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주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길주로는 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에서 시작하여 부평구와 부천시를 거쳐 서울특별시 신정로와 연결되는 도로이다. 2004년 천마터널 개통 이후 2009년 7월 10일 길주로로 명칭이 고시되었다. 부평에서 부천, 서울로 출퇴근하는 차량 증가에 따른 교통난 해소를 위해 개설되었으며, 고려 시대 부천과 부평 지역의 고을 이름인 '길주'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서구, 부평구, 부천시가 있으며, 봉수대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등과 교차한다. 석남역, 부평구청역 등 수도권 전철역들이 지나며, 원적산터널, 굴포천역 지하차도 등의 시설이 있다. 신석체육공원, 부평우체국, 부천시청, 롯데마트 등 주요 건물 및 시설이 길주로 주변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천시의 도로 - 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과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을 잇는 총 8차로의 고속도로로, 일부 구간의 고속도로 지정 해제 및 관리권 이관으로 현재 총연장 13.44km이며 서울, 인천, 경기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시설이지만 신월 나들목 부근은 상습 정체 구간이다. - 부천시의 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 인천 부평구의 교통 - 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과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을 잇는 총 8차로의 고속도로로, 일부 구간의 고속도로 지정 해제 및 관리권 이관으로 현재 총연장 13.44km이며 서울, 인천, 경기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시설이지만 신월 나들목 부근은 상습 정체 구간이다. - 인천 부평구의 교통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는 서울 수도권 지역을 순환하는 총연장 128.02km의 고속도로로, 1988년 건설을 시작하여 단계적인 확장과 노선 변경을 거쳐 2007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일부 민자 구간은 개방식 요금소를 통해 통행료를 징수하고 경기순환버스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다. - 인천 서구의 교통 - 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과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을 잇는 총 8차로의 고속도로로, 일부 구간의 고속도로 지정 해제 및 관리권 이관으로 현재 총연장 13.44km이며 서울, 인천, 경기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시설이지만 신월 나들목 부근은 상습 정체 구간이다. - 인천 서구의 교통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약 263.4km의 고속도로로, 민간투자 및 국가재정 사업으로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 중이며 일부 구간은 2009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었고 일부는 2020년대 후반 완공 예정이다.
길주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도로 정보 | |
도로 종류 | 인천광역시도 부천시도 |
아이콘 | |
노선명 | 길주로 |
노선 번호명 | 부천시도 4호선의 일부 인천광역시도 제32호선의 일부 |
총 연장 | 14.428km |
기점 | 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 |
주요 경유지 | 인천광역시 경기도 부천시 |
종점 |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성곡동 |
주요 교차 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마장로, 안남로 부평대로, 주부토로, 장제로 수변로, 상동로, 송내대로 석천로, 중동로, 신흥로 부천로, 소사로, 역곡로 |
2. 역사
- 2004년 6월 23일 : 천마터널(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 ~ 부평구 산곡동) 2.3km 구간 개통[1]
- 2009년 7월 10일 :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길주로'''를 고시
2. 1. 개통 및 명칭 변경
- 2004년 6월 23일 : 천마터널(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 ~ 부평구 산곡동) 2.3km 구간 개통[1]
- 2009년 7월 10일 :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길주로'''를 고시
3. 특징
길주로는 부평에서 부천이나 서울로 출퇴근 하는 차량의 증가와 대규모 택지지구의 잇따른 입주에 따른 교통난을 해결하기 위해 개설된 도로이다.[2] 과거 길주로의 부천구간은 계남큰길, 인천구간은 길주로라고 불렸으나, 2009년 7월 10일부터 도로명 정비로 길주로라는 명칭으로 통일되었다.[2] 길주라는 명칭은 고려 충렬왕 때 부천과 부평 지역의 고을 이름이 '길주'였던 것을 반영한 것이다.[2] 작동터널을 지나서 서울특별시 시계를 지나면 신정로와 직결된다.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연장 구간인 까치울역~부평구청역 구간이 이 도로의 지하를 지난다.
4. 주요 경유지
5. 노선
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에서 봉수대로와 교차하며 시작하여, 부평구를 지나 부천시 원미구를 거쳐 신정로와 직결되는 도로이다.[3]
주요 교차 도로는 봉수대로, 염곡로, 가정로, 가남로, 서달로, 마장로, 안남로, 원길로, 부평대로, 주부토로, 장제로, 수변로, 상동로, 송내대로, 석천로, 중동로, 신흥로, 옥산로, 부천로, 원미로, 소사로, 까치로, 역곡로 등이 있다.[3]
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와 중동 나들목에서 교차한다.[3]
원적산터널 구간은 서울 방면 연장 1,040m, 인천 방면 연장 1,026m이다.[3] 원적산터널에는 본선요금소가 있다.[3]
석남역, 산곡역, 부평구청역, 굴포천역, 상동역, 부천시청역, 신중동역, 춘의역, 부천종합운동장역, 까치울역 등 수도권 전철 역들을 지난다.[3]
석남제1고가교, 굴포천역지하차도, 상동지하차도, 무지개고가도로, 계남고가도로, 당아래지하차도, 작동터널 등의 고가/지하차도가 있다.[3]
6. 주요 건물 및 시설
신석체육공원(인천광역시 서구 길주로 39)과 부평우체국(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 415)이 있다. 부평세림병원(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 510)과 인천부평경찰서(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 511)가 위치해 있다. 서울 지하철 7호선 부평구청역(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 지하527)과 인천여성문화회관(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 539)이 있다. 롯데마트 삼산점(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 623)과 삼산체육관역(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 지하713)이 있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 한국만화박물관, 야인시대캠핑장문화동산(경기도 부천시 길주로 1)과 상동호수공원(경기도 부천시 길주로 16)이 있다. 상동역(경기도 부천시 길주로 지하104)과 세이브존 부천상동점(경기도 부천시 길주로 105)이 있다. 홈플러스 부천상동점(경기도 부천시 길주로 118)과 석남역(인천광역시 서구 길주로 지하120)이 있다. 현대백화점 및 현대백화점유플렉스 중동점(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180)과 이마트 중동점(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188)이 있다.
부천시청역(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지하202)과 부천시청(경기도 부천시 길주로 210)이 있다. 홈플러스 중동점(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297)과 롯데백화점 중동점(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300)이 있다. 신중동역(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지하314)과 옥산초등학교(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327)가 있다. 부천고용센터(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351)와 춘의역(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지하406)이 있다. 부천종합운동장역(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지하502)과 부천상록학교(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574)가 있다. 까치울역(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지하626)과 부천식물원, 부천자연생태공원(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660)이 있다.
7.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인천광역시공고 제2004-386호
http://www.incheon.g[...]
2004-06-07
[2]
간행물
부천시고시 제2011-66호
http://www.bucheon.g[...]
2011-07-29
[3]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