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흥덕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흥덕왕은 신라의 제42대 왕으로, 원성왕의 손자이자 혜충태자의 아들이다. 826년에 즉위하여 836년까지 재위했으며, 재위 기간 동안 당나라에 조공하며 문물을 수입하고, 차를 장려하는 등 문화 발전에 힘썼다. 또한, 사치 금지령을 내려 골품 제도를 강화하고, 흉년으로 인한 백성들의 고통을 덜기 위해 노력했다. 흥덕왕은 장화왕후의 능에 합장되었으며, 경주 흥덕왕릉이 현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흥덕왕 - 흥덕왕릉
    흥덕왕릉은 통일신라 시대 왕릉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신라 제42대 흥덕왕의 능으로, 12지신상을 조각한 병풍석이 특징이며 능의 위치와 금석문으로 흥덕왕릉임이 확인되었다.
  • 836년 사망 - 김균정
    김균정은 신라 왕족이자 정치가로 애장왕, 헌덕왕, 흥덕왕 시기에 활동하며 시중을 지냈고 김헌창의 난을 진압하는 데 기여했으나, 흥덕왕 사후 왕위 다툼에서 패배하여 살해되었지만 그의 아들 신무왕이 즉위하면서 성덕왕으로 추존되었다.
  • 836년 사망 - 이고 (당나라)
    이고는 당나라의 학자이자 관료로, 고문 문체를 익히고 진사에 급제하여 산남동도 절도사에 이르렀으며, 불교, 도교, 선학 사상을 융합한 《복성서》를 저술하고 《래남록》을 남겼으며, 그의 외손자들은 재상을 지냈다.
흥덕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 (한글)흥덕왕
이름 (한자)興德王
이름 (로마자 표기)Heungdeok wang
휘 (한글)김경휘
휘 (한자)金景徽
휘 (로마자 표기)Gim Gyeonghwi
신상 정보
출생777년
사망836년
사망 장소신라
아버지혜충태자
어머니성목태후
왕후장화부인 (章和夫人)
왕릉능묘 정보 없음
왕위 정보
왕조김씨
재위 기간826년 - 836년
이전 국왕헌덕왕
다음 국왕희강왕
관직
시중 임명 시기804년 1월
상대등 임명 시기819년 2월
기타 정보
시대후기 신라

2. 생애

809년 동복 형 헌덕왕과 함께 정변을 일으켜 조카 애장왕을 죽이고 헌덕왕을 왕위에 오르게 하였다. 이 공로로 이찬이 되었고, 819년 2월에는 또 다른 동복형제인 상대등 김숭빈(金崇斌)이 사망하자 상대등에 임명되었다.[18] 822년 1월에는 부군으로 임명되어 월지궁에 거주하게 되었는데, 부군은 왕태자의 다른 호칭으로 여겨진다.[11] 헌덕왕에게는 왕자들이 있었으나, 후사가 없다는 이유로 822년 동생 수종(훗날의 흥덕왕)을 태자로 책봉하였다.[21]

827년 봄 정월, 흥덕왕은 직접 신궁에 제사를 지냈다. 당나라 문종헌덕왕의 죽음에 조의를 표하고 흥덕왕을 신라왕으로 책봉하였다.

828년 4월, 장보고청해진 대사로 삼았다. 장보고는 당나라에서 군중소장(軍中小將)으로 활동하다 귀국하여 흥덕왕에게 군사 1만 명으로 청해진을 지키겠다고 청하였다.[18] 같은 해 겨울 12월, 당나라에서 돌아온 사신 대렴(大廉)이 차나무 종자를 가져오자, 왕은 지리산에 심게 하였다. 차는 선덕여왕 때부터 있었으나 이때에 와서 크게 유행하였다.[18]

