다. 로마누스가 공금을 사적으로 유용하고 사막 유목민으로부터 속주를 방어하지 못한 것에 대한 불만이 일부 속주민의 반란을 야기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제국 통치를 회복하기 위해 테오도시우스를 파견했다. 이후 2년 동안 테오도시우스는 로마누스의 범죄를 밝혀내 그와 지지자들을 체포하고, 피르무스와 그를 지원하는 아반니 및 카프라리엔세스와 같은 아프리카 부족들을 격파했다.[31]

373년, 상부 다뉴브 강에 거주하는 게르만어를 사용하는 민족인 콰디와의 적대 행위가 발생했다. 알레마니족과 마찬가지로 콰디족은 발렌티니아누스가 그들의 영토에 요새를 건설하는 것에 분노했다. 그들은 불만을 제기했고, 그 문제를 발렌티니아누스에게 보고하겠다고 약속한 ''일리리쿰 군사령관'' 아에키티우스에게 사절을 보냈다. 그러나 점점 더 영향력이 커진 갈리아의 프라이토리아니우스[총독] 막시미누스는 문제를 아에키티우스의 탓으로 돌렸고, 그의 아들 마르켈리아누스를 승진시켜 공사를 마무리하게 했다.[32] 콰디 지도자들의 항의가 계속되어 공사가 지연되었고, 그들의 항의를 종식시키기 위해 마르켈리아누스는 평화적인 협상을 위해 마련된 연회에서 콰디 왕 가비니우스를 살해했다. 이로 인해 콰디족은 동맹인 사르마티아족과 함께 전쟁을 일으켰다. 가을 동안 그들은 다뉴브 강을 건너 판노니아 발레리아 속주를 약탈하기 시작했다. 약탈자들은 요새화된 도시를 침투하지 못했지만, 보호받지 못한 시골 지역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두 개의 군단이 파견되었지만, 협력에 실패하여 사르마티아족에게 격파되었다. 한편, 사르마티아족의 또 다른 무리가 모이시아를 침공했지만, 테오도시우스의 아들인 ''모이시아 공작''이자 훗날 황제인 테오도시우스에 의해 격퇴되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374년 말까지 이러한 위기에 대한 소식을 접하지 못했다. 다음 해 봄 그는 트리어에서 출발하여 카르눈툼에 도착했는데, 그곳은 버려진 상태였다. 그곳에서 그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용서를 구하는 사르마티아 사절을 만났다. 발렌티니아누스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조사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겠다고 대답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마르켈리아누스의 배신 행위를 무시하고 콰디족을 처벌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세바스티아누스와 메로바우데스와 동행하여, 여름 동안 군사 작전을 준비했다. 가을에 그는 아퀴쿰에서 다뉴브 강을 건너 콰디족 영토로 들어갔다.[33] 콰디족 영토를 아무런 저항 없이 약탈한 후, 사바리아로 물러나 겨울을 보냈다.[34]

3. 평가와 유산

현대 역사가 A.H.M. 존스는 발렌티니아누스 1세가 황제 자리에 오르기 위한 경쟁자보다 "덜 촌스러웠지만", "폭력적이고 잔혹한 성격을 가지고 있었고, 스스로 교양 있는 사람이 아닐 뿐만 아니라 교양 있는 사람에게 적대적이었다"고 평가했다.[36] 암미아누스에 따르면, "그는 옷을 잘 차려 입고, 교육받고, 부유하고, 명문가 출신인 사람들을 증오했다."고 한다. 발렌티니아누스 1세가 문맹 야만인이라고 묘사하여 그를 비방하려는 적들이 로마에 있었지만, 암미아누스는 발렌티니아누스 1세가 즉흥적인 웅변술을 갖추고 있었고, 여가 시간에는 황제가 "우아한 화가이자 조형가 [즉, 조각가]였고, 새로운 종류의 [무기]를 발명했다"고 인정한다.[36] 그는 당대 최고의 라틴 학자인 아우소니우스를 아들 그라티아누스의 가정교사로 임명하여,[37] 그가 스스로는 누리지 못했던 고전 교육에 대한 감사를 표했다.

발렌티니아누스 1세는 유능한 군인이자 양심적인 행정가였으며, 그의 아버지처럼 낮은 계층의 복지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학교를 설립했고, 로마의 14개 구역에 각각 의사를 임명하여 로마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의료 지원을 제공했다.[38] 그는 또한 콘스탄티누스 1세의 영아 살해를 사형으로 처하는 칙령을 재발행했다.[39]

그러나 발렌티니아누스 1세의 선한 의도는 종종 잘못된 각료 선택과 "모든 증거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장점에 대한 완고한 믿음"으로 인해 좌절되기도 했다.[40] 그의 관대한 칙령은 사생활에서 놀라운 잔혹함과 야만성으로 상쇄되었다. 그는 사소한 혐의로 하인과 시종을 처형하는 경우가 많았고, 희생자들을 '미카 아우레아'(황금 조각)와 '이노센스'라는 두 마리의 곰에게 먹이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 철제 우리를 황제가 가는 곳마다 운반했다. 마침내 "이노센스"는 자신의 직무를 충실히 수행한 것으로 여겨져 발렌티니아누스 1세의 호의 속에서 그녀의 고향으로 풀려났다.[41]

