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는 경기도 성남시에서 시작하여 순환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1988년 판교 ~ 구리 구간 지정 및 착공을 시작으로, 1999년 김포 ~ 서운 구간과 장수 ~ 산본 구간 개통으로 전 구간이 연결되었다. 이후 노선 확장, 노선 번호 변경 등의 변화를 거쳐 2020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에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총 연장 128.02km이며, 하남 분기점 ~ 강일 나들목, 일산 나들목 ~ 자유로 나들목 구간은 왕복 10차로, 나머지 구간은 왕복 8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제한 속도는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이며, 다양한 나들목, 분기점, 터널, 교량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왕시의 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광역시에서 성남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46.75km의 제2경인고속도로는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 남부를 잇는 중요한 교통축이나, 대형 사고와 교통 정체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의왕시의 도로 - 경수대로
경수대로는 경기도 수원시에서 안양시를 지나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이어지는 주요 도로로, 경기대로와 직결되어 수도권 남부 교통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변에 수원종합운동장과 같은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군포시의 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 군포시의 도로 - 경수대로
경수대로는 경기도 수원시에서 안양시를 지나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이어지는 주요 도로로, 경기대로와 직결되어 수도권 남부 교통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변에 수원종합운동장과 같은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 하남시의 도로 - 중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는 경기도 하남시에서 충청북도 청주시를 잇는 총연장 117.2km의 고속도로로, 1985년 착공되어 1987년 서울~대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1년에 고속국도 노선번호 35호선으로 변경되었고, 구간별로 왕복 4차로와 8차로로 운영된다. - 하남시의 도로 - 세종포천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을 잇는 총 144.6km의 고속도로로, 구리~포천 구간은 개통되었고 세종~구리 구간은 건설 중이며, 건설 초기 명칭 및 노선 관련 논란이 있었고 현재는 구리~포천 구간은 서울북부고속도로주식회사가, 세종~구리 구간은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한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번호 | 100 |
다른 이름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로마자 표기 | Sudogwon je1sunhwan gosokdoro |
한자 표기 | 首都圈第一循環高速道路 |
총 연장 | 128.02 km |
개통일 | 1987년 12월 3일 (하남 ~ 강일) 1991년 10월 31일 (판교 ~ 하남) 1991년 11월 29일 (강일 ~ 남양주) 1992년 12월 10일 (남양주 ~ 구리) 1994년 2월 4일 (구리 ~ 퇴계원) 1995년 7월 20일 (학의 ~ 판교) 1995년 12월 28일 (평촌 ~ 학의) 1996년 10월 31일 (산본 ~ 평촌) 1997년 11월 3일 (자유로 ~ 김포) 1998년 7월 24일 (서운 ~ 장수) 1999년 11월 26일 (김포 ~ 서운, 장수 ~ 산본) 2001년 9월 11일 (일산 ~ 자유로) 2006년 6월 30일 (송추 ~ 일산, 퇴계원 ~ 의정부) 2007년 12월 28일 (사패산터널) |
방향 | 순환 |
관리 기관 | 한국도로공사 |
주요 도시 | 성남시 하남시 구리시 의정부시 고양시 김포시 인천광역시 부천시 시흥시 안양시 |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종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주요 경유지 | 경기도 성남시 서울특별시 송파구 경기도 하남시 서울특별시 강동구 경기도 구리시 경기도 남양주시 서울특별시 노원구 경기도 의정부시 경기도 양주시 경기도 고양시 경기도 김포시 인천광역시 계양구 인천광역시 부평구 경기도 부천시 인천광역시 남동구 경기도 시흥시 경기도 안산시 경기도 안양시 경기도 군포시 경기도 의왕시 |
연결 도로 | |
주요 교차 도로 | 경부고속도로 (AH 1) 서해안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
기타 정보 | |
인터체인지 수 | 33 |
2. 역사
1988년 판교 분기점~퇴계원 나들목 구간 건설을 시작으로, 1991년 해당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후 1992년부터 산본 나들목, 장수 나들목, 신평 나들목~김포 나들목 구간 등 여러 구간의 공사가 순차적으로 시작되었다.
