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김재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김재엽은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이자 지도자, 대학교수이다. 1964년 대구에서 태어나 대구중앙중학교, 계성고등학교를 거쳐 계명대학교를 졸업했다. 1983년 세계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한국 유도 사상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은메달,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과 1987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후 은퇴하여 지도자의 길을 걸었으며, 현재 동서울대학교 경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6년 아시안 게임 유도 참가 선수 - 하형주
    하형주는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유도 금메달리스트이자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유도 금메달, 198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은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스포츠 행정가, 정치인, 교육자이다.
  • 1986년 아시안 게임 유도 참가 선수 - 조용철
    조용철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동메달, 198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획득하고,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추가한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이며, 현재는 대한유도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대구남산초등학교 동문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대구남산초등학교 동문 - 양금희
    양금희는 대구 북구 갑 선거구에서 당선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경북대학교 졸업 후 교사, 단체 대표 등을 역임하고 제21대 국회에서 활동했으며 현재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로 재직 중이다.
  • 대구중앙중학교 동문 - 송한철
    송한철은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제6대와 제7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경북 성주군·칠곡군 지역구에서 당선되어 박정희 정권의 경제 개발 정책에 참여하며 경북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 대구중앙중학교 동문 - 안병근
    안병근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유도 금메달리스트이자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및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획득한 유도 선수로, 용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각종 혐의로 입건되었으며 2015년 광주 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 주심을 맡았다.
김재엽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 (한글)김재엽
이름 (한자)金載燁
로마자 표기Gim Jae-yeop
출생1965년
국적대한민국
성별남자
선수 정보
종목유도
체급60kg급
(정보 없음)
소속 클럽(정보 없음)
세계 랭킹1위 (1987년)
주요 대회 성적
올림픽금메달 (1988년 서울 올림픽, 60kg급)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금메달 (1987년 에센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60kg급)
아시안 게임금메달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60kg급)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동메달 (1988년 다마스쿠스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 60kg급)
세계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금메달 (1983년 마야궤스 세계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 60kg급)

2. 선수 경력

김재엽은 19세의 나이로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출전, 결승전에서 일본호소카와 신지에게 패했으나 은메달을 획득했다.[1] 3년 후 독일 에센에서 열린 1987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결승에서 다시 호소카와와 맞붙어 한판승으로 승리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케빈 아사노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는데, 모든 경기에서 단 한 점도 허용하지 않았다. 이 대회에서는 호소카와가 준결승에서 석연치 않은 판정으로 패했기 때문에[4][5] 재대결은 없었다.[1]

은퇴 후 동서울대학교 교수로 취임했다.[3]

2. 1. 초기 경력

1964년 대구광역시 남구에서 태어났다. 대구남산초등학교 4학년 때인 1974년에 유도를 처음 시작하였으며, 대구중앙중학교계성고등학교를 거치면서 전국규모대회를 20여 차례 석권하였다. 특히 계성고 3학년이던 1982년에는 100연승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1983년 계명대학교 1학년 때 처음으로 국가대표에 선발되었으며, 같은 해 6월 푸에르토리코 마야궤스에서 열린 1983년 세계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한국 유도 사상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2]

2. 2. 올림픽 및 국제 대회

김재엽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19세의 나이로 출전, 결승전에서 일본호소카와 신지에게 패했으나 은메달을 획득했다.[1] 3년 후 1987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결승전에서 다시 호소카와와 대결하여 승리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는데, 호소카와가 준결승에서 석연치 않은 판정으로 패했기 때문에[4][5] 재대결은 없었다.[1]

김재엽의 주요 국제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대회연도순위비고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1983년1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1984년2위호소카와 신지에게 패배
오스트리아 국제 대회1984년1위
쇼리키 국제 대회1985년3위
서울 아시안 게임1986년1위
프랑스 국제 대회1987년3위
1987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1987년1위호소카와 신지에게 승리
한국 국제 대회1987년2위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1988년3위
서울 올림픽1988년1위전 경기 무실점
미국 국제 대회1988년3위
오스트리아 국제 대회1989년2위


3. 은퇴 후

서울 올림픽 직후 은퇴를 선언하고 곧바로 지도자의 길로 들어섰으며,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유도 대표팀 코치를 맡았다.[1] 이후 동서울대학교 경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3]

4. 개인사

김재엽의 종교불교이다. 1989년에 핸드볼 선수인 김경순과 결혼하여 슬하에 아들 김관우(1992년생)와 딸 김지민(1993년생)을 두었다. 이후 두 부부는 사기로 인한 빚 문제로 합의 이혼했다.

5. 수상

김재엽은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케빈 아사노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모든 경기에서 단 한 점도 허용하지 않는 압도적인 기량을 선보였다.[1] 1987년 독일 에센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 결승에서 호소카와 신지를 한판승으로 이겼다.[1]

5. 1. 수훈

체육훈장 청룡장(1986년 10월 6일)

체육훈장 맹호장(1984년 8월 17일)

체육훈장 기린장(1983년 10월 15일)

6. 학력

7. CF

참조

[1] 웹사이트 Biography and Olympic Results https://web.archive.[...] 2020-04-17
[2] 웹사이트 한가위 밤 뒤흔든 '김재엽' 환호 https://www.hani.co.[...] 1988-09-27
[3] 웹사이트 1980년대 유도계를 석권한 김재엽 동문 http://www.gokmu.com[...] 2014-03-25
[4] 뉴스 【114の金物語】(79)柔道・60キロ級 細川伸二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20-05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는 알 수 없음.
[5] 웹사이트 【第79号】細川伸二-持ち前の強心臓で一気に勝ち抜く https://web.archive.[...] 2008-09-07
[6] 뉴스 無敵 金載燁의「유도人生」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8-09-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