830년 여름 4월, 흥덕왕의 건강이 좋지 않아 기도를 드리고 승려들에게 도첩을 주었다. 831년 2월에는 왕자와 승려들을 당나라에 보냈으나, 7월에 귀국하던 중 바다에 빠져 죽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832년 봄과 여름에 가뭄이 들어 흉년이 들자, 흥덕왕은 정전에 나가지 않고 음식을 줄였으며 죄수들을 사면하였다. 가을 7월에 비가 내렸으나, 8월에는 흉년으로 도적이 곳곳에서 일어났다. 10월, 흥덕왕은 백성들을 위로하였다. 833년 봄, 나라 안에 큰 기근이 들었고, 전염병으로 많은 백성이 죽었다.[22]

834년 9월, 흥덕왕은 군대를 사열하고 활쏘기를 관람하였다. 10월에는 남쪽 지방을 순행하며 노인, 홀아비, 과부, 고아 등을 위문하고 곡식과 베를 나누어 주었다. 같은 해, 신분에 따라 복색, 수레, 기물, 가옥 등을 규제하는 교서를 발포[16]하여 사치를 금지하고 골품 제도를 강화하였다.

835년 봄 2월, 김균정을 상대등으로 삼았다. 시중 우징이 사직하자, 김명을 시중으로 삼았다. 김유신을 흥무왕으로 추봉하였다.[23]

826년 12월, 흥덕왕은 왕비 장화부인(章和夫人)이 죽자 몹시 슬퍼하며 새로운 왕비를 들이지 않았다. 《삼국유사》에는 흥덕왕이 왕비를 잃은 슬픔을 앵무새 한 쌍에 비유한 설화가 전해진다.[25]

836년 12월에 사망하여 시호를 흥덕왕이라 하였다. 유언에 따라 장화왕후(章和王妃)의 능에 합장되었으며, 경주시 안강읍의 사적 제30호가 그의 왕릉으로 추정된다.[16]

2. 1. 즉위 이전

809년 동복 형 헌덕왕과 함께 정변을 일으켜 조카인 애장왕을 죽이고 헌덕왕을 지지하여 이찬이 되었고, 819년 2월 또 다른 동복형제인 상대등 김숭빈(金崇斌)이 사망하자 상대등에 임명되었다.[18] 822년 1월에는 부군으로 임명되어 월지궁에 거주하게 되었다. 『삼국사기』에는 부군이라는 명칭 외에는 다른 사례가 없지만, 월지전, 월지악전이라는 관청명이 직관지의 동궁관 하부 조직으로 나타나는 점을 미루어 볼 때, 부군은 왕태자의 다른 호칭으로, 김수승(흥덕왕)이 왕태자로 책봉된 것으로 여겨진다.[11]

헌덕왕에게는 김장렴(金張廉)과 김헌장(金憲章) 등의 왕자들이 존재하였고 이들을 당나라에 입조시킨 기록이 남아있으나[18], 헌덕왕은 822년 봄 정월, 후사가 없음을 이유로 동생 수종을 태자로 책봉하였다.[21]

구당서』와 『신당서』 신라전에는 김경휘(흥덕왕)가 김언승(헌덕왕)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12][13] 하지만 『삼국사기』 신라본기 헌덕왕기에는 헌덕왕에게 김헌창, 김장렴, 김흔 등의 왕자들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822년 3월 이후 충공 각간(헌덕왕의 동생)의 딸인 정교를 태자비로 맞이했다는 기록이 있어, 흥덕왕의 왕비에 대한 기록과는 다르므로, 흥덕왕이 헌덕왕의 태자가 되었다는 설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결국, 헌덕왕의 친동생이었던 흥덕왕이 왕자들을 제쳐두고 왕위를 계승한 정확한 경위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

2. 2. 치세

827년 봄 정월, 흥덕왕이 직접 신궁에 제사를 지냈다. 당나라 문종헌덕왕의 죽음 소식을 듣고 조회를 폐지하고 지절사(持節使)를 보내 조문하였다. 그리고 흥덕왕을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위 사지절대도독 계림주제군사 겸 지절충영해군사 신라왕으로 책봉하였다.

