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균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균정은 신라 시대의 인물로, 애장왕 때 대아찬을 지냈으며, 헌덕왕 때 시중을 역임하며 정치적 역량을 발휘했다. 김헌창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흥덕왕 때 법광사를 후원하고 상대등에 올랐다. 흥덕왕 사후 왕위 계승 과정에서 김제륭과 싸우다 패배하여 사망했다. 그의 아들 신무왕이 즉위 후 성덕왕으로 추존되었으며, 혜강대왕으로 추존된 김예영이 아버지이고, 신무왕과 헌안왕이 아들이다. KBS 드라마 《해신》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36년 사망 - 흥덕왕
흥덕왕은 신라의 제42대 왕으로, 헌덕왕의 동생이며, 당나라와의 외교, 장보고의 청해진 대사 임명, 차 문화 장려, 귀족 사치 금지 등 사회 질서 유지에 힘썼다. - 836년 사망 - 이고 (당나라)
이고는 당나라의 학자이자 관료로, 고문 문체를 익히고 진사에 급제하여 산남동도 절도사에 이르렀으며, 불교, 도교, 선학 사상을 융합한 《복성서》를 저술하고 《래남록》을 남겼으며, 그의 외손자들은 재상을 지냈다. - 신라의 추존왕 - 김알지
김알지는 신라 탈해 이사금 9년에 시림에서 금색 궤짝 안에 발견된 인물로,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로 여겨지며, 김씨 성을 받고 계림에서 발견되어 신라 국호의 기원이 되었다. - 신라의 추존왕 - 혜충태자
혜충태자는 신라 원성왕의 아들로 왕태자에 책봉되었으나 요절하였고, 그의 아들 준옹이 소성왕으로 즉위하면서 그의 혈통이 신라 왕실의 주류가 되었지만, 그의 죽음은 신라 왕위 계승 분쟁의 원인이 되었다. - 신라의 상대등 - 김문영
김문영은 신라의 장군이자 정치인으로, 태종 무열왕 때 백제 공격과 고구려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으며, 옛 백제 지역에서 당나라 군대와의 전투에서 승리하는 데 기여했고, 효소왕 때 상대등에 임명되었다. - 신라의 상대등 - 비담
신라 선덕여왕 재위기에 상대등을 지낸 비담은 647년 염종과 함께 "여왕은 나라를 다스릴 수 없다"며 반란을 일으켰다가 김유신에게 진압되었으며, 그의 반란 배경에는 여성 통치자에 대한 반발, 왕위 계승 다툼, 김유신의 정치적 음모 등 여러 해석이 있다.
| 김균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왕족 정보 | |
| 이름 | 김균정 |
| 원래 이름 | 金均貞 |
| 휘 | 김균정(金均貞) |
| 작위2 | 추존왕(追尊王) |
| 별칭 | 미상 |
| 출생일 | 생년 미상(生年 未詳) |
| 출생지 | 미상 |
| 사망일 | 836년 |
| 사망지 | 신라(新羅) 금성(金星) 적판궁(積板宮) |
| 재위 | ?~836년 |
| 배우자 | 진교부인(眞矯夫人)조명부인(照明夫人) |
| 자녀 | 신무왕(神武王)헌안왕(憲安王) |
| 부왕 | 김예영(金禮英) |
| 모후 | 미상 |
| 전임자 | 김예영(金禮英) |
| 후임자 | 신무왕(神武王)헌안왕(憲安王) |
| 묘호 | 미상 |
| 시호 | 성덕(成德) |
| 능묘 | 미상 |
| 참전 | 김헌창의 난 |
| 통치국 | 신라(新羅) |
| 가문 | 경주(慶州) |
| 종교 | 미상 |
| 왕조 | 신라(新羅) |
