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책공업종합대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책공업종합대학은 1948년 김일성종합대학 공학부와 운수공학부에서 분리되어 평양공업대학으로 설립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에 위치한 종합대학이다. 1951년 김책의 이름을 따 김책공업대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988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현재 16개의 학부, 2개의 단과대학, 200여 개의 강좌, 10개의 연구소와 50여 개의 연구실을 갖추고 있으며, 13,000여 명의 학생과 3,000여 명의 교원이 재학 중이다. 2019년 국제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진대회(ICPC)에서 8위를 차지하는 등 학문적 성과를 내고 있으며, 박진혁 등 저명한 졸업생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책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김책 - 김국태 (정치인)
    김국태는 김일성의 측근 장군 김책의 장남으로, 조선로동당에서 요직을 두루 거치며 김정일의 측근으로 활동하다가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한 정치인이었다.
  • 사람 이름이 붙은 교육 기관 - 김일성종합대학
    김일성종합대학은 1946년 10월 1일 설립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의 종합대학으로, 사회주의 건설 엘리트 양성을 목표로 평양에 위치하며, 주체사상 교육을 강조하고 북한 엘리트 계층 양성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한다.
  • 사람 이름이 붙은 교육 기관 -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은 1949년 국립음악학교로 시작하여 김정일의 지시로 김원균의 이름을 부여받았으며, 평양음악학원과 금성학원 예술반을 흡수하여 종합대학으로 확장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음악 교육 기관이다.
  • 평양시의 학교 - 김정일정치군사대학
    김정일정치군사대학은 북한 평양에 위치한 간첩 양성 기관으로, 무력 적화통일을 위한 핵심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해외 침투 공작원을 양성하며, 군사 훈련과 주체사상 교육을 실시한다.
  • 평양시의 학교 - 김일성종합대학
    김일성종합대학은 1946년 10월 1일 설립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의 종합대학으로, 사회주의 건설 엘리트 양성을 목표로 평양에 위치하며, 주체사상 교육을 강조하고 북한 엘리트 계층 양성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한다.
김책공업종합대학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책공업종합대학 캠퍼스 내 김책 전자 도서관
김책공업종합대학 캠퍼스 내 김책 전자 도서관
개교1951년
행정 직원 수2,000명
학생 수10,000명
위치평양시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전 명칭평양공업대학 ()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김책공업종합대학 로고
김책공업종합대학 로고
학교 정보
표어온 사회의 인테리화
설립1948년 9월
종합대학 승격1988년
종류국립대학, 종합대학, 중앙대학
총장홍서헌
위치평양시 중구역 교구동 영광거리
규모19학부, 80개 강좌
교직원 수교원: 2,000여명
웹사이트http://www.kut.edu.kp
명칭
조선어김책공업종합대학
한자金策工業綜合大學
로마자 표기Gim Chaek Gongeop Jonghap Daehak
매큔-라이샤워 표기Kim Ch'aek Kongŏp Chonghap Taehak
영어 명칭Kim Chaek University of Technology

2. 설립과 발전

김책공업종합대학은 김일성종합대학에서 분리되어 1948년 평양공업대학으로 설립되었다. 한국 전쟁 중 교원들과 학생들은 대부분 전선에 나가고, 나머지는 평안북도 종주리로 피난을 갔다. 정전 후 평양으로 돌아와 복구사업이 끝난 후 다시 개교하였다. 1951년 1월 31일, 북한의 제201호령에 따라 조선인민군 총사령관 김책을 기리기 위해 김책공업대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

1956년에는 과학기술 관련 학부들이 분리되어 평양경공업대학, 평양철도대학, 평양기계공업대학, 강선공업대학, 평양건설건재대학 등 8개 대학이 창설되었다.

2. 1. 평양공업대학 설립 (1948년)

1948년 9월, 김일성종합대학에서 공학부와 운수공학부가 분리되어 평양공업대학이 설립되었다. 이것이 김책공업종합대학의 전신이다.[1] 대학 설립 당시에는 7개의 학부, 15개의 강좌, 70여 명의 교원, 1,540명의 학생이 있었다. 1949년 2월에는 첫 졸업생 60명이 배출되었다. 1950년에는 9개의 학부, 22개의 강좌, 110여 명의 교원, 2,200여 명의 학생으로 규모가 커졌다.

2. 2. 김책공업대학으로 개칭 (1951년)

1948년 9월, 김일성종합대학에서 공학부와 운수공학부가 분리되어 평양공업대학이 설립되었다. 한국 전쟁 중이던 1951년 1월 31일, 북한의 제201호령에 따라 평양공업대학은 조선인민군 총사령관으로서 전쟁 중 사망한 김책을 기리기 위해 김책공업대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2. 3. 대학 확장과 종합대학 승격 (1988년)

1981년부터 1993년까지 대규모 건설 프로그램을 통해 캠퍼스 규모가 현재의 400000m2로 두 배로 확장되었다.[1] 1988년, 대학 창립 40주년을 기념하여 김책공업종합대학으로 개칭되었다.