828년 4월, 장보고청해진 대사로 삼았다. 장보고는 당나라 서주(徐州)에서 군중소장(軍中小將)을 지내다가 귀국하여 흥덕왕을 알현하고, 군사 1만 명으로 청해진을 지키게 되었다.[18] 겨울 12월, 당나라에 갔다가 돌아온 사신 대렴(大廉)이 차나무 종자를 가져오자, 왕이 지리산에 심게 하였다. 차는 선덕여왕 때부터 있었으나 이때에 와서 크게 유행하였다.[18]

830년 여름 4월, 흥덕왕의 건강이 좋지 않아 기도를 드리고, 승려 150명에게 도첩을 주었다.

831년 2월, 왕자 김능유와 승려 아홉 명을 당나라에 보냈으나, 7월에 귀국하던 중 바다에 빠져 죽었다.

832년 봄과 여름에 가뭄이 들어 땅이 붉게 탔다. 흥덕왕은 정전에 나가지 않고 음식을 줄였으며, 중앙과 지방의 죄수들을 사면하였다. 가을 7월에야 비가 내렸다. 8월에는 흉년이 들어 도적이 곳곳에서 일어났다. 10월, 흥덕왕이 사람을 보내 백성들을 위로하였다.

833년 봄, 나라 안에 큰 기근이 들었다. 여름 4월, 시조묘에 참배하였다. 이 해에 전염병으로 죽은 백성이 많았다.[22]

834년 9월, 흥덕왕이 서형산(西兄山) 아래에 행차하여 군대를 사열하고, 무평문(武平門)에서 활쏘기를 보았다. 10월, 남쪽 지방의 주(州)와 군(郡)을 두루 돌아보았다. 노인, 홀아비, 과부, 고아, 자식 없는 노인들을 찾아 위문하고, 곡식과 베를 형편에 따라 차등을 두어 내려주었다.

835년 봄 2월, 아찬 김균정을 상대등으로 삼았다. 시중 우징이 그의 아버지 균정이 재상이 되었기 때문에 사직을 요청하자, 대아찬 김명을 시중으로 삼았다. 김유신을 추봉하여 흥무왕으로 하였다.[23]

836년 12월, 흥덕왕이 죽자 시호를 '흥덕'(興德)이라 하였다. 조정에서는 왕의 유언에 따라 장화왕비(章和王妃)의 능에 합장하였다. 흥덕왕이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죽자, 사촌동생인 균정과 균정의 조카 제륭이 왕위를 두고 다투었다.[23]

흥덕왕은 거의 같은 시기에 왕이 된 당나라의 문종으로부터 〈개부의동삼사·검교태위·사지절·대도독계림주제군사·겸지절충녕해군사·신라왕〉으로 책봉되었다. 《구당서》 신라전에는 대화 5년(831년)으로 기록되어 있지만,[14]삼국사기》 신라본기 흥덕왕기에는 이 책봉이 왕 2년(827년)에 이루어진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 책봉과 함께 왕모 박씨를 대비(大妃)로, 왕비 박씨[15]를 비(妃)로 책립하는 것도 함께 행해졌다. 당나라에 조공을 계속하여 문물을 들여왔으며, 827년에는 당나라에 들어갔던 옛 고구려계 승려 구덕(丘德)이 경전을 가지고 돌아왔다. 828년에 귀국한 김대렴(金大廉)이 가져온 씨앗을 지리산(경상남도 산청군지리산)에 심게 한 이후, 신라에서 차를 마시는 풍습이 성행하게 되었다고 한다.