| 목록 | 신라의 추존왕 |
2. 생애
김균정은 802년(애장왕 3년) 대아찬이 되었으나 일본에 인질로 보내지는 것을 거부했고, 812년(헌덕왕 4년)부터 814년까지 시중을 역임했다.[1][2][3] 822년 김헌창이 난을 일으키자[4] 군사를 이끌고 진압하여 성산에서 반군을 격파했다.[5] 828년 비학산에 있는 법광사를 크게 후원했고,[6] 835년 상대등이 되었다.[7] 836년 흥덕왕이 아들 없이 죽자 왕위 다툼에서 김제륭(민애왕)과 적판궁(積板宮)에서 싸웠으나[8][9] 패배하여 죽었다.[10] 사후 아들 신무왕이 '''성덕왕'''(成德王)으로 추존했다.[11]
2. 1. 초기 활동
802년(애장왕 3년) 12월 대아찬이 되었는데, 이때 가짜 왕자로 꾸며져 일본에 인질로 보내려 했지만 이를 거부했다.[1]2. 2. 시중 역임
812년(헌덕왕 4년) 시중에 임명되어[2] 814년 8월(헌덕왕 6년)까지 그 직을 맡았다.[3]2. 3. 김헌창의 난 진압
822년 3월(헌덕왕 14년), 웅천주 도독 김헌창이 난을 일으키자(김헌창의 난)[4], 이찬 김균정은 잡찬 김웅원, 대아찬 김우징과 함께 3군을 통솔하여 정벌에 나서 성산에서 반군을 격파하였다.[5]2. 4. 법광사 후원
828년(흥덕왕 3년) 7월 비학산에 있는 법광사를 크게 후원하였다.[6]2. 5. 상대등 역임과 최후
835년(흥덕왕 10년) 상대등이 되었으나,[7] 836년 흥덕왕이 아들 없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고자 김제륭과 적판궁(積板宮)에서 싸웠다.[8][9] 김명(민애왕), 이홍(利弘), 배훤백(裵萱伯) 등은 김제륭을 지지하였다. 김균정은 이 싸움에서 패배하여 김제륭의 병사에게 죽었다.[10] 사후 아들 신무왕이 '''성덕왕'''(成德王)으로 추존했다.[11]3. 가계
김균정은 김예영(사후 혜강왕으로 추존)을 아버지로 두었다.[11] 부인은 김충공의 딸인 진교부인(사후 헌목태후로 추존)이며,[11] 아들로는 신무왕과 헌안왕이 있다.
3. 1. 아버지
김예영(金禮英)으로, 사후 혜강왕(惠康王)으로 추존되었다.[11]3. 2. 부인
김균정은 두 명의 부인을 두었다. 첫 번째 부인은 김충공의 딸인 진교부인(眞矯夫人)으로, 사후 헌목태후(憲穆太后)로 추존되었다.[11] 진교부인은 신무왕의 어머니이다. 두 번째 부인은 김충공의 딸인 조명부인(照明夫人)으로, 헌안왕의 어머니이다.3. 3. 아들
신무왕(? ~839, 재위:839)과 헌안왕(? ~861 재위:857~861)은 김균정의 아들이다.[11]4. 김균정이 등장하는 작품
KBS 드라마 해신(2004년~2005년)에서 신귀식이 김균정 역을 연기했다.[1]
4. 1. 드라마 해신
2004년부터 2005년까지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 《해신》에서 신귀식이 김균정 역을 연기했다.[1]참조
[1]
서적
三國史記
1145년
[2]
서적
三國史記
1145년
[3]
서적
三國史記
https://web.archive.[...]
1145년
[4]
서적
三國史記
1145년
[5]
서적
三國史記
1145년
[6]
문서
〈法光寺石塔誌〉[법광사석탑지]
http://gsm.nricp.go.[...]
[7]
서적
三國史記
1145년
[8]
서적
三國史記
1145년
[9]
서적
三國史記
1145년
[10]
서적
三國史記
1145년
[11]
서적
三國史記
1145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