발렌티니아누스 1세는 기독교인이었지만, 특정 형태의 희생과 마법의 금지 등 일부 형태의 의식을 제외하고 모든 백성에게 자유로운 종교의 자유를 허용했다. 그는 기독교 문제에서 성직자들의 증가하는 부와 세속성에 반대하는 칙령을 발표했다. 교황 다마수스 1세를 통해 발행된 새로운 법률은 성직자에게 유산을 부여하는 것을 금지했고, 다른 법률은 성직자 계급의 구성원이 재산 때문에 져야 할 공적 의무를 이행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재산을 포기해야 한다고 규정했다.[42][38]

소크라테스 스콜라스티쿠스는 자신의 저서 《교회사》에서 발렌티니아누스 1세를 일부다처제로 묘사하기도 한다. 이 텍스트에 따르면, 발렌티니아누스 1세는 아내 마리나 세베라가 친구 유스티나의 아름다움을 칭찬하는 것을 듣고, 세베라와 헤어지지 않고 유스티나와 결혼하기 위해 모든 사람이 두 명의 합법적인 아내를 둘 수 있다는 법률을 제정하고 공포했다.[43] 그러나 이 이야기는 소크라테스에게서만 알려져 있으며, 일부다처제를 허용하는 황제의 칙령에 대한 다른 기록은 없다. 발렌티니아누스 1세와 세베라는 로마법에서 허용된 이혼을 했을 수 있다( 고대 로마의 결혼 참조).[44] 그러나 이혼은 기독교인들에게 인정되지 않았기 때문에,[45] 소크라테스는 그를 경멸하며 중혼자라고 묘사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소크라테스는 아리우스파인 유스티나를 다른 종교에 대한 흔한 비방인 간통으로 비난하려 했을 가능성도 있다. 요한 말라라스의 《연대기 파스칼》과 니키우의 요한에 따르면, 유스티나와 관계를 맺기 전에 황후 세베라는 불법적인 거래를 한 혐의로 발렌티니아누스 1세에 의해 추방되었다. 반스는 이 이야기가 황제를 비난하지 않고 발렌티니아누스 1세의 이혼을 정당화하려는 시도라고 본다.[46]

참조

[1] 서적 Consuls of the Later Roman Empire American Philological Association
[2] 간행물 Flavius: a Nicety of Protocol https://www.jstor.or[...] 1988
[3] 간행물 Tables analytiques de la revue des publications épigraphiques https://www.jstor.or[...] 1949
[4] 웹사이트 Valentinian I https://museum.class[...]
[5] 문서 Catalogue of the Roman Portraits III; Ny Carlsberg Glyptotek Copenhagen 1995
[6] 서적 Emperors and Emperorship in Late Antiquity: Images and Narratives https://books.google[...] Brill 2021
[7] 웹사이트 LSA-578 (J. Lenaghan) http://laststatues.c[...]
[8] 서적 The Prosopography of the Later Roman Empire, Vol. I: AD 260–39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1
[9]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The Modern Library 1932
[10] 웹사이트 Discussion: Colossal bronze statue of emperor in cuirass. Probably from Constantinople (now in Barletta). Late fourth to fifth century [LSA-441] http://laststatues.c[...] University of Oxford
[11] 서적 Philological and historical commentary on Ammianus Marcellinus: XXVI https://books.google[...] Brill
[12] 서적 The Roman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18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Res Gestae
[16] 문서 Res Gestae
[17] 문서 Res Gestae
[18] 문서 Res Gestae
[19] 문서 Res Gestae
[20] 문서 Res Gestae
[21] 문서 Res Gestae
[22] 문서 Res Gestae
[23] 문서 Res Gestae
[24] 문서 Res Gestae
[25] 문서 Res Gestae
[26] 문서 Res Gestae
[27] 문서 Res Gestae
[28] 문서 Res Gestae
[29] 웹사이트 LSA-582 (J. Lenaghan) http://laststatues.c[...]
[30] 문서 Apex Omnium: Religion in the Res Gestae of Ammianus, The Prosopography of the Later Roman Empire Vol. I 1987, 1971
[31] 서적 Encyclopédie berbère
[32] 문서
[33] 문서 Res Gestae
[34] 문서 Res Gestae
[35] 서적 The Tragedy of Empire: From Constantine to the Destruction of Roman Italy Harva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Loeb Classical Library: Ammianus Marcellinus, III Harvard University Press and William Heinemann Ltd. 1972
[37] 간행물 Ausonius and Juvenal 1973
[38] 백과사전 Valentinian I.
[39] 서적 (제목 정보 없음)
[40] 서적 The Later Roman Empire, 284–602: A Social, Economic and Administrative Survey Johns Hopkins University 1986
[41] 기타 Res Gestae
[42] 서적 (제목 정보 없음)
[43] 기타 Translated by A.C. Zenos Christian Literature Publishing Co. 1890
[44] 서적 A Casebook on Roman Family Law OUP US 2003
[45] 기타 Matthew 19, 4–6
[46] 간행물 Ammianus Marcellinus and the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Reality 1998
[47] 서적 Roman Coins Thames and Hudson 1978
[48] 서적 Loeb Classical Library: Ammianus Marcellinus, III Harvard University Press and William Heinemann Ltd. 1972
[49] 서적 비잔티움 연대기:제1권 창건과 혼란 바다출판사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