국내에서는 827년에 한산주(경기도 광주시) 표천현(瓢川縣)에서 속부의 술(速富의 術, 즉시 부귀하게 되는 방법)이라는 종교 운동이 유행하자, 사람들을 미혹시키는 것으로 간주하여 교주를 먼 섬으로 유배 보냈다. 832년의 봄, 여름 가뭄과 7월의 폭우로 흉년이 들어 굶주린 백성들이 도적이 되어 봉기하자, 10월에는 각지에 사자(使者)를 파견하여 위무에 힘썼다. 이듬해 833년에도 흉년으로 백성들이 기아에 시달리고 유행병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자, 834년 10월에는 흥덕왕이 직접 순행하여 백성에게 곡물을 나누어주고 민심 안정을 꾀하려 했다.

834년에는 신분의 상하에 따라 색복(色服), 수레, 기물(器物), 가옥 등의 구분을 엄격히 하고 위반자에게 형벌을 가하는 교서를 발포[16]하여 사치를 금지하는 동시에 왕도(王都) 주민에 대한 신분 서열을 명확히 했다. 이 교서에서 규정된 신분 서열은 "진골(眞骨), 육두품(六頭品), 오두품(五頭品), 사두품(四頭品), 평인(平人)의 남녀"로, 7세기 중엽에 성립된 왕족 중심의 신분 서열인 "골품제"(성골, 진골)에 대해 "두품제"라고 한다. 이 골품제와 두품제를 합쳐 신라의 골품 제도라고 한다.

2. 3. 사치금지령

834년 신라의 흥덕왕은 교지를 내려 귀족의 사치를 규탄하고 골품제도에 따라 계급 별 복색(服色)·거기(車騎)·기용(器用)·옥사(屋舍) 등의 규정을 한층 강화하여 신분의 구분을 엄히 하였다.[24]

“사람은 나이에 따라 손위와 손아래의 구분이 있고, 지위에도 높고 낮음이 있어서, 법의 규정이 같지 않으며 의복도 다른 법이다.

풍속이 점점 각박해지고, 백성들이 다투어 사치와 호화를 일삼고, 진기한 외래품만을 좋아한 나머지 도리어 순박한 우리의 것을 싫어하니,

예절은 곧잘 분수에 넘치는 폐단에 빠지고 풍속이 파괴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에 삼가 옛 법전에 따라 명확하게 법령을 선포하노니, 만일 일부러 이를 어기면 진실로 그에 맞는 형벌을 내릴 것이다.”


같은 해, 신분의 상하에 따라 색복, 수레, 기물, 가옥 등의 구분을 엄격히 하고 위반자에게 형벌을 가하는 교서를 발포[16]하여 사치를 금지하는 동시에 왕도의 주민에 대한 신분 서열을 명확히 하였다. 이 교서에서 규정된 신분 서열은 "진골, 육두품, 오두품, 사두품, 평인의 남녀"로, 7세기 중엽에 성립된 왕족 중심의 신분 서열인 "골품제"(성골, 진골)에 대해 "두품제"라고 한다. 이 골품제와 두품제를 합쳐 신라의 골품 제도라고 한다.

2. 4. 흥덕왕과 앵무새

826년 12월, 흥덕왕의 왕비인 장화부인(章和夫人)이 죽자 왕은 몹시 슬퍼하였다. 군신들이 새로운 왕비를 책봉할 것을 요청했지만, 왕은 "쌍쌍인 새도 자기의 짝을 잃으면 슬퍼하는데, 하물며 좋은 배필을 잃고 나서 어찌하여 무정하게도 다시 부인을 얻겠는가?" 하며 후비를 맞아들이지 않았다. 또한 시녀들도 가까이 하지 않았으며 왕의 좌우에 내시 두 사람만을 심부름꾼으로 머물게 하였다. 장화부인은 정목왕후(定穆王后)로 추존되었다.[18]