2. 4. 분교 설립 (1990년)

1990년 군수공업 부문의 일꾼을 양성하는 김책공업종합대학 분교(강동분교)가 창설되었다.

3. 조직

김책공업종합대학은 2개의 단과대학, 16개의 학부, 200여 개의 강좌를 운영하며, 교원 3,000여 명, 학생 13,000여 명이 재학하고 있다. 수업 연한은 5년 6개월이며, 직장인과 제대 군인을 위한 예비 과정과 재교육 학부도 운영한다.

박사원에는 준박사 및 박사 과정 학생 700여 명과 야간반 학생 1,000여 명이 재학 중이다. 재교육학부에서는 본 대학 및 타 기술대학 교원, 공업 부문 기사 및 기술자들이 재교육을 받는다. 기술교원양성반은 중학교 과학교사를 양성하며, '기술교육사' 자격을 부여한다.

대학 내에는 전자계산기연구소, 금속연구소, 반도체연구소, 수지초종연구소, 자동화연구소 등 10개의 연구소와 50여 개의 연구실이 있으며, 1,000여 명의 과학자와 교수가 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종합 실습 공장, 대학출판소, 대학신문사, 대학인쇄소, 3개의 부업농장, 기숙사, 식당, 매점, 병원, 탁아소, 유치원 등 다양한 부속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12년에는 원격교육대학이 신설되어 컴퓨터망을 통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2014년 이후에는 현대 경제·경영 및 나노, IT 등 첨단 기술 관련 학과들이 신설되었다.

3. 1. 단과대학 및 학부

김책공업종합대학에는 현재 2개의 단과대학, 16개의 학부, 200여 개의 강좌가 운영되고 있다.

단과대학 및 학부주요 학과 및 강좌
정보과학기술대학컴퓨터공학과, 정보통신학과, 인공지능강좌, 정보통신강좌
기계과학기술대학동력기계학과, 기계공학과, 기계생산공학강좌 (과거 동력기계학부와 열공학부가 통합됨)
공업경영학부공업경영강좌, 기술무역강좌, 생산관리강좌
자원탐측공학부
광업공학부광산개체강좌, 석탄개체강좌, 석유개체강좌, 암석채취강좌, 원유채취기계강좌
금속공학부야금리론강좌, 흑색야금강좌, 순금속강좌, 용광로공사, 야금재료와 야금자동화 강좌
자동화공학부정보측정공학강좌, 자동조종공학강좌, 로보트조종공학강좌, 자동조종리론강좌, 관리자동화강좌
재료공학부용접공학강좌, 금속재료강좌, 압연설비강좌, 선반설비강좌, 베어링설비강좌, 융해설비강좌
전자공학부공업전자강좌, 계산기강좌, 건기치료기구강좌, 신체검사기강좌, 반도체강좌, 전자부품강좌, 진공전자기구강좌, 프로그람과 집적회로강좌
전기공학부전동기공정강좌, 전동기계강좌, 정력자동장치강좌, 결연과 케이블강좌, 전기응용강좌, 전공기술학강좌
선박해양공학부선박설계강좌, 조선강좌, 선박동력설비와 선박자동화강좌
기초학부응용수학과, 물리공학과, 화학공학과 (과거 물리공학부, 응용수학부, 응용화학공학부가 통합됨)
핵물리공학부핵연료강좌, 자동원자로강좌, 핵전자강좌, 물리공사강좌, 응용수학강좌, 원자로공학강좌
사회과학학과노작강좌, 정치경제학강좌, 철학강좌, 미일침략사강좌
외국어학과영어강좌, 로어강좌, 2외국어(중국어, 일본어)강좌



2014년 이후 경제관리학과, 기술무역학과, 품질관리학과 등 현대 경제 및 경영 관련 학과들이 신설되었으며, 나노, IT, 생체조종 등 첨단 학과들도 신설되었다.[2]

3. 2. 연구소 및 부속 시설

김책공업종합대학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과학기술 교육 및 연구 중심 기관으로, 전자계산기연구소, 금속연구소, 반도체연구소, 수지초종연구소, 자동화연구소 등 10개의 연구소와 50여 개의 연구실을 갖추고 있다. 이들 연구소에는 1,000여 명의 과학 연구자, 교수, 고급 기사, 전문가들이 소속되어 있으며, 매년 200여 개의 독립적인 연구 과제를 수행한다. 최근에는 1,100여 개의 과학 연구 과제와 기술 혁신 과제를 완수하였다.

