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연준은 1914년 함경북도 명천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동아공과학원을 설립하여 교육자, 음악가, 언론인, 사회운동가로 활동했다. 한양대학교 총장과 한양학원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대한일보와 기독교신문을 창간했다. 또한, 1937년 국내 최초의 바리톤 독주회를 개최하고, '청산에 살리라' 등 수많은 가곡을 작곡했다. 국민훈장 모란장, 무궁화장, 금관문화훈장을 받았으며, 튀빙겐 대학교 음악대상, 연세대학교 연문인상 등을 수상했다. 여러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양대학교 - 한양사이버대학교
한양사이버대학교는 대한민국 최초의 사이버대학교 중 하나로, 다양한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한양대학교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높은 교육의 질을 유지하고 시대적 요구에 맞춰 교육 과정을 개편하며 학생들을 지원하는 공유전공 제도와 부/복수전공 인정 제도를 운영한다. - 한양대학교 -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는 1960년 한양여자고등학교로 설립되어 2006년 남녀공학으로 전환된 서울특별시 소재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로, 꾸준한 시설 확충과 교육 환경 개선을 통해 학생들의 잠재력 계발에 힘쓰고 있다. - 전주 김씨 - 김동인
김동인은 '약한 자의 슬픔'으로 시작하여 '감자'와 같은 작품을 통해 사실주의를 개척하고, 《창조》를 창간했으며, 사후 동인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전주 김씨 - 김설송
김설송은 김정일과 김영숙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서 김정일의 비서로 활동했으며, 몰타와 유럽에서 유학하며 외국어를 배웠다. - 대한민국의 대학 총장 - 이원종 (1942년)
이원종은 1942년 출생하여 체신부, 서울특별시청 등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해 용산구청장, 성동구청장, 서울특별시장, 충청북도지사를 역임하고 대통령 비서실장 등을 지낸 자유한국당 소속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대학 총장 - 윤형근
윤형근은 격변의 시대를 거치며 독자적인 화풍을 확립한 한국의 추상화가이자 단색화 운동의 대표 작가 중 한 명으로, 어두운 기둥 형태와 여백을 활용한 독특한 기법으로 인간, 사회, 자연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은 작품 세계를 구축하여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김연준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14년 3월 22일 |
사망 | 2008년 8월 23일 (향년 94세) |
직업 | 교육자, 작곡가, 언론인, 기업가 |
배우자 | 이선건 |
자녀 | 4남 1녀 |
학력 | |
학력 | 개성 송도고등보통학교 졸업 연희전문학교 문과 졸업 일본 도쿄 음악대학 졸업 |
경력 | |
주요 경력 | 영남대학교 총장 대한일보 회장 학교법인 숭실대학교 이사장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주요 작품 | |
가곡 | '청산에 살리라' '무궁화' '비' |
수상 | |
수상 내역 | 대한민국 문화훈장 서울특별시 문화상 국민훈장 모란장 |
기타 정보 | |
종교 | 기독교 (개신교) |
2. 생애
1914년 함경북도 명천에서 태어나 1939년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의 전신인 동아공과학원을 설립하였다. 1959년부터 1973년까지 한양대학교 총장을, 이후 2007년까지 한양학원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2008년 타계하였다.[1]
어려서부터 바이올린을 배우며 음악적 재능을 키웠고, 연희전문학교 시절 현제명의 지도를 받았다. 대한체육연맹 회장, 대한일보와 기독교신문 창간, 국제인권옹호 한국연맹 회장, 북한인권개선운동본부 총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1937년 국내 최초의 바리톤 독주회를 개최하는 등 음악가로서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저서로는 『백남문집』, 『사랑의 실천』, 작곡집으로는 『김연준 가곡 1,500곡집』, 『성가곡집』 등이 있다.[1]
2. 1.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
1914년 함경북도 명천에서 부유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여덟 살 때부터 바이올린을 배우며 자연스럽게 음악을 접했고, 경성고보를 거쳐 연희전문 문과에 입학했다. 현제명의 지도로 음악적 재능을 펼쳤으며, 어려서부터 바이올린을 배운 덕분에 연전 오케스트라에서 바이올린과 비올라 파트에서 활동했다. 1936년 제15회 연전추기음악회에서 제2 바이올린으로 출연하였다.[1]2. 2. 교육자로서의 삶
1939년 연세대학교를 졸업한 뒤 기술보국(技術保國)의 신념으로 한양대학교의 전신인 동아공과학원을 설립했다.[1] 1959년부터 1973년까지 15년간 한양대학교 총장을 지냈으며, 이후 2007년까지 한양대학교 학교법인인 한양학원 이사장으로 재직하였다.[1]2. 3. 음악가로서의 삶
1937년 국내 최초로 바리톤 독주회를 개최하였고, 수많은 가곡을 작곡하고 24차례의 작곡 발표회를 개최하는 등 음악가로서 많은 활동을 하였다. 저서로는 『백남문집』, 『사랑의 실천』이 있으며, 작곡집으로는 『김연준 가곡 1,500곡집』, 『성가곡집』 등이 있다.[1]2. 4. 언론 및 사회 활동
대한일보와 기독교신문을 창간하여 언론 발전에 기여했다.[1] 대한체육연맹 회장을 역임하며 체육계 발전에 힘썼다.[1] 국제인권옹호 한국연맹 회장, 북한인권개선운동본부 총재 등을 역임하며 인권 신장에 앞장섰다.[1]3. 상훈
김연준은 국민훈장 모란장(1970년),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장 4등급(1991년), 국민훈장 무궁화장(1996년), 금관문화훈장(1998년) 등을 받았다.
3. 1. 서훈
- 1970년 국민훈장 모란장
- 1991년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장 4등급(Ufficiale OMRI)
- 1996년 국민훈장 무궁화장
- 1998년 금관문화훈장
3. 2. 수상
연도 | 수상 내역 |
---|---|
1979년 | 튀빙겐 대학교 개교 500주년 기념 음악대상(작곡부문)[1] |
1981년 | 한국사학법인연합회 교육공로 봉황장 |
1984년 | 미국 하원 공로패[1] |
2001년 | 연세대학교 연문인상 |
3. 3. 명예 박사 학위
연도 | 수여 대학 | 학위 |
---|---|---|
1961년 | 연세대학교 | 명예 법학박사 |
1972년 | 윈저 대학교 (캐나다) | 명예 법학박사 |
1973년 | 서던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미국) | 명예 문학박사 |
1979년 | 국립 정치 대학 (대만) | 명예 법학박사 |
1982년 | 센트럴 미시간 대학교 (미국) | 명예 음악학박사 |
1984년 | 페이스 신학교 (미국) | 명예 신학박사 |
1987년 | 텔아비브 대학교 (이스라엘) | 명예 철학박사 |
1988년 | 루앙 대학교 (프랑스) | 명예 음악학박사 |
1990년 | 도카이 대학 (일본) | 명예 법학박사 |
1991년 | 오리건 공과대학 (미국) | 명예 이학박사 |
참조
[1]
간행물
김연준(金連俊)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10-04
[2]
문서
백남(白南)
매일경제
1968-09-18
[3]
뉴스
주님이 주신 큰 복,사랑실천으로 보답" 故 김연준 박사 신앙과 삶
https://news.v.daum.[...]
국민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