1995년 판교 분기점~산본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고, 1997년에는 신평 나들목~김포 나들목, 1998년에는 서운 분기점~장수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다. 1999년에는 장수 나들목~산본 나들목 구간과 김포 나들목~서운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1년 신평 나들목~일산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6년에는 송추 나들목~일산 나들목, 퇴계원 나들목~의정부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7년 의정부 나들목~송추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다.[49][50]
2010년 도리 분기점이, 2015년 호원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2020년에는 도로명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변경되었다.[77]
2. 1. 1988년 ~ 1999년: 초기 건설 및 개통
1988년한국어 1월 14일, 경기도 성남시 삼평동에서 구리시 인창동 구간이 "고속국도 제11호선 판교 ~ 구리고속도로(판교 ~ 구리선)"으로 지정되었다.[2] 같은 해 2월, 판교 분기점 ~ 하남 분기점 및 하일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다.[3]1991년한국어 7월 25일, 중부고속도로 일부 구간이 편입되면서 종점이 구리시 인창동에서 남양주시 퇴계원으로 연장되었고, "고속국도 제101호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로 노선명이 변경되었다.[4] 같은 해 10월 31일, 판교 분기점 ~ 하남 분기점 구간 19.3km가 개통되었고,[6] 11월 29일에는 하일 나들목 ~ 남양주 나들목 구간 4.2km가 개통되었다.[7] 12월에는 판교 분기점 ~ 산본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다.
1992년한국어 4월 29일, 종점이 남양주시 퇴계원면에서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으로 연장되면서 순환선 형태의 노선으로 변경되었다.[9] 5월에는 장수 나들목 ~ 서운 분기점 구간이, 12월에는 신평 나들목 ~ 김포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다. 또한, 12월 10일에는 남양주 나들목 ~ 구리 나들목 구간 2.3km가 개통되었다.[11]
1994년한국어 2월 4일, 구리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구간 2.7km가 개통되었고,[12] 10월 1일에는 토평 나들목이 개통되었다.[13]
1995년한국어 6월, 산본 나들목 ~ 장수 나들목 및 서운 분기점 ~ 김포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다. 7월 20일에는 판교 분기점 ~ 학의 분기점 구간 8.8km가 개통되었고,[16] 12월 28일에는 평촌 나들목 ~ 학의 분기점 구간 3.3km가 개통되었다.[17]
1996년한국어 10월 31일, 산본 나들목 ~ 평촌 나들목 구간 3.3km가 개통되었다.[18]
1997년한국어 5월 2일, 신평 나들목 ~ 일산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다. 11월 3일에는 김포대교를 포함한 신평 나들목 ~ 김포 나들목 구간 3.5km가 개통되었다.[23]
1998년한국어 7월 24일, 서운 분기점 ~ 장수 나들목 (부천고가교) 8.0km 구간이 개통되었다.[29]
1999년한국어 11월 26일, 김포 나들목 ~ 서운 분기점 7.8km 구간 및 장수 나들목 ~ 산본 나들목 21.3km 구간이 개통되었다.[34]
2. 2. 2000년 ~ 현재: 확장 및 노선명 변경
- 2000년 1월 1일 : 하일 나들목이 강일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35]
- 2000년 11월 21일 : 노오지 분기점 개통
- 2001년 5월 1일 : 하남 분기점 ~ 강일 나들목 5.32km 구간 확장 개통[36]
- 2001년 6월 30일 : 퇴계원 나들목 ~ 일산 나들목 구간 착공
- 2001년 8월 25일 : 노선번호를 제101호에서 '''제100호'''로 변경.[37]
- 2001년 9월 11일 : 신평 나들목 ~ 일산 나들목 구간 개통[38]
- 2001년 9월 21일 : 판교 분기점 ~ 성남 나들목 왕복 8차로 확장 개통
- 2002년 12월 10일 : 성남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왕복 8차로 확장 개통
- 2006년 : 신평 나들목이 자유로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
- 2006년 6월 30일 : 송추 나들목 ~ 일산 나들목 18.3km 구간, 퇴계원 나들목 ~ 의정부 나들목 10.5km 구간 개통[45]
- 2007년 12월 28일 : 의정부 나들목 ~ 송추 나들목 7.5km 구간 개통, 전 구간 완전 개통[49][50]
- 2009년 7월 15일 : 서울양양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강일 나들목이 분기점으로 변경. 단, 명칭 혼동을 피하기 위해 명칭은 나들목으로 유지
- 2010년 5월 3일 : 제3경인고속화도로 개통과 함께 도리 분기점 개통[55]
- 2010년 12월 13일 : 부천고가교 하부에서 발생한 유조차 화재에 의한 중동 나들목 구간 상판의 소실로 인해 중동 나들목 임시 폐쇄.[56] 중동 나들목, 장수 나들목, 계양 나들목 부분 통제 시작
- 2010년 12월 23일 : 중동 나들목 재공사 착공
- 2011년 3월 15일 : 중동 나들목 재개통. 부분통제 해제[58].