주요 시설로는 60만 권의 장서를 보유한 도서관과 2006년에 개관한 전자도서관이 있다. 전자도서관은 지상 5층, 지하 1층, 연건평 16000m2 규모로 2,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총 28개의 열람실(전자 열람실 12개, 도서 열람실 12개, 일반 열람실 4개)을 갖추고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트라넷 시스템인 광명망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김책공대의 자랑거리 중 하나인 체육관은 연건평 14000m2 규모로 4,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체육관은 4개의 훈련장(배구, 농구, 탁구, 권투장)과 체력 훈련장으로 구성되어 있다.[6]

3. 3. 교육 과정

현재 김책공업종합대학에는 2개의 단과대학, 16개의 학부와 200여 개의 강좌가 있으며, 3,000여 명의 교원(그 가운데 학위학직 소유자는 2,500여 명, 과학원 원사 5명, 후보원사 12명)과 13,000여 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수업연한은 5년 6개월이다. 직장 근무자와 제대군인으로 구성된 예비과 학생, 재교육학부에 등록된 학생도 있다.[2]

2012년에는 원격교육대학이 신설되어 컴퓨터 망을 통한 대학교육을 처음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많은 직장 근무자들이 컴퓨터 망을 통해 대학교육을 받고 있다. 2014년 이후에는 경제관리학과, 기술무역학과, 품질관리학과 등 현대 경제, 경영 관련 학과들과 나노, IT, 생체조종 등 첨단 학과들이 신설되었다.[2]

'''학부'''

학부명강좌
정보과학기술대학컴퓨터공학과, 정보통신학과, 인공지능강좌, 정보통신강좌
기계과학기술대학동력기계학과, 기계공학과, 기계생산공학강좌
공업경영학부공업경영강좌, 기술무역강좌, 생산관리강좌
자원탐측공학부(강좌 정보 없음)
광업공학부광산개체강좌, 석탄개체강좌, 석유개체강좌, 암석채취강좌, 원유채취기계강좌
금속공학부야금리론강좌, 흑색야금강좌, 순금속강좌, 용광로공사, 야금재료와 야금자동화 강좌
자동화공학부정보측정공학강좌, 자동조종공학강좌, 로보트조종공학강좌, 자동조종리론강좌, 관리자동화강좌
재료공학부용접공학강좌, 금속재료강좌, 압연설비강좌, 선반설비강좌, 베어링설비강좌, 융해설비강좌
전자공학부공업전자강좌, 계산기강좌, 건기치료기구강좌, 신체검사기강좌, 반도체강좌, 전자부품강좌, 진공전자기구강좌, 프로그람과 집적회로강좌
전기공학부전동기공정강좌, 전동기계강좌, 정력자동장치강좌, 결연과 케이블강좌, 전기응용강좌, 전공기술학강좌
선박해양공학부선박설계강좌, 조선강좌, 선박동력설비와 선박자동화강좌
기초학부응용수학과, 물리공학과, 화학공학과
핵물리공학부핵연료강좌, 자동원자로강좌, 핵전자강좌, 물리공사강좌, 응용수학강좌, 원자로공학강좌
사회과학학과노작강좌, 정치경제학강좌, 철학강좌, 미일침략사강좌
외국어학과영어강좌, 로어강좌, 2외국어(중국어, 일본어)강좌


  • 동력기계학부, 물리공학부, 응용수학부, 응용화학공학부, 체신학부, 열공학부는 현재 다른 학부로 통합되었다.


'''박사원'''에서는 준박사 과정과 박사 과정을 전공하는 학생 700여 명이 있으며, 일하면서 공부하는 야간반 학생들은 1,000여 명이다.

'''재교육학부'''에서는 본 대학과 기타 기술대학의 교원들이 1년 혹은 6개월간 재교육을 받는다. 공업 부문 종사 기사와 기술자들은 일정 기간 동안 이 학부에서 재교육을 받아야 한다.

'''기술교원양성반'''은 중학교 과학기술교육을 담당할 중등교원을 양성한다. 이들은 종합대학이나 다른 기술대학에서 기초과목을 이수한 후 기술교원양성반에서 교직과목을 이수하고 ‘기술교육사’ 자격을 얻는다.

4. 주요 현황

1948년 김일성종합대학에서 분리된 평양공업대학을 모체로 설립된 김책공업종합대학은 한국 전쟁 중 교원과 학생 대부분이 전선으로 나가고, 나머지는 평안북도로 피난하였다가 정전 후 평양으로 복귀하여 재건되었다. 1951년 김책을 기념하여 김책공업대학으로 개칭되었으며, 1988년 대학 창립 40주년을 맞아 김책공업종합대학으로 개칭되었다.