삼국유사》에도 흥덕왕이 왕비를 잃은 슬픔을 한 쌍의 새에 비유한 설화가 기록되어 있다.[25] 흥덕왕 즉위 초,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사람이 앵무새 한 쌍을 가지고 돌아왔다. 그런데 오래지 않아 암컷이 죽었고, 홀로 된 수컷은 슬프게 울기를 그치지 않았다. 왕이 사람을 시켜 앵무새 앞에 거울을 걸어놓게 하였다. 그러자 앵무새는 거울 속에 비친 상이 자기 짝인 줄로만 알고 그 거울을 쪼아대었다. 그러다 곧 그림자라는 것을 알고는 슬피 울다 죽었다. 왕이 노래를 지었다고 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전해지지 않는다.[25]

2. 5. 죽음

836년 12월에 사망하여 시호를 흥덕왕이라 하였다. 유언에 따라 장화왕후(章和王妃)의 능에 합장되었으며, 그 왕릉은 경주시 안강읍의 사적 제30호로 비정되어 있다.[16]

3. 흥덕왕릉비편

흥덕왕릉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흥덕왕과 왕비 장화부인의 합장릉으로, 기록과 비편을 통해 무덤의 피장자가 흥덕왕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흥덕왕릉비편의 내용 중 "壽六十是日也(왕의 수명은 육십이다)"라는 내용을 통해 흥덕왕의 출생 연도를 비정할 수 있게 되었다.[1]

"太祖星漢…卄四代孫(태조 성한왕의 24대손)" 과 같은 내용을 통해, 삼국사기삼국유사 등의 역사서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문무왕릉비, 태종무열왕의 차남인 김인문의 묘지명, 진철대사탑비문(眞澈大師塔碑文),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과 같은 금석문에만 등장하는 신라의 시조로 여겨지는 태조(太祖) 성한이라는 이름이 흥덕왕릉비에도 등장한다.[1]

신라김씨 선원세계상에는 그가 알지의 21세손, 세한 또는 성한의 20세손이 되나, 당대의 기록인 흥덕왕릉비문에는 그가 성한의 24세손으로 되어 있다.[1]

4. 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원성왕신라 제38대 왕
조모숙정부인 김씨각간 김신술의 딸
아버지혜충태자혜충왕으로 추존
어머니성목태후 김씨
왕비정목왕후 김씨소성왕의 딸, 장화부인
아들김능유
아들김의종


5. 기타

6. 흥덕왕이 등장하는 작품

참조

[1] 뉴스 Jang Bogo, the King of the Seas https://world.kbs.co[...] 2024-02-22
[2] 논문 A Study on Costume Culture Interchange Resulting from Political Factors https://www.koreasci[...] 2006
[3] 웹사이트 Hanbok(韓服) https://folkency.nfm[...]
[4] 논문 답호에 關한 硏究 https://dspace.ewha.[...] 1983
[5] 서적 Guide to Korean culture. https://www.worldcat[...] 2013
[6] 논문 신라 흥덕왕대 금은기 금령의 성격 https://s-space.snu.[...]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7] 뉴스 https://www.joongang[...] 2024-02-22
[8] 문서 삼국사기 신라본기 헌덕왕기 분주
[9] 문서 삼국유사 왕력
[10] 문서 삼국유사 왕력
[11] 문서 井上訳注1980 p.356. 注54,55.
[12] 문서 구당서 신라전
[13] 문서 신당서 신라전
[14] 문서 구당서 신라전
[15] 문서 삼국사기
[16] 문서 삼국사기 권33 잡지2 색복조
[17] 문서 경주 흥덕왕릉 흥덕왕릉비편
[18] 문서 삼국사기 제10권 신라본기 제10
[19] 웹사이트 신라 흥덕왕대의 정치와 의례 https://kiss.kstudy.[...]
[20] 웹사이트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https://db.history.g[...]
[21] 문서 동국통감 권10 신라기
[22] 문서 삼국사기 제10권 신라본기 제10
[23] 문서 동국통감 권11 신라기
[24] 문서 삼국사기 제33권 잡지 제2
[25] 문서 삼국유사 제2권 기이 제2 흥덕왕과 앵무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