- 2012년 3월 30일 : 호원 나들목 재공사 착공[59]
- 2014년 9월 29일 : 구리 요금소를 구리남양주 요금소로 명칭 변경
- 2015년 5월 28일 : 판교 기점 44.2km 위치에 호원 나들목 재개통[64][65]
- 2017년 11월 12일 : 시흥하늘휴게소 신설 개장[70][71][72]
- 2018년 3월 29일 : 민간투자구간(퇴계원 나들목 ~ 일산 나들목)의 7개 요금소 통행료 인하[73][74]
- 2020년 9월 1일 : 노선명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변경[77]
- 2020년 11월 7일 : 고양 분기점 개통
- 2021년 2월 3일 : 송파 나들목 헌릉로 방면 진출입 램프 이설 개통[79]
3. 구성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는 하남 분기점 ~ 강일 나들목, 일산 나들목 ~ 자유로 나들목 구간은 왕복 10차로, 나머지 구간은 왕복 8차로이다. 총연장은 128.02km이며, 전 구간 최고 제한 속도는 100km/h, 최저 제한 속도는 50km/h이다. 주요 터널로는 수락산터널, 사패산터널 등이 있으며, 탄천, 한강 등을 횡단하는 탄천교, 김포대교 등의 교량이 있다.
3. 1. 차로 수
하남 분기점 ~ 강일 나들목, 일산 나들목 ~ 자유로 나들목 구간은 왕복 10차로이고, 나머지 구간은 왕복 8차로이다.3. 2. 총 연장
128.02km3. 3. 제한 속도
전 구간 최고 제한 속도는 100km/h, 최저 제한 속도는 50km/h이다.3. 4. 터널
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m) | 준공 연도 |
---|---|---|---|
광암터널(구리) | 경기도 하남시 | 726 | 2002 |
광암터널(판교1) | 743 | 1991 | |
광암터널(판교2) | 752 | ||
불암산터널(일산) | 서울특별시 노원구 | 1,685 | 2006 |
불암산터널(구리) | 1,665 | ||
수락산터널 | 경기도 의정부시 | 2,950 | 2006 |
호원터널(일산) | 경기도 의정부시 | 180 | 2007 |
호원터널(구리) | 149 | ||
사패산터널(일산)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 3,997 | 2007 |
사패산터널(구리) | 3,993 | ||
노고산1터널(일산)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 2,177 | 2006 |
노고산1터널(구리) | 2,197 | ||
노고산2터널(일산)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 975 | 2006 |
노고산2터널(구리) | 995 | ||
소래터널(판교) | 경기도 시흥시 | 421 | 1999 |
소래터널(일산) | 446 | ||
수암터널(판교)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 1,254 | 1999 |
수암터널(일산) | 1,294 | ||
수리터널(판교) | 경기도 군포시 | 1,865 | 1999 |
수리터널(일산) | 1,882 | ||
안양터널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 390 | 1996 |
청계터널(판교) | 경기도 의왕시 | 550 | 1995 |
청계터널(일산) | 450 |
3. 5. 교량
탄천을 횡단하는 탄천교, 거여고가교, 강동대교, 장암대교, 공릉천을 횡단하는 공릉천1교, 공릉천2교, 공릉천3교, 공릉천4교, 대곡교, 한강을 횡단하는 김포대교, 귤현대교, 병방교, 용종1교, 용종2교, 부천고가교, 수리산교, 안양고가교, 평촌고가교, 학의천을 횡단하는 학의대교가 있다.4. 나들목 · 분기점
거리
거리
판교 나들목과 연계
지방도 제342호선 (헌릉로)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헌릉로)
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 (송파대로)
위례중앙로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 (천호대로)
서울특별시도 제88호선(올림픽대로)
미사대로
구 구리 요금소
미금로
국도 제43호선 (동구릉로)
국도 제46호선 (동구릉로)
(주유소 없음)
(국도 제43호선 (금강로·동구릉로))
(국도 제46호선 (금강로·동구릉로))
버스정류장 병행
평화로
(서울특별시도 제61호선 (동부간선도로))
버스정류장 병행(의정부방향)
버스정류장 병행
(국도 제39호선 (호국로))
버스정류장 병행
(국도 제39호선 (벌말로))
구 박촌 나들목
(송내대로·무네미로)
수현로
본선상 신호등 설치
버스정류장 병행
평촌대로
관평로
(국도 제1호선 (경수대로))
(국도 제47호선 (흥안대로))
버스정류장 병행
버스정류장 병행(성남방향)
판교 나들목과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