김책공업종합대학은 북한의 과학·기술, 특히 공업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종합 대학이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산하 과학교육부가 감독하고, 교육성 고등교육부가 행정 업무를 관리한다.

2007년 기준으로 부총장은 리원칠이었다.[2] 2012년에는 노소테크와 협력하여 평양 레이서라는 레이싱 게임을 개발하기도 했다.[3] 현재 김책공업종합대학은 평양 중심부 대동강 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양역에서 1km 거리에 있다.

4. 1. 캠퍼스 규모 및 시설

김책공업종합대학의 캠퍼스 면적은 400000m2이다. 60만 권의 서적을 소장한 도서관과 전자도서관이 있다. 전자도서관은 수많은 과학기술동화상(동영상) 및 다매체(멀티미디어)자료, 수백만 건의 전자원문 및 최신과학기술자료(PDF판 논문)들을 제공한다.[5]

2006년 1월(주체95년)에 개관한 전자도서관은 지상 5층, 지하 1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건평 16000m2에 2,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6] 총 28개의 열람실이 있으며, 이 가운데 전자 열람실 12개실, 도서 열람실 12개실, 일반 열람실 4개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도서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트라넷 시스템인 광명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다.

체육관은 연건평 14000m2에 4,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배구, 농구, 탁구, 권투장으로 이루어진 4개의 훈련장과 별도의 체력 훈련장이 마련되어 있다.

구내식당은 제1호 식당에서 제4호 식당까지 있다. 학생들은 매월 초에 일괄 지급되는 식권을 제출하고 식사를 받는다.

4. 2. 학생 및 교직원

김책공업종합대학에는 18개 학부와 약 80개 학과, 약 10,000명의 학생과 2,000명의 교직원이 있다.[5] 10개 연구소와 1개 박사원(대학원)이 있다.

현재 3개 단과대학, 16개 학부와 200개 이상 강좌, 3,000여 명 교원, 그리고 13,000명 학생이 재학 중이다. 이 외에도 사회인 학생이나 제대 군인으로 구성된 예비과 학생, 재교육학부 등록생도 있다. 수료 연한은 5년 6개월이다.

박사 과정에는 준박사 과정과 박사 과정을 전공하는 학생이 700여 명 있으며, 일하면서 공부하는 야간부 학생은 1,000여 명이다. 재교육학부에서는 본 대학 및 기타 기술대학 교원이 1년 또는 6개월간 재교육을 받는다. 공업 부문 종사 기사 및 기술자는 일정 기간 이 학부에서 재교육을 받아야 한다.

종합대학 과정에는 기술교원양성 과정이 있다. 이 과정은 중학교에서 과학기술 교육을 담당하는 중등교육 교원을 양성하기 위해 대학 및 다른 기술대학에서 기초 과목을 이수한 후 이 양성 과정에서 교직 과목을 이수하고 '기술교육사' 자격을 취득한다.

김책공업종합대학은 북한의 가장 저명한 과학기술 교육연구 중심으로서, 전자계산기연구소, 금속연구소, 반도체연구소, 고분자연구소, 자동화연구소 등 10개 연구소와 50개 이상 연구실이 있다. 이곳에는 과학연구자, 교수, 기사, 전문가 1,000명 이상이 재직하고 있다.

5. 학문적 성과 및 대외 활동

김책공업종합대학은 여러 학문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으며, 국제적인 교류 및 협력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2019년 국제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진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것을 통해 대외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4]

5. 1. 국제 교류 및 협력

김책공업종합대학은 2019년 국제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진대회(ICPC)에서 8위를 차지했다.[4]

6. 저명한 졸업생


  • 박진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프로그래머이자 해커이다.

7. 주변 시설

대동강의 중도인 양각도의 양각도 국제 호텔 맞은편에 있으며, 강 건너 동평양에는 평양 고무 공장이 있다. 주변 시설은 다음과 같다.


  • 평양의학대학 부속 병원
  • 국제 문화 센터
  • 조선 대외 문화 연락 협회
  • 중구역 시장
  • 조탄 어린이 공원
  • 평양 대극장
  • 종합 인쇄 공장
  • 철도 박물관

참조

[1] 웹사이트 Kim Chaek University of Technology | Facilities | NTI http://www.nti.org/l[...]
[2] 뉴스 With More Scientific achievements 2007-01-06
[3] 웹사이트 North Korea's First Racing Video Game Is Terrible https://www.vice.com[...] 2013-02-20
[4] 웹사이트 Kim Chaek University ranks 8th in international programming contest https://www.northkor[...] 2019-05-03
[5] 간행물 정보봉사능력 2배로 확장/김책공업종합대학 전자도서관에서 로동신문 2009-03-24
[6] 뉴스 북한에도 e북이?..`미래2.0' 처음 확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